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68년 하계 올림픽 축구
개최국멕시코
개최기간1968년 10월 13일 ~ 10월 26일
경기장4 (4개개 도시)
결과
우승Flag of Hungary.svg 헝가리(3번째 우승)
준우승불가리아 불가리아
3위일본 일본
4위Flag of Mexico.svg 멕시코
최다 득점일본 가마모토 구니시게
(7골)
통계
총 경기32경기
총 득점116골 (경기당 3.63골)
« 1964
1972 »

축구1968년 하계 올림픽의 세부 종목 중 하나이다. 이 대회에 5개 대륙 16개국의 남자부 국가대표팀이 참가했다. 본선 참가 16개국은 4개국씩 4개 조로 나뉘어 각 조의 국가들끼리 리그전 형식으로 맞대결을 펼쳤다. 조별 리그가 완료되면, 각 조의 상위 2개국이 토너먼트전에 올라가 8강전부터 1968년 10월 26일에 아스테카에서 열린 금메달 결정전까지 단판 승부를 펼쳤다. 이 대회에서 아시아 국가가 처음으로 메달을 획득했는데, 일본이 동메달을 획득했다.[1]

예선[편집]

경기장[편집]

멕시코 시 푸에블라 과달라하라 레온
아스테카 콰우테모크 할리스코 레온 신구장
수용 인원: 104,000[2] 수용 인원: 35,563[3] 수용 인원: 31,891[4] 수용 인원: 23,609[4]
Estadio Azteca (2011-09-25).jpg Estadio Cuauhtémoc Innenansicht.jpg Barra 51.jpg Estadio León (Nou Camp), León, Guanajuato, México -Imagen Actual- 2013-12-10 14-09.jpg

메달리스트[편집]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Flag of Hungary.svg 헝가리 불가리아 불가리아 일본 일본
바스티 이스트반
두너이 언털
두너이 러요시
노스코 에르뇌
노바크 데쇠
퍼터르 커로이
퍼제커시 라실로
유하시 이스트반
케글로비흐 라실로
코치시 러요시
멘첼 이반
너지 라실로
판치치 미클로시
사르쾨지 이스트반
쉬치 러요시
서르커 졸탄
설러이 미클로시
스토얀 요르다노프
아타나스 게로프
게오르기 흐리스타키에프
밀코 가이다르스키
키릴 이브코프
이바일로 게오르기에프
츠베탄 베셀리노프
에브게니 얀초프스키
페터르 제코프
아타나스 흐리스토프
아스파루흐 도네프
키릴 스탄코프
게오르기 이바노프
토도르 니콜로프
얀초 디미트로프
이반 자피로프
미하일 교닌
게오르기 바실레프
요코야마 겐조
가타야마 히로시
미야모토 마사카쓰
야마구치 요시타다
가마타 미쓰오
스즈키 료조
도미자와 기요시
모리 다카지
오기 아리타쓰
유구치 에이조
야에가시 시게오
미야모토 데루키
와타나베 마사시
구와하라 야스유키
가마모토 구니시게
마쓰모토 이쿠오
스기야마 류이치
하마자키 마사히로

선수 명단[편집]

조별 리그[편집]

A조[편집]

순위 경기 승점 통과
1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 3 2 0 1 8 4 +4 4 토너먼트전 진출
2 Flag of Mexico.svg 멕시코 (H) 3 2 0 1 6 4 +2 4
3 Flag of Colombia.svg 콜롬비아 3 1 0 2 4 5 −1 2
4 Flag of Guinea.svg 기니 3 1 0 2 4 9 −5 2
출처: FIFA
(H) 홈경기.
1968년 10월 13일
12:00
멕시코 Flag of Mexico.svg 1–0 Flag of Colombia.svg 콜롬비아 멕시코 시 아스테카
심판: 솔트 이스트반 (HUN)
에스트라다 6분에 득점 6′ 리포트
1968년 10월 13일
12:00
프랑스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3–1 Flag of Guinea.svg 기니 푸에블라 콰우테모크
심판: 밀리보예 구굴로비치 (YUG)
아예 61분에 득점 61′
올라비유 64분에 득점 64′
페리고 70분에 득점 70′
리포트 막심 79분에 득점 79′

