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 축구 국가대표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네팔 네팔
별칭고르칼리스
연맹네팔 축구 협회
대륙아시아 축구 연맹
감독이탈리아 빈첸초 알베르토 안네세
주장키란 쳄종
최다 출전자키란 챔종 (79)
최다 득점자니라잔 라야마지
하리 카드카 (이상 13)
홈 구장다사라트 랑가살라 스타디움
FIFA 코드NEP
FIFA 랭킹
현재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최고 순위124위 (1993년 12월)
최저 순위186위 (2007년 4월)
첫 국제 경기 출전
Fla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vg 중화인민공화국 6 - 2 Flag of Nepal.svg 네팔
(중국; 1972년 10월 13일)
최다 점수차 승리
Flag of Nepal.svg 네팔 7 - 0 Flag of Bhutan.svg 부탄
(네팔 카트만두; 1999년 9월 26일, 1999년 남아시아 경기 대회)
최다 점수차 패배
Flag of South Korea.svg 대한민국 16 - 0 네팔 Flag of Nepal.svg
(대한민국 인천; 2003년 9월 29일,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
AFC 챌린지컵
출전 횟수3회 (2006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4강 (2006년)
AFC 솔리대리티컵
출전 횟수1회 (2016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우승 (2016년)

네팔 축구 국가대표팀네팔을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네팔 축구 협회에서 관리한다. 아시아 최약체로 평가되고 있는 팀들 가운데 하나로 홈 구장으로는 다사라트 랑가살라 스타디움을 사용하고 있으며 2015년 네팔 지진으로 한 때 이 경기장 사용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었으나 2019년 남아시아 경기 대회부터 다시 사용이 재개되었다.

개요[편집]

1972년 10월 13일 중국과의 경기에서 2-6으로 패하면서 혹독한 국제 경기 데뷔전을 치렀으며 아시아 전체에서 최약체로 불리고는 있으나 그래도 남아시아 내의 대회에서는 4강 이상의 성과를 내고 있다.

국제 대회 경력[편집]

AFC 챌린지컵[편집]

이 대회 본선에는 3번 참가하여 초대 대회인 2006년 대회에서 AFC 주관 대회 첫 4강에 올랐지만 2008년2012년 대회에서는 모두 조별리그 탈락의 쓴 잔을 마셨다.

AFC 솔리대리티컵[편집]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 탈락팀 자격으로 참가한 2016년 초대 대회에서 마카오를 꺾고 AFC 솔리대리티컵 초대 챔피언이자 AFC 주관 대회 첫 챔피언 등극에 성공했다.

아시안 게임[편집]

U-23 대표팀 전적을 포함해 6번의 아시안 게임에 출전했으나 18경기에서 전패를 당했고 이 과정에서 득점은 단 2점에 그쳤고 무려 70골을 얻어맞았다.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이 대회에는 11번 출전하여 이 중 5번의 대회에서 4강에 올랐고 특히 통산 5번째 4강에 오른 2018년 대회에서 대회 전적 2승 2패로 같은 4강 진출팀인 파키스탄과 승률면에서 동률을 이뤘으나 골득실차에서 1점 앞서면서 대회 3위를 기록했다. 그리고 코로나19 범유행으로 1년 미뤄진 2021년 대회에서 준우승이라는 남아시아 선수권 대회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남아시아 경기 대회[편집]

성인대표팀으로는 8번 출전하여 금메달 2개, 은메달 2개, 동메달 1개를 획득했고 U-23 대표팀으로는 5번 참가하여 금메달과 동메달을 각각 1개씩 획득했다.

기타 국제 대회 기록[편집]

방글라데시에서 열린 2016년 방가반두컵에서 우승을 거머쥐었고 ANFA컵에서도 2번의 우승과 5번의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1986년 판차얏 실버 주빌리컵에서도 4강까지 올랐다. 그리고 인도에서 열린 주지사 골드컵에서도 2번 우승컵을 들어올렸으며 2004년에는 준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FIFA 월드컵 (본선)[편집]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우루과이 1930년 비회원국
이탈리아 왕국 1934년
프랑스 1938년
브라질 1950년
스위스 1954년
스웨덴 1958년
칠레 1962년
잉글랜드 1966년
멕시코 1970년
서독 1974년 불참
아르헨티나 1978년
스페인 1982년
멕시코 1986년 예선 탈락
이탈리아 1990년
미국 1994년 기권
프랑스 1998년 예선 탈락
대한민국일본 2002년
독일 2006년 기권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0년 예선 탈락
브라질 2014년
러시아 2018년
합계

