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최종) 예선
개최기간2021년 9월 2일 ~ 2022년 3월 29일
참가국12개국개국
최다 득점6명의 선수들
(4골)
총 경기45경기
총 득점101골골 (경기당 수식 오류: 알 수 없는 "골" 구두점 문자입니다.골)
총 관중390,266명명 (경기당 수식 오류: 알 수 없는 "," 구두점 문자입니다.명)
« 2018
2026 »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최종) 예선은 2021년 9월 2일부터 2022년 3월 29일까지 진행되며, 2022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겸한다.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에서 올라온 2차 예선 각 조 1위를 차지한 7개 와 각 조 2위를 차지했던 8개 국가 가운데 성적이 가장 우수한 5개 국가가 총 12개국이 A조, B조 6개국으로 나뉘어 홈 &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을 치르게 되고, 각 조 1위와 2위 팀은 2022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에 직행하며, 각 조 3위 팀은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를 진출하여 단판 경기로 붙게 된다. 카타르는 차기 월드컵 개최국 자격으로 본선에서 자동 진출을 하며 3차(최종) 예선 참가에서 제외된다.

참가국[편집]


(2차 예선)
1위 2위 (상위 5팀[note 1])
A조 Flag of Syria.svg 시리아 Fla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vg 중화인민공화국
B조 Flag of Australia.svg 오스트레일리아
C조 Flag of Iran.svg 이란 Flag of Iraq.svg 이라크
D조 Flag of Saudi Arabia.svg 사우디아라비아
E조 Flag of Qatar.svg 카타르[note 2] Flag of Oman.svg 오만
F조 Flag of Japan.svg 일본
G조 Flag of the United Arab Emirates.svg 아랍에미리트 Flag of Vietnam.svg 베트남
H조 Flag of South Korea.svg 대한민국 Flag of Lebanon.svg 레바논

시드 배정[편집]

포트 1 포트 2 포트 3
  1. Flag of Japan.svg 일본 (24위)
  2. Flag of Iran.svg 이란 (26위)
포트 4 포트 5 포트 6
  1. Flag of Oman.svg 오만 (79위)
  2. Flag of Syria.svg 시리아 (80위)
  1. Flag of Vietnam.svg 베트남 (92위)
  2. Flag of Lebanon.svg 레바논 (98위)

경기 일정[편집]

최근 코로나19 바이러스 여파로 인해 조별리그 경기 운영 방식이 변경될 수 있다.

경기일 날짜 원래 날짜
경기일 1 2021년 9월 2일 2020년 9월 3일
경기일 2 2021년 9월 7일 2020년 9월 8일
경기일 3 2021년 10월 7일 2020년 10월 13일
경기일 4 2021년 10월 12일 2020년 11월 12일
경기일 5 2021년 11월 11일 2020년 11월 17일
경기일 6 2021년 11월 16일 2021년 3월 25일
경기일 7 2022년 1월 27일 2021년 3월 30일
경기일 8 2022년 2월 1일 2021년 6월 8일
경기일 9 2022년 3월 24일 2021년 9월 7일
경기일 10 2022년 3월 29일 2021년 10월 12일

경기 결과[편집]

A조[편집]

