공산당
공산주의 |
---|
![]() |
공산당(러시아어: Коммунистическая партия, 중국어: 共产党)은 공산주의를 목표로 하며, 마르크스-레닌주의 또는 유럽공산주의를 이념으로 하는 정당이다. 공산당은 농민과 생산 노동자를 기반으로 한 정당이며, 몇몇 정당은 모택동주의, 트로츠키주의를 이념으로 내걸고있다. 적어도 공산당이 마르크스-레닌주의를 표방하고 있지 않다고 해도 마르크스주의 철학적 강령을 가지고 있거나 평등지상주의를 옹호한다는 것은 공통점이다. 세계 최초의 공산혁명인 러시아 혁명이 민중들의 주도로 성공하고 코민테른이 설립된 이후 전 세계적으로 급속히 확산되었다. 현재는 4개국이 일당제로 운용하고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민주적인 선거를 통해 집권하는 공산당도 있다. 유럽에서는 유럽공산주의의 황혼기를 맞으며, 1980년대 후반부터 급격히 세력이 약화되었다. 1991년 소련의 붕괴로 인해 많은 일당제 공산주의 국가들이 붕괴하므로, 공산당은 정계에서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었다.
목차
지지기반과 반대세력[편집]
대부분 산업시설의 노동자, 농민을 주요 지지기반으로 가지고 있으며, 그 외 좌파적인 지식인, 사회운동가, 노동운동가, 중서민층 그리고 급진적인 이상주의자들을 어느정도 지지기반으로 가지고있다. 또한 반대세력으로는 3차 산업 이상의 산업화를 요구하는 자본주의 세력, 반공주의자, 보수주의자와 신자유주의자들이 있으며, 공산주의를 이루면 무국가, 무군대의 시대가 열리기 때문에 이에 반대하는 국가주의 및 우익 민족주의 세력, 마르크스-레닌주의 특징상 종교(특히 기독교 계열)을 아편으로 규정하고 변증법적 유물론을 주장하기 때문에 보수적인 종교인 층에서도 반대를 하고 있다.
세계의 공산당[편집]
대부분의 공산당들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표방하거나 공산혁명을 일으킨 주역의 이름을 딴 개조된 공산주의 사상을 주요 이념으로 가지고 있다. 각 당의 한국어 해석명은 대한민국 사회에 통용되는 명칭을 따른다.
현재 세계의 집권 공산당[편집]
국가 | 정당 | 이념 | 국회 의석 |
---|---|---|---|
![]() |
쿠바 공산당 | 마르크스-레닌주의 | 127 / 127 |
![]() |
베트남 공산당 | 마르크스레닌주의 | 475 / 500 |
![]() |
라오인민혁명당 | 마르크스-레닌주의 | 144 / 159 |
![]() |
조선로동당[1] | 주체사상 | 607 / 687 |
![]() |
중국 공산당 | 중국 특색 사회주의 | 2,119 / 2,980 |
![]() |
네팔 공산당 | 마르크스-레닌주의 | 174 / 275 |
![]() |
정의와 민주주의를 위한 인민전선[2] | 마르크스-레닌주의 | 75 / 150 |
![]() |
오로모 민주기구 | 마르크스주의 | 180 / 547 |
![]() |
베네수엘라 연합사회당 | 신마르크스주의 | 52 / 167 |
![]() |
산마리노 통합좌파당 | 유럽 공산주의 | 14 / 60 |
연정으로 집권한 공산당[편집]
국가 | 정당 | 이념 | 국회 의석 | 연정한 정당 |
---|---|---|---|---|
![]() |
보헤미아 모라바 공산당 | 마르크스주의 | 15 / 200 |
ANO 2011, 체코 사회민주당 |
![]() |
벨라루스 공산당 | 마르크스-레닌주의 | 8 / 110 |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내각 |
![]() |
포르투갈 공산당 | 마르크스-레닌주의 | 15 / 230 |
사회당, 좌파연합 |
![]() |
팔레스타인 인민해방전선 | 마르크스주의 | 3 / 132 |
하마스 |
![]() |
베네수엘라 공산당 | 마르크스-레닌주의 | 2 / 167 |
베네수엘라 연합사회당 |
![]() |
시리아 공산당 | 마르크스주의 | 3 / 250 |
바트당 |
![]() |
스페인 공산당 | 유럽 공산주의 | 5 / 350 |
사회노동자당, 포데모스 |
![]() |
방글라데시 노동당 | 마오쩌둥주의 | 3 / 350 |
아와미 연맹 |
![]() |
세르비아 공산당 | 마르크스주의 | 1 / 250 |
세르비아 진보당, 세르비아 사회당 |
현존하는 공산당(비집권)[편집]
국가 | 정당 | 이념 | 국회 의석 |
---|---|---|---|
![]() |
노동인민진보당 | 마르크스-레닌주의 | 16 / 56 |
![]() |
러시아 연방 공산당 | 스탈린주의 | 42 / 450 |
![]() |
칠레 공산당 | 마르크스-레닌주의 | 8 / 120 |
![]() |
경제자유투사 | 마르크스-레닌주의 | 25 / 400 |
![]() |
몰도바 공화국 공산당 | 마르크스-레닌주의 | 6 / 101 |
![]() |
카자흐스탄 공산인민당 | 마르크스-레닌주의 | 7 / 107 |
![]() |
그리스 공산당 | 마르크스-레닌주의 | 15 / 300 |
![]() |
하다시 | 마르크스주의 | 5 / 120 |
![]() |
S-PBP | 트로츠키주의 | 6 / 158 |
![]() |
