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레일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오스트레일리아 | |||
---|---|---|---|
![]() | |||
별칭 | 사커루 (Socceroos) | ||
연맹 |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연맹 | ||
대륙 | 아시아 축구 연맹 | ||
감독 | 그레이엄 아널드 | ||
주장 | 매슈 레키 | ||
최다 출전자 | 팀 케이힐 (111) | ||
최다 득점자 | 팀 케이힐 (54) | ||
FIFA 코드 | AUS | ||
| |||
FIFA 랭킹 | |||
현재 | 32위 (2021년 9월) 확인 | ||
최고 순위 | 14위 (2009년 9월) | ||
최저 순위 | 100위 (2015년 1월)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 (뉴질랜드 더니딘; 1922년 6월 17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 (오스트레일리아 코프스하버; 2001년 4월 11일, 2002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 (호주 애들레이드; 1955년 9월 17일) | |||
월드컵 | |||
출전 횟수 | 6회 (1974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16강 (2006년) | ||
OFC 네이션스컵 | |||
출전 횟수 | 6회 (1980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우승 (1980년, 1996년, 2000년, 2004년) | ||
AFC 아시안컵 | |||
출전 횟수 | 3회 (2007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우승 (2015년) | ||
컨페더레이션스컵 | |||
출전 횟수 | 4회 (1997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준우승 (1997년) |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오스트레일리아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연맹에서 관리·운영 중이다. 사커루(Socceroos, "사커"와 "캥거루"의 합성어)라는 애칭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1922년 6월 17일 뉴질랜드를 상대로 국제 A매치 첫 경기를 치렀다.
개요[편집]
지리상 오세아니아에 위치하여 2005년까지는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소속으로 활동했으나, AFC 합류를 선언한 후 2006년에 AFC로 소속을 옮겨 현재에 이르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국가대표팀에는 크로아티아계 선수들이 꽤 많다. 그 이유는 공산주의 정권 및 유고슬라비아 전쟁에 지쳐서 생계를 위해 오스트레일리아로 이민을 떠난 옛 유고슬라비아 사람들이 오스트레일리아에 축구를 널리 전파했기 때문이다.
국제 대회 경력[편집]
FIFA 월드컵[편집]
1974년 FIFA 월드컵을 시작으로 월드컵 본선에는 5번 출전하여 이 중 32년 만에 출전한 2006년 대회에서 사상 첫 16강에 진출하는 기염을 토했다. 아시아로 넘어온 이후에도 2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에 성공했고 이로 인해 뉴질랜드도 1982년 이후 28년 만에 월드컵 본선 진출에 성공함으로써 전·현 OFC 회원국이 함께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는 기록을 남겼으며 이후 2014년, 2018년 대회, 2022년 대회를 통해 5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OFC 네이션스컵[편집]
OFC 네이션스컵 본선에는 6번 출전하여 이 중 4번의 대회(1980년, 1996년, 2000년, 2004년)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2번의 대회(1998년, 2002년)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는 등 6번의 대회에서 모두 준우승 이상의 엄청난 성적을 거두었으나 2006년 이후 AFC로 편입되면서 더 이상 이 대회에는 출전하지 않는다.
AFC 아시안컵[편집]
2006년 AFC 편입 이후 2007년 AFC 아시안컵을 통해 첫 아시안컵 본선에 발을 디딘 후 현재까지 4회 연속 아시안컵 본선에 올라 이 중 자국에서 열린 2015년 대회에서 대한민국의 55년 만의 우승을 저지시키며 사상 첫 아시안컵 우승을 차지했고 이전 대회인 2011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의 성과를 거두었다.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컨페드컵에는 4번 출전하여 이 중 1996년 OFC 네이션스컵 우승팀 자격으로 출전한 1997년 대회에서 준우승의 성과를 거두었고 2000년 OFC 네이션스컵 우승팀 자격으로 출전한 2001년 대회에서는 3위에 입상했다.
