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AFC 챌린지컵
2012년 AFC 챌린지컵 | |
---|---|
개최국 | ![]() |
개최기간 | 3월 8일 ~ 3월 19일 |
경기장 | 2개 (1개 도시) |
참가국 | 8개국 |
예선 참가 | 20개국 |
결과 | |
우승 | ![]() |
준우승 | ![]() |
3위 | ![]() |
4위 | ![]() |
최우수 선수 | ![]() |
최다 득점 | ![]() |
총 경기 | 16 |
총 득점 | 42골 (한 경기 평균 2.63골) |
총 관중 | 50,000명 (한 경기 평균 3,125명) |
« 2010 2014 » |
2012년 AFC 챌린지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에서 주관하는 네 번째 AFC 챌린지컵이다. 이 대회는 지난 대회와는 달리 자동 진출팀 없이 8개국이 모두 예선을 통과해서 출전하며 개최국을 그 8개 팀 중에서 결정하게 된다.[1] 2011년 7월 29일, 이 대회를 네팔에서 개최하기로 결정되었다. 이 대회에서 우승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15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출전하게 되었다.
본선 진출 확정 팀[편집]
국가 | 본선 자격 | 과거 본선 진출 횟수와 연도 |
---|---|---|
![]() |
A조 1위 | 1회 (2006) |
![]() |
A조 2위 | 1회 (2006) |
![]() |
B조 1위 | 3회 (2006, 2008*, 2010) |
![]() |
B조 2위, 전 대회 준우승 | 2회 (2008, 2010) |
![]() |
C조 1위 | 첫 출전 |
![]() |
C조 2위 | 3회 (2006, 2008, 2010) |
![]() |
D조 1위, 전 대회 우승 | 2회 (2008, 2010) |
![]() |
D조 2위 | 1회 (2006) |
- 강조된 연도는 우승한 대회
- *가 표시된 연도는 개최국이었던 대회
조별 리그[편집]
-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을 기준으로 합니다. (UTC+5:45)
A조[편집]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2 | 1 | 0 | 6 | 1 | +5 | 7 |
![]() |
3 | 2 | 1 | 0 | 4 | 0 | +4 | 7 |
![]() |
3 | 1 | 0 | 2 | 2 | 5 | −3 | 3 |
![]() |
3 | 0 | 0 | 3 | 0 | 6 | −6 | 0 |
2012년 3월 8일 15:00 | ||||||
투르크메니스탄 ![]() |
3 – 1 | ![]() |
카트만두 | |||
2012년 3월 8일 17:00 | ||||||
네팔 ![]() |
0 – 2 | ![]() |
카트만두 | |||
2012년 3월 10일 15:00 | ||||||
팔레스타인 ![]() |
0 – 0 | ![]() |
카트만두 | |||
2012년 3월 10일 17:00 | ||||||
몰디브 ![]() |
1 – 0 | ![]() |
카트만두 | |||
2012년 3월 12일 15:00 | ||||||
네팔 ![]() |
0 – 3 | ![]() |
카트만두 | |||
2012년 3월 12일 15:00 | ||||||
몰디브 ![]() |
0 – 2 | ![]() |
카트만두 | |||
B조[편집]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3 | 0 | 0 | 8 | 0 | +8 | 9 |
![]() |
3 | 2 | 0 | 1 | 4 | 3 | +1 | 6 |
![]() |
3 | 1 | 0 | 2 | 3 | 4 | −1 | 3 |
![]() |
3 | 0 | 0 | 3 | 0 | 8 | −8 | 0 |
2012년 3월 9일 15:00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2 – 0 | ![]() |
카트만두 | |||
박남철 ![]() 장국철 ![]() |
||||||
2012년 3월 9일 17:00 | ||||||
인도 ![]() |
0 – 2 | ![]() |
카트만두 | |||
함로쿨로프 ![]() 다브로노프 ![]() | ||||||
2012년 3월 11일 15:00 | ||||||
타지키스탄 ![]() |
0 – 2 | ![]() |
카트만두 | |||
박남철 ![]() 장국철 ![]() | ||||||
2012년 3월 11일 17:00 | ||||||
필리핀 ![]() |
2 – 0 | ![]() |
카트만두 | |||
P. 영허즈번드 ![]() ![]() |
||||||
2012년 3월 13일 15:00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4 – 0 | ![]() |
카트만두 | |||
전광익 ![]() 리광혁 ![]() 박남철 ![]() 리철명 ![]() |
||||||
2012년 3월 13일 15:00 | ||||||
타지키스탄 ![]() |
1 – 2 | ![]() |
카트만두 | |||
네그마토프 ![]() |
P. 영허즈번드 ![]() A. 기라도 ![]() | |||||
결선 토너먼트[편집]
준결승 | 결승 | |||||
3월 16일 - 카트만두 | ||||||
![]() | 2 | |||||
3월 19일 - 카트만두 | ||||||
![]() | 1 | |||||
![]() | 1 | |||||
3월 16일 - 카트만두 | ||||||
![]() | 2 | |||||
![]() | 2 | |||||
![]() | 0 | |||||
준결승전[편집]
2012년 3월 16일 14:30 | ||||||
투르크메니스탄 ![]() |
2 – 1 | ![]() |
카트만두, 다사라스 랑가살라 스타디움 관중수: 500명 심판: 고형진 ![]() | |||
아마노프 ![]() Çoňkaýew ![]() |
P. 영허즈번드 ![]() | |||||
2012년 3월 16일 18:30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2 – 0 | ![]() |
카트만두, 다사라스 랑가살라 스타디움 관중수: 3,000명 심판: 유세프 알 마르주크 ![]() | |||
박광룡 ![]() |
||||||
3·4위전[편집]
2012년 3월 19일 14:30 | ||||||
필리핀 ![]() |
4 – 3 | ![]() |
카트만두, 다사라스 랑가살라 스타디움 관중수: 1,000명 심판: 알리 사바 ![]() | |||
P. 영허즈번드 ![]() A. Guirado ![]() J. Guirado ![]() |
Abuhabib ![]() Attal ![]() | |||||
결승전[편집]
2012년 3월 19일 18:30 | ||||||
투르크메니스탄 ![]() |
1 – 2 | ![]() |
카트만두, 다사라스 랑가살라 스타디움 관중수: 9,000명 심판: 사토 류지 ![]() | |||
Şamyradow ![]() |
정일관 ![]() 장송혁 ![]() | |||||
우승[편집]
2012년 AFC 챌린지컵 우승 팀 |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번째 우승 |
수상[편집]
골든 슈 | 최우수 선수 | 페어 플레이 상 |
---|---|---|
![]() |
![]() |
![]() |
각주[편집]
- ↑ “No direct entry for 2012 AFC Challenge Cup”. the-afc.com. 2010년 5월 1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