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국
| ||||||
---|---|---|---|---|---|---|
개인 정보 | ||||||
로마자 표기 | Jung Jo-Gook | |||||
출생일 | 1984년 4월 23일 | (38세)|||||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북도 부안군 | |||||
키 | 186cm | |||||
포지션 | 과거 스트라이커 | |||||
클럽 정보 | ||||||
현 소속팀 | 제주 유나이티드 (수석 코치) | |||||
청소년 클럽 기록 | ||||||
2000-2002 |
서울갈현초등학교 대신중학교 대신고등학교 | |||||
클럽 기록* | ||||||
연도 | 클럽 | 출전 (득점) | ||||
2003-2010 2011-2012 2012 2012-2015 2013-2014 2016 2017-2019 2020 합계 |
안양 LG / FC 서울 오세르 → 낭시 (임대) FC 서울 → 안산 경찰청 (군복무) 광주 FC 강원 FC 제주 유나이티드 |
156 16 (2) 20 (2) 30 (5) 36 (16) 31 (20) 74 (16) 12 (1) 375 (112) | (50) ||||
국가대표팀 기록 | ||||||
2000 2002-2003 2003-2006 2006 |
대한민국 U-17 대한민국 U-20 대한민국 U-23 대한민국 |
20 (15) 10 (3) 13 (4) | 3 (3) ||||
지도자 기록 | ||||||
2021-2022 2022- |
제주 유나이티드 (공격 코치) 제주 유나이티드 (수석 코치) | |||||
* 클럽의 출전횟수와 득점기록은 정규 리그 등 공식 경기 기록만 집계함. |
정조국(鄭助國, 1984년 4월 23일 ~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였다. 현재 제주 유나이티드에서 수석 코치를 맡고 있다. 특유의 강력한 슈팅 능력을 빗대어 미사일의 한 종류인 '패트리어트(Patriot)'라는 별명이 붙었다.
클럽 경력[편집]
2003년 안양 LG 치타스에 입단하여[1][2] 그 해 리그 32경기에 출전하여 12골을 기록하는 좋은 활약을 펼쳤고, 이를 바탕으로 K리그 신인상을 수상하였다.[3] 2004년 안양 LG 치타스가 서울특별시로 연고를 이전한 후 구단 명칭을 변경한 FC 서울에서 계속 활약하였다. 2004년 왕정현과 함께 FA컵 공동 득점왕에 올랐다.
2005 시즌부터 2007 시즌까지 잔부상과 슬럼프 등이 겹치며 3시즌 간 도합 리그 9골에 그쳤다. 하지만 2008년 박주영이 FC 서울을 떠나 프랑스 리그로 진출한 이후 팀의 또다른 공격수 데얀과 호흡을 맞추며 주전 공격수로 발돋움했다. 2008년 10월, 인천 유나이티드 FC와의 경기에서 안재준과의 공중볼 경합 중 안재준의 팔꿈치에 얼굴 부위를 가격당해 광대뼈 함몰 부상을 입으며 플레이오프까지 출장하지 못하였다. 이후 플레이오프 준결승전 울산 현대와의 경기에서 안면 보호대를 찬 채 복귀하여 골을 터뜨려 팀을 결승전으로 이끈 후 결승전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경기에도 골을 성공시켰으나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종합 스코어 3-2로 FC 서울에 승리하며 준우승에 머무르게 되었다.
2010년 리그와 리그컵을 합쳐 13골 4도움을 기록하여 FC 서울의 10년만의 리그 우승 달성에 일등 공신이 되면서 데뷔 후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 2010 시즌 당시 활약을 두고 2009년 12월 탤런트 김성은과 결혼하여 아이를 갖게 된 이후 기량이 만개했다고 하여 팬들에게 '분유캄프'라는 별명을 얻었다.
시즌이 끝난 후 자유계약으로 프랑스 리그 1의 AJ 오세르로 이적하였다. 2010-11 시즌 중반에 합류하여 릴 OSC와의 경기에서 데뷔골을 넣었고 그 경기에서 MOM으로 선정되었다. 그 후에도 리그 15경기에 꾸준히 출전하여 2골 1도움을 기록하였다 (2010-2011시즌 리그 15경기 2골 1도움, 컵 1경기). 하지만 정조국을 영입한 후안 페르난데스 감독이 AS 낭시로 팀을 옮기며 출전 기회가 줄어들기 시작하자 페르난데스 감독을 따라 낭시로 임대 이적하였다 (2011-2012시즌 리그 오세르 소속 1경기 소화 후 임대 이적).
낭시에서는 주로 조커로 활약하며 당시 박주영의 소속팀인 AS 모나코 FC와의 경기에서 선발출전하였고 멀티골을 기록하며 팀의 3:1 승리에 크게 기여하며 경기의 MOM으로 선정되고 프랑스 언론을 뜨겁게 장식했다. 리그 20경기에 출전하여 2골 1도움을 기록하는 등 활약을 펼치며 AS 낭시가 1부리그에 잔류하는데 기여를 했다 (2011-2012시즌 낭시 소속 리그 20경기 2골 1도움, 컵 1경기). 2011-12 시즌이 종료된 후 오세르에 복귀하였다. 2012년 6월 오세르가 계약해지를 결정하자 K리그 복귀를 모색하였고, 친정 팀 FC 서울로 복귀했다. 2012 시즌 후반기 리그 17경기에 출전하여 4골을 성공시켰다.