하계 올림픽[편집]
성인대표팀 시절에는 2번 출전하여 자국에서 열린 1956년과 32년 만에 출전한 1988년 대회에서 8강에 이름을 올렸고 U-23 대표팀으로는 6번 출전하여 이 중 1992년 대회에서 팀 역사상 첫 올림픽 축구 4강에 올랐다.
EAFF E-1 풋볼 챔피언십[편집]
E-1 풋볼 챔피언십에는 2013년 대회에 유일하게 참가했지만 그나마도 4팀 중 1무 2패로 최하위에 머물렀고 이후 참가 기록은 전무하다.
국제대회 기록[편집]
FIFA 월드컵[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비회원국 | 비회원국 | ||||||||||||||
![]() | ||||||||||||||||
![]() | ||||||||||||||||
![]() | ||||||||||||||||
![]() | ||||||||||||||||
![]() | ||||||||||||||||
![]() | ||||||||||||||||
![]() |
예선 탈락 | 2[1] | 0 | 0 | 2 | 2 | 9 | 0 | ||||||||
![]() |
9[2] | 3 | 5 | 1 | 12 | 8 | 14 | |||||||||
![]() |
조별리그 | 14위 | 3 | 0 | 1 | 2 | 0 | 5 | 1 | 11[3] | 5 | 5 | 1 | 21 | 10 | 20 |
![]() |
예선 탈락 | 12[4] | 6 | 2 | 4 | 20 | 11 | 20 | ||||||||
![]() |
8[5] | 4 | 2 | 2 | 22 | 9 | 14 | |||||||||
![]() |
8[6] | 4 | 3 | 1 | 20 | 4 | 15 | |||||||||
![]() |
6[7] | 2 | 2 | 2 | 11 | 7 | 8 | |||||||||
![]() |
10[8] | 7 | 1 | 2 | 21 | 7 | 22 | |||||||||
![]() |
8[9] | 6 | 2 | 0 | 34 | 5 | 20 | |||||||||
![]() ![]() |
8[10] | 7 | 0 | 1 | 73 | 4 | 21 | |||||||||
![]() |
16강 | 16위 | 4 | 1 | 1 | 2 | 5 | 6 | 4 | 9[11] | 7 | 1 | 1 | 31 | 5 | 22 |
![]() |
조별리그 | 21위 | 3 | 1 | 1 | 1 | 3 | 6 | 4 | 14[12] | 9 | 3 | 2 | 19 | 4 | 30 |
![]() |
조별리그 | 30위 | 3 | 0 | 0 | 3 | 3 | 9 | 0 | 14[13] | 8 | 4 | 2 | 25 | 12 | 28 |
![]() |
조별리그 | 28위 | 3 | 0 | 1 | 2 | 2 | 5 | 1 | 22[14] | 14 | 6 | 2 | 51 | 18 | 48 |
![]() |
본선 진출 | 20[15] | 13 | 4 | 3 | 45 | 12 | 43 | ||||||||
![]() ![]() ![]() |
미정 colspan=7|미정 | |||||||||||||||
합계 | 6회 진출(6/21) | 16강(1회) | 16 | 2 | 4 | 10 | 13 | 31 | 10 | 146 | 86 | 37 | 23 | 378 | 114 | 295 |
순위 |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49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3위 (아시아 1위) |
FIFA 월드컵 대륙간 플레이오프 성적[편집]
FIFA 월드컵 대륙간 플레이오프 성적 | ||||||||
---|---|---|---|---|---|---|---|---|
년도 | 상대팀 | 전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결과 |
![]() |
![]() |
2 | 0 | 1 | 1 | 0 | 2 | 탈락 |
![]() |
![]() ![]() |
4 | 1 | 1 | 2 | 4 | 5 | 탈락 |
![]() |
![]() |
2 | 0 | 2 | 0 | 3 | 3 | 탈락 |
![]() ![]() |
![]() |