타지키스탄 공산당 | 마르크스-레닌주의 | 2 / 63 |
![]() |
일반대안혁명군 | 마르크스-레닌주의 | 5 / 172 |
![]() |
일본 공산당 | 과학적 사회주의 | 12 / 465 |
![]() |
프랑스 공산당 | 유럽 공산주의 | 16 / 577 |
![]() |
스리랑카 인민해방전선 | 마르크스-레닌주의 | 6 / 225 |
![]() |
브라질 공산당 | 마르크스-레닌주의 | 9 / 513 |
![]() |
인도 공산당 | 마르크스주의 | 10 / 545 |
![]() |
벨기에 노동당 | 마르크스-레닌주의 | 2 / 150 |
![]() |
인민의회당 | 마르크스-레닌주의 | 1 / 99 |
![]() |
평등당 | 마르크스주의 | 1 / 120 |
![]() |
요르단 공산당 | 마르크스-레닌주의 | 1 / 130 |
![]() |
노동자의 좌파전선 | 트로츠키주의 | 2 / 257 |
![]() |
노르웨이 적색당 | 마르크스주의 | 1 / 169 |
![]() |
스위스 노동당 | 마르크스주의 | 1 / 200 |
![]() |
스리랑카 공산당 | 마르크스-레닌주의 | 1 / 225 |
![]() |
터키 노동당 | 마르크스-레닌주의 | 2 / 600 |
과거의 집권 공산당[편집]







존재했던 공산당(집권경력이 없는 공산당)[편집]
대한민국 : 남조선로동당
대한민국 : 조선공산당
대한민국 : 통합진보당
태국 : 공산당
필리핀 국가민주전선
필리핀 : 후크발라합
필리핀 : 신인민군
네팔 : 네팔 공산당 (마오쩌둥주의), 네팔 공산당 (마르크스-레닌주의)
공산당 활동 금지 국가[편집]
라트비아: 1991년 반공법 제정 이후부터 공산당 활동 금지화.
리투아니아: 1991년 반공법 제정 이후부터 공산당 활동 금지화.
루마니아: 1990년 이후부터 공산당 활동 금지화.
말레이시아: 1960년 국가보안법 제정 이후 공산당 활동이 금지되었고, 2012년 폐지 후에도 안보위반특별조치법이 신설되어 공산당 활동 금지화.
인도네시아: 1967년 쿠데타로 인해 군사 독재 정부가 들어선 후 반공법이 제정되었고, 독재가 끝난 1998년에도 반공법이 유지되면서 오늘날까지 공산당 활동 금지화.
에스토니아: 1991년 반공법 제정 이후부터 공산당 활동 금지화.
태국: 1952년 쁠랙 피분송크람의 쿠데타 군사 독재 정부가 들어선 후 반공법이 제정되었고, 지금까지 공산당 활동 금지화.
공산당 활동이 금지였던 국가[편집]
공산당 활동이 태동하던 시기는 20세기 초반 부터였으며, 20세기 ~ 21세기 당시 공산당 활동을 금지했던 국가들은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국가보안법을 제정하기전 남한에서 활동하던 남조선로동당이 보안법을 제정한 후 활동이 금지되었으나 문민정부를 거치며 공산당 활동이 법적으로는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공산당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 분위기로 사실상 여전히 억제되는 상태다.
나치 독일: 지금은 독일에 해당하며, 히틀러가 바이마르 공화국에서 1933년 정권을 잡은 이후 1945년까지 공산당 활동이 금지화되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프리카 국민당 치하 아파르트헤이트 정권 시대인 1961년에서 1994년 사이에 반공법이 존재했으며, 넬슨 만델라가 대통령이 된 후 아프리카 민족회의가 다수당으로 집권하면서 폐지되었다.
독일 제국: 오토 폰 비스마르크 치하의 독일 제국은 반공 국가였다.
베트남 공화국: 1954년 국가 탄생부터 반공법이 제정되어 공산당 활동을 금지하였으나, 1975년 공산주의 게릴라인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에 의해 전복되고 공산화되었다.
미국: 1910년대에 반공법이 성립되었으며 1974년에 폐지된다.[3]
서독은 법적으로는 공산주의를 금하지 않았으나, 1956년 공산당을 강제 해산시키고 연관자들을 처벌하는 등 반공주의적 색채를 분명히 하였다. 통일 이후에는 공산당활동에 제약이 없다.
스페인: 프란시스코 프랑코 집권기인 1939년에서 1975년 사이 반공법이 존재했으나, 1976년에 스페인이 대대적으로 민주화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세르비아: 1941년 나치 독일이 점령하고, 반공주의 세력이 주도권을 잡으면서 1945년까지 반공법이 존재했었다.
이탈리아 왕국: 지금은 이탈리아이며 1921년 베니토 무솔리니 파시즘 정부가 들어선 후 1945년까지 반공법이 유지되었다.
일본 제국: 지금은 일본이며 1925년 치안유지법 제정 이후부터 공산당 활동을 금지화했지만 패망인 1945년 치안유지법이 폐지되었다.
중화민국: 1949년 중국 국민당이 중국 공산당에 밀려 타이완으로 정부를 이전한 후 정통성 확립을 위해 반공법이 제정되었지만, 1987년에 민주화가 실현된 후 반공법이 폐지되면서 공산당 활동이 합법적으로 가능해졌다.[4] 하지만 여전히 중국 공산당만큼은 정치적인 이유로 인해 인정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