순위 v  d  e  h 경기 승점 통과 이란 대한민국 아랍에미리트 이라크 시리아 레바논
1 Flag of Iran.svg 이란 10 8 1 1 15 4 +11 25 2022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1-1 1-0 1-0 1-0 2-0
2 Flag of South Korea.svg 대한민국 10 7 2 1 13 3 +10 23 2-0 1-0 0-0 2-1 1-0
3 Flag of the United Arab Emirates.svg 아랍에미리트 10 3 3 4 7 7 0 12 아시아 플레이오프 진출 0-1 1-0 2-2 2-0 0-0
4 Flag of Iraq.svg 이라크 10 1 6 3 6 12 −6 9 0-3 0-3 1-0 1-1 0-0
5 Flag of Syria.svg 시리아 10 1 3 6 9 16 −7 6 0-3 0-2 1-1 1-1 2-3
6 Flag of Lebanon.svg 레바논 10 1 3 6 5 13 −8 6 1-2 0-1 0-1 1-1 0-3
출처: FIFA
2021년 9월 2일 (2021-09-02)
20:00 UTC+9
대한민국 Flag of South Korea.svg 0 – 0 Flag of Iraq.svg 이라크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관중수: 0명[note 3]
심판: 나와프 슈크랄라 (바레인)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9월 2일 (2021-09-02)
20:30 UTC+4:30
이란 Flag of Iran.svg 1 – 0 Flag of Syria.svg 시리아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수: 0명[note 3]
심판: 사토 류지 (일본)
자한바크슈 56분에 득점 56′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9월 2일 (2021-09-02)
20:45 UTC+4
아랍에미리트 Flag of the United Arab Emirates.svg 0 – 0 Flag of Lebanon.svg 레바논 자벨 스타디움, 두바이
관중수: 1,513명
심판: 마닝 (중국)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9월 7일 (2021-09-07)
20:00 UTC+9
대한민국 Flag of South Korea.svg 1 – 0 Flag of Lebanon.svg 레바논 수원월드컵경기장, 수원[note 4]
관중수: 0명[note 3]
심판: 사토 류지 (일본)
권창훈 59분에 득점 59′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9월 7일 (2021-09-07)
19:00 UTC+3
시리아 Flag of Syria.svg 1 – 1 Flag of the United Arab Emirates.svg 아랍에미리트 킹 압둘라 2세 스타디움, 암만 (요르단)[note 5]
관중수: 2,370명
심판: 아흐메드 알카프 (오만)
알바헤르 64분에 득점 64′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맙쿠트 12분에 득점 12′
2021년 9월 7일 (2021-09-07)
21:00 UTC+3
이라크 Flag of Iraq.svg 0 – 3 Flag of Iran.svg 이란 칼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카타르)[note 6]
관중수: 0명[note 3]
심판: 마닝 (중국)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자한바크슈 3분에 득점 3′
타레미 69분에 득점 69′
골리자데 90분에 득점 90′

2021년 10월 7일 (2021-10-07)
20:00 UTC+9
대한민국 Flag of South Korea.svg 2 – 1 Flag of Syria.svg 시리아 안산와스타디움, 안산
관중수: 0명[note 3]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카타르)
황인범 47분에 득점 47′
손흥민 88분에 득점 88′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크르빈 83분에 득점 83′
2021년 10월 7일 (2021-10-07)
17:30 UTC+3
이라크 Flag of Iraq.svg 0 – 0 Flag of Lebanon.svg 레바논 칼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카타르)[note 6]
관중수: 0명[note 3]
심판: 투르키 알쿠드하이르 (사우디아라비아)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10월 7일 (2021-10-07)
20:45 UTC+4
아랍에미리트 Flag of the United Arab Emirates.svg 0 – 1 Flag of Iran.svg 이란 자벨 스타디움, 두바이
관중수: 3,034명
심판: 크리스 비스 (오스트레일리아)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타레미 70분에 득점 70′

2021년 10월 12일 (2021-10-12)
17:00 UTC+3:30
이란 Flag of Iran.svg 1 – 1 Flag of South Korea.svg 대한민국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수: 0명[note 3]
심판: 아흐메드 알카프 (오만)
자한바크슈 76분에 득점 76′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손흥민 48분에 득점 48′
2021년 10월 12일 (2021-10-12)
20:45 UTC+4
아랍에미리트 Flag of the United Arab Emirates.svg 2 – 2 Flag of Iraq.svg 이라크 자벨 스타디움, 두바이
관중수: 2,820명
심판: 사토 류지 (일본)
카이우 34분에 득점 34′
맙쿠트 90+4분에 득점 90+4′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Al-Attas 74분에 득점 74′ (자책골)
후세인 89분에 득점 89′
2021년 10월 12일 (2021-10-12)
19:00 UTC+3
시리아 Flag of Syria.svg 2 – 3 Flag of Lebanon.svg 레바논 킹 압둘라 2세 스타디움, 암만 (요르단)[note 5]
관중수: 2,377명
심판: 크리스 비스 (오스트레일리아)
크르빈 20분에 득점 20′
알소마 64분에 득점 64′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크두 45+1분, 45+3분에 득점 45+1′45+3′
사드 53분에 득점 53′

