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잉글랜드 | |||
---|---|---|---|
![]() | |||
별칭 | The Three Lions (삼사자 군단) | ||
연맹 | 잉글랜드 축구 협회 | ||
대륙 | 유럽 축구 연맹 | ||
감독 | 개러스 사우스게이트 | ||
주장 | 해리 케인 | ||
최다 출전자 | 피터 실턴 (125) | ||
최다 득점자 | 웨인 루니 (53) | ||
홈 구장 | 웸블리 스타디움 | ||
FIFA 코드 | ENG | ||
| |||
FIFA 랭킹 | |||
현재 | 4위 (2020년 9월 17일 기준) | ||
최고 순위 | 3위 (2012년 8월) | ||
최저 순위 | 27위 (1996년 2월)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 (스코틀랜드 파틱; 1872년 11월 30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 (아일랜드 벨파스트; 1882년 2월 18일)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 (헝가리 부다페스트; 1954년 5월 23일) | |||
월드컵 | |||
출전 횟수 | 15회 (1950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우승 (1966년) |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 |||
출전 횟수 | 9회 (1968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준우승 (2020년) |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은 영국의 잉글랜드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 대표팀으로 '축구 종주국'과 '삼사자 군단'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영어권 국가 중에서 피파랭킹이 가장 높은 팀이자 유일한 FIFA 월드컵 우승국이다. 1863년 잉글랜드 축구 협회가 창설되었고 1872년 11월 30일 스코틀랜드와의 국제 경기 데뷔전을 치렀으며 웸블리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역사[편집]
FIFA 월드컵[편집]
월드컵 본선에는 처음으로 참가한 1950년 대회를 포함해 15번 출전하였고 이 중 자국에서 열린 1966년 대회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지만 이후 24년만에 준결승에 올랐던 1990년 대회를 제외하고 참가했던 모든 월드컵 본선에서는 대부분 16강이나 8강에서 탈락의 고배를 마셨고 1994년 대회에서는 지역 예선에서 탈락하면서 아예 본선에 나서지도 못했다. 그리고 2014년 대회 본선에서는 코스타리카, 우루과이에 밀려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는 수모까지 겪었고 이전에 처음으로 참가한 1950년 대회와 1958년 대회에서도 조별리그에서 탈락한 적이 있었다. 그러다가 2018년 대회에서 손흥민의 팀 동료인 해리 케인, 델레 알리 등 주축 선수들의 고른 활약으로 대회 4위의 성적을 기록하며 1990년 대회 이후 무려 28년만에 월드컵 준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유로 대회 본선에는 2020년 대회를 포함해 10번 출전하여 이 가운데 자국에서 열린 2020년 대회에서 비록 안타깝게 이탈리아와의 결승전 승부차기에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지만 자국에서 열린 1966년 월드컵 우승 이후 55년만에 메이저 대회 결승이자 유로 대회 사상 첫 결승에 오르는 투혼을 발휘했다.
UEFA 네이션스리그[편집]
2018-19 시즌[편집]
UEFA 네이션스리그 첫 시즌인 2018-19 시즌에서 리그 A에 편입된 잉글랜드는 2018년 월드컵 준우승국인 크로아티아, 월드컵·유로 대회를 통틀어 메이저 대회 3연패의 업적을 달성한 스페인과 4조에 편성되었다. 그리고 홈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스페인에게 1-2로 무릎을 꿇었고 크로아티아와의 원정 2차전에서는 득점없이 0-0으로 비겼다. 그러나 스페인과의 원정 3차전에서 3-2로 승리를 거두며 1차전에서의 패배를 설욕했고 홈에서 열린 크로아티아와의 최종전에서마저 2-1로 승리를 쟁취하며 2승 1무 1패로 스페인, 크로아티아를 따돌리고 4조 1위로 1조에서 1위를 차지한 네덜란드와 준결승전에서 맞붙었다. 그리고 네덜란드와의 준결승전에서 전반 32분 마커스 래시퍼드가 선제골을 뽑으며 앞서가다가 후반 28분 마티아스 더 리트에게 동점골을 내주며 승부가 연장전까지 이어졌고 결국 연장전에서 카일 워커의 자책골로 역전을 헌납하더니 연장 후반 9분 크빈시 프로머스에게 쐐기골까지 얻어맞고 1-3으로 패하며 결승 진출이 좌절됐다. 이후 열린 스위스와의 3·4위 결정전에서 120분간의 치열한 공방전에도 득점 없이 비기며 승부차기로 이어졌고 결국 승부차기에서 스위스의 6번째 키커인 요시프 드르미치의 실축으로 6-5의 승리를 거두면서 네이션스리그 첫 시즌에서 3위를 차지했다.
