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 | |||
---|---|---|---|
별칭 | The Boys in Green | ||
연맹 | 아일랜드 축구 협회 | ||
대륙 | 유럽 축구 연맹 | ||
감독 | 스티븐 케니 | ||
주장 | 셰이머스 콜먼 | ||
최다 출전자 | 로비 킨 (145) | ||
최다 득점자 | 로비 킨 (67) | ||
홈 구장 | 아비바 스타디움 | ||
FIFA 코드 | IRL | ||
| |||
FIFA 랭킹 | |||
현재 |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 ||
최고 순위 | 6위 (1993년 8월) | ||
최저 순위 | 70위 (2014년 6월, 7월)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 (프랑스 콜롱브; 1924년 5월 28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 (아일랜드 더블린; 1983년 11월 16일, UEFA 유로 1984 예선)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 (브라질 우베를란지아; 1982년 5월 27일) | |||
월드컵 | |||
출전 횟수 | 3회 (1990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8강 (1990년) |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 |||
출전 횟수 | 3회 (1988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16강 (2016년) |
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은 아일랜드 공화국을 대표하는 축구 대표팀이다. 아일랜드의 첫 국제 경기이자 첫 국제 대회는 1924년 5월 28일 프랑스 콜롱브에서 열린 불가리아와의 1924년 하계 올림픽 축구 1라운드 경기로 이 대회에서 1-0으로 승리를 거두고 8강에 진출했다. '녹색 소년들'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아비바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국제 대회 경력[편집]
FIFA 월드컵[편집]
1990년 FIFA 월드컵을 시작으로 총 3번의 월드컵 본선에 올라 이 가운데 처음으로 출전한 1990년 대회에서 8강에 오르는 돌풍을 일으켰고 1994년 대회와 2002년 대회에서는 16강에 이름을 올렸으나 2002년 대회 이후 현재까지 월드컵 지역 예선에서 나쁘지 않은 성적을 거두고 있음에도 계속되는 졸전과 2010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에서의 오심에 의한 불운 등으로 인하여 번번이 월드컵 본선 문턱에서 주저앉고 있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UEFA 유로 1988을 시작으로 총 3번의 유로 대회 본선에 출전하여 1988년 대회에서는 잉글랜드와의 B조 조별리그 1차전에서 승리를 거두었음에도 러시아, 네덜란드에 밀려 조 3위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고 24년만에 출전한 2012년 대회에서는 3전 전패로 역시 조별리그 탈락의 쓴 맛을 봤다. 그러다가 2016년 대회 본선에서 이탈리아, 벨기에에 이어 E조 3위로 16강에 진출하며 2002년 FIFA 월드컵 이후 14년만에 메이저 대회 본선 토너먼트 진출에 성공했다.
UEFA 네이션스리그[편집]
2018-19년 리그 B[편집]
유럽 네이션스리그 첫 시즌 리그 B에 편입된 아일랜드는 UEFA 유로 2016 4강에 빛나는 웨일스, 북유럽의 강호 덴마크와 함께 4조에 편성되어 4경기에서 2무 2패·조 최하위에 머물렀지만 차기 시즌의 리그 진행 방식 변경으로 인해 리그 C로의 강등은 이뤄지지 않았다.
기타 국제 대회 및 수상 경력[편집]
1986년 아이슬란드 3개국 축구 대회와 2011년 셀틱 네이션스컵에서 모두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1997년에는 FIFA 페어플레이상을 수상했으며 1977년 3월 30일부터 7월 1일까지와 2004년 3월 31일부터 5월 29일까지 2번에 걸쳐 비공식 축구 세계 챔피언 타이틀을 거머쥐기도 했다.