2021년 11월 11일 (2021-11-11)
20:00 UTC+9
대한민국 Flag of South Korea.svg 1 – 0 Flag of the United Arab Emirates.svg 아랍에미리트 고양종합운동장, 고양
관중수: 30,152명
심판: 마닝 (중국)
황희찬 36분에 득점 36′ (페널티)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11월 11일 (2021-11-11)
14:00 UTC+2
레바논 Flag of Lebanon.svg 1 – 2 Flag of Iran.svg 이란 사이다 시립경기장, 시돈
관중수: 0명[note 3]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카타르)
사드 37분에 득점 37′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아즈문 90+1분에 득점 90+1′
누롤라히 90+5분에 득점 90+5′
2021년 11월 11일 (2021-11-11)
20:00 UTC+3
이라크 Flag of Iraq.svg 1 – 1 Flag of Syria.svg 시리아 타니 빈 자심 스타디움, 도하 (카타르)[note 6]
관중수: 50명
심판: 나와프 슈크랄라 (바레인)
Al-Ammari 86분에 득점 86′ (페널티)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알소마 79분에 득점 79′

2021년 11월 16일 (2021-11-16)
18:00 UTC+3
이라크 Flag of Iraq.svg 0 – 3 Flag of South Korea.svg 대한민국 타니 빈 자심 스타디움, 도하 (카타르)[note 6]
관중수: 0명
심판: 일기즈 탄타셰프 (우즈베키스탄)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이재성 33분에 득점 33′
손흥민 74분에 득점 74′ (페널티)
정우영 80분에 득점 80′
2021년 11월 16일 (2021-11-16)
18:00 UTC+2
시리아 Flag of Syria.svg 0 – 3 Flag of Iran.svg 이란 킹 압둘라 2세 스타디움, 암만 (요르단)[note 5]
관중수: 907명
심판: 마닝 (중국)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아즈문 33분에 득점 33′
하지사피 42분에 득점 42′ (페널티)
골리자데 89분에 득점 89′
2021년 11월 16일 (2021-11-16)
14:00 UTC+2
레바논 Flag of Lebanon.svg 0 – 1 Flag of the United Arab Emirates.svg 아랍에미리트 사이다 시립경기장, 시돈
관중수: 0명
심판: 숀 에번스 (오스트레일리아)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맙쿠트 85분에 득점 85′ (페널티)

