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아르메니아 | ||||
---|---|---|---|---|
별칭 | Havaqakan (집단의 팀) | |||
연맹 | 아르메니아 축구 연맹 | |||
대륙 | 유럽 축구 연맹 | |||
감독 | ![]() | |||
주장 | 헨리크 미키타리안 | |||
최다 출전자 | 사르키스 홉세피안 (132) | |||
최다 득점자 | 헨리크 미키타리안 (30) | |||
홈 구장 | 바즈겐 사르키샨 공화국 경기장 | |||
FIFA 코드 | ARM | |||
| ||||
FIFA 랭킹 | ||||
현재 |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 |||
최고 순위 | 41위 (2012년 2월) | |||
최저 순위 | 159위 (1994년 6월)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 (아르메니아 예레반; 1992년 10월 12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 (아르메니아 예레반; 2010년 10월 12일, UEFA 유로 2012 예선) ![]() ![]() (슬로바키아 질리나; 2011년 9월 6일, UEFA 유로 2012 예선)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 (칠레 비냐델마르; 1997년 1월 4일) |
아르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아르메니아어: Հայաստանի ֆուտբոլի ազգային հավաքական)은 아르메니아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1992년 수도 예레반에 아르메니아 축구 연맹을 설립했고 같은 해 10월 12일 몰도바와의 친선 경기를 통해 국제 경기 데뷔전을 치렀으며 현재 바즈겐 사르키샨 공화국 경기장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웃나라인 아제르바이잔과는 대립 관계로 인해 월드컵 지역 예선이나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 등의 국제 대회 예선에서는 서로 다른 조에 편성되어 경기를 펼친다.
개요[편집]
소련의 일원이었을 당시 FIFA 월드컵과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기도 했지만 소련 해체 이후에는 월드컵과 유로 대회 본선에는 단 한번도 오른 적이 없는 유럽의 최약체팀이다. 그러나 간간이 메이저 대회 예선에서 쟁쟁한 강팀들을 상대로 선전하며 상대팀들의 월드컵 및 유로 대회 본선행을 좌절시키는 이른바 '고춧가루 부대' 역할도 서슴지 않는 절대 무시할 수 없는 팀이다.
국제 대회 경력[편집]
FIFA 월드컵 예선[편집]
2014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B조 10경기에서 4승 1무 5패를 기록하면서 역대 월드컵 지역 예선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는데 이 과정에서 체코, 덴마크 등의 강호들을 상대로 1승씩 거두는 등 만만치 않은 저력을 보여줬다. 그러나 2018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E조 10경기에서 2승 1무 7패라는 저조한 성적을 기록하며 2014년 지역 예선에서의 저력을 보여주지는 못했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편집]
UEFA 유로 2012 예선 B조 10경기에서 5승 2무 3패로 조 3위를 기록하면서 역대 메이저 대회 예선을 통틀어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이 과정에서 2010년 FIFA 월드컵 16강 진출팀인 슬로바키아에게 2연승을 거두면서 슬로바키아의 사상 첫 유로 대회 본선행을 가로막았다. 물론 UEFA 유로 2016 예선에서는 8경기에서 단 1승도 거두지 못한 채 2무 6패라는 처참한 성적을 거두었고 UEFA 유로 2020 예선 J조에서는 이탈리아와의 최종전에서 1-9로 대패를 당하기도 했으나 3승 1무 6패를 기록한 과정에서 같은 최약체인 리히텐슈타인을 비롯해 UEFA 유로 2004 우승팀인 그리스, 2014년 FIFA 월드컵 본선 출전국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상대로 각각 1번씩 승리를 거두었다.
UEFA 네이션스리그[편집]
2018-19년 리그 D[편집]
유럽 네이션스리그 첫 시즌 리그 D에 편입된 아르메니아는 4조에서 북마케도니아, 지브롤터, 리히텐슈타인을 상대로 6경기에서 5골을 터뜨린 유라 모브시샨의 활약으로 3승 1무 2패·조 2위를 기록하며 북마케도니아와 함께 차기 시즌 리그 C 승격을 확정지었다.
FIFA 월드컵 (본선)[편집]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소련으로 참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없음[1] | ||||||||
![]() |
예선 탈락 | ||||||||
![]() ![]() | |||||||||
![]() | |||||||||
![]() | |||||||||
![]() | |||||||||
![]() | |||||||||
합계 |
FIFA 월드컵 (예선)[편집]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
소련으로 참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없음[2] | ||||||||
![]() |
10 | 1 | 5 | 4 | 8 | 17 | 8 | ||
![]() ![]() |
10 | 0 | 5 | 5 | 7 | 19 | 5 | ||
![]() |
12 | 2 | 1 | 9 | 9 | 25 | 7 | ||
![]() |
10 | 1 | 1 | 8 | 6 | 22 | 4 | ||
![]() |
10 | 4 | 1 | 5 | 12 | 13 | 13 | ||
![]() |
10 | 2 | 1 | 7 | 10 | 26 | 7 | ||
합계 | 62 | 10 | 14 | 38 | 52 | 122 | 44 | ||
순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129위 (유럽 44위)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편집]
UEFA 유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소련으로 참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 1 | 2 | 7 | 5 | 17 | 5 | ||
![]() ![]() |
10 | 2 | 2 | 6 | 8 | 15 | 8 | ||
![]() |
8 | 2 | 1 | 5 | 7 | 16 | 7 | ||
![]() ![]() |
12 | 2 | 3 | 7 | 4 | 13 | 9 | ||
![]() ![]() |
10 | 5 | 2 | 3 | 22 | 10 | 17 | ||
![]() |
8 | 0 | 2 | 6 | 5 | 14 | 2 | ||
![]() |
10 | 3 | 1 | 6 | 14 | 25 | 10 | ||
합계 | 68 | 15 | 13 | 40 | 65 | 110 | 58 | ||
순위 | 유로 예선 승점 순위 : 43위 |
현재 선수 명단[편집]
- 아래 선수 명단은 2016 유로 예선 기준
|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