FIFA 월드컵 (본선)[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불참 | ||||||||
![]() |
예선 탈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강 | 8위 | 5 | 0 | 4 | 1 | 2 | 3 | 4 |
![]() |
16강 | 16위 | 4 | 1 | 1 | 2 | 2 | 4 | 4 |
![]() |
예선 탈락 | ||||||||
![]() ![]() |
16강 | 12위 | 4 | 1 | 3 | 0 | 6 | 3 | 6 |
![]() |
예선 탈락 | ||||||||
![]() | |||||||||
![]() | |||||||||
![]() | |||||||||
합계 | 3회 진출(3/20) | 8강(1회) | 13 | 2 | 8 | 3 | 10 | 10 | 14 |
순위 |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38위 |
FIFA 월드컵 (예선)[편집]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불참 | ||||||||
![]() |
2 | 0 | 1 | 1 | 6 | 9 | 1 | ||
![]() |
2 | 0 | 1 | 1 | 5 | 6 | 1 | ||
![]() |
4 | 1 | 1 | 2 | 6 | 7 | 4 | ||
![]() |
4 | 2 | 0 | 2 | 8 | 6 | 6 | ||
![]() |
4 | 2 | 1 | 1 | 6 | 7 | 7 | ||
![]() |
4 | 0 | 0 | 4 | 3 | 17 | 0 | ||
![]() |
3 | 1 | 0 | 2 | 2 | 5 | 3 | ||
![]() |
6 | 0 | 1 | 5 | 3 | 14 | 1 | ||
![]() |
4 | 1 | 1 | 2 | 4 | 5 | 4 | ||
![]() |
4 | 1 | 1 | 2 | 2 | 4 | 4 | ||
![]() |
8 | 4 | 2 | 2 | 17 | 11 | 14 | ||
![]() |
8 | 2 | 2 | 4 | 5 | 10 | 8 | ||
![]() |
8 | 5 | 2 | 1 | 10 | 2 | 17 | ||
![]() |
12 | 7 | 4 | 1 | 19 | 6 | 25 | ||
![]() |
12 | 5 | 4 | 3 | 24 | 11 | 19 | ||
![]() ![]() |
12 | 8 | 3 | 1 | 25 | 6 | 27 | ||
![]() |
10 | 4 | 5 | 1 | 12 | 5 | 17 | ||
![]() |
12 | 4 | 7 | 1 | 13 | 10 | 19 | ||
![]() |
10 | 4 | 2 | 4 | 16 | 17 | 14 | ||
![]() |
12 | 5 | 5 | 2 | 13 | 11 | 20 | ||
합계 | 141 | 56 | 43 | 42 | 199 | 169 | 211 | ||
순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32위 (유럽 16위)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편집]
UEFA 유로컵 본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예선 탈락 | ||||||||
![]() | |||||||||
![]() | |||||||||
![]() | |||||||||
![]() | |||||||||
![]() | |||||||||
![]() | |||||||||
![]() |
조별리그 | 5위 | 3 | 1 | 1 | 1 | 2 | 2 | 4 |
![]() |
예선 탈락 | ||||||||
![]() | |||||||||
![]() ![]() | |||||||||
![]() | |||||||||
![]() ![]() | |||||||||
![]() ![]() |
조별리그 | 16위 | 3 | 0 | 0 | 3 | 1 | 9 | 0 |
![]() |
16강 | 14위 | 4 | 1 | 1 | 2 | 3 | 6 | 4 |
![]() |
예선 탈락 | ||||||||
합계 | 3회 진출(3/16) | 16강(1회) | 10 | 2 | 2 | 6 | 6 | 17 | 8 |
순위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순위 : 22위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편집]
