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 FIFA 월드컵
1950년 FIFA 월드컵 Copa do Mundo FIFA de 1950 | |
---|---|
개최국 | ![]() |
개최기간 | 6월 24일 ~ 7월 16일 |
경기장 | 6개 (6개 도시) |
참가국 | 13개국 (3개 대륙) |
결과 | |
우승 | ![]() |
준우승 | ![]() |
3위 | ![]() |
4위 | ![]() |
최다 득점 | ![]() |
최우수 선수 | ![]() |
최우수 골키퍼 | ![]() |
통계 | |
총 경기 | 22경기 |
총 득점 | 88골 (경기당 4골) |
총 관중 | 1,036,000명 (경기당 47,091명) |
« 1938 1954 » |
1950년 FIFA 월드컵(영어: 1950 FIFA World Cup, 포르투갈어: IV Campeonato Mundial de Futebol)은 제4회 FIFA 월드컵으로 1950년 6월 24일부터 7월 16일까지 브라질에서 열린 첫 번째 월드컵이다.
제2차 세계 대전에다 그에 따른 상흔으로 FIFA 월드컵이 무려 12년 동안 개최되지 못했지만 1938년 FIFA 월드컵 대회의 관중보다 5배가 넘는 많은 관중이 모여들었고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는 조별 풀리그 방식이 도입되었으며, "세계인들의 축제"라는 슬로건이 처음 도입되기 시작한 대회이다. 하지만 이 당시의 조별 리그는 현재의 조별 리그와는 달리 조 1위만 결승 리그에 진출했으며 나머지는 모두 탈락했다. 이 대회에서 우루과이가 우승을 차지했고 브라질은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3위는 스웨덴, 4위는 스페인이 차지했다.
브라질 축구 협회에서는 관중들이 내는 입장료 수익을 최대한 많이 벌려고 했으며 그래서 한 경기라도 더 치르기 위해 모든 경기를 조별리그로 통일했다.
개최국 선정[편집]
개최를 희망했던 국가
개최국 | 득표수 | 결과 |
---|---|---|
![]() |
— | 개최 |
FIFA 총회는 1946년 7월 22일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 시에서 열린 회의에서 브라질을 1950년 FIFA 월드컵 개최국으로 선정했다.
개최 도시 및 경기장[편집]
벨루오리존치 | 쿠리치바 | 포르투알레그리 | 헤시피 | 리우데자네이루 | 상파울루 |
---|---|---|---|---|---|
인디펜덴시아 경기장 | 쿠투 페헤이라 경기장 | 도스 유칼립투스 경기장 | 아루다 경기장 | 마라카낭 경기장 | 파카엠부 경기장 |
수용인원: 71,860명 | 수용인원: 37,182명 | 수용인원: 20,000명 | 수용인원: 30,520명 | 수용인원: 87,101명 | 수용인원: 80,000명 |
![]() |
![]() |
![]() |
![]() |
![]() |
지역 예선[편집]
지역 | 예선 | 국가/팀 |
---|---|---|
유럽 (UEFA) | 18개 팀 중 8개 팀 (8장) | ![]() ![]() ![]() ![]() ![]() ![]() ![]() ![]() |
남미 (CONMEBOL) | 7개 팀 중 5개 팀 (5장) | ![]() ![]() ![]() ![]() ![]() |
북중미&카리브 (CONCACAF) | 3개 팀 중 2개 팀 (2장) | ![]() ![]() |
아시아 (AFC) | 4개 팀 중 1개 팀 (1장) | ![]() |
- 스코틀랜드와 터키는 조 추첨 단계에서 기권하였다. 이에 따라 FIFA는 이 두 팀의 자리를 채우기 위해 예선에서 탈락한 포르투갈과 프랑스에게 참가를 요청했지만 포르투갈은 참가를 거절하였다.
- 조 추첨 후 인도와 프랑스는 기권하였다.