홈 경기장[편집]
웸블리 스타디움을 메인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결과 및 일정[편집]
다음은 향후 잉글랜드 대표팀의 예정된 경기 목록이다.
Win Draw Loss Fixture
2022년 11월 21일 16:00 | ||||||
잉글랜드 ![]() |
3번 경기 | ![]() |
칼리파 국제경기장, 알라얀 | |||
리포트 | ||||||
2022년 11월 25일 22:00 | ||||||
잉글랜드 ![]() |
20번 경기 | ![]() |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 |||
리포트 | ||||||
2022년 11월 29일 22:00 | ||||||
웨일스 ![]() |
33번 경기 | ![]() |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 알라얀 | |||
리포트 | ||||||
코칭스태프[편집]
직위 | 이름 |
---|---|
감독 | ![]() |
수석 코치 | ![]() |
골키퍼 코치 | ![]() |
코치 | ![]() |
코치 | ![]() |
팀 닥터 | ![]() |
피트니스 코치 | ![]() |
역대 감독[편집]
이름 | 활동 기간 |
---|---|
월터 윈터보텀 경 (Kt), CBE | 1946–1962 |
앨프 램지 경 (Kt) | 1963–1974 |
조 머서 OBE | 1974 |
돈 레비 OBE | 1974–1977 |
론 그린우드 CBE | 1977–1982 |
보비 롭슨 경 (Kt), CBE | 1982–1990 |
그레이엄 테일러 OBE | 1990–1993 |
테리 베너블스 | 1994–1996 |
글렌 호들 | 1996–1999 |
케빈 키건 OBE | 1999–2000 |
하워드 윌킨슨 | 2000 |
피터 테일러 | 2000–2001 |
스벤예란 에릭손 | 2001–2006 |
스티브 매클래런 | 2006–2007 |
파비오 카펠로 | 2007–2012 |
스튜어트 피어스 MBE (감독대행) | 2012 |
로이 호지슨 | 2012-2016 |
샘 앨러다이스 | 2016 |
개러스 사우스게이트 | 2016- |
선수[편집]
현재 선수 명단[편집]
다음 25명의 선수들은 2022년 3월 26일과 29일 스위스와
코트디부아르와의 친선 경기에 참가하는 선수 명단이다.
- 출장 수와 골 수는 2021년 11월 15일
산마리노전 이후 기준이다.
|
최근 차출된 선수[편집]
다음은 최근 12개월간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에 차출된 선수 목록이다.
|
이전 선수 명단[편집]
주요 성적[편집]
- UEFA 유럽 챔피언십
- 준우승 (1): 2020년
- 준결승 (2): 1996년, 1968년
개인 기록[편집]
선수 기록[편집]
최다 출장 선수[편집]
아래 기록은 2019년 11월 17일을 기준으로 한다. (현역 선수는 블록으로 나타냄.)
# | 이름 | 활동 기간 | 경기 | 골 | 포지션 |
---|---|---|---|---|---|
1. | 피터 실턴 OBE | 1970-1990 | 125 | 0 | GK |
2. | 웨인 루니 | 2003-2018 | 120 | 53 | FW |
3. | 데이비드 베컴 OBE | 1996-2009 | 115 | 17 | MF |
4. | 스티븐 제라드 MBE | 2000-2014 | 114 | 21 | MF |
5. | 보비 무어 OBE | 1962-1973 | 108 | 2 | DF |
6. | 애슐리 콜 | 2001-2014 | 107 | 0 | DF |
7. | 보비 찰턴 경 (Kt), CBE | 1958-1970 | 106 | 49 | FW |
프랭크 램파드 OBE | 1999-2014 | 106 | 29 | MF | |
9. | 빌리 라이트 CBE | 1946-1959 | 105 | 3 | DF |
10. | 브라이언 롭슨 OBE | 1980-1991 | 90 | 26 | MF |
11. | 마이클 오언 | 1998-2008 | 89 | 40 | FW |
12. | 케니 산솜 | 1979-1988 | 86 | 1 | DF |
13. | 게리 네빌 | 1995-2007 | 85 | 0 | DF |
14. | 레이 윌킨스 MBE | 1976-1986 | 84 | 3 | MF |
15. | 리오 퍼디낸드 | 1997-2011 | 81 | 3 | DF |
최다 득점 선수[편집]
아래 기록은 2019년 11월 17일을 기준으로 한다. (현역 선수는 블록으로 나타냄.)
