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 마르크스주의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사회민주주의 |
---|
![]() |
관련 문헌 • 라살, 《노동자 강령》 (1862년) • 라살, 《독일 국민노동협회에 보내는 공개 서한》 (1863년) • 라살, 《자본이란 무엇인가?》 (미상) • 러셀, 《독일 사회민주주의》 (1896년) • 베른슈타인, 《마르크스와 사회 개혁》 (1897년) • 베른슈타인, 《사회주의의 문제》 (1898년) • 베른슈타인, 《사회주의를 위한 전제들과 사회민주주의의 임무》 (1899년) • 베른슈타인, 《진화적 사회주의》 (1899년) • 조레스, 《사회주의자의 목표에 대해》 (1905년) • 조레스, 《사회주의에서의 학문》 (1906년) • 힐퍼딩, 《금융자본》 (1910년) • 데브스, 《노동과 자유》 (1916년) • F. 아들러, 《에른스트 마흐의 기계적 유물론에 대한 반박》 (1918년) • M. 아들러, 《민주주의와 의회 체계》 (1919년) • M. 아들러, 《사회학적 방법과 법적 방법의 구별에서 마르크스주의 국가 개념의 기여》 (1922년) • M. 아들러, 《칸트와 마르크스주의》 (1925년) • M. 아들러, 《정치 또는 사회민주주의》 (1926년) • 러셀, 《게으름에 대한 찬양》 (1935년) • M. 아들러, 《사회과학의 인식론적 기초에 대해》 (1936년) • 힐퍼딩, 《국가자본주의 또는 전체주의 국가의 경제》 (1940년) • 기든스, 《제3의 길》 (1998년) |
주요 인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정 마르크스주의(러시아어: Ревизионизм, 영어: Revision marxism)는 공산주의의 기초가 되는 '자본주의 붕괴론'을 부정하는 사회주의, 마르크스주의 조류를 뜻하며, 1910년대 후반, 당시 공산주의자들은 자신들의 의견에 반하는 다른 공산주의를 경멸하기 위해 자주 썼다. 수정주의적 마르크스주의는 사회개량주의자였던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이 재계승하여 사회민주주의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이에 대응하는 표현으로는 반수정주의가 있다. 1950년대에는 중공업 반대가 수정주의였다. 1960년대에는 마오쩌둥이 니키타 흐루쇼프가 스탈린을 비판하는 것을 수정주의라 하여 비판하여 중소 관계가 멀어졌다.
![]() |
이 글은 정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