선수 명단[편집]
조별 리그[편집]
A조[편집]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 |
5 | 3 | 2 | 1 | 0 | 8 | 2 | +6 |
![]() |
4 | 3 | 2 | 0 | 1 | 7 | 3 | +4 |
![]() |
3 | 3 | 1 | 1 | 1 | 4 | 6 | -2 |
![]() |
0 | 3 | 0 | 0 | 3 | 2 | 10 | -8 |
1950년 6월 24일 15:00 | ||||||
브라질 ![]() |
4 – 0 | ![]() |
리우데자네이루, 마라카낭 경기장 관중수: 81,649 심판: 조지 리더 ![]() | |||
아데미르 ![]() 자이르 ![]() 발타자르 ![]() |
리포트 | |||||
1950년 6월 25일 18:00 | ||||||
유고슬라비아 ![]() |
3 – 0 | ![]() |
벨루오리존치, 미네이랑 경기장 관중수: 7,336 심판: 조바니 갈레아티 ![]() | |||
미티치 ![]() 토마제비치 ![]() 오그냐노프 ![]() |
리포트 | |||||
1950년 6월 28일 15:00 | ||||||
브라질 ![]() |
2 – 2 | ![]() |
상파울루, 파카엠부 경기장 관중수: 42,032 심판: 라몬 아손 ![]() | |||
알프레도 ![]() 발타자르 ![]() |
리포트 | 파통 ![]() | ||||
1950년 6월 28일 18:15 | ||||||
멕시코 ![]() |
1 – 4 | ![]() |
포르투알레그리, 도스 유칼립투스 경기장 관중수: 11,078 심판: 레지날드 리프 ![]() | |||
오티즈 ![]() |
리포트 | 보베크 ![]() 차이코프스키 ![]() 토마제비치 ![]() | ||||
1950년 7월 1일 15:00 | ||||||
브라질 ![]() |
2 – 0 | ![]() |
리우데자네이루, 마라카낭 경기장 관중수: 142,429 심판: 벤자민 그리프스 ![]() | |||
아데미르 ![]() 지지뉴 ![]() |
리포트 | |||||
1950년 7월 2일 15:40 | ||||||
멕시코 ![]() |
1 – 2 | ![]() |
포르투알레그리, 도스 유칼립투스 경기장 관중수: 3,580 심판: 이반 에클린드 ![]() | |||
카사린 ![]() |
리포트 | 바데르 ![]() 타미니 ![]() | ||||
B조[편집]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 |
6 | 3 | 3 | 0 | 0 | 6 | 1 | +5 |
![]() |
2 | 3 | 1 | 0 | 2 | 2 | 2 | 0 |
![]() |
2 | 3 | 1 | 0 | 2 | 5 | 6 | -1 |
![]() |
2 | 3 | 1 | 0 | 2 | 4 | 8 | -4 |
1950년 6월 25일 15:00 | ||||||
잉글랜드 ![]() |
2 – 0 | ![]() |
리우데자네이루, 마라카낭 경기장 관중수: 29,703 심판: 카를 판 데르 미르 ![]() | |||
모르텐센 ![]() 매니온 ![]() |
리포트 | |||||
1950년 6월 25일 15:00 | ||||||
스페인 ![]() |
3 – 1 | ![]() |
쿠리치바, 쿠투 페헤이라 경기장 관중수: 9,511 심판: 마리오 비아나 ![]() | |||
이고아 ![]() 바소라 ![]() 사라 ![]() |
리포트 | 소우자 ![]() | ||||
1950년 6월 29일 15:00 | ||||||
스페인 ![]() |
2 – 0 | ![]() |
리우데자네이루, 마라카낭 경기장 관중수: 19,790 심판: 알베르토 말체르 ![]() | |||
바소라 ![]() 사라 ![]() |
리포트 | |||||
1950년 6월 29일 18:00 | ||||||
미국 ![]() |
1 – 0 | ![]() |
벨루오리존치, 미네이랑 경기장 관중수: 10,151 심판: 제네로소 다틸로 ![]() | |||
가에첸스 ![]() |
리포트 | |||||
1950년 7월 2일 15:00 | ||||||
스페인 ![]() |
1 – 0 | ![]() |
리우데자네이루, 마라카낭 경기장 관중수: 74,462 심판: 조바니 갈레아티 ![]() | |||
사라 ![]() |
리포트 | |||||
1950년 7월 2일 18:00 | ||||||
칠레 ![]() |
5 – 2 | ![]() |
헤시피, 라우다 경기장 관중수: 8,501 심판: 마리오 가르델리 ![]() | |||
로블레도 ![]() 리에라 ![]() 크레마쉬 ![]() 프리에토 ![]() |
리포트 | 월리스 ![]() 소우자 ![]() | ||||
C조[편집]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 |
3 | 2 | 1 | 1 | 0 | 5 | 4 | +1 |
![]() |
2 | 2 | 1 | 0 | 1 | 4 | 3 | +1 |
![]() |
1 | 2 | 0 | 1 | 1 | 2 | 4 | -2 |
![]() |
기권 |
- 조 추첨 후 인도는 기권하였다.