1968년 10월 15일
12:00
기니 Flag of Guinea.svg 3–2 Flag of Colombia.svg 콜롬비아 푸에블라 콰우테모크
심판: 디미타르 루멘체프 (BUL)
은동고 26분에 득점 26′
부야 58분, 84분에 득점 58′84′
리포트 산타 49분에 득점 49′
모스케라 66분에 득점 66′
1968년 10월 15일
12:00
프랑스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4–1 Flag of Mexico.svg 멕시코 멕시코 시 아스테카
심판: 에르윈 이에게르 (PER)
카스 20분, 69분에 득점 20′69′
탐부에옹 30분에 득점 30′
메디나 36분에 득점 36′ (자책골)
리포트 빅토리노 26분에 득점 26′

1968년 10월 17일
12:00
멕시코 Flag of Mexico.svg 4–0 Flag of Guinea.svg 기니 멕시코 시 아스테카
심판: 수바리 완차이 (THA)
페레다 70분, 85분에 득점 70′85′
풀리도 로드리게스 86분, 88분에 득점 86′88′
리포트
1968년 10월 17일
12:00
콜롬비아 Flag of Colombia.svg 2–1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 푸에블라 콰우테모크
심판: 카롤 갈바 (TCH)
타마요 오요스 14분에 득점 14′
하라미요 35분에 득점 35′
리포트 탐부에옹 59분에 득점 59′

B조[편집]

순위 경기 승점 통과
1 스페인 스페인 3 2 1 0 4 0 +4 5 토너먼트전 진출
2 일본 일본 3 1 2 0 4 2 +2 4
3 브라질 브라질 3 0 2 1 4 5 −1 2
4 Flag of Nigeria.svg 나이지리아 3 0 1 2 4 9 −5 1
출처: FIFA
1968년 10월 14일
12:00
스페인 스페인 1–0 브라질 브라질 멕시코 시 아스테카
심판: 아브라함 클라인 (ISR)
페르난데스 77분에 득점 77′ 리포트
1968년 10월 14일
12:00
일본 일본 3–1 Flag of Nigeria.svg 나이지리아 푸에블라 콰우테모크
심판: 라몬 사가스투메 마르몰 (SLV)
가마모토 24분, 72분, 89분에 득점 24′72′89′ 리포트 오코예 33분에 득점 33′

1968년 10월 16일
12:00
스페인 스페인 3–0 Flag of Nigeria.svg 나이지리아 멕시코 시 아스테카
심판: 아우구스토 로블레스 (GUA)[5]
오르투뇨 27분에 득점 27′
그란데 52분, 69분에 득점 52′69′
리포트
1968년 10월 16일
12:00
브라질 브라질 1–1 일본 일본 푸에블라 콰우테모크
심판: 조지 램프티 (GHA)
페레치 9분에 득점 9′ 리포트 와타나베 83분에 득점 83′

1968년 10월 18일
12:00
브라질 브라질 3–3 Flag of Nigeria.svg 나이지리아 푸에블라 콰우테모크
심판: 세윰 타레케근 (ETH)
페레치 50분에 득점 50′
올루모데지 59분에 득점 59′ (자책골)
치앙 65분에 득점 65′
리포트 올라욤보 10분, 41분에 득점 10′41′
아니에케 19분에 득점 19′
1968년 10월 18일
12:00
스페인 스페인 0–0 일본 일본 멕시코 시 아스테카
심판: 에르윈 이에게르 (PER)
리포트

C조[편집]

모로코가 이스라엘과의 경기를 거부하면서, 가나가 모로코를 대신했다.