2 | 1 | 0 | 1 | 1 | 3 | 탈락 |
![]() |
![]() |
2 | 1 | 0 | 1 | 1 | 1 | 본선진출 |
![]() |
![]() |
2 | 1 | 1 | 0 | 3 | 1 | 본선진출 |
![]() |
![]() |
1 | 0 | 1 | 0 | 0 | 0 | 본선진출 |
총 | Various | 15 | 4 | 6 | 5 | 12 | 15 | 3/7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불참 | ||||||||
![]() | |||||||||
![]() |
준우승 | 2위 | 5 | 2 | 1 | 2 | 4 | 8 | 7 |
![]() |
진출 실패 | ||||||||
![]() ![]() |
4강 | 3위 | 5 | 3 | 0 | 2 | 4 | 2 | 9 |
![]() |
진출 실패 | ||||||||
![]() |
조별리그 | 8위 | 3 | 0 | 0 | 3 | 5 | 10 | 0 |
![]() |
진출 실패 | ||||||||
![]() | |||||||||
![]() |
조별리그 | 6위 | 3 | 0 | 2 | 1 | 4 | 5 | 2 |
합계 | 4회 진출(4/10) | 준우승(1회) | 16 | 5 | 3 | 8 | 17 | 25 | 18 |
순위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8위 |
지역대회 기록[편집]
OFC 네이션스컵[편집]
OFC 네이션스컵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불참 | ||||||||
![]() |
우승 | 1위 | 4 | 4 | 0 | 0 | 24 | 4 | 12 |
1996년 | 우승 | 1위 | 4 | 3 | 1 | 0 | 14 | 0 | 10 |
![]() |
준우승 | 2위 | 4 | 3 | 0 | 1 | 23 | 3 | 9 |
![]() |
우승 | 1위 | 4 | 4 | 0 | 0 | 26 | 0 | 12 |
![]() |
준우승 | 2위 | 5 | 4 | 0 | 1 | 23 | 2 | 12 |
![]() |
우승 | 1위 | 7 | 6 | 1 | 0 | 32 | 4 | 19 |
2008년 이후 | 비회원국(아시아 소속) | ||||||||
합계 | 6회 진출(6/7) | 우승(4회) | 28 | 24 | 2 | 2 | 142 | 13 | 74 |
순위 | OFC 네이션스컵 순위 : 2위 |
AFC 아시안컵[편집]
AFC 아시안컵 본선 기록 | AFC 아시안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비회원국(오세아니아 소속) | 비회원국(오세아니아 소속) | ||||||||||||||
![]() ![]() ![]() ![]() |
8강 | 7위 | 4 | 1 | 2 | 1 | 7 | 5 | 5 | 4 | 3 | 0 | 1 | 7 | 3 | 9 |
![]() |
준우승 | 2위 | 6 | 4 | 1 | 1 | 13 | 2 | 13 | 6 | 3 | 2 | 1 | 6 | 4 | 11 |
![]() |
우승 | 1위 | 6 | 5 | 0 | 1 | 14 | 3 | 15 | 자동참가(개최국) | ||||||
![]() |
8강 | 7위 | 5 | 2 | 1 | 2 | 6 | 4 | 7 | 8 | 7 | 0 | 1 | 29 | 3 | 21 |
![]() |
본선 진출 | 8 | 8 | 0 | 0 | 28 | 2 | 24 | ||||||||
합계 | 4회 진출(4/4) | 우승(1회) | 21 | 12 | 4 | 5 | 40 | 14 | 40 | 22 | 17 | 2 | 3 | 58 | 11 | 53 |
순위 | 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 10위 |
EAFF 동아시안컵[편집]
EAFF 동아시안컵 기록 | |||||||||
---|---|---|---|---|---|---|---|---|---|
년도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불참 | ||||||||
![]() | |||||||||
![]() |
4위 | 3 | 0 | 1 | 2 | 5 | 7 | 1 | |
