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21년 UEFA 네이션스리그 C
![]() | 이 문서는 최근 사건을 다루며, 지속적인 갱신이 필요합니다. |
2020-21년 UEFA 네이션스리그 C | |
---|---|
개최기간 | 조별 예선: 2020년 9월 3일 ~ 11월 18일 강등 플레이오프: 2022년 3월 24일 ~ 3월 29일 |
참가국 | 16개국 |
결과 | |
승격 | ![]() ![]() ![]() ![]() |
강등 | ![]() ![]() |
최다 득점 | ![]() |
통계 | |
총 득점 | ?골 |
경기당 평균 득점 | ? |
총 관중 | ?명 |
평균 관중 | ? |
« 2018-19 2022-23 » |
2020-21년 UEFA 네이션스리그 C(2020-21 UEFA Nations League C)는 2020-21년 UEFA 네이션스리그의 3부 리그이다. 2020년 9월 3일부터 11월 17일까지 조별 예선 경기가 열렸으며, 2022년 3월 24일부터 3월 29일까지 결선 토너먼트 경기가 열릴 예정이다.
진행 방식[편집]
유럽 축구 연맹에 가입한 55개국을 2018-19년 UEFA 네이션스리그 최종 순위에 따라 4개 리그(리그 A, 리그 B, 리그 C, 리그 D)로 나누어 편성한다. 리그 C는 33위 ~ 48위에 해당하는 팀이 참가한다.
리그 C의 조별 예선은 16개 팀을 4개 그룹으로 나누어 편성하며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된다. 각 조 1위 팀은 2022-23년 UEFA 네이션스리그 B로 승격된다. 각 조 4위 팀은 홈 앤 어웨이 방식을 띤 강등 플레이오프로 진출하는데 패배한 팀은 2022-23년 UEFA 네이션스리그 D로 강등되고 승리한 팀은 2022-23년 UEFA 네이션스리그 C에 잔류한다.
리그 C의 조별 예선 각 조 1위팀은 리그B로 승격되며 202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서 성적에 상관없이 플레이오프에 무조건 진출할 수 있는 티켓 2장이 존재하는데 이 티켓 랭킹에서 네이션스 리그의 리그B 승격팀은 승점으로 등수를 정해 9위부터 12위까지 결정된다. 이 티켓은 상위 랭킹의 팀이 202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서 조 1위 또는 조 2위를 할 경우 하위 티켓 랭킹의 팀에게 넘겨주게 되어 있다.
참가 팀[편집]
팀의 변경[편집]
다음 팀들은 2018-19년 UEFA 네이션스리그 D에서 각 조 1위를 차지하여 2020-21년 UEFA 네이션스리그 C로 승격된 팀이다.
다음 팀들은 UEFA 네이션스리그 진행 방식이 바뀌면서 2018-19년 UEFA 네이션스리그 D에서 각 조 2위를 차지하여 2020-21년 UEFA 네이션스리그 C로 승격된 팀, 각 조 3위를 차지한 팀들 가운데 성적이 가장 높아서 2020-21년 UEFA 네이션스리그 C로 승격된 팀이다.
다음 팀들은 2018-19년 UEFA 네이션스리그 C에서 각 조 1위를 차지하여 2020-21년 UEFA 네이션스리그 B로 승격된 팀이다.
다음 팀들은 UEFA 네이션스리그 진행 방식이 바뀌면서 2018-19년 UEFA 네이션스리그 C에서 각 조 2위를 차지하여 2020-21년 UEFA 네이션스리그 B로 승격된 팀이다.
다음 팀들은 2018-19년 UEFA 네이션스리그 C에서 각 조 3위를 차지한 팀들 가운데 성적이 가장 낮아서 2020-21년 UEFA 네이션스리그 D로 강등될 예정이던 팀, 각 조 4위를 차지하여 리그 D로 강등될 예정이었지만 UEFA 네이션스리그 진행 방식이 바뀌면서 강등이 취소된 팀이다.
다음 팀들은 2018-19년 UEFA 네이션스리그 B에서 각 조 3위를 차지하여 리그 C로 강등될 예정이었지만 UEFA 네이션스리그 진행 방식이 바뀌면서 강등이 취소된 팀이다.