순위 경기 승점 통과
1 Flag of Hungary.svg 헝가리 3 2 1 0 8 2 +6 5 토너먼트전 진출
2 Flag of Israel.svg 이스라엘 3 2 0 1 8 6 +2 4
3 Flag of Ghana.svg 가나 3 0 2 1 6 8 −2 2
4 Flag of El Salvador.svg 엘살바도르 3 0 1 2 2 8 −6 1
출처: FIFA
1968년 10월 13일
12:00
이스라엘 Flag of Israel.svg 5–3 Flag of Ghana.svg 가나 레온 레온 신구장
심판: 미셸 키타브지앙 (FRA)
슈피겔 11분, 75분에 득점 11′75′
파이겐바움 16분, 30분, 70분에 득점 16′30′70′
리포트 자비르 18분, 79분에 득점 18′79′
아모사 35분에 득점 35′
1968년 10월 13일
12:00
헝가리 Flag of Hungary.svg 4–0 Flag of El Salvador.svg 엘살바도르 과달라하라 할리스코
심판: 디에고 데 레온 (MEX)
멘첼 19분에 득점 19′
A. 두너이 47분에 득점 47′
퍼제커시 51분에 득점 51′
사르쾨지 68분에 득점 68′
리포트

1968년 10월 15일
12:00
헝가리 Flag of Hungary.svg 2–2 Flag of Ghana.svg 가나 과달라하라 할리스코
심판: 마루야마 요시유키 (JPN)
A. 두너이 15분에 득점 15′
멘첼 17분에 득점 17′
리포트 선데이 12분에 득점 12′
삼핀 33분에 득점 33′
1968년 10월 15일
12:00
이스라엘 Flag of Israel.svg 3–1 Flag of El Salvador.svg 엘살바도르 레온 레온 신구장
심판: 톰슨 샤키부딘 바드루 (NGA)
탈비 20분에 득점 20′
슈피글러 44분에 득점 44′
85분에 득점 85′
리포트 마르티네스 35분에 득점 35′

1968년 10월 17일
12:00
엘살바도르 Flag of El Salvador.svg 1–1 Flag of Ghana.svg 가나 레온 레온 신구장
심판: 마리아노 메디나 이글레시아스 (ESP)
로드리게스 42분에 득점 42′ 리포트 코피 55분에 득점 55′
1968년 10월 17일
12:00
헝가리 Flag of Hungary.svg 2–0 Flag of Israel.svg 이스라엘 과달라하라 할리스코
심판: 아르투로 야마사키 (PER)
A. 두너이 40분, 75분에 득점 40′75′ 리포트

D조[편집]

순위 경기 승점 통과
1 불가리아 불가리아 3 2 1 0 11 3 +8 5 토너먼트전 진출
2 Flag of Guatemala.svg 과테말라 3 2 0 1 6 3 +3 4
3 Flag of the Czech Republic.svg 체코슬로바키아 3 1 1 1 10 3 +7 3
4 Flag of Thailand.svg 태국 3 0 0 3 1 19 −18 0
출처: FIFA
1968년 10월 14일
12:00
과테말라 Flag of Guatemala.svg 1–0 Flag of the Czech Republic.svg 체코슬로바키아 과달라하라 할리스코
심판: 호무아우두 아르피 필류 (BRA)
스토케스 28분에 득점 28′ 리포트
1968년 10월 14일
12:00
불가리아 불가리아 7–0 Flag of Thailand.svg 태국 레온 레온 신구장
심판: 기예르모 벨라스케스 (COL)
교닌 25분에 득점 25′
제코프 55분에 득점 55′
미하일로프 56분, 61분에 득점 56′61′
자피로프 73분에 득점 73′
니코디모프 85분에 득점 85′
이브코프 88분에 득점 88′
리포트

