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민당

중국 국민당
中國國民黨 | |||
| |||
상징색 | 파랑 | ||
---|---|---|---|
이념 | 삼민주의 (명목상) 보수주의 자유보수주의 중국의 재통일 중국의 내셔널리즘 중화주의 | ||
스펙트럼 | 중도우파 ~ 우익 | ||
당원 (2018년) | 1,090,000명 | ||
당직자
| |||
의장 | 우둔이(吳敦義) | ||
역사
| |||
창당 | 1894년 11월 24일: 흥중회 (興中會) 1905년 8월 20일: 중국동맹회 (中國同盟會) 1912년 8월 25일: 국민당 (國民黨) 1914년 7월 8일: 중화혁명당 (中華革命黨) 1919년 10월 10일: 중국 국민당 (中國國民黨) | ||
예하 부문
| |||
중앙당사 | 중화민국 타이베이 시 중산 구, No.232~234, Sec. 2, BaDe Rd | ||
정책연구소 | 국가 정책 재단 | ||
의석
| |||
중화민국 입법원 | 34 / 113
| ||
직할시장 과 현시장 | 15 / 22
| ||
향진시구장 | 84 / 120
| ||
향진시구민대표 | 390 / 541
| ||
직할시의원과 현시의원 | 394 / 912
| ||
촌리장 | 1,220 / 7,744
| ||
| |||

중국 국민당(Kuomintang of China, 중국어 정체자: 中國國民黨, 병음: Zhōngguó Guómíndǎng 중궈 궈민당[*])은 중화민국의 정당으로, 1894년에 홍콩에서 결성된 '흥중회', 1905년에 결성된 '중국동맹회', 1914년 일본 도쿄에서 결성된 '중화혁명당'을 계승 발전하여 현재의 형태로 완성되었다. 신해혁명의 주요 인물이었던 쑨 원과 중화민국의 총통이었던 장제스가 이 당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과거 베트남의 우익 정당이자, 현재 미국에 존재하는 망명 정당인 베트남 국민당이 중국 국민당을 모델로 삼고 있다. 2016년 현재에는 민주진보당 차이잉원 후보의 총통 선거 승리로 중화민국의 제1야당이 되었다.
목차
역사[편집]
초기부터 1950년까지[편집]
- 1912년
- 1913년: 위안스카이가 국민당 대리 이사장 쑹자오런을 암살하고 국민당과 의회를 해산시킨다. 한편 쑨원은 일본 도쿄로 건너가 비밀결사인 중화혁명당을 조직한다.
- 1914년: 쑨원이 중화혁명당을 광저우에서 확대 조직한다.
- 1919년: 중화혁명당이 중국국민당으로 개칭한다.
- 1924년: 중국국민당은 광저우에서 열린 제1차 전국 대표대회에서 쑨원의 삼민주의를 포함한 정치 이념을 당의 강령으로 채택한다. 당시의 중국국민당은 소련의 지원을 많이 받아서 중국 공산당 계열의 인물을 포함하는 연합정국의 형세였고 이 전국 대표회의는 제1차 국공합작의 시작점이 된다. 그리하여 '소련과 연합전선을 취하고(聯蘇) 공산당원을 받아들이며(容共) 농업과 공업을 중요시한다(農工扶助)'는 3대 정책을 통하여 국공 합작이 전개되었다. 공산당원은 공산당 당적을 보유한 채 개인의 자격으로 국민당에 입당하는 형식을 취했고 공산당 대표인 리다자오(李大釗, 이대조), 마오쩌둥(毛澤東, 모택동) 등의 공산당 계열의 정치인들이 국민당 요직에 선출된다.
- 1925년: 쑨원이 사망한다. 장제스가 쑨원의 뒤를 이어서 중국국민당 계열을 이끌게 된다.
- 1926년 2월: 장제스가 베이징 정부 (장쭤린의 군벌 정부)에 대한 북벌을 주장하며 북진한다.
- 1927년: 북진중이던 장제스가 상하이에서 4.12에 반공 숙청을 감행한다. 이로써 제1차 국공합작은 끝나게 되며 10여 년 동안 국민당과 공산당의 내전이 시작되게 된다. 이후 장제스는 난징(南京)을 수도로 정한다.
- 1928년: 장제스의 국민당이 베이징에 입성하면서 중국 대부분을 장악하게 된다.
- 1936년: 12월 12일 장쉐량(張學良, 장학량)이 시안에서 장제스를 감금하는 시안 사건(西安事變)을 일으킨다. 시안 사건은 제2차 국공 합작의 시발점이 된다.
- 1937년 - 1945년: 항일 전쟁. 중일 전쟁의 시기이다.
- 1946년 - 1949년: 다시 국민당과 공산당의 내전이 시작된다. 이 전쟁의 결과로 국공 내전에서 패한 중국국민당은 타이베이 시로 옮겨졌다. 일부는 본토에 남아 중국 국민당 혁명위원회를 결성한다.
1950년 이후[편집]
1950년대 이후부터 2000년 민주진보당의 천수이볜이 총통에 당선되기까지 중화민국 역사는 국민당의 장기 집권 시대였다. 물론 국민당 이외의 정당들도 있었지만 정권교체 등으로 집권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했다. 다만 중국 공산당에게 밀린 원인이 부정부패였다.
