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FIFA 월드컵 예선
![]() | 이 문서는 최근 사건을 다루며, 지속적인 갱신이 필요합니다. |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 | |
---|---|
개최기간 | 2019년 6월 6일 ~ 2022년 6월 14일 |
참가국 | 211개국 |
총 경기 | 382 |
총 득점 | 2827골 |
경기당 평균 득점 | 0.77 |
« 2018 2026 » |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은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한 카타르를 제외한 나머지 팀이 본선에 진출하기 위해 겨루는 대회이다. 이번 지역예선은 1998년 프랑스 월드컵부터 24년 동안 지속되었던 32개국 체제의 마지막 월드컵 예선이다.
지난 대회와 마찬가지로 지난 대회 우승 팀인 프랑스는 자동 진출권 없이 유럽 지역 예선에 참가하게 되었으며 오직 개최국인 카타르만이 자동 진출권을 갖게 되었다.
월드컵 본선 참가팀 배분[편집]
![]() | ||||||||
대륙 축구 협회 | 월드컵 본선 배분수 | 총 참가팀 | 지역예선 탈락 | 지역예선 진행중 | 본선 진출팀수 | 지역예선 시작일 | 지역예선 차기경기일 | 지역예선 종료일 |
---|---|---|---|---|---|---|---|---|
아시아 | 4.5 | 46 | 41 | 0 | 6 | 2019년 6월 6일 | 2022년 3월 24일 | 2022년 6월 13일 |
아프리카 | 5 | 54 | 49 | 0 | 5 | 2019년 9월 4일 | 2022년 3월 25일 | 2022년 3월 29일 |
북중미 | 3.5 | 35 | 31 | 0 | 4 | 2021년 3월 24일 | 2022년 3월 24일 | 2022년 6월 14일 |
남미 | 4.5 | 10 | 6 | 0 | 4 | 2020년 10월 8일 | 2022년 3월 24일 | 2022년 6월 13일 |
오세아니아 | 0.5 | 9 | 9 | 0 | 0 | 2022년 3월 14일 | 2022년 3월 24일 | 2022년 6월 14일 |
유럽 | 13 | 55 | 42 | 0 | 13 | 2021년 3월 25일 | 2022년 3월 24일 | 2022년 6월 5일 |
합계 | 31+1 | 209 | 173 | 8 | 28+1 | 2019년 6월 6일 | 2022년 3월 24일 | 2022년 6월 14일 |
예선 그룹[편집]
유럽 축구 연맹 (UEFA)[편집]
202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은 2020-21년 UEFA 네이션스리그와 부분적으로 연계해서 진행할 예정이다. 유럽 지역 예선 조별 리그는 예선에 참가하는 55개 팀을 10개 조(5개 조는 각 조마다 5개 팀으로, 나머지 5개 조는 각 조마다 6개 팀으로 구성됨)로 나누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된다. 각 조에서 1위를 차지한 10개 팀은 2022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각 조에서 2위를 차지한 10개 팀, 2020-21년 UEFA 네이션스리그 성적에서 가장 높은 성적을 기록한 2개 팀은 유럽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로 진출한다.