시드 배정[편집]
2020-21년 UEFA 네이션스리그에 참가한 팀들은 2018-19년 UEFA 네이션스리그 최종 순위에 따라 배정되었으며 UEFA 네이션스리그 진행 방식이 수정되면서 시드 배정 또한 수정되었다. 2020-21년 UEFA 네이션스리그 조 추첨은 2020년 3월 3일에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진행되었다.
|
|
|
|
조별 예선[편집]
UEFA 집행위원회는 2020년 6월 17일에 열린 회의에서 2020년 10월과 11월에 UEFA 유로 2020 예선 플레이오프 경기를 진행할 수 있도록 UEFA 네이션스리그 일정을 조정하기로 결정했다.[1] UEFA는 2020년 6월 26일에 UEFA 네이션스리그의 2020년 10월~11월 일정을 새로 발표했다.[2][3]
1조[편집]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PQ | ![]() |
![]() |
![]() |
![]() | |
---|---|---|---|---|---|---|---|---|---|---|---|---|---|---|---|
1 | ![]() |
6 | 4 | 1 | 1 | 10 | 2 | +8 | 13 | 리그 B로 승격 | — | 1-2 | 2-0 | 4-0 | |
2 | ![]() |
6 | 3 | 1 | 2 | 7 | 5 | +2 | 10 | 0-1 | — | 0-0 | 2-0 | ||
3 | ![]() |
6 | 1 | 3 | 2 | 2 | 4 | −2 | 6 | 0-0 | 1-2 | — | 0-0 | ||
4 | ![]() |
6 | 1 | 1 | 4 | 2 | 10 | −8 | 4 | 강등 플레이오프에 진출 | 0-2 | 2-1 | 0-1 | — |
(P) 승격; (Q) 표시된 자격으로 예선 통과.
2020년 9월 5일 20:00 UTC+4 | ||||||
아제르바이잔 ![]() |
1 – 2 | ![]() |
바쿠 올림픽 경기장, 바쿠 관중수: 0명[4] 심판: 크리스 캐버노 ![]() | |||
셰이다예프 ![]() |
리포트 | 크리뵤추크 ![]() 호드리게스 ![]() | ||||
2020년 9월 5일 19:00 UTC+3 | ||||||
키프로스 ![]() |
0 – 2 | ![]() |
GSP 스타디움, 니코시아 관중수: 0명[4] 심판: 하름 오스메르스 ![]() | |||
리포트 | 요베티치 ![]() | |||||
2020년 9월 8일 21:45 UTC+3 | ||||||
키프로스 ![]() |
0 – 1 | ![]() |
GSP 스타디움, 니코시아 관중수: 0명[4] 심판: 필리프 글로바 ![]() | |||
리포트 | 메드베데프 ![]() | |||||
2020년 9월 8일 20:45 UTC+2 | ||||||
룩셈부르크 ![]() |
0 – 1 | ![]() |
스타드 요지 바르텔, 룩셈부르크시 관중수: 0명[4] 심판: 로런스 피서르 ![]() | |||
리포트 | 베치라이 ![]() | |||||
2020년 10월 10일 15:00 UTC+2 | ||||||
룩셈부르크 ![]() |
2 – 0 | ![]() |
스타드 요지 바르텔, 룩셈부르크시 관중수: 1,334명 심판: 돈 로버트슨 ![]() | |||
시나니 ![]() |
리포트 | |||||
2020년 10월 10일 15:00 UTC+2 | ||||||
몬테네그로 ![]() |
2 – 0 | ![]() |
포드고리차 시립경기장, 포드고리차 관중수: 0명[5] 심판: 리카르도 데 부르고스 벵고에체아 ![]() | |||
요베티치 ![]() 이바노비치 ![]() |
리포트 | |||||
2020년 10월 13일 18:00 UTC+2 | ||||||
아제르바이잔 ![]() |
0 – 0 | ![]() |
