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뉴질랜드 | |||
---|---|---|---|
별칭 | All Whites | ||
연맹 | 뉴질랜드 축구 협회 | ||
대륙 |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 ||
감독 | 대니 헤이 | ||
주장 | 윈스턴 리드 | ||
최다 출전자 | 아이번 비셀리치 (88) | ||
최다 득점자 | 크리스 우드 (32) | ||
홈 구장 | 노스 하버 스타디움 웰링턴 리저널 스타디움 | ||
FIFA 코드 | NZL | ||
| |||
FIFA 랭킹 | |||
현재 |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 ||
최고 순위 | 47위 (2002년, 8월) | ||
최저 순위 | 161위 (2016년, 4월 ~ 5월)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 (뉴질랜드 더니딘; 1922년 6월 17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 (뉴질랜드 오클랜드; 1981년 8월 16일, 1982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 (뉴질랜드 웰링턴; 1936년 7월 11일) | |||
월드컵 | |||
출전 횟수 | 2회 (1982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조별 예선 (2010년) | ||
OFC 네이션스컵 | |||
출전 횟수 | 10회 (1973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우승 (1973년, 1998년, 2002년, 2008년, 2016년) | ||
컨페더레이션스컵 | |||
출전 횟수 | 4회 (1999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조별 예선 |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은 뉴질랜드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뉴질랜드 축구 협회에서 관리한다. 오세아니아에서 전력이 아주 강한 팀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1922년 6월 17일 호주와의 국제 A매치 데뷔전에서 3-1로 승리를 거두었다. 홈 구장으로는 노스 하버 스타디움과 웰링턴 리저널 스타디움을 사용하고 있다.
국제 대회 경력[편집]
FIFA 월드컵[편집]
월드컵 본선에는 2번 출전하여 2번의 대회에서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지만 28년만에 출전한 2010년 대회에서 2002년 대회 16강 진출팀인 파라과이, 역대 월드컵 4회 우승팀이자 디펜딩 챔피언 이탈리아, 분리 독립 이후 처음으로 월드컵 본선에 오른 슬로바키아 등 쟁쟁한 강호들을 상대로 3경기에서 모두 무승부를 거두며 승점을 따내는 저력을 발휘했고 이와 더불어 2010년 대회에 참가한 32팀 중 유일한 무패팀이라는 이름을 남기고 대회를 마무리했다.
OFC 네이션스컵[편집]
오세아니아의 최강국답게 뉴질랜드는 OFC 네이션스컵 10번의 본선 대회에 모두 참가하여 이 가운데 5번의 대회(1973년, 1998년, 2002년, 2008년, 2016년)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2000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였으며 2004년 대회까지는 호주가 이 대회의 최다 우승국이라는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호주가 2006년 이후 아시아 축구 연맹으로 옮기면서 자연스럽게 뉴질랜드가 OFC 네이션스컵 최다 우승국 타이틀을 차지하게 되었다.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컨페드컵에는 4번 출전하였지만 3번의 대회에서 3전 전패를 당하며 조별리그에서 탈락했고 물론 2009년 대회에서 유일하게 승점 1점을 획득하긴 했지만 이 대회에서도 조별리그 탈락을 피하지 못했다.
하계 올림픽[편집]
성인대표팀 시절에는 단 한번도 올림픽 본선에 오르지 못했고 U-23 대표팀으로 3번(2008년, 2012년, 2020년) 출전하였다. 2008년, 2012년에서는 모두 1무 2패의 초라한 성적으로 조별리그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2016년 리우 올림픽 오세아니아 지역예선을 겸하는 2015 퍼시픽게임 남자축구 준결승전에서는 바누아투 축구 대표팀에게 가볍게 2-0으로 승리하였지만 당시 뉴질랜드 대표팀 선수들 중 “데클란 윈” 선수가 뉴질랜드 시민권을 소지하지 않은 선수임이 밝혀지면서 뉴질랜드는 FIFA로부터 0-3 몰수패를 당하면서 2016년 리우 올림픽 본선 진출이 좌절되었다. 그리고 4년 뒤 일본에서 열리게 된 2020년 도쿄올림픽에서 뉴질랜드 올림픽 축구 대표팀은 본선에 진출 이후 대한민국,루마니아,온두라스와 함께 B조에 배정되었다. 뉴질랜드는 당초 B조 최약체로 예상되었으나, 이것은 단지 오세아니아라는 탈을 썼던 것에 의한 착시 현상이었음을 이번 올림픽을 통해서 유감없이 드러냈다. EPL에서도 4시즌 연속 2자릿수 득점을 올리고 있는 크리스 우드를 와일드카드로 뽑으며 팀의 전력이 급상승했고, 이를 이번 2020년 도쿄올림픽에서 톱시드인 대한민국을 이기는 것으로 보여주었다. 최근의 본선 진출이었던 2010 남아공 월드컵에서 3무라는 성적을 거둔 것도 그렇고 최근 연령별 국제대회에서도 꾸준히 토너먼트에 출전할 만큼 착실히 황금 세대를 구축해왔는데 드디어 월드컵과 올림픽을 통틀어서 첫 국제대회 토너먼트 진출이라는 성과를 일궈냈다.