FIFA 월드컵 (예선)[편집]

년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우루과이 1930년 비회원국
이탈리아 왕국 1934년
프랑스 1938년
브라질 1950년
스위스 1954년
스웨덴 1958년
칠레 1962년
잉글랜드 1966년
멕시코 1970년
서독 1974년 불참
아르헨티나 1978년
스페인 1982년
멕시코 1986년 4 0 1 3 0 11 1
이탈리아 1990년 6 0 0 6 0 28 0
미국 1994년 기권
프랑스 1998년 6 0 1 5 2 19 1
대한민국일본 2002년 6 2 0 4 13 25 6
독일 2006년 기권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0년 2 0 0 2 0 4 0
브라질 2014년 4 2 1 1 8 11 7
러시아 2018년 2 0 1 1 0 2 1
합계 30 4 4 22 23 100 16
순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169위 (아시아 33위)

AFC 아시안컵[편집]

AFC 아시안컵 (예선)[편집]

AFC 아시안컵 예선 기록
년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홍콩 1956년 불참
대한민국 1960년
이스라엘 1964년
이란 1968년
태국 1972년
이란 1976년
쿠웨이트 1980년
싱가포르 1984년 4 0 0 4 0 30 0
카타르 1988년 4 0 1 3 0 7 1
일본 1992년 기권
아랍에미리트 1996년 6 0 0 6 2 26 0
레바논 2000년 4 1 0 3 3 13 3
중화인민공화국 2004년 8 1 0 7 4 45 3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 2007년 AFC 챌린지컵 배정
카타르 2011년
오스트레일리아 2015년
아랍에미리트 2019년 8 0 3 5 3 13 3
합계 34 2 4 28 12 134 10

AFC 챌린지컵[편집]

년도 결과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방글라데시 2006년 4강 5 2 2 1 7 3 8
인도 2008년 조별리그 3 1 0 2 3 4 3
스리랑카 2010년 예선 탈락
네팔 2012년 조별리그 3 0 0 3 0 6 0
몰디브 2014년 예선 탈락
합계 4강(1회) 11 3 2 6 10 13 11

아시안 게임[편집]

아시안 게임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인도 1951년 비회원국
필리핀 1954년
일본 1958년
인도네시아 1962년
태국 1966년 불참
태국 1970년
이란 1974년
태국 1978년
인도 1982년 조별리그 16위 3 0 0 3 1 9 0
대한민국 1986년 조별리그 18위 4 0 0 4 0 17 0
중국 1990년 불참
일본 1994년 조별리그 18위 3 0 0 3 0 20 0
태국 1998년 조별리그 17위 2 0 0 2 0 6 0
합계 4회 출전(4/9) 조별리그(4회) 12 0 0 12 1 52 0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SAFF 남아시아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파키스탄 1993년 결선리그 3위 3 0 2 1 1 2 2
스리랑카 1995년 4강 4위 3 1 0 2 3 4 3
네팔 1997년 예선탈락 6위 2 0 0 2 1 5 0
인도 1999년 4강 4위 4 1 0 3 6 9 3
방글라데시 2003년 예선탈락 6위 3 1 0 2 4 4 3
파키스탄 2005년 예선탈락 5위 3 1 0 2 4 5 3
몰디브 스리랑카 2008년 예선탈락 5위 3 1 0 2 5 9 3
방글라데시 2009년 예선탈락 6위 3 1 1 1 4 2 4
인도 2011년 4강 4위 4 1 2 1 3 3 5
네팔 2013년 4강 4위 4 2 1 1 5 3 7
인도 2015년 예선탈락 6위 2 0 0 2 1 5 0
방글라데시 2018년 4강 3위 3 2 0 2 7 5 6
합계 11회 출전(11/11) 3위(1회) 34 11 6 21 44 56 39

AFC 솔리대리티컵[편집]

AFC 솔리대리티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말레이시아 2016년 우승 1위 4 2 2 0 6 2 8
합계 1회 (1/1) 우승(1회) 4 2 2 0 6 2 8

현재 선수 명단[편집]

아래 선수 명단은 2019년 9월 5일9월 10일 쿠웨이트, 중화 타이베이와의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B조 1·2차전에 출전한 23인 선수 명단이다

골키퍼:

수비수:

  • 로힛 찬드
  • 아난타 타망
  • 데벤드라 타망
  • 디넨슈 라즈반시
  • 수만 아리알
  • 란짓 디말
  • 아짓 반다리
  • 사로즈 다할

미드필더:

공격수:

주목할 만한 선수[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