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리아나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북마리아나 제도 | |||
---|---|---|---|
연맹 | 북마리아나 제도 축구 협회 | ||
대륙 | 아시아 축구 연맹 | ||
감독 | 레오 후지타 | ||
주장 | 조너선 존스 타카노 | ||
최다 출전자 | 니컬러스 스웨임 (15) | ||
최다 득점자 | 조 왕 밀러 (4) | ||
홈 구장 | 올레아이 종합운동장 | ||
FIFA 코드 | MNP | ||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 (팔라우 코로르; 1998년 7월 27일, 1998년 미크로네시아 경기 대회)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 (팔라우 코로르; 1998년 7월 31일, 1998년 미크로네시아 경기 대회)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 (괌 아가냐; 2007년 4월 1일, 2008년 EAFF 동아시안컵 1라운드) ![]() ![]() (네팔 카트만두; 2013년 3월 4일, 2014년 AFC 챌린지컵 예선) ![]() ![]() (몽골 울란바토르; 2018년 9월 4일,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1라운드) |
북마리아나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은 북마리아나 제도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북마리아나 제도 축구 협회에서 관리하고 있다. 국제축구연맹의 회원국은 아니지만 아시아 축구 연맹의 준회원국이자 동아시아 축구 연맹의 회원국이므로 AFC 및 EAFF 주관 대회에는 참가 가능하며 홈 구장으로는 올레아이 종합운동장을 사용하고 있다.
개요[편집]
1998년 7월 27일 팔라우 B팀과의 1998년 미크로네시아 경기 대회 예선 풀리그 1차전에서 첫 국제 경기를 치렀으며 이 경기에서 8-0의 대승을 거두었다. 그리고 나흘 후 팔라우와의 2차전 경기에서는 12-1의 대승을 거두었는데 이는 북마리아나 제도가 거둔 최다 점수차 승리이다. 북마리아나 제도는 본래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소속이었다가 2009년 AFC 및 EAFF에 편입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국제 대회 경력[편집]
EAFF E-1 풋볼 챔피언십[편집]
북마리아나는 당시 임시 회원국 자격으로 2008년 EAFF 동아시안컵 예선에 출전했으나 괌과의 홈에서 열린 1차전에서는 2-3 석패, 괌에서 열린 원정 2차전에서는 0-9 대패로 1·2차전 합계 2-12로 대패하면서 예선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그러다가 2015년 EAFF 동아시안컵 1라운드에서 마카오를 2-1로 꺾고 마침내 국제 대회 예선에서 사상 첫 승을 신고했고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1라운드에서는 홈팀 몽골, 2016년 AFC 솔리대리티컵 준우승팀인 마카오 그리고 제이슨 컨리프가 이끄는 괌을 상대하여 3경기에서 1무 2패로 간신히 3전 전패는 면했지만 최하위로 1라운드를 마쳤다.
AFC 챌린지컵[편집]
AFC 준회원국 자격으로 2014년 AFC 챌린지컵 예선에 참가하여 팔레스타인, 방글라데시, 네팔과 함께 D조에 편성되었다. 그러나 첫 경기에서 네팔에 0-6으로 대패했고 팔레스타인과의 2차전에서도 0-9로 대패했으며 최종전에서도 방글라데시에 0-4의 참패를 당하면서 3전 전패·조 최하위로 예선을 마쳤다.
기타 국제 대회 경력[편집]
1998년 미크로네시아 경기 대회와 1999년 미크로네시아컵 그리고 2008-2009 마리아나스컵이 현재까지도 남아있는 북마리아나 제도 국가대표팀의 국제 대회 출전 기록이며 이 대회들 중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대회는 1998년 미크로네시아 경기 대회로 당시 풀리그로 치러진 이 대회 예선에서 2위를 차지하며 결승에 진출했고 결승전에서 풀리그 예선 1위팀인 괌을 3-0으로 꺾고 사상 첫 국제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AFC 챌린지컵 기록[편집]
년도 | 진출 | 점 | 승 | 무 | 패 | 득 | 실 |
---|---|---|---|---|---|---|---|
![]() |
비회원국 | ||||||
![]() | |||||||
![]() | |||||||
![]() |
참가 비대상 | ||||||
![]() |
예선 탈락 | ||||||
합계 | 0/4 | 0 | 0 | 0 | 0 | 0 | 0 |
수상[편집]
- 1998년 미크로네시아 경기 대회 우승
주요 선수[편집]
- 니컬러스 스웨임
- 조너선 존스 타카노
- 조얼 프루트
- 마이클 베리
- 젠 조이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