![]() |
불참 | ||||||||
![]() | |||||||||
합계 | 1회 진출(1/3) | 3 | 0 | 1 | 2 | 5 | 7 | 1 |
종합 스포츠 대회 기록[편집]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불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강 | 6위 | 2 | 1 | 0 | 1 | 4 | 4 | 3 |
![]() |
기권 | ||||||||
![]() |
진출 실패 | ||||||||
![]() | |||||||||
![]() | |||||||||
![]() | |||||||||
![]() |
불참[16] | ||||||||
![]() |
진출 실패 | ||||||||
![]() |
8강 | 7위 | 4 | 2 | 0 | 2 | 2 | 6 | 6 |
![]() |
4강 | 4위 | 6 | 2 | 1 | 3 | 8 | 12 | 7 |
![]() |
조별리그 | 13위 | 3 | 1 | 0 | 2 | 4 | 6 | 3 |
![]() |
조별리그 | 15위 | 3 | 0 | 0 | 3 | 3 | 6 | 0 |
![]() |
8강 | 7위 | 4 | 1 | 1 | 2 | 6 | 4 | 4 |
![]() |
조별리그 | 11위 | 3 | 0 | 1 | 2 | 1 | 3 | 1 |
![]() |
진출 실패 | ||||||||
![]() | |||||||||
합계 | 7회 진출(7/26) | 4위(1회) | 25 | 7 | 3 | 15 | 28 | 41 | 24 |
선수[편집]
현재 선수 명단[편집]
다음은 2022년 6월 1일 요르단와 친선경기와 6월 7일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아랍에미리트와 6월 13일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페루와 뛸 선수 명단이다.[24]
톰 로기치는 대표팀 명단에 선발되었으나 그의 개인 사정으로 제외되었다.[25]
출장 수와 골은 2022년 3월 29일 사우디아라비아과 경기 종료 기준.
|
최근 차출[편집]
다음은 최근 12개월 내에 대표팀에 소집된 선수 명단이다.
|
최근 대표팀 경기결과와 일정[편집]
2021년[편집]
2022 월드컵+2023 아시안컵 2차예선 B조 2021년 6월 3일 | 오스트레일리아 ![]() |
3 - 0 | ![]() |
자베르 알-아흐마드 국제경기장 | ||
21:30 (UTC+3) |
| |||||
2022 월드컵+2023 아시안컵 2차예선 B조 2021년 6월 7일 | 오스트레일리아 ![]() |
5 - 1 | ![]() |
자베르 알-아흐마드 국제경기장 | ||
19:30 (UTC+3) | 가오웨이졔 ![]() |
| ||||
2022 월드컵+2023 아시안컵 2차예선 B조 2021년 6월 11일 | 네팔 ![]() |
0 - 3 | ![]() |
자베르 알-아흐마드 국제경기장 | ||
19:30 (UTC+3) |
| |||||
2022 월드컵+2023 아시안컵 2차예선 B조 2021년 6월 15일 | 오스트레일리아 ![]() |
1 - 0 | ![]() |
알쿠웨이트 SC 스타디움 | ||
21:30 (UTC+3) | 해리 사우터 ![]() |
| ||||
2022 월드컵 3차예선 B조 2021년 9월 2일 | 오스트레일리아 ![]() |
3–0 | ![]() |
칼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카타르)[26] | ||
21:00 UTC+3 | 마빌 ![]() 보일 ![]() 듀크 ![]() |
https://www.socceroos.com.au/news/socceroos-dispatch-china-spectacular-fashion |
| |||
2022 월드컵 3차예선 B조 2021년 9월 7일 | 베트남 ![]() |
0–1 | ![]() |
미딘 국립경기장 | ||
19:00 UTC+7 | Report | 그랜트 ![]() |
| |||
2022 월드컵 3차예선 B조 2021년 10월 7일 | 오스트레일리아 ![]() |