엘바산 아레나, 엘바산 (알바니아)[6] 관중수: 0명[7] 심판: 프란 요비치 ![]() | |||
리포트 | ||||||
2020년 10월 13일 20:45 UTC+2 | ||||||
몬테네그로 ![]() |
1 – 2 | ![]() |
포드고리차 시립경기장, 포드고리차 관중수: 0명[8] 심판: 자샤 슈테게만 ![]() | |||
이바노비치 ![]() |
리포트 | 무라토비치 ![]() 시나니 ![]() | ||||
2020년 11월 14일 18:00 UTC+1 | ||||||
아제르바이잔 ![]() |
0 – 0 | ![]() |
스타디온 이반 랄략-이비치, 자프레시치 (크로아티아)[9] 관중수: 0명[4] 심판: 세르게이 세르게예비치 이바노프 ![]() | |||
리포트 | ||||||
2020년 11월 14일 19:00 UTC+2 | ||||||
키프로스 ![]() |
2 – 1 | ![]() |
GSP 스타디움, 니코시아 관중수: 0명[4] 심판: 마티아스 예스트라니우스 ![]() | |||
카스타노스 ![]() |
리포트 | 쿠술로스 ![]() | ||||
2020년 11월 17일 20:45 UTC+1 | ||||||
룩셈부르크 ![]() |
0 – 0 | ![]() |
스타드 요지 바르텔, 룩셈부르크시 관중수: 0명[4] 심판: 펠릭스 츠바이어 ![]() | |||
리포트 | ||||||
2020년 11월 17일 20:45 UTC+1 | ||||||
몬테네그로 ![]() |
4 – 0 | ![]() |
포드고리차 시립경기장, 포드고리차 관중수: 0명[4] 심판: 에이탄 셰메울레비치 ![]() | |||
요베티치 ![]() 볼레비치 ![]() 무고샤 ![]() |
리포트 | |||||
2조[편집]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PQ | ![]() |
![]() |
![]() |
![]() | |
---|---|---|---|---|---|---|---|---|---|---|---|---|---|---|---|
1 | ![]() |
6 | 3 | 2 | 1 | 9 | 6 | +3 | 11 | 리그 B로 승격 | — | 1-0 | 2-2 | 2-0 | |
2 | ![]() |
6 | 2 | 3 | 1 | 9 | 8 | +1 | 9 | 2-1 | — | 1-1 | 2-1 | ||
3 | ![]() |
6 | 1 | 4 | 1 | 6 | 6 | 0 | 7 | 1-2 | 1-1 | — | 0-0 | ||
4 | ![]() |
6 | 0 | 3 | 3 | 5 | 9 | −4 | 3 | 강등 플레이오프에 진출 | 1-1 | 3-3 | 0-1 | — |
(P) 승격; (Q) 표시된 자격으로 예선 통과.
2020년 9월 5일 15:00 UTC+2 | ||||||
북마케도니아 ![]() |
2 – 1 | ![]() |
토셰 프로에스키 아레나, 스코페 관중수: 0명[4] 심판: 이르판 펠토 ![]() | |||
알리오스키 ![]() 네스토로프스키 ![]() |
리포트 | 바르세갼 ![]() | ||||
2020년 9월 5일 19:00 UTC+3 | ||||||
에스토니아 ![]() |
0 – 1 | ![]() |
A. 레 코크 아레나, 탈린 관중수: 0명[4] 심판: 도나타스 룸샤스 ![]() | |||
리포트 | 카차라바 ![]() | |||||
2020년 9월 8일 20:00 UTC+4 | ||||||
아르메니아 ![]() |
2 – 0 | ![]() |
바즈겐 사르키샨 공화국 경기장, 예레반 관중수: 0명[4] 심판: 데이비드 쿠트 ![]() | |||
카라페탼 ![]() 베이마르 ![]() |
리포트 | |||||
2020년 9월 8일 20:00 UTC+4 | ||||||
조지아 ![]() |
1 – 1 | ![]() |