유럽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는 2단계로 나누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된다.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한 3개 팀은 2022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추가로 진출한다. 이러한 예선 진행 방식은 2019년 12월 4일에 스위스 니옹에서 열릴 예정인 유럽 축구 연맹(UEFA) 집행위원회 회의에서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최종 순위 (조별 리그)[편집]
A조 | B조 | C조 | ||||||||||||||||||||||||||||||||||||||||||||||||||||||||||||||||||||||||||||||||||||
---|---|---|---|---|---|---|---|---|---|---|---|---|---|---|---|---|---|---|---|---|---|---|---|---|---|---|---|---|---|---|---|---|---|---|---|---|---|---|---|---|---|---|---|---|---|---|---|---|---|---|---|---|---|---|---|---|---|---|---|---|---|---|---|---|---|---|---|---|---|---|---|---|---|---|---|---|---|---|---|---|---|---|---|---|---|---|
출처: FIFA |
출처: FIFA |
출처: FIFA | ||||||||||||||||||||||||||||||||||||||||||||||||||||||||||||||||||||||||||||||||||||
D조 | E조 | |||||||||||||||||||||||||||||||||||||||||||||||||||||||||||||||||||||||||||||||||||||
출처: FIFA |
출처: FIFA | |||||||||||||||||||||||||||||||||||||||||||||||||||||||||||||||||||||||||||||||||||||
F조 | G조 | H조 | ||||||||||||||||||||||||||||||||||||||||||||||||||||||||||||||||||||||||||||||||||||
출처: FIFA |
출처: FIFA |
출처: FIFA | ||||||||||||||||||||||||||||||||||||||||||||||||||||||||||||||||||||||||||||||||||||
I조 | J조 | |||||||||||||||||||||||||||||||||||||||||||||||||||||||||||||||||||||||||||||||||||||
출처: FIFA |
출처: FIFA |
최종 순위 (플레이오프)[편집]
준결승 | 결승 | |||||
2022년 3월 24일 - 카디프 | ||||||
![]() | 2 | |||||
2022년 6월 5일 - 카디프 | ||||||
![]() | 1 | |||||
![]() | 1 | |||||
2022년 6월 1일 - 글래스고 | ||||||
![]() | 0 | |||||
![]() | 1 | |||||
![]() | 3 | |||||
준결승 | 결승 | |||||
![]() | ||||||
2022년 3월 29일 - 호주프 | ||||||
![]() | w/o | |||||
![]() | 2 | |||||
2022년 3월 24일 - 솔나 | ||||||
![]() | 0 | |||||
![]() | 1 | |||||
![]() | 0 | |||||
준결승 | 결승 | |||||
2022년 3월 24일 - 포르투 | ||||||
![]() | 3 | |||||
2022년 3월 29일 - 포르투 | ||||||
![]() | 1 | |||||
![]() | 2 | |||||
2022년 3월 24일 - 팔레르모 | ||||||
![]() | 0 | |||||
![]() | 0 | |||||
![]() | 1 | |||||
월드컵 본선 진출팀[편집]
- H조
크로아티아 본선 진출.
러시아는 원래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FIFA와 UEFA의 제재로 인하여 실격 처리됨.
남미 축구 연맹 (CONMEBOL)[편집]
진행 단계[편집]
순위 | 팀 | 경기 | 승점 |
---|---|---|---|
1 | ![]() |
17 | 45 |
2 | ![]() |
17 | 39 |
3 | ![]() |
18 | 28 |
4 | ![]() |
18 | 26 |
5 | ![]() |
18 | 24 |
6 | ![]() |
18 | 23 |
7 | ![]() |
18 | 19 |
8 | ![]() |
18 | 16 |
9 | ![]() |
18 | 15 |
10 | ![]() |
18 | 10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CONCACAF)[편집]
최종 순위 (3차최종예선)[편집]
순위 | 팀 | 경기 | 승점 |
---|---|---|---|
1 | ![]() |
14 | 28 |
2 | ![]() |
14 | 28 |
3 | ![]() |
14 | 25 |
4 | ![]() |
14 | 25 |
5 | ![]() |
14 | 21 |
6 | ![]() |
14 | 11 |
7 | ![]() |
14 | 10 |
8 | ![]() |
14 | 4 |
출처: FIFA
아시아 축구 연맹 (AFC)[편집]
- 개최국
카타르 본선 진출.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이 2023년 AFC 아시안컵 예선을 겸하여 열리기 때문에 카타르는 2022년 FIFA 월드컵에서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하지만 AFC 아시안컵 출전 자격을 획득하기 위해 예선에 참가할 예정이다. 또한 2023년 AFC 아시안컵 개최국인 중국은 2022년 AFC 아시안컵에서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하지만 FIFA 월드컵 출전 자격을 획득하기 위해 예선에 참가할 예정이다.
