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아 축구 국가대표팀
사모아 | |||
---|---|---|---|
연맹 | 사모아 축구 연맹 | ||
대륙 |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 ||
감독 | 매트 칼콧 | ||
주장 | 앤드류 세테파노 | ||
최다 출전자 | 데스먼드 파이아이우아소 (20) | ||
최다 득점자 | 데스먼드 파이아이우아소 (9) | ||
홈 구장 | 아피아 국립 축구 경기장 | ||
FIFA 코드 | SAM | ||
| |||
FIFA 랭킹 | |||
현재 |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 ||
최고 순위 | 146위 (2007년 12월) | ||
최저 순위 | 191위 (2007년 5월, 7월)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 (피지; 1979년 8월 31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 (오스트레일리아 코프스하버; 2001년 4월 9일, 2002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 (솔로몬 제도; 1981년 7월 13일) | |||
OFC 네이션스컵 | |||
출전 횟수 | 2회 (2012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조별 리그 |
사모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사모아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현재 사모아 축구 연맹에서 관리하고 있다. 홈 구장은 아피아 국립 축구 경기장이며 감독은 뉴질랜드 출신의 스캇 이스트호프이다.
개요[편집]
사모아는 1997년 이전까지는 서사모아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알려져 있었다. 1979년 9월 1일 왈리스 푸투나와의 1979년 퍼시픽 게임 축구 3조 조별리그 2차전에서 첫 국제 경기에 나섰으나 이는 FIFA가 인정하지 않는 비공식 경기이며 FIFA가 인정한 경기는 하루 전인 8월 31일 솔로몬 제도와의 3조 조별리그 1차전 경기로 이 경기에서 0-12로 대패했다. 1997년 7월 헌법 개정을 통해 국가명을 서사모아에서 사모아로 변경되면서 자연스럽게 축구 국가대표팀의 명칭도 변경됐다.
국제 대회 경력[편집]
FIFA 월드컵[편집]
현재까지도 월드컵 본선 경험은 전무한 상태이며 2010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부터 2018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까지 승점 6점 이상 거두고 있으며 이 중 2014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6경기에서 2승 1무 3패·승점 7점으로 사모아 축구 역사상 지역 예선에서 괜찮은 성적을 거두었다. 그리고 2002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과 2010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에서 각각 9골을 터뜨리며 사모아 축구 역사상 월드컵 지역 예선 최다 득점 기록을 남겼으며 특히 2002년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1차 예선에서 같은 최약체팀인 아메리칸사모아를 8-0으로 대파하며 역대 국제 A매치 최다 점수차 승리를 거두었다.
OFC 네이션스컵[편집]
OFC 네이션스컵 본선에는 2번(2012년, 2016년) 출전했지만 2번의 대회에서 6전 전패를 당하는 동안 득점은 단 1점에 그쳤고 실점만 43점을 허용하며 조별리그에서 일찌감치 탈락했다.
퍼시픽 게임[편집]
퍼시픽 게임에는 3번 출전하여 이 중 1983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하면서 모든 국제 대회를 통틀어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FIFA 월드컵 (본선)[편집]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독립 이전 | ||||||||
![]() | |||||||||
![]() | |||||||||
![]() | |||||||||
![]() | |||||||||
![]() | |||||||||
![]() | |||||||||
![]() |
없음[1] | ||||||||
![]() |
비회원국 | ||||||||
![]() | |||||||||
![]() | |||||||||
![]() | |||||||||
![]() | |||||||||
![]() |
불참 | ||||||||
![]() |
기권 | ||||||||
![]() |
예선 탈락 | ||||||||
![]() ![]() | |||||||||
![]() | |||||||||
![]() | |||||||||
![]() | |||||||||
![]() | |||||||||
![]() |
기권 | ||||||||
합계 |
FIFA 월드컵 (예선)[편집]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
독립 이전 | ||||||||
![]() | |||||||||
![]() | |||||||||
![]() | |||||||||
![]() | |||||||||
![]() | |||||||||
![]() | |||||||||
![]() |
없음[2] | ||||||||
![]() |
비회원국 | ||||||||
![]() | |||||||||
![]() | |||||||||
![]() | |||||||||
![]() | |||||||||
![]() |
불참 | ||||||||
![]() |
기권 | ||||||||
![]() |
2 | 1 | 0 | 1 | 2 | 2 | 3 | ||
![]() ![]() |
4 | 1 | 0 | 3 | 9 | 18 | 3 | ||
![]() |
4 | 1 | 0 | 3 | 5 | 11 | 3 | ||
![]() |
4 | 2 | 0 | 2 | 9 | 8 | 6 | ||
![]() |
6 | 2 | 1 | 3 | 6 | 27 | 7 | ||
![]() |
6 | 2 | 0 | 4 | 6 | 22 | 6 | ||
![]() |
기권 | ||||||||
합계 | 26 | 9 | 1 | 16 | 37 | 88 | 28 | ||
순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150위 (오세아니아 7위) |
OFC 네이션스컵[편집]
OFC 네이션스컵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비회원국 | ||||||||
![]() | |||||||||
1996년 | 예선 탈락 | ||||||||
![]() | |||||||||
![]() | |||||||||
![]() | |||||||||
![]() | |||||||||
2008년 | |||||||||
![]() |
조별리그 | 8위 | 3 | 0 | 0 | 3 | 1 | 24 | 0 |
![]() |
조별리그 | 8위 | 3 | 0 | 0 | 3 | 0 | 19 | 0 |
합계 | 2회 진출(2/10) | 조별리그(2회) | 6 | 0 | 0 | 6 | 1 | 43 | 0 |
순위 | OFC 네이션스컵 순위 : 10위 |
주요 선수[편집]
- 앤드류 세테파노
- 마이크 사오파이가
- 앤드류 모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