보리스 파이차제 경기장, 트빌리시 관중수: 0명[4] 심판: 페테르 키에르스고르아네르센 ![]() | |||
오크리아슈빌리 ![]() |
리포트 | 리스토프스키 ![]() | ||||
2020년 10월 11일 18:00 UTC+2 | ||||||
아르메니아 ![]() |
2 – 2 | ![]() |
티히 시립경기장, 티히 (폴란드)[10] 관중수: 0명[11] 심판: 이반 베베크 ![]() | |||
바이라먄 ![]() 므히타랸 ![]() |
리포트 | 카차라바 ![]() 오크리아슈빌리 ![]() | ||||
2020년 10월 11일 19:00 UTC+3 | ||||||
에스토니아 ![]() |
3 – 3 | ![]() |
A. 레 코크 아레나, 탈린 관중수: 908명 심판: 모하메드 알하킴 ![]() | |||
사피넨 ![]() 리바크 ![]() |
리포트 | 쿠스크 ![]() 판데프 ![]() 자이코프 ![]() | ||||
2020년 10월 14일 21:45 UTC+3 | ||||||
에스토니아 ![]() |
1 – 1 | ![]() |
A. 레 코크 아레나, 탈린 관중수: 1007명 심판: 루이스 고디뉴 ![]() | |||
사피넨 ![]() |
리포트 | 홉한니샨 ![]() | ||||
2020년 10월 14일 20:45 UTC+2 | ||||||
북마케도니아 ![]() |
1 – 1 | ![]() |
토셰 프로에스키 아레나, 스코페 관중수: 0명[4] 심판: 바르토시 프란코프스키 ![]() | |||
알리오스키 ![]() |
리포트 | 크바라츠헬리아 ![]() | ||||
2020년 11월 15일 15:00 UTC+1 | ||||||
북마케도니아 ![]() |
2 – 1 | ![]() |
토셰 프로에스키 아레나, 스코페 관중수: 0명[4] 심판: 마리우스 아브람 ![]() | |||
트리치코프스키 ![]() 스토야노프스키 ![]() |
리포트 | 사피넨 ![]() | ||||
2020년 11월 15일 21:00 UTC+4 | ||||||
조지아 ![]() |
1 – 2 | ![]() |
보리스 파이차제 경기장, 트빌리시 관중수: 0명[4] 심판: 마르코 구이다 ![]() | |||
카자이슈빌리 ![]() |
리포트 | 가자랸 ![]() 아다먄 ![]() | ||||
2020년 11월 18일 19:00 UTC+2 | ||||||
아르메니아 ![]() |
1 – 0 | ![]() |
GSP 스타디움, 니코시아 (키프로스)[12] 관중수: 0명[4] 심판: 보비 매든 ![]() | |||
함바르주먄 ![]() |
리포트 | |||||
2020년 11월 18일 21:00 UTC+4 | ||||||
조지아 ![]() |
0 – 0 | ![]() |
보리스 파이차제 경기장, 트빌리시 관중수: 0명[4] 심판: 이르판 펠토 ![]() | |||
리포트 | ||||||
3조[편집]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PQ | ![]() |
![]() |
![]() |
![]() | |
---|---|---|---|---|---|---|---|---|---|---|---|---|---|---|---|
1 | ![]() |
6 | 4 | 2 | 0 | 8 | 1 | +7 | 14 | 리그 B로 승격 | — | 0-0 | 2-1 | 1-0 | |
2 | ![]() |
6 | 3 | 3 | 0 | 6 | 1 | +5 | 12 | 0-0 | — | 0-0 | 2-0 | ||
3 | ![]() |
6 | 1 | 2 | 3 | 4 | 6 | −2 | 5 | 0-1 | 1-2 | — | 1-0 | ||
4 | ![]() |
6 | 0 | 1 | 5 | 1 | 11 | −10 | 1 | 강등 플레이오프에 진출 | 0-4 | 0-2 | 1-1 | — |
(P) 승격; (Q) 표시된 자격으로 예선 통과.