최종 순위 (3차최종예선)[편집]
A조 | B조 | ||||||||||||||||||||||||||||||||||||||||||||||||||||||||
---|---|---|---|---|---|---|---|---|---|---|---|---|---|---|---|---|---|---|---|---|---|---|---|---|---|---|---|---|---|---|---|---|---|---|---|---|---|---|---|---|---|---|---|---|---|---|---|---|---|---|---|---|---|---|---|---|---|
출처: FIFA |
출처: FIFA |
최종 순위 (아시아 플레이오프)[편집]
팀 1 | 결과 | 팀 2 |
---|---|---|
아랍에미리트 ![]() |
1-2 | ![]() |
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편집]
가나가
나이지리아를 상대로 총 1-1. 원정골 우세로 본선 진출.
세네갈이
이집트를 상대로 승부차기 승리해서 본선 진출.
튀니지가
말리를 상대로 승리해서 본선 진출.
모로코가
콩고 민주 공화국을 상대로 승리해서 본선 진출.
카메룬이
알제리을 상대로 승리해서 본선 진출.
최종 순위 (3차 예선)[편집]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이집트 ![]() |
1-1 1(승부차기)3 |
![]() |
1-0 | 0(연)1 |
카메룬 ![]() |
(원)2-2 | ![]() |
0-1 | 2(연)1 |
가나 ![]() |
(원)1-1 | ![]() |
0-0 | 1-1 |
콩고 민주 공화국 ![]() |
2-5 | ![]() |
1-1 | 1-4 |
말리 ![]() |
0-1 | ![]() |
0-1 | 0-0 |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OFC)[편집]
뉴질랜드가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최종 순위 (결선 토너먼트)[편집]
준결승 | 결승 | |||||
2022년 3월 27일 - 도하(알 아라비) | ||||||
![]() | 3 | |||||
2022년 3월 30일 - 도하(알 아라비) | ||||||
![]() | 2 | |||||
![]() | 0 | |||||
2022년 3월 27일 - 도하(알 아라비) | ||||||
![]() | 5 | |||||
![]() | 1 | |||||
![]() | 0 | |||||
대륙간 플레이오프[편집]
팀 1 | 결과 | 팀 2 |
---|---|---|
오스트레일리아 ![]() |
0(연)0 5(승부차기)4 |
![]() |
팀 1 | 결과 | 팀 2 |
---|---|---|
코스타리카 ![]() |
1-0 | ![]() |
본선 진출 팀[편집]
본선 진출이 확정된 32개 팀은 다음과 같다.
본선 진출 | |
본선 진출 가능성이 있음 | |
탈락 | |
기권, 실격 | |
FIFA 비회원 |
팀 | 참가 자격 | 본선 진출 확정일 | 통산 출전 횟수 | 연속 진출 횟수 | 마지막 진출 | 역대 최고 성적 |
---|---|---|---|---|---|---|
![]() |
개최국 | 2010년 12월 2일 | 1 | 1 | 첫 참가 | 첫 참가 |
![]() |
유럽 예선 J조 1위 | 2021년 10월 11일 | 20 | 18 | 2018 | 우승 (19542, 19742, 19902, 2014) |
![]() |
유럽 예선 F조 1위 | 2021년 10월 12일 | 6 | 2 | 2018 | 8강 (1998) |
![]() |
남미 지역 예선 상위 4팀 | 2021년 11월 11일 | 22 | 22 | 2018 | 우승 (1958, 1962, 1970, 1994, 2002) |
![]() |
유럽 예선 D조 1위 | 2021년 11월 13일 | 16 | 7 | 2018 | 우승 (1998, 2018) |
![]() |
유럽 예선 E조 1위 | 2021년 11월 13일 | 14 | 3 | 2018 | 3위 (2018) |