1968년 10월 16일
12:00
불가리아 불가리아 2–2 Flag of the Czech Republic.svg 체코슬로바키아 과달라하라 할리스코
심판: 아벨 아길라르 엘리살데 (MEX)
게오르기에프 44분에 득점 44′
제코프 77분에 득점 77′
리포트 야라빈스키 25분에 득점 25′
페트라시 42분에 득점 42′
1968년 10월 16일
12:00
과테말라 Flag of Guatemala.svg 4–1 Flag of Thailand.svg 태국 레온 레온 신구장
심판: 장-루이 파베르 (GUI)
N. 멜가르 23분, 85분에 득점 23′85′
롤단 55분에 득점 55′
로페스 올리바 67분에 득점 67′
리포트 우돔실프 소른부트나르크 44분에 득점 44′

1968년 10월 18일
12:00
불가리아 불가리아 2–1 Flag of Guatemala.svg 과테말라 레온 레온 신구장
심판: 라울 오소리오 (MEX)
니코디모프 50분에 득점 50′
제코프 84분에 득점 84′
리포트 로페스 올리바 88분에 득점 88′
1968년 10월 18일
12:00
체코슬로바키아 Flag of the Czech Republic.svg 8–0 Flag of Thailand.svg 태국 과달라하라 할리스코
심판: 펠리페 부에르고 엘콰스 (MEX)
헤르브슈트 12분에 득점 12′
페트라시 17분, 18분, 67분에 득점 17′18′67′
스트라틸 28분, 34분에 득점 28′34′
베체레크 38분에 득점 38′
크르나츠 83분에 득점 83′
리포트

결선 토너먼트[편집]

대진표[편집]

 
8강준결승결승
 
          
 
10월 20일 – 과달라하라
 
 
Flag of Hungary.svg 헝가리1
 
10월 22일 – 멕시코 시
 
Flag of Guatemala.svg 과테말라0
 
Flag of Hungary.svg 헝가리5
 
10월 20일 – 멕시코 시
 
일본 일본0
 
일본 일본3
 
10월 26일 – 멕시코 시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1
 
Flag of Hungary.svg 헝가리4
 
10월 20일 – 레온
 
불가리아 불가리아1
 
불가리아 불가리아1
 
10월 22일 – 과달라하라
 
Flag of Israel.svg 이스라엘1
 
불가리아 불가리아3
 
10월 20일 – 푸에블라
 
Flag of Mexico.svg 멕시코2 동메달 결정전
 
Flag of Mexico.svg 멕시코2
 
10월 24일 – 멕시코 시
 
스페인 스페인0
 
일본 일본2
 
 
Flag of Mexico.svg 멕시코0
 

8강전[편집]

1968년 10월 20일
12:00
멕시코 Flag of Mexico.svg 2–0 스페인 스페인 푸에블라 콰우테모크
심판: 밀리보예 구굴로비치 (YUG)
모랄레스 34분에 득점 34′
페레다 48분에 득점 48′
리포트

1968년 10월 20일
12:00
헝가리 Flag of Hungary.svg 1–0 Flag of Guatemala.svg 과테말라 과달라하라 할리스코
심판: 아르투로 야마사키 (PER)
수치 69분에 득점 69′ 리포트

1968년 10월 20일
12:00
일본 일본 3–1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 멕시코 시 아스테카
심판: 세윰 타레케근 (ETH)
가마모토 27분, 59분에 득점 27′59′
와타나베 70분에 득점 70′
리포트 탐부에옹 32분에 득점 32′

1968년 10월 20일
12:00
불가리아 불가리아 1–1 Flag of Israel.svg 이스라엘 레온 레온 신구장
심판: 미셸 키타브지앙 (FRA)
흐리스타키에프 5분에 득점 5′ 리포트 파이겐바움 89분에 득점 89′

불가리아는 추첨을 통해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준결승전[편집]

1968년 10월 22일
12:00
멕시코 Flag of Mexico.svg 2–3 불가리아 불가리아 과달라하라 할리스코
심판: 세윰 타레케근 (ETH)
모랄레스 39분에 득점 39′
풀리도 로드리게스 48분에 득점 48′
리포트 예코프 8분에 득점 8′
미하일로프 9분에 득점 9′
베셀리노프 58분에 득점 58′