# | 이름 | 활동 기간 | 골 | 경기 | 경기당 평균 골 | 포지션 |
---|---|---|---|---|---|---|
1. | 웨인 루니 | 2003-2018 | 53 | 120 | 0.44 | FW |
2. | 보비 찰턴 경 (Kt), CBE | 1958–1970 | 49 | 106 | 0.46 | FW |
3. | 게리 리네커 OBE | 1984–1992 | 48 | 80 | 0.60 | FW |
4. | 지미 그리브스 | 1959–1967 | 44 | 57 | 0.77 | FW |
5. | 마이클 오언 | 1998–2008 | 40 | 89 | 0.45 | FW |
6. | 해리 케인 | 2015–현재 | 32 | 45 | 0.71 | FW |
7. | 냇 로프트하우스 OBE | 1950–1958 | 30 | 33 | 0.91 | FW |
앨런 시어러 CBE | 1992–2000 | 30 | 63 | 0.49 | FW | |
톰 피니 경 (Kt), CBE | 1946–1958 | 30 | 76 | 0.39 | FW | |
10. | 비비안 우드워드 | 1903–1911 | 29 | 23 | 1.26 | FW |
프랭크 램파드 OBE | 1999-2014 | 29 | 106 | 0.28 | MF | |
12. | 스티브 브루머 | 1895–1907 | 28 | 23 | 1.21 | FW |
13. | 데이비드 플랫 | 1989–1996 | 27 | 62 | 0.43 | MF |
14. | 브라이언 롭슨 OBE | 1981–1989 | 26 | 90 | 0.28 | MF |
15. | 제프 허스트 경 (Kt), MBE | 1965–1972 | 24 | 49 | 0.48 | FW |
감독 기록[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팀 기록[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국제대회 기록[편집]
FIFA 월드컵[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불참 | 불참 | ||||||||||||||
![]() | ||||||||||||||||
![]() | ||||||||||||||||
![]() |
조별리그 | 8위 | 3 | 1 | 0 | 2 | 2 | 2 | 3 | 3 | 3 | 0 | 0 | 14 | 3 | 9 |
![]() |
8강 | 6위 | 3 | 1 | 1 | 1 | 8 | 8 | 4 | 3 | 3 | 0 | 0 | 11 | 4 | 9 |
![]() |
조별리그 | 11위 | 4 | 0 | 3 | 1 | 4 | 5 | 3 | 4 | 3 | 1 | 0 | 15 | 5 | 10 |
![]() |
8강 | 8위 | 4 | 1 | 1 | 2 | 5 | 6 | 4 | 4 | 3 | 1 | 0 | 16 | 2 | 10 |
![]() |
우승 | 1위 | 6 | 5 | 1 | 0 | 11 | 3 | 16 | 자동참가(개최국) | ||||||
![]() |
8강 | 8위 | 4 | 2 | 0 | 2 | 4 | 4 | 6 |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 ||||||
![]() |
예선 탈락 | 4 | 1 | 2 | 1 | 3 | 4 | 5 | ||||||||
![]() |
6 | 5 | 0 | 1 | 15 | 4 | 15 | |||||||||
![]() |
2라운드 | 6위 | 5 | 3 | 2 | 0 | 6 | 1 | 11 | 8 | 4 | 1 | 3 | 13 | 8 | 13 |
![]() |
8강 | 8위 | 5 | 2 | 1 | 2 | 7 | 3 | 7 | 8 | 4 | 4 | 0 | 21 | 2 | 16 |
![]() |
준결승 | 4위 | 7 | 3 | 3 | 1 | 8 | 6 | 12 | 6 | 3 | 3 | 0 | 10 | 0 | 12 |
![]() |
예선 탈락 | 10 | 5 | 3 | 2 | 26 | 9 | 18 | ||||||||
![]() |
16강 | 9위 | 4 | 2 | 1 | 1 | 7 | 4 | 7 | 8 | 6 | 1 | 1 | 15 | 2 | 19 |
![]() ![]() |
8강 | 6위 | 5 | 2 | 2 | 1 | 6 | 3 | 8 | 8 | 5 | 2 | 1 | 16 | 6 | 17 |
![]() |
8강 | 7위 | 5 | 3 | 2 | 0 | 6 | 2 | 11 | 10 | 8 | 1 | 1 | 17 | 5 | 25 |
![]() |
16강 | 13위 | 4 | 1 | 2 | 1 | 3 | 5 | 5 | 10 | 9 | 0 | 1 | 34 | 6 | 27 |
![]() |
조별리그 | 26위 | 3 | 0 | 1 | 2 | 2 | 4 | 1 | 10 | 6 | 4 | 0 | 31 | 4 | 22 |