2022년 1월 27일 (2022-01-27)
14:00 UTC+2
레바논 Flag of Lebanon.svg 0 – 1 Flag of South Korea.svg 대한민국 사이다 시립경기장, 시돈[note 4]
관중수: 5,400명
심판: 아흐메드 알카프 (오만)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조규성 45+1분에 득점 45+1′
2022년 1월 27일 (2022-01-27)
18:00 UTC+3:30
이란 Flag of Iran.svg 1 – 0 Flag of Iraq.svg 이라크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수: 9,354명
심판: 크리스 비스 (오스트레일리아)
타레미 48분에 득점 48′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1월 27일 (2022-01-27)
19:00 UTC+4
아랍에미리트 Flag of the United Arab Emirates.svg 2 – 0 Flag of Syria.svg 시리아 알막툼 스타디움, 두바이
관중수: 2,450명
심판: 일기즈 탄타셰프 (우즈베키스탄)
카이우 43분에 득점 43′
Al Ghassani 70분에 득점 70′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2월 1일 (2022-02-01)
14:00 UTC+2
레바논 Flag of Lebanon.svg 1 – 1 Flag of Iraq.svg 이라크 사이다 시립경기장, 시돈
관중수: 6,341명
심판: 아드함 마카드메 (요르단)
사브라 45+2분에 득점 45+2′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후세인 39분에 득점 39′
2022년 2월 1일 (2022-02-01)
18:00 UTC+4
시리아 Flag of Syria.svg 0 – 2 Flag of South Korea.svg 대한민국 라시드 스타디움, 두바이 (아랍에미리트)[note 5]
관중수: 310명
심판: 기무라 히로유키 (일본)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김진수 53분에 득점 53′
권창훈 71분에 득점 71′
2022년 2월 1일 (2022-02-01)
18:00 UTC+3:30
이란 Flag of Iran.svg 1 – 0 Flag of the United Arab Emirates.svg 아랍에미리트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수: 0명
심판: 아흐메드 알카프 (오만)
타레미 44분에 득점 44′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3월 24일 (2022-03-24)
20:00 UTC+9
대한민국 Flag of South Korea.svg 2 – 0 Flag of Iran.svg 이란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관중수: 64,375명
심판: 크리스 비스 (오스트레일리아)
손흥민 45+2분에 득점 45+2′
김영권 63분에 득점 63′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3월 24일 (2022-03-24)
14:00 UTC+2
레바논 Flag of Lebanon.svg 0 – 3 Flag of Syria.svg 시리아 사이다 시립경기장, 시돈
관중수: 5,422명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카타르)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알달리 14분에 득점 14′
Mardikian 38분에 득점 38′ (페널티)
Al Marmour 44분에 득점 44′
2022년 3월 24일 (2022-03-24)
20:00 UTC+3
이라크 Flag of Iraq.svg 1 – 0 Flag of the United Arab Emirates.svg 아랍에미리트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note 6]
관중수: 1,320명
심판: 마닝 (중국)
Al-Saedi 53분에 득점 53′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3월 29일 (2022-03-29)
16:00 UTC+4:30
이란 Flag of Iran.svg 2 – 0 Flag of Lebanon.svg 레바논 이맘 레자 스타디움, 마슈하드
관중수: 22,453명
심판: 푸밍 (중국)
아즈문 35분에 득점 35′
자한바크슈 72분에 득점 72′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3월 29일 (2022-03-29)
17:45 UTC+4
아랍에미리트 Flag of the United Arab Emirates.svg 1 – 0 Flag of South Korea.svg 대한민국 알막툼 스타디움, 두바이
심판: 아흐메드 알카프 (오만)
압둘라 54분에 득점 54′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3월 29일 (2022-03-29)
17:45 UTC+4
시리아 Flag of Syria.svg 1 – 1 Flag of Iraq.svg 이라크 라시드 스타디움, 두바이 (아랍에미리트)[note 5]
심판: 사토 류지 (일본)
알달리 3분에 득점 3′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후세인 31분에 득점 31′

B조[편집]

순위 v  d  e  h 경기 승점 통과 사우디아라비아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오만 중국 베트남
1 Flag of Saudi Arabia.svg 사우디아라비아 10 7 2 1 12 6 +6 23 2022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1-0 1-0 1-0 3-2 3-1
2 Flag of Japan.svg 일본 10 7 1 2 12 4 +8 22 2-0 2-1 0-1 2-0 1-1
3 Flag of Australia.svg 오스트레일리아 10 4 3 3 15 9 +6 15 아시아 플레이오프 진출 0-0 0-2 3-1 3-0 4-0
4 Flag of Oman.svg 오만 10 4 2 4 11 10 +1 14 0-1 0-1 2-2 2-0 3-1
5 Fla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vg 중화인민공화국 10 1 3 6 9 19 −10 6 1-1 0-1 1-1 1-1 3-2
6 Flag of Vietnam.svg 베트남 10 1 1 8 8 19 −11 4 0-1 0-1 0-1 0-1 3-1
출처: FIFA
2021년 9월 2일 (2021-09-02)
19:15 UTC+9
일본 Flag of Japan.svg 0 – 1 Flag of Oman.svg 오만 시립 스이타 사커 스타디움, 스이타
관중수: 4,853명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아랍에미리트)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알사브히 88분에 득점 88′
2021년 9월 2일 (2021-09-02)
21:00 UTC+3
오스트레일리아 Flag of Australia.svg 3 – 0 Fla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vg 중화인민공화국 칼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카타르)[note 7][3]
관중수: 0명[note 3]
심판: 고형진 (대한민국)
마빌 24분에 득점 24′
보일 26분에 득점 26′
듀크 70분에 득점 70′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9월 2일 (2021-09-02)
21:00 UTC+3
사우디아라비아 Flag of Saudi Arabia.svg 3 – 1 Flag of Vietnam.svg 베트남 므르술 파크, 리야드
관중수: 8,331명
심판: 일기즈 탄타셰프 (우즈베키스탄)
알다우사리 55분에 득점 55′ (페널티)
알샤흐라니 67분에 득점 67′
알셰흐리 80분에 득점 80′ (페널티)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응우옌꽝하이 3분에 득점 3′