1968년 10월 22일
12:00
헝가리 Flag of Hungary.svg 5–0 일본 일본 멕시코 시 아스테카
심판: 호무아우두 아르피 필류 (BR)
쉬치 30분, 60분, 75분에 득점 30′60′75′
노바크 53분, 65분에 득점 53′65′
리포트

동메달 결정전[편집]

1968년 10월 24일
12:00
일본 일본 2–0 Flag of Mexico.svg 멕시코 멕시코 시 아스테카
관중: 105,000
심판: 아브라함 클라인 (ISR)
가마모토 20분, 40분에 득점 20′40′ 리포트

금메달 결정전[편집]

불가리아는 3명의 선수가 퇴장당하면서 경기를 8명으로 마무리했다.[6]

1968년 10월 26일
12:00
헝가리 Flag of Hungary.svg 4–1 불가리아 불가리아 멕시코 시 아스테카
관중: 75,000
심판: 디에고 데 레오 (멕시코)
멘첼 40분에 득점 40′
A. 두너이 41분에 득점 41′ 49분에 득점 49′
유하시 62분에 득점 62′
리포트 베셀리노프 22분에 득점 22′

통계[편집]

득점[편집]

7골을 기록한 일본의 가마모토 구니시게가 이 대회 최다 득점자이다. 총 68명의 선수가 도합 116골을 기록했는데, 이 중 2골은 자책골이었다.

7골
6골
4골
3골
2골
1골
자책골

최종 순위[편집]

축구의 통상적 통계에 따라, 연장전에 승부가 난 경기는 승패로 간주되며, 승부차기에서 승부가 난 경기는 무승부로 간주된다.

순위 경기 승점 최종 결과
1 Flag of Hungary.svg 헝가리 6 5 1 0 18 3 +15 11 금메달
2 불가리아 불가리아 6 3 2 1 16 10 +6 8 은메달
3 일본 일본 6 3 2 1 9 8 +1 8 동메달
4 Flag of Mexico.svg 멕시코 6 3 0 3 10 9 +1 6 4위
5 Flag of Israel.svg 이스라엘 4 2 1 1 9 7 +2 5 8강전에서 탈락
6 스페인 스페인 4 2 1 1 4 2 +2 5
7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 4 2 0 2 9 7 +2 4
8 Flag of Guatemala.svg 과테말라 4 2 0 2 6 4 +2 4
9 Flag of the Czech Republic.svg 체코슬로바키아 3 1 1 1 10 3 +7 3 조별 리그에서 탈락
10 Flag of Colombia.svg 콜롬비아 3 1 0 2 4 5 −1 2
11 Flag of Guinea.svg 기니 3 1 0 2 4 9 −5 2
12 Flag of Ghana.svg 가나 3 0 2 1 6 8 −2 2
13 브라질 브라질 3 0 2 1 4 5 −1 2
14 Flag of Nigeria.svg 나이지리아 3 0 1 2 4 9 −5 1
15 Flag of El Salvador.svg 엘살바도르 3 0 1 2 2 8 −6 1
16 Flag of Thailand.svg 태국 3 0 0 3 1 19 −18 0
출처: Olympics

각주[편집]

  1. “Football at the 1968 Mexico City Summer Games”. 《Sports Reference》. 2020년 4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0월 19일에 확인함. 
  2. 1968 Summer Olympics official report. Volume 2. Part 1. p. 78. 2010년 11월 4일 확인. (영어/프랑스어)
  3. 1968 Summer Olympics official report. Volume 2. Part 1. p. 75. 2010년 11월 4일 확인. (영어/프랑스어)
  4. 1968 Summer Olympics official report. Volume 2. Part 1. p. 79. 2010년 11월 4일 확인. (영어/프랑스어)
  5. “WorldReferee.com - referee - Augusto Robles Morán - bio”. 《worldreferee.com》. 2018년 1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5월 22일에 확인함. 
  6. Wallechinsky, David (1984). 《The Complete Book of the Olympics》. England: Penguin Books. 288쪽. ISBN 0140066322.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