2020년 9월 3일 20:45 UTC+2 | ||||||
몰도바 ![]() |
1 – 1 | ![]() |
스타디오 엔니오 타르디니, 파르마 (이탈리아)[13] 관중수: 0명[4] 심판: 카이 에리크 스텐 ![]() | |||
니콜라에스쿠 ![]() |
리포트 | 콜롤리 ![]() | ||||
2020년 9월 3일 20:45 UTC+2 | ||||||
슬로베니아 ![]() |
0 – 0 | ![]() |
스타디온 스토지체, 류블랴나 관중수: 0명[4] 심판: 보비 매든 ![]() | |||
리포트 | ||||||
2020년 9월 6일 18:00 UTC+2 | ||||||
슬로베니아 ![]() |
1 – 0 | ![]() |
스타디온 스토지체, 류블랴나 관중수: 0명[4] 심판: 제롬 브리사르 ![]() | |||
보하르 ![]() |
리포트 | |||||
2020년 9월 6일 20:45 UTC+2 | ||||||
코소보 ![]() |
1 – 2 | ![]() |
파딜 보크리 경기장, 프리슈티나 관중수: 0명[4] 심판: 파벨 크랄로베츠 ![]() | |||
베리샤 ![]() |
리포트 | 림니오스 ![]() 시오바스 ![]() | ||||
2020년 10월 11일 21:45 UTC+3 | ||||||
그리스 ![]() |
2 – 0 | ![]() |
아테네 올림픽 스타디움, 아테네 관중수: 0명[14] 심판: 데니스 히흘러르 ![]() | |||
바카세타스 ![]() 만탈로스 ![]() |
리포트 | |||||
2020년 10월 11일 20:45 UTC+2 | ||||||
코소보 ![]() |
0 – 1 | ![]() |
파딜 보크리 경기장, 프리슈티나 관중수: 0명[15] 심판: 앤드루 매들리 ![]() | |||
리포트 | 부치키치 ![]() | |||||
2020년 10월 14일 21:45 UTC+3 | ||||||
그리스 ![]() |
0 – 0 | ![]() |
아테네 올림픽 스타디움, 아테네 관중수: 0명[4] 심판: 로이 라인슈라이버 ![]() | |||
리포트 | ||||||
2020년 10월 14일 21:45 UTC+3 | ||||||
몰도바 ![]() |
0 – 4 | ![]() |
스타디오눌 짐브루, 키시너우 관중수: 0명[4] 심판: 주앙 피녜이루 ![]() | |||
리포트 | 로브리치 ![]() 부치키치 ![]() | |||||
2020년 11월 15일 21:45 UTC+2 | ||||||
몰도바 ![]() |
0 – 2 | ![]() |
스타디오눌 짐브루, 키시너우 관중수: 0명[4] 심판: 프란 요비치 ![]() | |||
리포트 | 포르투니스 ![]() 바카세타스 ![]() | |||||
2020년 11월 15일 20:45 UTC+1 | ||||||
슬로베니아 ![]() |
2 – 1 | ![]() |
스타디온 스토지체, 류블랴나 관중수: 0명[4] 심판: 바르토시 프란코프스키 ![]() | |||
쿠르티치 ![]() 일리치치 ![]() |
리포트 | 무리치 ![]() | ||||
2020년 11월 18일 21:45 UTC+2 | ||||||
그리스 ![]() |
0 – 0 | ![]() |
게오르요스 카마라스 스타디움, 아테네 관중수: 0명[4] 심판: 카를로스 델 세로 그란데 ![]() | |||
리포트 | ||||||
2020년 11월 18일 20:45 UTC+1 | ||||||
코소보 ![]() |
1 – 0 | ![]() |
파딜 보크리 경기장, 프리슈티나 관중수: 0명[4] 심판: 로메르 타라예브 ![]() | |||
카스트라티 ![]() |
리포트 | |||||
4조[편집]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PQ | ![]() |
![]() |
![]() |
![]() | |
---|---|---|---|---|---|---|---|---|---|---|---|---|---|---|---|
1 | ![]() |
6 | 3 | 2 | 1 | 8 | 4 | +4 | 11 | 리그 B로 승격 | — | 3-2 | 0-1 | 3-1 | |
2 | ![]() |
6 | 3 | 1 | 2 | 10 | 8 | +2 | 10 | 0-2 | — | 2-0 | 2-0 | ||
3 | ![]() |
6 | 2 | 2 | 2 | 5 | 7 | −2 | 8 | 0-0 | 2-2 | — | 0-2 | ||
4 | ![]() |
6 | 1 | 1 | 4 | 5 | 9 | −4 | 4 | 강등 플레이오프에 진출 | 0-0 | 1-2 | 1-2 | — |
(P) 승격; (Q) 표시된 자격으로 예선 통과.
