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슬로바키아 | |||
---|---|---|---|
연맹 | 슬로바키아 축구 협회 | ||
대륙 | 유럽 축구 연맹 | ||
감독 | ![]() | ||
주장 | 마렉 함식 | ||
최다 출전자 | 마렉 함식 (120) | ||
최다 득점자 | 마렉 함식 (25) | ||
홈 구장 | 나로드니 푸트발로비 슈타디온 슈타디온 안토나 말라틴스케호 | ||
FIFA 코드 | SVK | ||
| |||
FIFA 랭킹 | |||
현재 |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 ||
최고 순위 | 14위 (2015년 8월) | ||
최저 순위 | 150위 (1993년 12월)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1939년 8월 27일 ![]() ![]()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1994년 2월 2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2004년 9월 8일,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 (슬로바키아 트렌친; 2007년 10월 13일, UEFA 유로 2008 예선)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 (아르헨티나 멘도사; 1995년 6월 22일) | |||
월드컵 | |||
출전 횟수 | 1회 (2010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16강 (2010년) | ||
UEFA 유럽축구선수권대회 | |||
출전 횟수 | 1회 (2016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16강 (2016년) |
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슬로바키아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슬로바키아 공화국 시절인 1939년 8월 27일 독일과의 첫 국제 경기를 치렀고 슬로바키아라는 이름으로는 1994년 2월 2일 아랍에미리트와의 국제 A매치 첫 경기를 치렀다. 현재 브라티슬라바에 위치한 나로드니 푸트발로비 슈타디온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국제 대회 경력[편집]
FIFA 월드컵[편집]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로 1990년 대회까지 출전했고 분리 독립 이후 20년만인 2010년 대회에서 사상 첫 월드컵 본선 진출에 성공한 슬로바키아는 본선 조 추첨식에서 디펜딩 챔피언 이탈리아, 2002년 대회 16강 진출팀인 파라과이 그리고 28년만에 월드컵 본선에 모습을 드러낸 뉴질랜드와 함께 F조에 편성되었다. 이후 첫 경기에서 뉴질랜드와 1-1로 비겼고 파라과이와의 2차전에서는 0-2로 패했지만 이탈리아와의 조별리그 최종전에서 3-2의 극적인 승리를 거두며 파라과이에 이어 조 2위로 사상 첫 16강 진출에 성공했다. 그러나 이 대회 준우승국인 네덜란드와의 16강전에서 1-2로 석패하면서 대회를 마감했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UEFA 유로 2016 예선 B조 10경기에서 7승 1무 2패를 기록하며 전 대회 챔피언 스페인에 이어 조 2위로 분리 독립 이후 사상 첫 유로 대회이자 6년만의 메이저 대회 본선 진출에 성공한 슬로바키아는 참가국이 24개로 늘어난 이 대회 본선에서 잉글랜드, 러시아, 웨일스와 B조에서 만났다. 이후 열린 웨일스와의 조별리그 첫 경기에서 1-2로 패했지만 러시아와의 2차전에서는 반대로 2-1로 승리를 가져갔다. 이어 잉글랜드와의 최종전에서는 득점없이 0-0으로 비기며 1승 1무 1패로 잉글랜드, 웨일스에 밀려 조 3위에 머물렀으나 와일드카드 자격으로 2010년 월드컵 이후 6년만에 다시 메이저 대회 16강 진출 티켓을 따냈다. 그러나 C조 1위팀인 독일에게 0-3의 완패를 당하면서 사상 첫 메이저 대회 8강 진출에는 실패했다.