UEFA 유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2 | 1 | 0 | 1 | 2 | 4 | 3 | ||
![]() |
6 | 2 | 2 | 2 | 9 | 12 | 8 | ||
![]() |
6 | 2 | 1 | 3 | 5 | 8 | 7 | ||
![]() |
6 | 0 | 1 | 5 | 3 | 17 | 1 | ||
![]() |
6 | 3 | 1 | 2 | 11 | 5 | 10 | ||
![]() |
8 | 2 | 3 | 3 | 9 | 8 | 9 | ||
![]() |
8 | 4 | 1 | 3 | 20 | 10 | 13 | ||
![]() |
8 | 4 | 3 | 1 | 10 | 5 | 15 | ||
![]() |
6 | 2 | 4 | 0 | 13 | 6 | 10 | ||
![]() |
11 | 5 | 2 | 4 | 17 | 13 | 17 | ||
![]() ![]() |
10 | 5 | 3 | 2 | 15 | 7 | 18 | ||
![]() |
8 | 3 | 2 | 3 | 10 | 11 | 11 | ||
![]() ![]() |
12 | 4 | 5 | 3 | 17 | 14 | 17 | ||
![]() ![]() |
12 | 7 | 4 | 1 | 20 | 8 | 25 | ||
![]() |
12 | 6 | 4 | 2 | 22 | 8 | 22 | ||
![]() |
9 | 3 | 5 | 1 | 7 | 5 | 14 | ||
합계 | 130 | 53 | 41 | 36 | 190 | 141 | 200 | ||
순위 | 유로 예선 승점 순위 : 13위 |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독립 이전 | |||||||||
![]() |
8강 | 5위 | 2 | 1 | 0 | 1 | 2 | 2 | 3 | |
![]() |
불참 | |||||||||
![]() | ||||||||||
![]() |
예비라운드 | 17위 | 1 | 0 | 0 | 1 | 1 | 3 | 0 | |
![]() |
불참 | |||||||||
![]() | ||||||||||
![]() |
진출 실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2회 진출(2/21) | 8강(1회) | 3 | 1 | 0 | 2 | 3 | 5 | 3 |
현재 선수 명단[편집]
일자: 2016년 6월 1일
종류: UEFA 유로 2016 아일랜드 선수 명단
출장 수와 골 수 기준: 2016년 6월 26일 프랑스전 이후
|
주요 선수[편집]
홈 구장[편집]
랜즈다운 로드와 아비바 스타디움[편집]
원래는 36,000석 좌석, 입석(친선때만 가능)까지 합하면 더 많은 사람을 수용할 수 있는 아일랜드 럭비 연맹 소유의 랜즈다운 로드를 홈으로 쓰고 있었다. 하지만 랜즈다운 로드가 증개축에 들어가며 전통스포츠인 게일릭 풋볼 및 헐링 전용 경기장인 GAA(게일릭 스포츠 협회) 소유의 크로크 파크(약 80000석)를 홈 구장으로 쓰고 있다. 보험회사인 아비바가 랜즈다운 로드의 명명권을 샀고 이름은 아비바 스타디움으로 바뀌었다, 2010년 4월에 아비바 스타디움의 개축이 끝나면 약 50,000석으로 설계되어 있는 아비바 스타디움으로 홈 구장을 옮길 계획이다. 아비바 스타디움은 아일랜드 럭비 연맹과 아일랜드 축구 연맹의 공동 소유다.
크로크 파크[편집]
다른 경기장들[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유니폼[편집]
전통적으로 초록색 셔츠, 흰색 바지, 초록색 스타킹을 홈 유니폼으로 삼는다. 어웨이 유니폼은 색 배치를 반대로 해놓은 것이 정석이나 90년대 후반에는 주황색 셔츠를 쓰기도 했었다.
각주[편집]
- ↑ 7조에서 네덜란드, 벨기에에 밀려 최하위로 탈락했다.
- ↑ 2조에서 노르웨이에 1무 1패로 밀려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5조(스웨덴, 핀란드)에서 2위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4조(프랑스, 룩셈부르크)에서 2위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1조(잉글랜드, 덴마크)에서 2위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8조(체코슬로바키아, 스코틀랜드)에서 전패하여 최하위로 탈락했다.
- ↑ 9조(스페인, 기권 - 시리아)에서 스페인과 1승 1패로 승점이 같아 재경기에서 0:1로 지면서 탈락했다. 다만 골득실에서 -2점이었기 때문에 지금이라면 재경기 없이 바로 탈락했을 것이다.