3–1 | ![]() |
칼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카타르)[27] | ||
21:30 UTC+3 | 마빌 ![]() 보일 ![]() 듀크 ![]() |
Report | 라비아 알-알라위 ![]() |
| ||
2022 월드컵 3차예선 B조 2021년 10월 12일 | 일본 ![]() |
2–1 | ![]() |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 ||
19:10 UTC+9 | 다나카 ![]() 베히치 ![]() |
Report | 아이딘 흐루스티치 ![]() |
관중 수: 14,437명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카타르)
| ||
2022 월드컵 3차예선 B조 2021년 11월 11일 | 오스트레일리아 ![]() |
0–0 | ![]() |
웨스턴 시드니 스타디움 | ||
20:05 UTC+11 | Report |
| ||||
2022 월드컵 3차예선 B조 2021년 11월 16일 | 중화인민공화국 ![]() |
1–1 | ![]() |
샤르자 스타디움, 샤르자 (아랍에미리트)[28] | ||
19:00 UTC+4 | 우레이 ![]() |
https://www.socceroos.com.au/news/socceroos-china-match-report-fifa-world-cup-qualifier-goals-highlights-video-updates | ![]() |
| ||
2022년[편집]
2022 월드컵 3차예선 B조 2022년 1월 27일 | 오스트레일리아 ![]() |
4 - 0 | ![]() |
멜버른 렉탱귤러 스타디움, 멜버른 | ||
20:10 UTC+11 | 매클래런 ![]() 로기치 ![]() 크레이그 굿윈 ![]() 라일리 맥그리 ![]() |
Report (FIFA) Report (AFC) |
관중 수: 27,740명 심판: 고형진 (대한민국)
| |||
2022 월드컵 3차예선 B조 2022년 2월 1일 | 오만 ![]() |
2 - 2 | ![]() |
술탄 카부스종합운동장, 무스카트 | ||
20:00 UTC+4 | 압둘라 파와즈 ![]() |
Report (FIFA) Report (AFC) |
매클래런 ![]() 무이 ![]() |
관중 수: 0명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아랍에미리트)
| ||
2022 월드컵 3차예선 B조 2022년 3월 24일 | 오스트레일리아 ![]() |
0 - 2 | ![]() |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 ||
20:10 UTC+11 | Report (FIFA) Report (AFC) |
가오루 ![]() |
관중 수: 41,852명 심판: 나와프 슈크랄라 (바레인)
| |||
2022 월드컵 3차예선 B조 2022년 3월 29일 | 사우디아라비아 ![]() |
1 - 0 | ![]() |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제다 | ||
21:00 UTC+3 | 알다우사리 ![]() |
Report (FIFA) Report (AFC) |
심판: ![]()
| |||
친선경기 2022년 6월 1일 | 오스트레일리아 ![]() |
2 - 1 | ![]() |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 |
||
21:00 UTC+3 | 베일리 라이트 ![]() 아워 마빌 ![]() |
![]() |
| |||
2022 월드컵 아시아 플레이오프 2022년 6월 7일 | 아랍에미리트 ![]() |
1 - 2 | ![]() |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 알라얀 ![]() |
||
21:00 UTC+3 | 카이우 ![]() |
![]() ![]() |
심판: ![]()
| |||
2022 월드컵 아시아-남미 플레이오프 2022년 6월 13일 | 오스트레일리아 ![]() |
0 - 0 (aet) (5 - 4 승부차기)