국제대회 기록[편집]
FIFA 월드컵[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비회원국 | 비회원국 | |||||||||||||||||
![]() | |||||||||||||||||||
![]() | |||||||||||||||||||
![]() |
불참 | 불참 | |||||||||||||||||
![]() | |||||||||||||||||||
![]() | |||||||||||||||||||
![]() | |||||||||||||||||||
![]() | |||||||||||||||||||
![]() |
예선 탈락 | 2 | 0 | 0 | 2 | 0 | 6 | 0 | |||||||||||
![]() |
6 | 0 | 3 | 3 | 5 | 12 | 3 | ||||||||||||
![]() |
4 | 2 | 1 | 1 | 14 | 4 | 7 | ||||||||||||
![]() |
조별리그 | 23위 | 3 | 0 | 0 | 3 | 2 | 12 | 0 | 15 | 9 | 5 | 1 | 44 | 10 | 32 | |||
![]() |
예선 탈락 | 6 | 3 | 1 | 2 | 13 | 7 | 10 | |||||||||||
![]() |
6 | 3 | 1 | 2 | 13 | 8 | 10 | ||||||||||||
![]() |
6 | 3 | 1 | 2 | 15 | 5 | 10 | ||||||||||||
![]() |
6 | 3 | 0 | 3 | 13 | 6 | 9 | ||||||||||||
![]() ![]() |
6 | 4 | 0 | 2 | 20 | 7 | 12 | ||||||||||||
![]() |
5 | 3 | 0 | 2 | 17 | 5 | 9 | ||||||||||||
![]() |
조별리그 | 22위 | 3 | 0 | 3 | 0 | 2 | 2 | 3 | 8 | 6 | 1 | 1 | 15 | 5 | 19 | |||
![]() |
예선 탈락 | 13 | 9 | 1 | 3 | 28 | 18 | 28 | |||||||||||
![]() |
13 | 8 | 4 | 1 | 24 | 6 | 28 | ||||||||||||
![]() |
6 | 5 | 0 | 1 | 18 | 2 | 15 | ||||||||||||
![]() ![]() ![]() |
미정 | ||||||||||||||||||
합계 | 2회 진출(2/20) | 조별예선(2회) | 6 | 0 | 3 | 3 | 4 | 14 | 3 | 96 | 53 | 18 | 25 | 221 | 99 | 177 | |||
순위 |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61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46위 (오세아니아 1위) |
OFC 네이션스컵[편집]
OFC 네이션스컵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우승 | 1위 | 5 | 4 | 1 | 0 | 13 | 4 | 13 |
![]() |
조별리그 | 5위 | 3 | 1 | 0 | 2 | 7 | 8 | 3 |
1996년 | 4강 | 3위 | 2 | 0 | 1 | 1 | 0 | 3 | 1 |
![]() |
우승 | 1위 | 4 | 4 | 0 | 0 | 11 | 1 | 12 |
![]() |
준우승 | 2위 | 4 | 3 | 0 | 1 | 7 | 3 | 9 |
![]() |
우승 | 1위 | 5 | 5 | 0 | 0 | 23 | 2 | 15 |
![]() |
결선리그 | 3위 | 5 | 3 | 0 | 2 | 17 | 5 | 9 |
2008년 | 우승 | 1위 | 6 | 5 | 0 | 1 | 14 | 5 | 15 |
![]() |
4강 | 3위 | 5 | 3 | 1 | 1 | 8 | 7 | 10 |
![]() |
우승 | 1위 | 5 | 4 | 1 | 0 | 10 | 1 | 13 |
합계 | 10회 진출(10/10) | 우승(5회) | 44 | 32 | 4 | 8 | 110 | 39 | 100 |
순위 | OFC 네이션스컵 순위 : 1위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진출 실패 | ||||||||
![]() | |||||||||
![]() | |||||||||
![]() |
조별리그 | 8위 | 3 | 0 | 0 | 3 | 1 | 6 | 0 |
![]() ![]() |
진출 실패 | ||||||||
![]() |
조별리그 | 8위 | 3 | 0 | 0 | 3 | 1 | 11 | 0 |
![]() |
진출 실패 | ||||||||
![]() |
조별리그 | 8위 | 3 | 0 | 1 | 2 | 0 | 7 | 1 |
![]() |
진출 실패 | ||||||||
![]() |
조별리그 | 8위 | 3 | 0 | 0 | 3 | 1 | 8 | 0 |
합계 | 4회 진출(4/10) | 조별예선(4회) | 12 | 0 | 1 | 11 | 3 | 32 | 1 |
순위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31위 |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불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진출 실패 | ||||||||
![]() | |||||||||
![]() | |||||||||
![]() | |||||||||
![]() | |||||||||
![]() | |||||||||
![]() |
조별리그 | 14위 | 3 | 0 | 1 | 2 | 1 | 7 | 1 |
![]() |
조별리그 | 16위 | 3 | 0 | 1 | 2 | 1 | 5 | 1 |
![]() |
진출 실패 | ||||||||
![]() |
8강 | 6위 | 4 | 1 | 2 | 1 | 3 | 3 | 5 |
합계 | 3회 진출(10/26) | 8강(1회) | 10 | 1 | 4 | 5 | 5 | 15 | 7 |
선수[편집]
현재 선수 명단[편집]
다음은 2019년 11월 15일과 17일에 시행된 아일랜드와
리투아니아와 친선경기에 참가한 23인 명단이다.