2021년 9월 7일 (2021-09-07)
19:00 UTC+7
베트남 Flag of Vietnam.svg 0 – 1 Flag of Australia.svg 오스트레일리아 미딘 국립경기장, 하노이
관중수: 0명[note 3]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카타르)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그랜트 43분에 득점 43′
2021년 9월 7일 (2021-09-07)
18:00 UTC+3
중화인민공화국 Fla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vg 0 – 1 Flag of Japan.svg 일본 칼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카타르)[note 8][4]
관중수: 0명[note 3]
심판: 나와프 슈크랄라 (바레인)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오사코 40분에 득점 40′
2021년 9월 7일 (2021-09-07)
20:00 UTC+4
오만 Flag of Oman.svg 0 – 1 Flag of Saudi Arabia.svg 사우디아라비아 술탄 카부스종합운동장, 무스카트
관중수: 8,150명
심판: 한나 하타브 (시리아)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알셰흐리 42분에 득점 42′

2021년 10월 7일 (2021-10-07)
20:00 UTC+3
사우디아라비아 Flag of Saudi Arabia.svg 1 – 0 Flag of Japan.svg 일본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지다
관중수: 51,218명
심판: 아드함 마카드메 (요르단)
알부라이칸 71분에 득점 71′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10월 7일 (2021-10-07)
21:00 UTC+4
중화인민공화국 Fla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vg 3 – 2 Flag of Vietnam.svg 베트남 샤르자 스타디움, 샤르자 (아랍에미리트)[note 8]
관중수: 0명[note 3]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아랍에미리트)
장위닝 53분에 득점 53′
우레이 75분, 90+5분에 득점 75′90+5′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Hồ Tấn Tài 80분에 득점 80′
응우옌띠엔린 90분에 득점 90′
2021년 10월 7일 (2021-10-07)
21:30 UTC+3
오스트레일리아 Flag of Australia.svg 3 – 1 Flag of Oman.svg 오만 칼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카타르)[note 7][5]
관중수: 0명[note 3]
심판: 나와프 슈크랄라 (바레인)
마빌 9분에 득점 9′
보일 49분에 득점 49′
듀크 89분에 득점 89′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R. Al-Alawi 28분에 득점 28′

2021년 10월 12일 (2021-10-12)
19:14 UTC+9
일본 Flag of Japan.svg 2 – 1 Flag of Australia.svg 오스트레일리아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사이타마
관중수: 14,437명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카타르)
다나카 8분에 득점 8′
베히치 85분에 득점 85′ (자책골)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Hrustic 70분에 득점 70′
2021년 10월 12일 (2021-10-12)
20:00 UTC+4
오만 Flag of Oman.svg 3 – 1 Flag of Vietnam.svg 베트남 술탄 카부스종합운동장, 무스카트
관중수: 9,123명
심판: 아드함 마카드메 (요르단)
알사브히 45+1분에 득점 45+1′
Al-Khaldi 49분에 득점 49′
Al-Yahyaei 63분에 득점 63′ (페널티)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응우옌띠엔린 39분에 득점 39′
2021년 10월 12일 (2021-10-12)
20:00 UTC+3
사우디아라비아 Flag of Saudi Arabia.svg 3 – 2 Fla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vg 중화인민공화국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지다
관중수: 54,124명
심판: 일기즈 탄타셰프 (우즈베키스탄)
알나제이 15분, 38분에 득점 15′38′
알부라이칸 72분에 득점 72′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알로이시우 46분에 득점 46′
우시 87분에 득점 87′