|
![]() |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 알라얀 ![]() |
||
21:00 UTC+3 | 심판: ![]() | |||||
승부차기 | ||||||
*마틴 보일 ![]() |
5 - 4 | * ![]() |
||||
친선경기 2022년 9월 25일 | 뉴질랜드 ![]() |
v | ![]() |
이든 파크 | ||
16:00 (UTC+12) |
| |||||
2022년 FIFA 월드컵 D조 2022년 11월 22일 | 프랑스 ![]() |
v | ![]() |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 ||
22:00 UTC+3 | 리포트 |
| ||||
2022년 FIFA 월드컵 D조 2022년 11월 26일 | 튀니지 ![]() |
v | ![]() |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 ||
13:00 UTC+3 | 리포트 |
| ||||
2022년 FIFA 월드컵 D조 2022년 11월 30일 | 오스트레일리아 ![]() |
v | ![]() |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 ||
18:00 UTC+3 | 리포트 |
| ||||
마케팅과 축구협회 후원사[편집]
콴타스 (항공사)
커먼웰스 뱅크 (은행)
나이키 (스포츠용품)
파라마운트+(플러스) (OTT)
세븐컨설팅 (회계+컨설팅 업체)
팬틴 (제약+화학(샴푸))
프라이슬라인 파머시 (약국 체인)
레벨스포츠 (스포츠용품 공급업체)
채널 10 (호주 지상파채널)
각주[편집]
- ↑ 당시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를 하나로 묶어 1장이 주어졌는데 아프리카가 이에 항의하면서 17개국 모두 기권했고, 대한민국마저 기권하면서 북한과 단판 승부로 펼쳐졌다.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북한에 2패(1:6, 1:3)하면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1차예선 1조에서 대한민국, 일본과 붙었다. 6경기 모두 서울에서 경기가 열렸는데, 대한민국에게 1승 1무(2:1, 1:1), 일본에게도 1승 1무(3:1, 1:1)로 앞서며 2라운드 진출, 로디지아(현 짐바브웨. 인종차별 때문에 아프리카에서 쫒겨나 아시아에서 예선을 했다.)와 2무(1:1, 0:0)하여 재경기 끝에 3:1로 이기고 최종 라운드에 진출, 이스라엘에 1무 1패(원정 0:1, 홈 1:1)로 밀려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1차예선 B그룹 1조에서 이라크, 인도네시아, 뉴질랜드와 붙었다. 개최지는 호주로 뉴질랜드와의 첫 경기를 제외한 11경기가 시드니와 맬번에서 진행됐다. 3승 3무 조 1위(이라크 3:1-0:0, 인도네시아 2:1-6:0, 뉴질랜드 1:1-3:3)로 준결승에 진출, 2조 1위 이란에 1승 1패 총합 3:2로 앞서며 최종라운드에 진출, 대한민국과 2무(홈 0:0, 원정 2:2)하며 재경기 끝에 1:0으로 승리, 사상 첫 월드컵 진출에 성공했다. 그러나 무득점으로 탈락했고 다시 본선에 나오기까지 32년을 더 기다려야 했다.
- ↑ 1차예선 5조에서 뉴질랜드,대만과 붙었다. 3승 1무(뉴질랜드 3:1-1:1, 대만 3:0-2:1) 조 1위로 최종예선에 진출했으나, 3승 1무 4패로 최종 4위(이란 2패, 대한민국 1승 1무, 쿠웨이트 2패, 홍콩 2승)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동아시아를 상대로 3승 1무를 했으나 중동팀에게 전패했다.
- ↑ 1차예선 1조에서 뉴질랜드, 인도네시아, 대만, 피지와 붙었으나 4승 2무 2패로 조 2위(뉴질랜드 1무 1패, 인도네시아 1승 1패, 대만 1승 1무, 피지 2승)에 그쳐 최종라운드에 가지 못했다. 당시에 호주가 뉴질랜드에 밀려 떨어진 것은 대한민국이 쿠웨이트에 잡힌 것과 더불어 이변으로 취급되었다.
