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시리아 | |||
---|---|---|---|
별칭 | 붉은 독수리 | ||
연맹 | 시리아 축구 협회 | ||
대륙 | 아시아 축구 연맹 | ||
감독 | ![]() | ||
주장 | 오마르 알소마 | ||
최다 출전자 | 마헤르 알 사예드 (109) | ||
최다 득점자 | 피라스 알 카티브 (36) | ||
홈 구장 | 아바시인 경기장 알함다니아 스타디움 알레포 국제경기장 | ||
FIFA 코드 | SYR | ||
| |||
FIFA 랭킹 | |||
현재 |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 ||
최고 순위 | 78위 (1993년 8월) | ||
최저 순위 | 152위 (2014년 9월)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 (터키 앙카라; 1949년 11월 20일, 1950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 (시리아 다마스쿠스; 1997년 6월 4일, 199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 (이란, 테헤란; 1997년 6월 9일, 199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 (시리아, 알레포; 2001년 4월 30일, 200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 (그리스 아테네; 1949년 11월 25일) ![]() ![]()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1951년 10월 12일, 1951년 지중해 경기 대회) | |||
AFC 아시안컵 | |||
출전 횟수 | 6회 (1980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5위 (1980년) |
시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시리아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시리아 축구 협회에서 관리하고 있다. 아시아 축구 복병으로 불리는 팀들 중 하나로 '붉은 독수리'라는 별칭으로 알려져 있으며 홈 구장은 압바시인 경기장과 알레포 국제 경기장이다. 하지만 시리아 내전으로 인한 안전 문제가 불거지면서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홈 경기를 제3국에서 치르는 경우가 잦다. 1949년 11월 20일 앙카라에서 열린 튀르키예와의 1950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2조 1라운드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고 이 경기에서 0-7로 대패한 이후 2라운드에서는 기권을 선언했다.
국제 대회 경력[편집]
FIFA 월드컵[편집]
1950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을 시작으로 현재까지도 꾸준히 예선에 참가하고 있으나 월드컵 본선 기록은 전무하다. 그러나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10경기에서 3승 4무 3패·A조 3위로 사상 첫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하면서 시리아 축구 역사상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AFC 아시안컵[편집]
아시안컵 본선에는 6번 출전했으나 6번의 대회에서 모두 조별리그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그나마 1980년 대회에서 2승 1무 1패로 대회 5위를 차지하면서 시리아 축구 역사상 아시안컵 본선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아시안 게임[편집]
성인대표팀으로 아시안 게임에는 1982년 대회에 유일하게 참가했지만 2무 1패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고 U-23 대표팀으로는 2번(2006년, 2018년) 참가하여 이 중 2018년 대회에서 처음으로 8강에 진출하며 36년만에 아시안 게임 축구에서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본선에는 1980년 대회에 유일하게 출전해서 1무 2패의 초라한 성적으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이후 U-23 대표팀으로는 단 한번도 올림픽 본선에 오른 기록이 없다.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서아시아 선수권 대회에는 8번 출전하여 이 중 2012년 대회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2000년과 2004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2007년과 2008년 대회에서는 3위에 이름을 올렸다.
FIFA 아랍컵[편집]
1963년 초대 대회에 처음으로 참가한 이후 현재까지 이 대회에서만 3번의 준우승(1963년, 1966년, 1988년)을 차지했고 1992년 대회에서는 4강에 이름을 올리는 등 좋은 성적을 남겼으나 이후의 FIFA 아랍컵 대회에서는 이렇다할 성과를 남기지 못하고 있다.
기타 국제 대회 경력[편집]
지중해 경기 대회에는 7번 출전하여 자국에서 열린 1987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고 초대 대회인 1951년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팬아랍 게임에는 8번 참가하여 금메달 1개(1957년), 은메달 2개(1953년, 1997년), 동메달 1개(1976년)를 획득했다.