![]() |
유럽 예선 H조 1위 | 2021년 11월 14일 | 6 | 3 | 2018 | 준우승 (2018) |
![]() |
유럽 예선 A조 1위 | 2021년 11월 14일 | 13 | 2 | 2018 | 4위 (1930, 1962) |
![]() |
유럽 예선 B조 1위 | 2021년 11월 14일 | 16 | 12 | 2018 | 우승 (2010) |
![]() |
유럽 예선 C조 1위 | 2021년 11월 15일 | 12 | 5 | 2018 | 8강 (1934, 1938, 1954) |
![]() |
유럽 예선 I조 1위 | 2021년 11월 15일 | 16 | 7 | 2018 | 우승 (1966) |
![]() |
유럽 예선 G조 1위 | 2021년 11월 16일 | 11 | 1 | 2014 | 준우승 (1974, 1978, 2010) |
![]() |
남미 지역 예선 상위 4팀 | 2021년 11월 16일 | 18 | 13 | 2018 | 우승 (1978, 1986) |
![]() |
아시아 최종 예선 A조 상위 2팀 | 2022년 1월 27일 | 6 | 3 | 2018 | 조별 리그 (1978, 1998, 2006, 2014, 2018) |
![]() |
아시아 최종 예선 A조 상위 2팀 | 2022년 2월 1일 | 11 | 10 | 2018 | 4위 (2002) |
![]() |
아시아 최종 예선 B조 상위 2팀 | 2022년 3월 24일 | 7 | 7 | 2018 | 16강 (2002, 2010, 2018) |
![]() |
아시아 최종 예선 B조 상위 2팀 | 2022년 3월 24일 | 6 | 2 | 2018 | 16강 (1994) |
![]() |
남미 지역 예선 상위 4팀 | 2022년 3월 24일 | 4 | 1 | 2014 | 16강 (2006) |
![]() |
남미 지역 예선 상위 4팀 | 2022년 3월 24일 | 15 | 4 | 2018 | 우승 (1930, 1950) |
![]() |
북중미 최종 예선 1위 | 2022년 3월 27일 | 2 | 1 | 1986 | 조별 리그 (1986) |
![]() |
아프리카 최종 예선 1경기 승자 | 2022년 3월 29일 | 4 | 1 | 2014 | 8강 (2010) |
![]() |
아프리카 최종 예선 2경기 승자 | 2022년 3월 29일 | 3 | 2 | 2018 | 8강 (2002) |
![]() |
유럽 예선 플레이오프 루트 B 승자 | 2022년 3월 30일 | 9 | 2 | 2018 | 3위 (1974) |
![]() |
유럽 예선 플레이오프 루트 C 승자 | 2022년 3월 30일 | 8 | 6 | 2018 | 3위 (1966) |
![]() |
아프리카 최종 예선 3경기 승자 | 2022년 3월 29일 | 6 | 2 | 2018 | 조별 리그 (1978, 1998, 2002, 2006, 2018) |
![]() |
아프리카 최종 예선 4경기 승자 | 2022년 3월 29일 | 6 | 2 | 2018 | 16강 (1986) |
![]() |
아프리카 최종 예선 5경기 승자 | 2022년 3월 29일 | 8 | 1 | 2014 | 8강 (1990) |
![]() |
북중미 최종 예선 2위 | 2022년 3월 30일 | 16 | 8 | 2018 | 8강 (1970, 1986) |
![]() |
북중미 최종 예선 3위 | 2022년 3월 30일 | 10 | 1 | 2014 | 3위 (1930) |
![]() |
유럽 예선 플레이오프 루트 A 승자 | 2022년 6월 5일 | 2 | 1 | 1958 | 8강 (1958) |
![]() |
아시아-남미 대륙간 플레이오프 승자 | 2022년 6월 13일 | 6 | 5 | 2018 | 16강 (2006) |
![]() |
북중미-오세아니아 대륙간 플레이오프 승자 | 2022년 6월 14일 | 6 | 3 | 2018 | 8강 (2014) |
- 1 이탤릭체 글씨는 당해년도 개최국을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