2020년 9월 4일 19:00 UTC+3 | ||||||
리투아니아 ![]() |
0 – 2 | ![]() |
LFF 경기장, 빌뉴스 관중수: 0명[4] 심판: 라데 오브레노비치 ![]() | |||
리포트 | 자이누트디노프 ![]() 쿠아트 ![]() | |||||
2020년 9월 4일 21:45 UTC+3 | ||||||
벨라루스 ![]() |
0 – 2 | ![]() |
디나모 경기장, 민스크 관중수: 0명[4] 심판: 크리스토페르 칼손 ![]() | |||
리포트 | 치칼레시 ![]() 바레 ![]() | |||||
2020년 9월 7일 20:00 UTC+6 | ||||||
카자흐스탄 ![]() |
1 – 2 | ![]() |
알마티 중앙경기장, 알마티 관중수: 0명[4] 심판: 기오르기 크루아슈빌리 ![]() | |||
아임베토프 ![]() |
리포트 | 바르다초프 ![]() 리사코비치 ![]() | ||||
2020년 9월 7일 20:45 UTC+2 | ||||||
알바니아 ![]() |
0 – 1 | ![]() |
아레나 콤버타레, 티라나 관중수: 0명[4] 심판: 세르히 보이코 ![]() | |||
리포트 | 카즐라우스카스 ![]() | |||||
2020년 10월 11일 19:00 UTC+6 | ||||||
카자흐스탄 ![]() |
0 – 0 | ![]() |
알마티 중앙경기장, 알마티 관중수: 0명[16] 심판: 두미트루 문테안 ![]() | |||
리포트 | ||||||
2020년 10월 11일 19:00 UTC+3 | ||||||
리투아니아 ![]() |
2 – 2 | ![]() |
LFF 경기장, 빌뉴스 관중수: 963명 심판: 율리안 바인베르거 ![]() | |||
노비코바스 ![]() 라우크제미스 ![]() |
리포트 | 리사코비치 ![]() 사치우카 ![]() | ||||
2020년 10월 14일 19:00 UTC+3 | ||||||
리투아니아 ![]() |
0 – 0 | ![]() |
LFF 경기장, 빌뉴스 관중수: 696명 심판: 카림 아베드 ![]() | |||
리포트 | ||||||
2020년 10월 14일 21:45 UTC+3 | ||||||
벨라루스 ![]() |
2 – 0 | ![]() |
디나모 경기장, 민스크 관중수: 2074명 심판: 알렉산다르 스타브레프 ![]() | |||
야블론스키 ![]() 유젭추크 ![]() |
리포트 | |||||
2020년 11월 15일 18:00 UTC+1 | ||||||
알바니아 ![]() |
3 – 1 | ![]() |
아레나 콤버타레, 티라나 관중수: 0명[4] 심판: 사비에르 에스트라다 페르난데스 ![]() | |||
치칼레시 ![]() 이스마일리 ![]() 마나이 ![]() |
리포트 | 아비켄 ![]() | ||||
2020년 11월 15일 20:00 UTC+3 | ||||||
벨라루스 ![]() |
2 – 0 | ![]() |
디나모 경기장, 민스크 관중수: 1085명 심판: 크리스 캐버노 ![]() | |||
야블론스키 ![]() 에봉 ![]() |
리포트 | |||||
2020년 11월 18일 16:00 UTC+1 | ||||||
알바니아 ![]() |
3 – 2 | ![]() |