- ↑ 2조(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덴마크)에서 1승도 얻지 못하고 최하위로 탈락했다. 1차전 덴마크전(홈경기)에선 안개가 너무 심해서 경기가 중단되고 이듬해 재경기를 치르기도 했다.
- ↑ 9조(소련, 프랑스)에서 2위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비록 골득실이지만 프랑스를 제치는 선전을 보여주었고, 조 1위였던 소련이 플레이오프 도중 기권하면서 이 조에서 본선에 나간 팀은 아무도 없었다.
- ↑ 5조(프랑스, 불가리아)에서 최하위로 탈락했다.
- ↑ 2조(네덜란드, 프랑스, 벨기에, 키프로스)에서 3위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하지만 플라티니의 프랑스와 승점이 같아 골득실 차이로 밀리고 최근 2회 준우승국 네덜란드에 승점을 앞서는 등 상당히 선전했다.
- ↑ 6조(소련, 덴마크, 스위스, 노르웨이)에서 조 4위로 탈락했다.
- ↑ 6조(스페인, 헝가리, 북아일랜드, 몰타)에서 조 2위를 차지하며 사상 첫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2회부터 단 한 번도 불참하지 않고 꾸준히 참여했으나 번번히 고배를 마셨는데, 56년만에 그 결실을 맺었다. 최근 3회연속 진출했던 헝가리, 2회연속 진출했던 북아일랜드를 제친 결과였다.
- ↑ 3조(스페인, 덴마크, 북아일랜드,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알바니아)에서 조 2위로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3위 덴마크와 승점, 골득실이 같았는데 다득점에 앞섰는데, 예선 직전에 열린 유로1992 우승국임을 감안하면 상당히 치열하게 경쟁한 셈이다.
- ↑ 8조(루마니아, 리투아니아, 마케도니아,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에서 조 2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는데, 루마니아를 제외하면 대부분 약팀이었고 여기서도 5승 3무 2패로 승점을 많이 못 쌓았다. 결국 플레이오프에서 벨기에와 만나 1무 1패(총합 2:3)로 밀리면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2조(포르투갈, 네덜란드, 에스토니아, 키프로스, 안도라)에서 네덜란드를 제치고 조 2위를 하는 이변을 일으켰다. 약팀 셋을 모두 잡고 네덜란드에 1승 1무, 포르투갈과 2무를 하면서 죽음의 조에서 무패를 하는 선전을 했는데, 그 덕분에 조 2위 팀들 중 가장 승점이 높아 아시아와의 플레이오프로 진출, 이란에 1승 1패(총합 2:1)로 골득실에 앞서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 ↑ 4조(프랑스, 스위스, 이스라엘, 키프로스, 페로제도)에서 조 4위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전 대회와 달리 이스라엘에게도 밀리면서 졸전을 했다.
- ↑ 8조(이탈리아, 불가리아, 키프로스, 몬테네그로, 조지아)에서 이탈리아에 이어 조 2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 프랑스와 붙었는데 홈에서 0:1로 패하며 진출에 먹구름이 드리워졌다. 그러나 2차전 프랑스 원정에서 1:0으로 앞서며 연장전에 돌입했는데 프랑스의 티에리 앙리가 손으로 어시스트를 하면서 1:1 동점이 되어 결국 진출에 실패했다. 명백한 오심이자 페어플레이 정신에 위배되는 행위였지만 이렇다할 징계를 주지 않았고, 아일랜드는 FIFA에 재경기를 제소했으나 FIFA에선 단호히 거부하면서 결국 억울하게 본선에 가질 못했다.
- ↑ C조(독일, 스웨덴, 오스트리아, 카자흐스탄, 페로제도)에서 스웨덴, 오스트리아와 플레이오프 티켓을 두고 경쟁했지만 독일에게 0:6으로 패하는 등 졸전을 거듭하며 조 4위로 탈락했다.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