1950년 6월 25일 15:00 | ||||||
스웨덴 ![]() |
3 – 2 | ![]() |
상파울루, 파카엠부 경기장 관중수: 36,502 심판: 장 루츠 ![]() | |||
제프손 ![]() 안데르손 ![]() |
리포트 | 카라펠레세 ![]() 무치넬리 ![]() | ||||
1950년 6월 29일 15:30 | ||||||
스웨덴 ![]() |
2 – 2 | ![]() |
쿠리치바, 쿠투 페헤이라 경기장 관중수: 7,903 심판: 조지 미첼 ![]() | |||
선퀴비스트 ![]() 팔메르 ![]() |
리포트 | A. 로페즈 ![]() C. 로페즈 ![]() | ||||
1950년 7월 2일 15:00 | ||||||
이탈리아 ![]() |
2 – 0 | ![]() |
상파울루, 파카엠부 경기장 관중수: 25,811 심판: 아서 엘리스 ![]() | |||
카라펠레세 ![]() 판돌피니 ![]() |
리포트 | |||||
D조[편집]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 |
2 | 1 | 1 | 0 | 0 | 8 | 0 | +8 |
![]() |
0 | 1 | 0 | 0 | 1 | 0 | 8 | -8 |
![]() |
기권 |
- 조 추첨 후 프랑스는 기권하였다.[18]
1950년 7월 2일 18:00 | ||||||
우루과이 ![]() |
8 – 0 | ![]() |
벨루오리존치, 미네이랑 경기장 관중수: 5,284 심판: 조지 리더 ![]() | |||
미구에스 ![]() 비달 ![]() 쉬아피노 ![]() 페레스 ![]() 기지아 ![]() |
리포트 | |||||
결선 리그[편집]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 |
5 | 3 | 2 | 1 | 0 | 7 | 5 | +2 |
![]() |
4 | 3 | 2 | 0 | 1 | 14 | 4 | +10 |
![]() |
2 | 3 | 1 | 0 | 2 | 6 | 11 | -5 |
![]() |
1 | 3 | 0 | 1 | 2 | 4 | 11 | -7 |
1950년 7월 9일 15:00 | ||||||
브라질 ![]() |
7 – 1 | ![]() |
리우데자네이루, 마라카낭 경기장 관중수: 138,886 심판: 아서 엘리스 ![]() | |||
아데미르 ![]() 치쿠 ![]() 마네카 ![]() |
리포트 | 안데르손 ![]() | ||||
1950년 7월 9일 15:00 | ||||||
우루과이 ![]() |
2 – 2 | ![]() |
상파울루, 파카엠부 경기장 관중수: 44,802 심판: 벤자민 그리프스 ![]() | |||
기지아 ![]() 바렐라 ![]() |
리포트 | 바소라 ![]() | ||||
1950년 7월 13일 15:00 | ||||||
브라질 ![]() |
6 – 1 | ![]() |
리우데자네이루, 마라카낭 경기장 관중수: 152,772 심판: 레지날드 리프 ![]() | |||
파라 ![]() 자이르 ![]() 치코 ![]() 아데미르 ![]() 지지뉴 ![]() |
리포트 | 이고아 ![]() | ||||
1950년 7월 13일 15:00 | ||||||
우루과이 ![]() |
3 – 2 | ![]() |
상파울루, 파카엠부 경기장 관중수: 7,987 심판: 조바니 갈레아티 ![]() | |||
기지아 ![]() 미구에스 ![]() |
리포트 | 팔메르 ![]() 선퀴비스트 ![]() | ||||
1950년 7월 16일 15:00 | ||||||
스웨덴 ![]() |
3 – 1 | ![]() |
상파울루, 파카엠부 경기장 관중수: 11,227 심판: 카렐 판 데르 미르 ![]() | |||