1980년대 이전까지는 철저하게 반중화인민공화국, 반공주의를 외쳤으나, 민주화 이후부터는 민주진보당을 비롯한 타이완 내 진보주의자들에 의해 타이완 독립 문제가 대두되면서 중화인민공화국과 마찰을 빚자, 국민당은 이전과 달리 친중적인 성향으로 크게 바뀌었다.
민주화 이후에도 줄곧 집권해왔으나, 2000년 총통선거에서 민주진보당 천수이볜 후보에게 패하여 제1야당으로 지내왔다. 그러나 2008년 마잉주 주석이 총통 선거에서 당선되며
여당으로 복귀하였고, 재선으로 8년 간 있었으나 2016년 중화민국 총통 선거에서 주리룬 총통후보가 민주진보당의 차이잉원 후보에게 패배하여 제1야당이 되었다.
중국 국민당 역대 지도자[편집]
직위 | 이름 | 취임 | 이임 | 비고 |
---|---|---|---|---|
총리 (總理) | 쑨원 (쑨중산·孫中山) | 1919년 10월 10일 | 1925년 3월 12일 | |
주석 (主席) | 장징장 (張靜江) | 1926년 5월 19일 | 1926년 7월 6일 | |
장제스 (장중정·蔣中正) | 1926년 7월 6일 | 1927년 3월 11일 | ||
후한민 (胡漢民) | 1935년 12월 7일 | 1936년 5월 12일 | ||
총재 (總裁) | 장제스 (장중정·蔣中正) | 1938년 4월 1일 | 1975년 4월 5일 | |
주석 (主席) | 장징궈 (蔣經國) | 1975년 4월 5일 | 1988년 1월 13일 | |
리덩후이 (李登輝) | 1988년 1월 13일 | 2000년 3월 24일 | ||
롄잔 (連戰) | 2000년 3월 24일 | 2005년 8월 19일 | ||
마잉주 (馬英九) | 2005년 8월 19일 | 2007년 2월 13일 | ||
대리 주석 (代理主席) | 우보슝 (吳伯雄) | 2007년 2월 13일 | 2007년 3월 14일 | |
장빙쿤 (江丙坤) | 2007년 3월 14일 | 2007년 4월 11일 | ||
주석 (主席) | 우보슝 (吳伯雄) | 2007년 4월 11일 | 2009년 10월 17일 | |
마잉주 (馬英九) | 2009년 10월 17일 | 2014년 12월 3일 | ||
대리 주석 (代理主席) | 우둔이 (吳敦義) | 2014년 12월 3일 | 2015년 1월 19일 | |
주석 (主席) | 주리룬 (朱立倫) | 2015년 1월 19일 | 2016년 1월 18일 | |
대리 주석 (代理主席) | 황민후이 (黃敏惠) | 2016년 1월 18일 | 2016년 3월 30일 | |
주석 (主席) | 훙슈주 (洪秀柱) | 2016년 3월 30일 | 2017년 7월 3일 | |
대리 주석 (代理主席) | 린정쩌 (林政則) | 2017년 7월 3일 | 2017년 8월 19일 | |
주석 (主席) | 우둔이 (吳敦義) | 2017년 8월 20일 |
주요 선거 결과[편집]
총통 선거[편집]
실시년도 | 총통 | 부총통 | 득표 | 득표율 | 당락 |
---|---|---|---|---|---|
1996 | 리덩후이 | 롄잔 | 5,813,699 | 54.0% | 당선 |
2000 | 롄잔 | 샤오완창 | 2,925,513 | 23.1% | 낙선 |
2004 | 롄잔 | 쑹추위 (![]() |
6,442,452 | 49.9% | 낙선 |
2008 | 마잉주 | 샤오완창 | 7,658,724 | 58.4% | 당선 |
2012 | 마잉주 | 우둔이 | 6,891,139 | 51.6% | 당선 |
2016 | 주리룬 | 왕루쉬안 (![]() |
3,813,365 | 31.0% | 낙선 |
입법위원 선거[편집]
실시년도 | 의석 수 | 득표수 | 득표율 | 결과 | 의석 증감 | 지도자 |
---|---|---|---|---|---|---|
1992 | 102 / 161
|
5,030,725 | 53.02% | 제1당 | 리덩후이 | |
1995 | 85 / 164
|
4,349,089 | 46.1% | 제1당 | ![]() |
리덩후이 |
1998 | 123 / 225
|
4,659,679 | 46.43% | 제1당 | ![]() |
리덩후이 |
2001 | 68 / 225
|
2,949,371 | 31.3% | 제2당 | ![]() |
롄잔 |
2004 | 79 / 225
|
3,190,081 | 32.83% | 제2당 | ![]() |
롄잔 |
2008 | 81 / 113
|
10,302,313 | 52.4% | 제1당 | ![]() |
우보슝 |
2012 | 64 / 113
|
5,863,279 | 44.55% | 제1당 | ![]() |
마잉주 |
2016 | 35 / 113
|
3,280,949 | 26.91% | 제2당 | ![]() |
주리룬 |
지방 선거[편집]
실시년도 | 직할시/현시장 | 직할시/현시의원 | 향진시구장 | 향진시구민대표 | 촌리장 | 지도자 |
---|---|---|---|---|---|---|
2014 | 6 / 22 |
386 / 907 |
80 / 204 |
540 / 2,141 |
1,796 / 7,848 |
마잉주 |
2018 | 15 / 22 |
394 / 912 |
84 / 204 |
390 / 2,148 |
1,220 / 7,744 |
우둔이 |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 (중국어/영어/일본어) 중국국민당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