출장 수와 골은 2019년 11월 17일 리투아니아전 이후 기준.
|
최근 차출[편집]
다음은 최근 18개월 내에 대표팀에 소집된 선수 명단이다.
|
최근 경기 결과와 일정[편집]
2022년[편집]
FIFA 월드컵 대양주 B조 2022년 3월 18일 | 뉴질랜드 ![]() |
1 - 0 | ![]() |
카타르 SC 경기장 | ||
17:00 (UTC+3) | 벤저민 웨인 ![]() |
| ||||
FIFA 월드컵 대양주 B조 2022년 3월 21일 | 뉴질랜드 ![]() |
4 - 0 | ![]() |
카타르 SC 경기장 | ||
20:00 (UTC+3) | 크리스 우드 ![]() 일라이자 저스트 ![]() 클레이턴 루이스 ![]() |
| ||||
FIFA 월드컵 대양주 B조 2022년 3월 24일 | 뉴질랜드 ![]() |
7 - 1 | ![]() |
카타르 SC 경기장 | ||
(UTC+3) | 알렉스 그레이브 ![]() 로건 로저슨 ![]() 앤드리 더 용 ![]() 빌 투일로마 ![]() 크리스 우드 ![]() |
장-필립 사이코 ![]() |
| |||
FIFA 월드컵 대양주 준결승전 2022년 3월 27일 | 뉴질랜드 ![]() |
1 - 0 | ![]() |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 ||
20:30 (UTC+3) | 리버라토 커카치 ![]() |
| ||||
FIFA 월드컵 대양주 결승전 2022년 3월 30일 | 뉴질랜드 ![]() |
5 - 0 | ![]() |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 ||
20:00 (UTC+3) | ![]() ![]() ![]() ![]() |
| ||||
친선경기 2022년 6월 5일 | 페루 ![]() |
1 - 0 | ![]() |
RCDE 스타디움 | ||
17:30 (UTC+2) | 잔루카 라파둘라 ![]() |
| ||||
친선경기 2022년 6월 9일 | 오만 ![]() |
0 - 0 | ![]() |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 ||
21:00 (UTC+3) |
| |||||
FIFA 월드컵 북중미-대양주 플레이오프 2022년 6월 14일 | 코스타리카 ![]() |
1 - 0 | ![]() |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 | ||
21:00 (UTC+3) | 조엘 캠벨 ![]() |
| ||||
친선경기 2022년 9월 22일 | 오스트레일리아 ![]() |
1 - 0 | ![]() |
선코프 스타디움 | ||
20:00 (UTC+10) | 아워 마빌 ![]() |
| ||||
친선경기 2022년 9월 25일 | 뉴질랜드 ![]() |
0 - 2 | ![]() |
이든 파크 | ||
16:00 (UTC+12) | ![]() ![]() |
| ||||
2023년[편집]
친선경기 2023년 3월 22일 | 뉴질랜드 ![]() |
v | ![]() |
오클랜드, 뉴질랜드 | ||
20:00 UTC+13 | [] | 경기장: 노스하버 스타디움
| ||||
친선경기 2023년 3월 26일 | 뉴질랜드 ![]() |
v | ![]() |
오클랜드, 뉴질랜드 | ||
16:00 UTC+13 | [] | 경기장: 노스하버 스타디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