![]() |
준결승 | 4위 | 7 | 3 | 1 | 3 | 12 | 8 | 10 | 10 | 8 | 2 | 0 | 18 | 3 | 26 |
합계 | 15회 진출(15/21) | 우승(1회) | 69 | 29 | 21 | 19 | 91 | 64 | 108 | 112 | 76 | 25 | 11 | 275 | 67 | 253 |
순위 |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6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14위 (유럽 7위)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UEFA 유로 대회 본선 | UEFA 유로 대회 예선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불참 | 불참 | ||||||||||||||
![]() |
예선 탈락 | 2 | 0 | 1 | 1 | 3 | 6 | 1 | ||||||||
![]() |
준결승 | 3위 | 2 | 1 | 0 | 1 | 2 | 1 | 3 | 8 | 6 | 1 | 1 | 18 | 6 | 19 |
![]() |
예선 탈락 | 8 | 5 | 2 | 1 | 16 | 6 | 17 | ||||||||
![]() |
6 | 3 | 2 | 1 | 11 | 3 | 11 | |||||||||
![]() |
조별리그 | 6위 | 3 | 1 | 1 | 1 | 3 | 3 | 4 | 8 | 7 | 1 | 0 | 22 | 5 | 22 |
![]() |
예선 탈락 | 8 | 5 | 2 | 1 | 23 | 3 | 17 | ||||||||
![]() |
조별리그 | 7위 | 3 | 0 | 0 | 3 | 2 | 7 | 0 | 6 | 5 | 1 | 0 | 19 | 1 | 16 |
![]() |
조별리그 | 7위 | 3 | 0 | 2 | 1 | 1 | 2 | 2 | 6 | 3 | 3 | 0 | 7 | 3 | 12 |
![]() |
준결승 | 3위 | 5 | 2 | 3 | 0 | 8 | 3 | 9 | 자동 참가(개최국) | ||||||
![]() ![]() |
조별리그 | 11위 | 3 | 1 | 0 | 2 | 5 | 6 | 3 | 10 | 4 | 4 | 2 | 16 | 5 | 16 |
![]() |
8강 | 5위 | 4 | 2 | 1 | 1 | 10 | 6 | 7 | 8 | 6 | 2 | 0 | 14 | 5 | 20 |
![]() ![]() |
예선 탈락 | 12 | 7 | 2 | 3 | 24 | 7 | 23 | ||||||||
![]() ![]() |
8강 | 5위 | 4 | 2 | 2 | 0 | 5 | 3 | 8 | 8 | 5 | 3 | 0 | 17 | 5 | 18 |
![]() |
16강 | 12위 | 4 | 1 | 2 | 1 | 4 | 4 | 5 | 10 | 10 | 0 | 0 | 31 | 3 | 30 |
![]() |
준우승 | 2위 | 7 | 5 | 2 | 0 | 11 | 2 | 17 | 8 | 7 | 0 | 1 | 37 | 6 | 21 |
합계 | 10회 진출(10/16) | 준우승(1회) | 38 | 15 | 13 | 10 | 51 | 37 | 58 | 108 | 73 | 24 | 11 | 258 | 64 | 243 |
순위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순위 : 7위 | 유로 예선 승점 순위 : 6위 |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은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로 각각 쪼개져서 나올 수 없으며 연합국 단일 팀 출전만 허용한다. 모든 올림픽 대회는 영국 단일팀으로 출전했으며, 따라서 자세한 내용은 영국 축구 국가대표팀 참조.
관련 항목[편집]
각주[편집]
- ↑ “Chris Powell joins England coaching team as part of BAME programme”. 《BBC Sport》. 2019년 9월 2일. 2019년 9월 2일에 확인함.
- ↑ Graeme Jones to Join England coaching staff for Euro 2020 England. Retrieved 25 May 2021
- ↑ “Mark Williams”. 《Linkedin》. 2021년 2월 24일에 확인함.
- ↑ “Bryce Cavanagh appointed”. 《The FA》. 2016년 11월 4일. 2020년 8월 2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영어) 잉글랜드 축구 협회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