아레나 콤버타레, 티라나 관중수: 0명[4] 심판: 라두 페트레스쿠 ![]() | |||
치칼레시 ![]() 마나이 ![]() |
리포트 | 스카비시 ![]() 에봉 ![]() | ||||
2020년 11월 18일 21:00 UTC+6 | ||||||
카자흐스탄 ![]() |
1 – 2 | ![]() |
알마티 중앙경기장, 알마티 관중수: ?명 심판: 휘세인 괴체크 ![]() | |||
아임베토프 ![]() |
리포트 | 보로뵤바스 ![]() 노비코바스 ![]() | ||||
강등 플레이아웃[편집]
2020-21년 UEFA 네이션스리그 C에서 각 조 4위를 차지한 4개 팀들은 홈 앤 어웨이 방식을 띤 강등 플레이아웃을 치른다. 플레이아웃에서 패배한 2개 팀은 2022-23년 UEFA 네이션스리그 D로 강등되고 승리한 2개 팀은 2022-23년 UEFA 네이션스리그 C에 잔류한다. 단, 강등 플레이아웃에 참가할 예정이던 1개 이상의 팀이 202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경우에는 강등 플레이아웃은 취소되고 리그 C에 참가한 팀들 가운데 최종 순위에서 47위, 48위를 차지한 팀이 자동으로 강등된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몰도바 ![]() |
2-2 (승부차기 4-5) |
![]() |
1-2 | 1-0 (연장) |
에스토니아 ![]() |
0-2 | ![]() |
0-0 | 0-2 |
경기[편집]
2022년 3월 24일 19:00 UTC+2 | ||||||
몰도바 ![]() |
1 – 2 | ![]() |
스타디오눌 짐브루, 키시너우 관중수: 5,387명 심판: 아나스타시오스 시디로풀로스 ![]() | |||
니콜라에스쿠 ![]() |
말리 ![]() 포스마크 ![]() | |||||
2022년 3월 29일 20:00 UTC+6 | ||||||
카자흐스탄 ![]() |
0 - 1 (연장전) |
![]() |
아스타나 아레나, 누르술탄 관중수: 12,582명 심판: 이반 크루쥴리악 ![]() | |||
![]() | ||||||
승부차기 | ||||||
아비켄 ![]() 베이세베코프 ![]() 도스마감베토프 ![]() 자이누트디노프 ![]() 작실리코프 ![]() 주코프 ![]() |
5 - 4 | ![]() ![]() ![]() ![]() ![]() ![]() |
||||
합산 스코어 총 2-2 기록. 카자흐스탄이 승부차기에서 5-4 스코어로 이겨서 리그 C에 잔류하였다. 몰도바는 리그 D로 강등되었다.
2022년 3월 24일 19:00 UTC+2 | ||||||
에스토니아 ![]() |
0 – 0 | ![]() |
A. 레 코크 아레나, 탈린 관중수: 5,366명 심판: 윌리엄 콜럼 ![]() | |||
2022년 3월 29일 19:00 UTC+3 | ||||||
키프로스 ![]() |
2 – 0 | ![]() |
AEK 아레나 - 요르요스 카라파타키스, 라르나카 관중수: ?명 심판: ? ![]() | |||
치오니스 ![]() 소티리우 ![]() |
||||||
키프로스가 합산 스코어 2-0으로 승리하여 리그 C에 잔류하였다. 에스토니아는 리그 D로 강등되었다.