기타 국제 대회 경력[편집]
킹스컵에서 2번의 우승을 차지했고 2000년 기린컵에서는 일본과 함께 공동 우승을 차지했으며 2000년 코파 시우다드 데 발파라이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키프로스 4개국 친선 축구 대회에서 3위를 2번 차지했고 1994년 아랍에미리트에서 열린 친선 축구 대회에서도 3위에 입상했으며 1992년 상하이 4개국 친선 축구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FIFA 월드컵 (본선)[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독립 이전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예선 탈락 | ||||||||
![]() ![]() | |||||||||
![]() | |||||||||
![]() |
16강 | 16위 | 4 | 1 | 1 | 2 | 5 | 7 | 4 |
![]() |
예선 탈락 | ||||||||
![]() | |||||||||
합계 | 1회 진출(1/6[1]) | 16강(1회) | 4 | 1 | 1 | 2 | 5 | 7 | 4 |
순위 |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56위 |
FIFA 월드컵 (예선)[편집]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독립 이전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 5 | 1 | 4 | 18 | 14 | 16 | ||
![]() ![]() |
10 | 5 | 2 | 3 | 16 | 9 | 17 | ||
![]() |
14 | 6 | 6 | 2 | 26 | 14 | 24 | ||
![]() |
10 | 7 | 1 | 2 | 22 | 10 | 22 | ||
![]() |
10 | 3 | 4 | 3 | 11 | 10 | 13 | ||
![]() |
10 | 6 | 0 | 4 | 17 | 7 | 18 | ||
합계 | 64 | 32 | 14 | 18 | 110 | 64 | 110 | ||
순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76위 (유럽 31위)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편집]
UEFA 유로컵 본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독립 이전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예선 탈락 | ||||||||
![]() ![]() | |||||||||
![]() | |||||||||
![]() ![]() | |||||||||
![]() ![]() | |||||||||
![]() |
16강 | 14위 | 4 | 1 | 1 | 2 | 3 | 6 | 4 |
![]() |
본선 진출 | ||||||||
합계 | 2회 진출(2/7[7]) | 16강(1회) | 4 | 1 | 1 | 2 | 3 | 6 | 4 |
순위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순위 : 26위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편집]
UEFA 유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독립 이전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 4 | 2 | 4 | 14 | 18 | 14 | ||
![]() ![]() |
10 | 5 | 2 | 3 | 12 | 9 | 17 | ||
![]() |
8 | 3 | 1 | 4 | 11 | 9 | 10 | ||
![]() ![]() |
12 | 5 | 1 | 6 | 33 | 23 | 16 | ||
![]() ![]() |
10 | 4 | 3 | 3 | 7 | 10 | 15 | ||
![]() |
10 | 7 | 1 | 2 | 17 | 8 | 22 | ||
![]() |
10 | 5 | 2 | 3 | 15 | 12 | 17 | ||
합계 | 78 | 37 | 13 | 28 | 122 | 100 | 124 | ||
순위 | 유로 예선 승점 순위 : 29위 |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독립 이전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 | ||||||||
![]() |
진출 실패 | ||||||||
![]() |
조별리그 | 13위 | 3 | 1 | 0 | 2 | 4 | 6 | 3 |
![]() |
진출 실패 | ||||||||
![]() | |||||||||
![]() | |||||||||
![]() | |||||||||
합계 | 1회 진출(1/6[14]) | 조별리그(1회) | 3 | 1 | 0 | 2 | 4 | 6 | 3 |
현재 선수 명단[편집]
일자: 2016년 5월 31일
종류: UEFA 유로 2016 최종 명단
출장 수와 골 수 기준: 2016년 6월 26일 독일전 이후
|
주목할 만한 선수[편집]
각주[편집]
- ↑ 월드컵 본선진출 횟수 비율. 체코슬로바키아 분리 이후로 계산
- ↑ 분리 이후 첫 지역예선에서 조 4위를 기록, 탈락했다. 공교롭게도 얼마 전에 분리된 체코와 같은 조였고 승점까지 같았다.
- ↑ 스웨덴과 터키에 이어 조 3위를 차지,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포르투갈에 이어 조 2위를 차지하면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하필 만난 상대가 스페인이었다. 원정경기에서 1:5로 패하며 총합 2:6으로 아쉽게 본선진출에 실패했다.
- ↑ 형제국가 체코를 비롯해 슬로베니아, 폴란드, 북아일랜드 등 경쟁 상대를 모두 누르고 조 1위로 본선에 직행, 20년 만이자 분리독립 이후 첫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 ↑ 보스니아와 그리스에 밀리면서 조 3위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유로컵 본선진출 횟수 비율. 체코슬로바키아 분리 이후로 계산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올림픽 본선진출 횟수 비율. 체코슬로바키아 분리 이후로 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