FIFA 월드컵 (본선)[편집]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비회원국 | ||||||||
![]() | |||||||||
![]() | |||||||||
![]() |
예선 도중 기권 | ||||||||
![]() |
불참 | ||||||||
![]() |
예선 탈락 | ||||||||
![]() |
기권 (아랍 연합 공화국으로 참여) | ||||||||
![]() | |||||||||
![]() |
불참 | ||||||||
![]() |
예선 탈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예선 도중 실격 | ||||||||
![]() |
예선 탈락 | ||||||||
합계 |
FIFA 월드컵 (예선)[편집]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비회원국 | ||||||
![]() | |||||||
![]() | |||||||
![]() |
1 | 0 | 0 | 1 | 0 | 7 | 0 |
![]() |
불참 | ||||||
![]() |
2 | 0 | 1 | 1 | 1 | 2 | 1 |
![]() |
기권 | ||||||
![]() | |||||||
![]() |
불참 | ||||||
![]() |
6 | 3 | 1 | 2 | 6 | 6 | 10 |
![]() |
4 | 1 | 0 | 3 | 2 | 6 | 3 |
![]() |
4 | 0 | 0 | 4 | 2 | 7 | 0 |
![]() |
8 | 4 | 3 | 1 | 8 | 4 | 15 |
![]() |
4 | 2 | 1 | 1 | 7 | 5 | 7 |
![]() |
6 | 3 | 3 | 0 | 14 | 4 | 12 |
![]() |
5 | 2 | 1 | 2 | 27 | 5 | 7 |
![]() ![]() |
6 | 4 | 1 | 1 | 40 | 6 | 13 |
![]() |
6 | 2 | 2 | 2 | 7 | 7 | 8 |
![]() |
10 | 6 | 2 | 2 | 23 | 10 | 20 |
![]() |
2 | 0 | 0 | 2 | 0 | 6 | 0 |
![]() |
20 | 9 | 5 | 6 | 37 | 22 | 32 |
합계 | 84 | 36 | 20 | 28 | 174 | 97 | 128 |
순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69위 (아시아 13위) |
AFC 아시안컵 (본선)[편집]
AFC 아시안컵 본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비회원국 | ||||||||
![]() | |||||||||
![]() | |||||||||
![]() | |||||||||
![]() |
예선 탈락 | ||||||||
![]() |
기권 | ||||||||
![]() |
조별리그 | 5위 | 4 | 2 | 1 | 1 | 3 | 2 | 7 |
![]() |
조별리그 | 8위 | 4 | 1 | 1 | 2 | 3 | 5 | 4 |
![]() |
조별리그 | 6위 | 4 | 2 | 0 | 2 | 2 | 5 | 6 |
![]() |
예선 탈락 | ||||||||
![]() |
조별리그 | 9위 | 3 | 1 | 0 | 2 | 3 | 6 | 3 |
![]() |
예선 탈락 | ||||||||
![]() | |||||||||
![]() ![]() ![]() ![]() | |||||||||
![]() |
조별리그 | 11위 | 3 | 1 | 0 | 2 | 4 | 5 | 3 |
![]() |
예선 탈락 | ||||||||
![]() |
조별리그 | 18위 | 3 | 0 | 1 | 2 | 2 | 5 | 1 |
합계 | 6회 진출(6/17) | 조별리그(5회) | 21 | 7 | 3 | 11 | 17 | 28 | 24 |
순위 | 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 13위 |
AFC 아시안컵 (예선)[편집]
AFC 아시안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비회원국 | ||||||||
![]() | |||||||||
![]() | |||||||||
![]() | |||||||||
![]() |
3 | 0 | 2 | 1 | 4 | 5 | 2 | ||
![]() |
기권 | ||||||||
![]() |
3 | 2 | 1 | 0 | 2 | 0 | 7 | ||
![]() |
5 | 3 | 0 | 2 | 9 | 8 | 9 | ||
![]() |
4 | 3 | 1 | 0 | 8 | 2 | 10 | ||
![]() |
