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
---|---|
원어 명칭 | Coupe des confédérations 2003 |
개최국 | ![]() |
개최기간 | 6월 18일 ~ 6월 29일 |
경기장 | 3 (3개 도시) |
결과 | |
우승 | ![]() |
준우승 | ![]() |
3위 | ![]() |
4위 | ![]() |
최다 득점 | ![]() |
최우수 선수 | ![]() |
페어 플레이상 | ![]() |
통계 | |
총 경기 | 16경기 |
총 득점 | 37골 (경기당 2.31골) |
총 관중 | 491,700명 (경기당 30,731명) |
« 2001 2005 » |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영어: 2003 FIFA Confederations Cup, 프랑스어: Coupe des confédérations 2003)은 2003년 6월 18일부터 6월 29일까지 프랑스에서 개최된 6번째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이다. 모두 491,7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으며, 평균 관중은 30,731명이었다.
콜롬비아와 카메룬의 4강전 경기에서 카메룬의 마르크비비앙 푀 선수가 경기 도중에 심정지로 사망하였다. 이 사고로 인해 선수들을 혹사시킨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를 계기로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개최 주기가 2년 뒤인 2005년부터는 기존의 2년 주기에서 4년 주기로 변경되었으며 FIFA 월드컵 개최국에서 FIFA 월드컵 개최 1년 전에 컨페더레이션스컵이 개최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1]
개최국 선정[편집]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유치 신청은 2002년 5월 1일을 기해 마감되었으며 대회 유치 계획은 5개 안건을 통해 제시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 포르투갈, 미국은 단독 유치를 신청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이집트, 프랑스-스위스는 공동 유치를 신청했다. 하지만 프랑스-스위스 공동 유치 계획은 구체화되지 않았다. 국제 축구 연맹(FIFA) 집행위원회는 2002년 9월 24일에 열린 회의에서 프랑스를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개최국으로 선정했다.
참가 팀[편집]
국가대표팀 | 자격 | 출전 횟수 |
---|---|---|
![]() |
UEFA 유로 2000 우승 팀 | 개최국,2번째 출전 |
![]() |
2002년 FIFA 월드컵 우승 | 4번째 출전 |
![]() |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 2번째 출전 |
![]() |
2001년 코파 아메리카 우승 | 1번째 출전 |
![]() |
2000년 AFC 아시안컵 우승 | 3번째 출전 |
![]() |
2002년 OFC 네이션스컵 우승 | 2번째 출전 |
![]() |
2002년 FIFA 월드컵 3위 | 1번째 출전 |
![]() |
2002년 CONCACAF 골드컵 우승 | 3번째 출전 |
- 2002년 FIFA 월드컵에서 3위를 차지한 팀인 터키는 UEFA 유로 2000 준우승 팀이었던 이탈리아, 2002년 FIFA 월드컵 준우승 팀이었던 독일이 불참하면서 참가하게 되었다.
개최 도시 및 경기장[편집]
생드니 | 리옹 | 생테티엔 |
---|---|---|
스타드 드 프랑스 | 스타드 드 제를랑 | 스타드 조프루아 기샤르 |
수용 인원: 80,000명 | 수용 인원: 41,200명 | 수용 인원: 36,000명 |
![]() |
시드 배정[편집]
같은 대륙별 축구 연맹에 속한 팀끼리는 같은 조에 넣지 않는다는 원칙에 따라 유럽 축구 연맹(UEFA), 남아메리카 축구 연맹(CONMEBOL)에 속한 팀들은 서로 다른 조에 배정되었다. 프랑스가 A조 1번째 자리(A1), 브라질이 B조 1번째 자리(B1)에 각각 자동으로 배정되었으며 콜롬비아는 A조, 터키는 B조에 각각 배정되었다.
포트 A | 포트 B | 포트 C |
---|---|---|
선수 명단[편집]
조별 리그[편집]
-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CEST/UTC+2)을 따름.