- ↑ 이 대회부터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예선이 분리되었다. 오세아니아에게 0.5장이 주어져 최종 1위가 타대륙과 플레이오프를 하도록 규정이 생겼고, 중동에 밀려 AFC에서 쫒겨난 이스라엘, 중국에 밀려 잠시 축출된 대만도 OFC에서 경기를 했다. OFC 풀리그에서 4승 2무(이스라엘 2:1-1:1, 뉴질랜드 0:0-2:0, 대만 7:0-8:0) 최종 1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 유럽의 스코틀랜드와 1무 1패(원정 0:2, 홈 0:0)로 밀리며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1차예선 플레이오프에서 피지에 1승 1패(원정 0:1, 홈 5:1) 총합 5:2로 앞서 최종예선에 진출했지만 최약체 피지에게 0:1로 잡히는 이변의 희생양이 되기도 했다. 결국 최종예선에서도 1승 2무 1패(이스라엘 1:1-1:1, 뉴질랜드 4:1-0:2) 최종 2위로 발목잡혀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 ↑ 이 대회에서 오세아니아 티켓은 0.25장으로 줄었다. 오세아니아 1위를 해도 북중미 2위와 플레이오프를 겨루고, 여기서 이겨도 남미 B조 2위와의 플레이오프에서 이겨야 본선에 올라갈 수 있었다. 오세아니아 예선에서 6전 전승을 했지만, 북중미의 캐나다와 1승 1패 총합 3:3 동률이 되어 PK 4:1로 앞섰는데 하필 남미 B조 2위는 콜롬비아에 미끄러진 아르헨티나였다. 크레스포와 마라도나의 아르헨티나를 상대로 선전했지만 1무 1패 총합 1:2로 정말 아깝게 탈락하고 만다. 만약 0.5장 그대로였다면 100% 본선에 진출하는 상황이었다.
- ↑ 호주, 뉴질랜드와 다른 팀의 경기력 차이가 많이 나서 2차예선부터 대회에 참여했다. 2차예선 1조에서 4전 전승하여 최종라운드에 진출, 뉴질랜드에 2승(총합 5:0)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아시아의 이란과 만나 2무(원정 1:1, 홈 2:2)를 했지만 원정 다득점에 밀려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특히 2차전 홈경기에서는 2:0으로 앞서고도 후반전에 내리 두 골을 실점하며 다 잡은 본선티켓을 놓쳤다.
- ↑ 1차예선 1조에서 피지, 통가, 사모아, 미국령 사모아와 만나서 4승 0무 0패 66득점 무실점이라는 어마어마한 기록을 남겼다. 특히 통가를 22:0, 미국령 사모아를 31:0으로 이기면서 전세계의 모든 A매치에서 최다 득실차기록을 두 번 연속 갈아치우는 대기록을 세웠다. 최종라운드에서도 뉴질랜드를 원정 2:0, 홈 4:1로 잡아내며 전승으로 플레이오프 진출, 우루과이와 1승 1패(홈 1:0, 원정 0:3) 총합 1:3으로 골득실에 밀려 또다시 본선티켓을 놓쳤다. 월드컵 지역예선 최다득점 신기록을 세우고도 본선에 오르지 못한 팀이 되었다.
- ↑ 1차예선 없이 곧바로 최종라운드부터 참여했다. 솔로몬제도, 뉴질랜드, 피지, 타히티, 바누아투를 상대로 4승 1무를 기록했다. 2위인 솔로몬제도와 다시 홈&어웨이 재경기에서 2승(총합 9:1)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 4년 전처럼 우루과이와 만났다. 또다시 1승 1패(원정 1:0, 홈 0:1)였지만 총합 1:1로 동률이 되어 승부차기로 본선 진출을 결정지었다. 호주가 4:2로 승리하면서 32년만의 월드컵 진출에 성공했다. 그리고 이듬해 AFC로 소속을 옮기면서 OFC로 참여한 마지막 월드컵이 되었다.
- ↑ 이 대회부터 AFC 예선에 참여했다. 1,2차예선 없이 3차예선 1조에서 3승 1무 2패(카타르 3:0-3:1, 이라크 1:0-0:1, 중국 0:0-0:1) 조 1위로 최종예선에 진출했지만, 2위 카타르와 승점이 같았고 중국에 1무 1패하는 등 불안한 출발을 보였다. 그러나 최종예선 A조에서 6승 2무(일본 0:0-2:1, 바레인 1:0-2:0, 카타르 4:0-0:0, 우즈베키스탄 1:0-2:0) 조 1위로 본선에 진출했다. 8경기에서 겨우 1실점하며 준수한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 ↑ 1,2차예선 없이 3차부터 참여했다. 3차예선 D조에서 5승 1패(오만 3:0-0:1, 사우디 3:1-4:2, 태국 2:1-1:0) 조 1위로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최종예선 B조에서 3승 4무 1패(일본 1:1-1:1, 요르단 1:2-4:0, 오만 0:0-2:2, 이라크 2:1-1:0) 조 2위로 본선에 진출했지만, 6경기까지 1승 4무 1패로 탈락 위기에 놓였다가 막판에 겨우 진출하면서 전체적으로 부진했다.