2021년 11월 11일 (2021-11-11)
20:10 UTC+11
오스트레일리아 Flag of Australia.svg 0 – 0 Flag of Saudi Arabia.svg 사우디아라비아 웨스턴 시드니 스타디움, 시드니
관중수: 23,314명
심판: 고형진 (대한민국)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11월 11일 (2021-11-11)
19:00 UTC+7
베트남 Flag of Vietnam.svg 0 – 1 Flag of Japan.svg 일본 미딘 국립경기장, 하노이
관중수: 11,022명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아랍에미리트)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이토 17분에 득점 17′
2021년 11월 11일 (2021-11-11)
19:00 UTC+4
중화인민공화국 Fla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vg 1 – 1 Flag of Oman.svg 오만 샤르자 스타디움, 샤르자 (아랍에미리트)[note 8]
관중수: 1,700명
심판: 시바꼰 푸우돔 (태국)
우레이 21분에 득점 21′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Al-Harthi 75분에 득점 75′

2021년 11월 16일 (2021-11-16)
19:00 UTC+4
중화인민공화국 Fla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vg 1 – 1 Flag of Australia.svg 오스트레일리아 샤르자 스타디움, 샤르자 (아랍에미리트)[note 8]
관중수: 1,050명
심판: 아드함 마카드메 (요르단)
우레이 71분에 득점 71′ (페널티)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듀크 38분에 득점 38′
2021년 11월 16일 (2021-11-16)
20:00 UTC+4
오만 Flag of Oman.svg 0 – 1 Flag of Japan.svg 일본 술탄 카부스종합운동장, 무스카트
관중수: 14,123명
심판: 고형진 (대한민국)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이토 81분에 득점 81′
2021년 11월 16일 (2021-11-16)
19:00 UTC+7
베트남 Flag of Vietnam.svg 0 – 1 Flag of Saudi Arabia.svg 사우디아라비아 미딘 국립경기장, 하노이
관중수: 9,669명
심판: 한나 하타브 (시리아)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알셰흐리 31분에 득점 31′

2022년 1월 27일 (2022-01-27)
20:10 UTC+11
오스트레일리아 Flag of Australia.svg 4 – 0 Flag of Vietnam.svg 베트남 멜버른 렉탱귤러 스타디움, 멜버른
관중수: 27,740명
심판: 고형진 (대한민국)
매클래런 30분에 득점 30′
로기치 45+2분에 득점 45+2′
Goodwin 72분에 득점 72′
McGree 76분에 득점 76′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1월 27일 (2022-01-27)
19:00 UTC+9
일본 Flag of Japan.svg 2 – 0 Fla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vg 중화인민공화국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사이타마
관중수: 11,753명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카타르)
오사코 13분에 득점 13′ (페널티)
이토 61분에 득점 61′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1월 27일 (2022-01-27)
20:15 UTC+3
사우디아라비아 Flag of Saudi Arabia.svg 1 – 0 Flag of Oman.svg 오만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지다
관중수: 47,364명
심판: 나와프 슈크랄라 (바레인)
알부라이칸 48분에 득점 48′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2월 1일 (2022-02-01)
19:14 UTC+9
일본 Flag of Japan.svg 2 – 0 Flag of Saudi Arabia.svg 사우디아라비아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사이타마
관중수: 19,118명
심판: 고형진 (대한민국)
미나미노 32분에 득점 32′
이토 50분에 득점 50′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2월 1일 (2022-02-01)
19:00 UTC+7
베트남 Flag of Vietnam.svg 3 – 1 Fla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vg 중화인민공화국 미딘 국립경기장, 하노이
관중수: 6,099명
심판: 나와프 슈크랄라 (바레인)
호딴따이 9분에 득점 9′
응우옌띠엔린 16분에 득점 16′
판반득 76분에 득점 76′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쉬신 90+7분에 득점 90+7′
2022년 2월 1일 (2022-02-01)
20:00 UTC+4
오만 Flag of Oman.svg 2 – 2 Flag of Australia.svg 오스트레일리아 술탄 카부스종합운동장, 무스카트
관중수: 0명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아랍에미리트)
Fawaz 54분, 89분에 득점 54′89′ (페널티)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매클래런 15분에 득점 15′ (페널티)
무이 79분에 득점 79′