A조[편집]
팀 | 승점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
![]() |
9 | 3 | 3 | 0 | 0 | 8 | 1 | +7 |
![]() |
6 | 3 | 2 | 0 | 1 | 4 | 2 | +2 |
![]() |
3 | 3 | 1 | 0 | 2 | 4 | 3 | +1 |
![]() |
0 | 3 | 0 | 0 | 3 | 1 | 11 | −10 |
2003년 6월 18일 18:00 | ||||||
뉴질랜드 ![]() |
0 – 3 | ![]() |
스타드 드 프랑스, 생드니 관중: 36,038 심판: 코피 코지아 ![]() | |||
리포트 | 나카무라 ![]() ![]() 나카타 ![]() | |||||
2003년 6월 18일 21:00 | ||||||
프랑스 ![]() |
1 – 0 | ![]() |
스타드 드 제를랑, 리옹 관중: 38,541 심판: 루실리우 바티스타 ![]() | |||
앙리 ![]() |
리포트 | |||||
2003년 6월 20일 19:00 | ||||||
콜롬비아 ![]() |
3 – 1 | ![]() |
스타드 드 제를랑, 리옹 관중: 22,811 심판: 카를로스 바트레스 ![]() | |||
로페스 ![]() 예페스 ![]() 에르난데스 ![]() |
리포트 | 데 그레고리오 ![]() | ||||
2003년 6월 20일 21:00 | ||||||
프랑스 ![]() |
2 – 1 | ![]() |
스타드 조프루아 기샤르, 생테티엔 관중: 33,070 심판: 마크 실드 ![]() | |||
피레스 ![]() 고부 ![]() |
리포트 | 나카무라 ![]() | ||||
2003년 6월 22일 21:00 | ||||||
프랑스 ![]() |
5 – 0 | ![]() |
스타드 드 프랑스, 생드니 관중: 36,842 심판: 마수드 모라디 ![]() | |||
카포 ![]() 앙리 ![]() 시세 ![]() 지울리 ![]() 피레스 ![]() |
리포트 | |||||
2003년 6월 22일 21:00 | ||||||
일본 ![]() |
0 – 1 | ![]() |
스타드 조프루아 기샤르, 생테티엔 관중: 24,541 심판: 호르헤 라리온다 ![]() | |||
리포트 | 에르난데스 ![]() | |||||
B조[편집]
팀 | 승점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
![]() |
7 | 3 | 2 | 1 | 0 | 2 | 0 | +2 |
![]() |
4 | 3 | 1 | 1 | 1 | 4 | 4 | 0 |
![]() |
4 | 3 | 1 | 1 | 1 | 3 | 3 | 0 |
![]() |
1 | 3 | 0 | 1 | 2 | 1 | 3 | −2 |
2003년 6월 19일 19:00 | ||||||
튀르키예 ![]() |
2 – 1 | ![]() |
스타드 조프루아 기샤르, 생테티엔 관중: 16,944 심판: 호르헤 라리온다 ![]() | |||
오칸 ![]() 툰자이 ![]() |
리포트 | 비즐리 ![]() | ||||
2003년 6월 19일 21:00 | ||||||
브라질 ![]() |
0 – 1 | ![]() |
스타드 드 프랑스, 생드니 관중: 46,719 심판: 발렌틴 이바노프 ![]() | |||
리포트 | 에토 ![]() | |||||
2003년 6월 21일 19:00 | ||||||
카메룬 ![]() |
1 – 0 | ![]() |
스타드 드 프랑스, 생드니 관중: 43,743 심판: 카를로스 아마리야 ![]() | |||
제레미 ![]() |
리포트 | |||||
2003년 6월 21일 21:00 | ||||||
브라질 ![]() |
1 – 0 | ![]() |
스타드 드 제를랑, 리옹 관중: 20,306 심판: 루실리우 바티스타 ![]() | |||
아드리아누 ![]() |
리포트 | |||||
2003년 6월 23일 21:00 | ||||||
브라질 ![]() |
2 – 2 | ![]() |
스타드 조프루아 기샤르, 생테티엔 관중: 29,170 심판: 마르쿠스 메르크 ![]() | |||
아드리아누 ![]() 알렉스 ![]() |
리포트 | 괴크데니즈 ![]() 오칸 ![]() | ||||
2003년 6월 23일 21:00 | ||||||
미국 ![]() |
0 – 0 | ![]() |
스타드 드 제를랑, 리옹 관중: 19,206 심판: 마크 실드 ![]() | |||
리포트 | ||||||
결선 토너먼트[편집]
-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CEST/UTC+2)을 따름.