선퀴비스트 ![]() 멜베르 ![]() 팔메르 ![]() |
리포트 | 사라 ![]() | ||||
1950년 7월 16일 15:00 | ||||||
우루과이 ![]() |
2 – 1 | ![]() |
리우데자네이루, 마라카낭 경기장 관중수: 199,954 심판: 조지 리더 ![]() | |||
스치아피노 ![]() 기지아 ![]() |
리포트 | 프리아사 ![]() | ||||
득점 선수[편집]
|
|
|
최종 순위[편집]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1 | ![]() |
4 | 3 | 1 | 0 | 15 | 5 | +10 | 7 |
2 | ![]() |
6 | 4 | 1 | 1 | 22 | 6 | +16 | 9 |
3 | ![]() |
5 | 2 | 1 | 2 | 11 | 15 | -4 | 5 |
4 | ![]() |
6 | 3 | 1 | 2 | 10 | 12 | -2 | 7 |
5 | ![]() |
3 | 2 | 0 | 1 | 7 | 3 | +4 | 4 |
6 | ![]() |
3 | 1 | 1 | 1 | 4 | 6 | -2 | 3 |
7 | ![]() |
2 | 1 | 0 | 1 | 4 | 3 | +1 | 2 |
8 | ![]() |
3 | 1 | 0 | 2 | 2 | 2 | 0 | 2 |
9 | ![]() |
3 | 1 | 0 | 2 | 5 | 6 | -1 | 2 |
10 | ![]() |
3 | 1 | 0 | 2 | 4 | 8 | -4 | 2 |
11 | ![]() |
2 | 0 | 1 | 1 | 2 | 4 | -2 | 1 |
12 | ![]() |
3 | 0 | 0 | 3 | 2 | 10 | -8 | 0 |
13 | ![]() |
1 | 0 | 0 | 1 | 0 | 8 | -8 | 0 |
기록[편집]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RSSSF에서는 이 골이 31분에 들어갔다고 함
- ↑ FIFA에서는 이 골을 코스타 토마제비치가 기록했다고 함. RSSSF와 크리스 프레디는 미티치가 기록했다고 함
- ↑ RSSSF는 이 골이 43분에 들어갔다고 함
- ↑ FIFA는 이 골이 22분에 들어갔다고 함
- ↑ FIFA는 이 골이 62분에 들어갔다고 함
- ↑ RSSSF는 이 골이 89분에 들어갔다고 함
- ↑ RSSSF는 이 골을 찰스 안테넨이 44분에 넣었다고 함
- ↑ RSSSF는 이 골이 49분에 들어갔다고 함
- ↑ RSSSF는 이 골이 69분에 들어갔다고 함
- ↑ RSSSF는 이 골이 34분에 들어갔다고 함
- ↑ 가 나 RSSSF는 이 골이 78분에 들어갔다고 함
- ↑ RSSSF는 이 골이 17분에 들어갔다고 함
- ↑ RSSSF는 이 골이 25분에 들어갔다고 함
- ↑ RSSSF는 이 골이 세자르 로페즈가 34분에 넣었다고 함
- ↑ RSSSF는 이 골이 아틸리오 로페즈가 74분에 넣었다고 함
- ↑ RSSSF는 이 골이 13분에 들어갔다고 함
- ↑ RSSSF는 이 골이 63분에 들어갔다고 함
- ↑ RSSSF는 남은 자리에 스코틀랜드와 터키가 배정되어 있었다고 함
- ↑ RSSSF는 이 골이 12분에 들어갔다고 함
- ↑ RSSSF는 이 골이 37분에 들어갔다고 함
- ↑ RSSSF는 이 골이 51분에 들어갔다고 함
- ↑ RSSSF는 이 골이 20분에 들어갔다고 함
- ↑ RSSSF는 이 골이 54분에 들어갔다고 함
- ↑ RSSSF는 이 골이 61분에 들어갔다고 함
- ↑ RSSSF는 이 골이 70분에 들어갔다고 함
외부 링크[편집]
![]() |
위키책에 이 문서와 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