최종 순위[편집]
2020-21년 UEFA 네이션스리그 C에 참가한 팀들의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 조별 예선에서 각 조 1위를 기록한 팀: 리그 C 33위 ~ 36위 팀
- 조별 예선에서 각 조 2위를 기록한 팀: 리그 C 37위 ~ 40위 팀
- 조별 예선에서 각 조 3위를 기록한 팀: 리그 C 41위 ~ 44위 팀
- 조별 예선에서 각 조 4위를 기록한 팀: 리그 C 45위 ~ 48위 팀
랭킹 | 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33 | C1 | ![]() |
6 | 4 | 1 | 1 | 10 | 2 | +8 | 13 |
34 | C3 | ![]() |
6 | 4 | 2 | 0 | 8 | 1 | +7 | 14 |
35 | C4 | ![]() |
6 | 3 | 2 | 1 | 8 | 4 | +4 | 11 |
36 | C2 | ![]() |
6 | 3 | 2 | 1 | 9 | 6 | +3 | 11 |
37 | C3 | ![]() |
6 | 3 | 3 | 0 | 6 | 1 | +5 | 12 |
38 | C4 | ![]() |
6 | 3 | 1 | 2 | 10 | 8 | +2 | 10 |
39 | C1 | ![]() |
6 | 3 | 1 | 2 | 7 | 5 | +2 | 10 |
40 | C2 | ![]() |
6 | 2 | 3 | 1 | 9 | 8 | +1 | 9 |
41 | C4 | ![]() |
6 | 2 | 2 | 2 | 5 | 7 | −2 | 8 |
42 | C2 | ![]() |
6 | 1 | 4 | 1 | 6 | 6 | 0 | 7 |
43 | C1 | ![]() |
6 | 1 | 3 | 2 | 2 | 4 | −2 | 6 |
44 | C3 | ![]() |
6 | 1 | 2 | 3 | 4 | 6 | −2 | 5 |
45 | C4 | ![]() |
6 | 1 | 1 | 4 | 5 | 9 | −4 | 4 |
46 | C1 | ![]() |
6 | 1 | 1 | 4 | 2 | 10 | −8 | 4 |
47 | C2 | ![]() |
6 | 0 | 3 | 3 | 5 | 9 | −4 | 3 |
48 | C3 | ![]() |
6 | 0 | 1 | 5 | 1 | 11 | −10 | 1 |
각주[편집]
- ↑ “UEFA competitions to resume in August”. 《UEFA.com》 (유럽 축구 연맹 (Union of European Football Associations)). 2020년 6월 17일. 2020년 6월 17일에 확인함.
- ↑ “Nations League group stage in September, October and November”. 《UEFA.com》 (유럽 축구 연맹 (Union of European Football Associations)). 2020년 6월 26일. 2020년 6월 26일에 확인함.
- ↑ “2020/21 Nations League: All the confirmed fixtures”. 《UEFA.com》 (유럽 축구 연맹 (Union of European Football Associations)). 2020년 6월 26일. 2020년 6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고 노 도 로 모 2020년 9월에 열린 UEFA 네이션스리그 경기는 유럽에서 일어난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인하여 관중 없이 개최되었다.
- ↑ 몬테네그로는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인하여 아제르바이잔과의 홈 경기를 관중 없이 치렀다.
- ↑ 아제르바이잔과 키프로스의 경기는 원래 바쿠에 위치한 바쿠 올림픽 경기장에서 열릴 예정이었지만 2020년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의 여파로 인해 중립 지대인 알바니아 엘바산에서 열렸다.
- ↑ 아제르바이잔은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인하여 키프로스와의 홈 경기를 관중 없이 치렀다.
- ↑ 몬테네그로는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인하여 룩셈부르크와의 홈 경기를 관중 없이 치렀다.
- ↑ 아제르바이잔과 몬테네그로의 경기는 원래 바쿠에 위치한 바쿠 올림픽 경기장에서 열릴 예정이었지만 2020년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의 여파로 인해 중립 지대인 크로아티아 자프레시치에서 열렸다.
- ↑ 아르메니아와 조지아의 경기는 원래 예레반에 위치한 바즈겐 사르키샨 공화국 경기장에서 열릴 예정이었지만 2020년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의 여파로 인해 중립 지대인 폴란드 티히에서 열렸다.
- ↑ 아르메니아는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인하여 조지아와의 홈 경기를 관중 없이 치렀다.
- ↑ 아르메니아와 북마케도니아의 경기는 원래 예레반에 위치한 바즈겐 사르키샨 공화국 경기장에서 열릴 예정이었지만 2020년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의 여파로 인해 중립 지대에서 열렸다.
- ↑ 몰도바와 코소보 양국 간의 외교 관계가 없는 관계로 몰도바와 코소보의 경기는 중립 지대인 이탈리아 파르마에서 열렸다.
- ↑ 그리스는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인하여 몰도바와의 홈 경기를 관중 없이 치렀다.
- ↑ 코소보는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인하여 슬로베니아와의 홈 경기를 관중 없이 치렀다.
- ↑ 카자흐스탄은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인하여 알바니아와의 홈 경기를 관중 없이 치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