2022년 3월 24일 (2022-03-24)
20:10 UTC+11
오스트레일리아 Flag of Australia.svg 0 – 2 Flag of Japan.svg 일본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관중수: 41,852명
심판: 나와프 슈크랄라 (바레인)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가오루 89분, 90+4분에 득점 89′90+4′
2022년 3월 24일 (2022-03-24)
19:00 UTC+7
베트남 Flag of Vietnam.svg 0 – 1 Flag of Oman.svg 오만 미딘 국립경기장, 하노이
관중수: 6,923명
심판: 한나 하타브 (시리아)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Al-Hajri 65분에 득점 65′
2022년 3월 24일 (2022-03-24)
19:00 UTC+4
중화인민공화국 Fla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vg 1 – 1 Flag of Saudi Arabia.svg 사우디아라비아 샤르자 스타디움, 샤르자 (아랍에미리트)[note 8]
관중수: 200명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아랍에미리트)
주천제 82분에 득점 82′ (페널티)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알셰흐리 45+1분에 득점 45+1′

2022년 3월 29일 (2022-03-29)
19:35 UTC+9
일본 Flag of Japan.svg 1 – 1 Flag of Vietnam.svg 베트남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사이타마
관중수: 44,600명
심판: 일기즈 탄타셰프 (우즈베키스탄)
요시다 55분에 득점 55′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응우옌타인빈 19분에 득점 19′
2022년 3월 29일 (2022-03-29)
20:00 UTC+4
오만 Flag of Oman.svg 2 - 0 Fla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vg 중화인민공화국 술탄 카부스종합운동장, 무스카트
심판: 아드함 마카드메 (요르단)
Al-Alawi 12분에 득점 12′
Fawaz 74분에 득점 74′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3월 29일 (2022-03-29)
21:00 UTC+3
사우디아라비아 Flag of Saudi Arabia.svg 1 - 0 Flag of Australia.svg 오스트레일리아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지다
심판: 고형진 (대한민국)
알다우사리 65분에 득점 65′ (페널티)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득점 선수[편집]

48경기에서 총 101골이 터졌고, 2 골이 자책골이었다.

4
3 골
2 골
1 골
1 자책골

각주[편집]

내용주
  1. This would usually be a "Best 4", but because the 2022 FIFA World Cup hosts Qatar won their group (their participation in the second round was to secure a spot in the 2023 AFC Asian Cup), the draw for the third round of the former mentioned tournament's qualification included 5 runners-up instead.[1]
  2. 카타르는 개최국 자격으로 2022년 FIFA 월드컵에 이미 자동 본선 진출하였고, 2023년 AFC 아시안컵에 진출하기 위해 경쟁하였다.
  3. 아시아의 코로나19 범유행으로, 무관중 경기로 진행이 된다.
  4. The Korean FA (South Korea) and Lebanese FA (Lebanon) have agreed to switch the order of their home-and-away matches.[2]
  5. Due to the Syrian civil war, Syria play its home matches at neutral venues.
  6. Due to the security concerns, Iraq play its home matches at neutral venues.
  7. Due to the border closures in Australia because of COVID-19 pandemic, Australia played its two home matches at neutral venues.
  8. Due to the quarantine restrictions in China because of COVID-19 pandemic, China play its home matches at neutral venues.
참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