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권
| ||||||
---|---|---|---|---|---|---|
![]() | ||||||
개인 정보 | ||||||
로마자 표기 | Kim Young-Gwon | |||||
출생일 | 1990년 2월 27일 | (31세)|||||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북도 전주시 | |||||
키 | 185cm | |||||
포지션 | 센터백 | |||||
클럽 정보 | ||||||
현 소속팀 | 감바 오사카 | |||||
등번호 | 19 | |||||
청소년 클럽 기록 | ||||||
2005-2007 2008-2009 |
전주공업고등학교 전주대학교 | |||||
클럽 기록* | ||||||
연도 | 클럽 | 출전 (골) | ||||
2010 2011-2012 2012-2018 2019- |
FC 도쿄 오미야 아르디자 광저우 헝다 감바 오사카 |
40 (0) 91 (3) 46 (1) | 23 (0) ||||
국가대표팀 기록‡ | ||||||
2008-2009 2009-2012 2010- |
대한민국 U-20 대한민국 U-23 대한민국 |
23 (0) 78 (3) | 21 (2)||||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20년 9월 19일 기준이다. ‡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19년 12월 18일 기준이다. |
김영권 (한국 한자: 金英權, 1990년 2월 27일, 대한민국 전라북도 전주시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센터백이며, J1리그 감바 오사카 소속이다.
어린 시절[편집]
중학교(전주 해성중) 시절 아버지(김성태) 사업이 실패하면서 축구를 관둘 뻔했으나 홀로 전주에 남아 생활할 정도로 축구에 대한 애착이 남달랐다. 가정형편은 더 나빠졌지만 축구화를 사기 위해 공사장에서 막노동을 하면서 힘든 생활을 버텼다. 결국 축구를 계속하게 됐고 아버지 역시 그런 김영권을 보면서 다시 힘을 냈다.[1] 김영권은 가족을 생각하며 남들 쉴 때도 연습을 했고, 그런 노력 덕분에 왼발잡이인데도 양발을 잘 쓰게 됐다.[1]
예능[편집]
- 2018년 7월 11일 MBC《황금어장 라디오스타》 573회
- 2020년 3월 15일, 2021년 1월 17일 KBS《슈퍼맨이 돌아왔다》
축구인 경력[편집]
선수 경력[편집]
2009년 U-20 월드컵 이후 많은 J리그 팀들의 관심을 받았고 2010년 FC 도쿄에 입단하였다. 이후 3월 20일 세레소 오사카와의 리그 홈경기(0-0)에서 데뷔했고 6월 6일 프리킥으로 데뷔 골을 터뜨렸다. 2011년 마토 네레틀랴크의 대체자를 찾던 오미야 아르디자의 눈에 띄어 오미야로 이적하여 2시즌간 활약하였다가 2012년 7월 2일 중국 슈퍼리그 명문 구단인 광저우 에버그란데로 이적하여 91경기에서 3골을 기록하며 2012 시즌부터 2017 시즌까지 팀의 리그 6연패에 기여했고 뿐만 아니라 중국 FA컵 2회 우승과 1회 준우승, 중국 FA 슈퍼컵 3회 우승과 1회 준우승에도 일조했으며 AFC 챔피언스리그에서도 팀의 2번의 우승(2013년, 2015년)을 견인했다. 그리고 2019 시즌을 앞둔 시점에서 7년간의 중국 무대 생활을 마치고 감바 오사카로 이적하며 8년만에 다시 일본 무대로 복귀했다.
국가대표팀 경력[편집]
2010년 8월 11일에 열린 나이지리아전에서 데뷔했고, 2011년 6월 3일에 열린 세르비아전에서 데뷔 골을 넣었다. 런던 올림픽 대표팀에 선발되어 주전 센터백으로 활약하며 대한민국 축구 역사상 첫 올림픽 메달 획득에 기여하였다. 그렇게 2014년 FIFA 월드컵 본선에도 출전하여 홍정호와 함께 주전 센터백으로 모든 경기에 출전했지만 2014년 대회에서는 3경기 내내 좋은 수비력을 보이지 못하면서 결국 팀의 조별리그 탈락에 일조하고 말았다. 2014년 12월 22일 발표된 2015 AFC 아시안컵 최종 명단에 포함되어[2] 주전 센터백으로 뛰면서 이라크와의 준결승전에서 대한민국의 아시안컵 통산 99번째 골을 기록하는 맹활약을 선보이며 준우승에 공헌했고 2015년 7월 20일 발표된 2015 동아시안컵 최종 명단에 포함되며 대한민국의 동아시안컵 통산 3번째 우승에도 기여했다.[3] 2018년 FIFA 월드컵에서도 최종 23인 명단에 포함되었고 2014년 대회 때와는 달리 스웨덴과의 1차전과 멕시코와의 2차전에 이어 독일과의 최종전에서도 좋은 수비력을 보여주었으며 월드컵 데뷔 첫 골까지 기록하면서 대한민국의 월드컵 통산 33번째 골의 주인공이 되었고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의 2-0 완승과 함께 크로아티아, 브라질, 이탈리아에 이어 독일을 월드컵 본선에서 2점차로 꺾은 4번째 팀이자 최초의 아시아팀으로 만드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해냈다. 그리고 2019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출전하여 팀의 8강 진출을 이끌었고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에도 출전하여 팀의 통산 5번째 우승에 일조했다.