2 | 1 | 0 | 1 | 3 | 4 | 3 | ||
![]() |
4 | 3 | 0 | 1 | 6 | 2 | 9 | ||
![]() |
6 | 4 | 1 | 1 | 11 | 3 | 13 | ||
![]() |
6 | 2 | 1 | 3 | 16 | 10 | 7 | ||
![]() ![]() ![]() ![]() |
6 | 2 | 2 | 2 | 10 | 6 | 8 | ||
![]() |
6 | 4 | 2 | 0 | 10 | 2 | 14 | ||
![]() |
6 | 1 | 1 | 4 | 7 | 7 | 4 | ||
![]() |
8 | 6 | 0 | 2 | 26 | 11 | 18 | ||
합계 | 59 | 31 | 11 | 17 | 112 | 60 | 104 |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독립 이전 | ||||||||
![]() | |||||||||
![]() | |||||||||
![]() | |||||||||
![]() | |||||||||
![]() | |||||||||
![]() | |||||||||
![]() | |||||||||
![]() |
불참 | ||||||||
![]() | |||||||||
![]() | |||||||||
![]() | |||||||||
![]() | |||||||||
![]() | |||||||||
![]() | |||||||||
![]() |
진출 실패 | ||||||||
![]() |
조별리그 | 15위 | 3 | 0 | 1 | 2 | 0 | 8 | 1 |
![]() |
진출 실패 | ||||||||
![]() | |||||||||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1회 진출(1/18[8]) | 조별리그(1회) | 3 | 0 | 1 | 2 | 0 | 8 | 1 |
아시안 게임[편집]
아시안 게임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불참 | ||||||||
![]() | |||||||||
![]() |
아랍 연합 공화국 소속 | ||||||||
![]() | |||||||||
![]() |
불참 | ||||||||
![]() | |||||||||
![]() | |||||||||
![]() | |||||||||
![]() |
조별리그 | 10위 | 3 | 0 | 2 | 1 | 3 | 5 | 2 |
![]() |
불참 | ||||||||
![]() | |||||||||
![]() | |||||||||
![]() | |||||||||
![]() | |||||||||
![]() |
조별리그 | 12위 | 6 | 2 | 3 | 1 | 6 | 2 | 9 |
![]() |
불참 | ||||||||
![]() | |||||||||
합계 | 2회 진출(2/17) | 조별리그(2회) | 9 | 2 | 5 | 2 | 9 | 7 | 11 |
WAFF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FIFA 아랍컵[편집]
아랍 네이션스컵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결선리그 | 준우승 | 4 | 3 | 0 | 1 | 11 | 3 | 9 |
![]() |
불참 | ||||||||
![]() |
준우승 | 2위 | 5 | 3 | 1 | 1 | 9 | 4 | 10 |
![]() |
불참 | ||||||||
![]() |
준우승 | 2위 | 6 | 2 | 3 | 1 | 5 | 5 | 9 |
![]() |
4강 | 4위 | 4 | 0 | 3 | 1 | 2 | 3 | 3 |
![]() |
조별리그 | 12위 | 2 | 0 | 0 | 2 | 1 | 6 | 0 |
![]() |
조별리그 | 5위 | 4 | 2 | 0 | 2 | 8 | 6 | 6 |
![]() |
불참 | ||||||||
합계 | 6회 출전(6/9) | 준우승(3회) | 25 | 10 | 7 | 8 | 36 | 27 | 37 |
지중해 게임[편집]
판 아랍 게임[편집]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기록[편집]
시리아는 이집트와의 통일(아랍 연합 공화국)에 맞추어 같은 이름의 단일팀으로 아래와 같이 1회 출전하였다.
주요 선수[편집]
각주[편집]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본선 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다만, 이는 오직
이집트의 우승으로만 기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