- ↑ 1차예선이 면제되고 2차예선부터 참여했다. 2차예선 B조에서 7승 1패(요르단 5:1-0:2, 키르기즈스탄 3:0-2:1, 타지키스탄 7:0-3:0, 방글라데시 5:0-4:0) 조 1위로 3차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3차 최종예선 B조에서 5승 4무 1패(일본 1:1-2:0, 사우디아라비아 3:2-2:2, 아랍에미레이트연합 2:0-1:0, 이라크 2:0-1:1, 태국 2:2-2:1) 9차전 일본 원정 경기에서 패배하고 마지막 10차전 태국 홈 경기에서 승리 했지만 일본이 사우디아라바아에게 아쉽게 석패하여 승점 19점으로 사우디아라비아와 동률이 되었다. 그러나 골득실에서 2점이 밀려 B조 3위으로 최종예선을 마무리하고 결국 플레이 오프로 내려갔다. 아시아 플레이오프에서 A조 3위팀 시리아를 1승 1무(시리아 1-2 (연장)) 총 연장 3-2로 이기고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북중미-아시아 플레이오프에서 북중미 4위팀 온두라스와 맞대결하게 된다. 온두라스의 첫 번째 경기는 원정에서 치뤄졌는데 무기력한 경기력을 선보이며 0:0으로 비겼으나 두 번째 홈 경기에서 3:1로 이기면서 간신히 본선 티켓을 손에 넣었다.
- ↑ 1차예선이 면제되고 2차예선부터 참여했다. 2차예선 B조에서 8승 전승(쿠웨이트 3:0-3:0, 요르단 1:0-1:0, 네팔 5:0-3:0, 대만 5:1-7:1) 조 1위로 3차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3차 최종예선 B조에서 4승 3무 3패(사우디아라비아 0:0-0:1, 일본 1:2-0:2, 오만 3:1-2:2, 중국 3:0-1:1, 베트남 1:0-4:0) 조3위로 아시아 플레이오프로 내려갔다. 아시아 플레이오프에서 A조 3위팀 UAE(아랍에미레이트)를 카타르 도하에서 중립단판경기로 2:1 승리로 이기고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아시아-남미 플레이오프에서 카타르 도하에서 중립단판경기로 남미 5위팀 페루를 연장 0-0 무승부 후, 승부차기에서 5-4 승리하여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 ↑ 1980년 하계 올림픽은 대다수 서방 세계 국가들이 보이콧하였다. 호주 역시 일부 동참하였기 때문에 예선에는 참가하지 않았다.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Socceroos’ squad for June's crucial FIFA World Cup Play-offs confirmed”. 《Socceroos》. Football Australia. 2022년 5월 28일. 2022년 5월 28일에 확인함.
- ↑ “Tom Rogic withdraws from Socceroos squad”. 《Socceroos》 (영어). 2022년 5월 31일. 2022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코로나-19 바이러스 대유행으로 호주 연방정부의 국경 폐쇄(외국인 입국금지)로 호주 대표팀 홈경기는 카타르에서 중립경기로 시행되었다.
- ↑ 코로나-19 바이러스 대유행으로 호주 연방정부의 국경 폐쇄(외국인 입국금지)로 호주 대표팀 홈경기는 카타르에서 중립경기로 시행되었다.
- ↑ 코로나-19 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중국 정부의 엄격한 3주간 격리 명령 때문에 중국 대표팀 홈경기는 아랍에미레이트에서 중립경기로 시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