논란[편집]
2010년 11월 25일 광저우 아시안 게임의 3·4위전인 이란과의 경기에서 이란 골키퍼 라마티의 비신사적인 행동에 대해 손가락 욕설을 한 것이 논란이 되었다.[4][5]
2017년 8월 31일 이란과의 월드컵 예선전에 주장으로 선발출전하였는데, 이날 경기 이후 인터뷰에서 "훈련을 하면서 세부적인 전술들을 맞춘 게 있었는데 경기장 함성이 워낙 커서 소통 잘 되지 않아 연습한 걸 제대로 펼치지 못했다"고 말하며 책임을 관중들에게 전가하는 무책임한 행동을 보이며 논란이 일었다.[6]
국가대표팀 득점[편집]
# | 경기일 | 경기장소 | 상대팀 | 득점 | 결과 | 비고 |
---|---|---|---|---|---|---|
1
|
2011/06/03 | 대한민국, 서울 | ![]() |
2 – 0
|
2 – 1
|
친선 경기 |
2
|
2015/01/26 |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 ![]() |
2 – 0
|
2 – 0
|
2015년 AFC 아시안컵 4강 |
3
|
2018/06/27 | 러시아, 카잔 | ![]() |
1 – 0
|
2 – 0
|
2018년 FIFA 월드컵 |
가족[편집]
- 아내 박세진(승무원)
- 딸 김리아(2015년~)
- 아들 김리현(2017~)
- 아들 김리재 (2020~)(태명은리꿍이)
수상 경력[편집]
- 중국 슈퍼리그 : 우승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 중국 FA컵 : 우승 (2012, 2016), 준우승 (2013)
- 중국 FA 슈퍼컵 : 우승 (2016, 2017, 2018), 준우승 (2013)
- AFC 챔피언스리그 : 우승 (2013, 2015)
-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 4강 (2008)
- 아시안 게임 축구 : 동메달 (2010)
- 올림픽 축구 : 동메달 (2012)
- EAFF 동아시안컵 : 우승 (2015, 2019)
- AFC 아시안컵 : 준우승 (2015)
- 개인
- 대한축구협회 올해의 선수상 : 2015
- EAFF 동아시안컵 최우수 수비수상 : 2015
각주[편집]
- ↑ 가 나 “축구화 사려 막노동까지 … 독일 격파 선봉장 ‘킹영권’”. 《중앙일보》. 2018년 6월 29일. 2018년 6월 28일에 확인함.
- ↑ 김동찬, 장재은 (2014년 12월 22일). “이정협 깜짝 발탁…슈틸리케호 아시안컵 명단 확정”. 연합뉴스.
- ↑ “‘김신욱 승선’ 슈틸리케호, 동아시안컵 명단 발표”. 대한축구협회. 2015년 7월 20일. 2015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7월 22일에 확인함.
- ↑ 김영권, 이란 골키퍼에 손가락 욕설…“왜?” Archived 2015년 5월 6일 - 웨이백 머신, 쿠키뉴스
- ↑ 김영권, 라마타 '더티 플레이'에 손가락 욕설, 누리꾼 "비난 VS 공감" Archived 2010년 11월 28일 - 웨이백 머신, TV Daily
- ↑ 김경윤 (2017.8.31) 주장 김영권의 실언 "관중 함성이 너무 커 소통하기 힘들었다" 연합뉴스
외부 링크[편집]
- 1990년 태어남
- 살아있는 사람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
- FC 도쿄의 축구 선수
- 오미야 아르디자의 축구 선수
- 광저우 FC의 축구 선수
- 감바 오사카의 축구 선수
- J1리그의 축구 선수
- 중국 슈퍼리그의 축구 선수
- 2010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
- 2014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
- 2015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
- 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2010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아시안 게임 축구 메달리스트
- 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동메달리스트
- 대한민국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
- 2012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
- 올림픽 축구 메달리스트
- 대한민국의 올림픽 동메달리스트
- 축구 수비수
- 축구 센터백
- 일본의 외국인 축구 선수
- 중국의 외국인 축구 선수
- 전주시 출신
- 전주조촌초등학교 동문
- 전주해성중학교 동문
- 전주공업고등학교 동문
- 전주대학교 동문
- 일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중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2018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
- 2019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