준결승전 | 결승전 | ||||||
6월 26일 - 리옹 | |||||||
![]() |
1 | ||||||
![]() |
0 | ||||||
6월 29일 - 생드니 | |||||||
![]() |
1 | ||||||
![]() |
0 | ||||||
3·4위 결정전 | |||||||
6월 26일 - 생드니 | 6월 28일 - 생테티엔 | ||||||
![]() |
3 | ![]() |
1 | ||||
![]() |
2 | ![]() |
2 |
준결승전[편집]
2003년 6월 26일 18:00 | ||||||
카메룬 ![]() |
1 – 0 | ![]() |
스타드 드 제를랑, 리옹 관중: 12,352 심판: 마르쿠스 메르크 ![]() | |||
피우스 은디에피 ![]() |
리포트 | |||||
2003년 6월 26일 21:00 | ||||||
프랑스 ![]() |
3 – 2 | ![]() |
스타드 드 프랑스, 생드니 관중: 41,195 심판: 호르헤 라리온다 ![]() | |||
앙리 ![]() 피레스 ![]() 윌토르 ![]() |
리포트 | 괴크데니즈 ![]() 툰자이 ![]() | ||||
- 카메룬과 콜롬비아의 경기에서 카메룬의 마르크비비앙 푀 선수가 경기 도중에 사망하였다.
3·4위전[편집]
2003년 6월 28일 18:00 | ||||||
콜롬비아 ![]() |
1 – 2 | ![]() |
스타드 조프루아 기샤르, 생테티엔 관중: 51,237 심판: 마크 실드 ![]() | |||
에르난데스 ![]() |
리포트 | 툰자이 ![]() 오칸 ![]() | ||||
결승전[편집]
2003년 6월 29일 18:00 | ||||||
카메룬 ![]() |
0 – 1 (연장전) | ![]() |
스타드 드 프랑스, 생드니 관중: 51,985 심판: 발렌틴 이바노프 ![]() | |||
리포트 | 앙리 ![]() | |||||
우승[편집]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
![]() 프랑스 2번째 우승 |
수상[편집]
FIFA 골든 슈 | FIFA 골든 볼 | FIFA 페어플레이 수상 |
---|---|---|
![]() |
![]() |
![]() |
최종 순위[편집]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1 | ![]() |
5 | 5 | 0 | 0 | 12 | 3 | +9 | 15 |
2 | ![]() |
5 | 3 | 1 | 1 | 3 | 1 | +2 | 10 |
3 | ![]() |
5 | 2 | 2 | 1 | 8 | 8 | 0 | 8 |
4 | ![]() |
5 | 2 | 0 | 3 | 5 | 5 | 0 | 6 |
5 | ![]() |
3 | 1 | 1 | 1 | 3 | 3 | 0 | 4 |
6 | ![]() |
3 | 1 | 0 | 2 | 4 | 3 | +1 | 3 |
7 | ![]() |
3 | 0 | 1 | 2 | 1 | 3 | -2 | 1 |
8 | ![]() |
3 | 0 | 0 | 3 | 1 | 11 | -10 | 0 |
- 4강 진출 팀은 결승전 및 3,4위전으로 순위를 가린다. 이전 단계에서 탈락한 팀들의 순위는 조별 리그와 동일하게 승점-골득실차-다득점순으로 가리며 모두 같을 경우 공동 순위로 한다.
-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5위에서 최하 8위까지이다.
- 토너먼트에서 승부차기로 경기가 가려진 경우에는 FIFA의 규정에 따라 무승부로 기재한다.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 (영어)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03 공식 사이트 Archived 2012년 5월 13일 - 웨이백 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