2012 시즌 후 병역을 위해 입대하여, 경찰 축구단에 입단하였다. 2013 시즌부터 2014년 9월 전역할 때까지 리그 35경기에 출전하여 16골을 기록하는 좋은 활약을 펼친 후 FC 서울로 복귀하였다.
2015 시즌 첫 경기인 하노이 T&T와의 경기에서 2골을 기록하며 기분 좋은 출발을 알리는 듯 하였으나 부상과 컨디션 난조 등으로 리그 11경기에 출전하여 1골을 기록하는 것에 그쳤다.
2016년 1월 광주 FC로의 이적하였다. 이적 후 인터뷰에서 "당초 FC 서울 외 국내 타 팀으로의 이적을 생각한 적이 없었으나 가족들에게 그라운드에서 뛰는 모습을 보여주는 떳떳한 아빠가 되기 위해서 이적을 결심했다."라며 서울을 떠나 광주로 적을 옮긴 이유를 밝혔다.[4]
2016년 시즌 첫 경기인 포항 원정에서 선발 출전하여 91분 교체 아웃 될 때까지 슈팅 5개를 모두 유효 슈팅으로 만들었으며 그중 2개는 골망을 흔들었다. 최종적으로 3:3으로 마무리 되었지만 경기 MOM은 물론 주간 MVP로 선정되었다. 리그 3라운드까지 3경기 연속골을 기록하였으며, 8월 27일 울산전까지 26경기에 출전하여 16골을 기록하며 득점 랭킹 1위를 달렸다. 울산전 이후엔 부상으로 약 2달 가까이 결장하였으며, 10월 16일 수원 FC와의 경기에 복귀하여 2골을 기록하였다. 그 후, 리그에서 최초로 20골을 기록하여 처음으로 K리그 클래식 득점상을 수상하였고, K리그 클래식 베스트 11 선정되었고, 생애 최초 K리그 클래식 최우수선수상의 영예와 함께 3관왕을 차지했다.
2016 시즌 후 2016년 12월 강원 FC로 이적하였다.
2020 시즌을 앞두고 제주 유나이티드에 입단했다.[5] 하지만 정조국은 제주에서 12경기밖에 출전하지 못했고, 결국 2020 시즌을 끝으로 현역 은퇴를 선언하였다.[6]
2020 K리그2 시상식에서 그동안의 활약을 기려 공로상을 수상하였다.
국가대표팀 생활[편집]
U-17 대표팀, U-20 대표팀, U-23 대표팀 등 모든 청소년 대표팀의 일원으로 뛰며, '엘리트 코스'를 밟았다. 2006년 1월 18일 아랍에미리트와의 친선경기에서 A매치에 데뷔하였다.
2006년 9월 6일, 수원에서 열린 중화민국과의 2007년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하여 팀의 8-0 승리를 이끌기도 하였다.[7]
2008년 10월, K리그에서 연속 경기 공격포인트를 올리며 9개월 만에 국가대표팀 예비 엔트리에 이름을 올렸으나 부상으로 하차하였다.
지도자 경력[편집]
현역에서 은퇴한 이후 마지막 소속팀이었던 제주에서 코치로 부임하여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였다.[8]
플레이 스타일[편집]
큰 키(186cm)를 가졌음에도 동작이 재빠르고 유연했으며 페널티 에리어 주변에서는 수비수 한명 정도는 따돌리고 슛팅을 가져 갈 수 있을 정도로 슛팅 이전 동작들이 굉장히 간결하고 빨랐음. 그의 장기는 간결한 터치 및 슛팅이였으나 현재 전성기가 지나고 있는 시점에서는 가끔씩만 한방을 보여주고 있음. (그래도 여전히 골문 앞에서는 위협적인 선수)
경력[편집]
선수 경력[편집]
- 2003년 ~ 2010년
안양 LG 치타스 / FC 서울
- 2011년 ~ 2012년
AJ 오세르
- 2011년 9월 ~ 2012년 6월
AS 낭시 (임대)
- 2012년 7월 ~ 2012년 12월
FC 서울
- 2013년 1월 ~ 2014년 10월
경찰
- 2014년 10월 ~ 2015년
FC 서울
- 2016년 1월 ~ 2016년 12월
광주 FC
- 2017년 1월 ~ 2019년 12월
강원 FC
- 2020년 1월 ~ 11월
제주 유나이티드
수상[편집]
개인[편집]
- 2003년 K리그 신인선수상 수상
- 2004년 FA컵 득점상 수상
- 2016년 K리그 클래식 최우수선수상 수상
- 2016년 K리그 클래식 득점상 수상
- 2016년 K리그 클래식 베스트 11 수상
클럽[편집]
FC 서울[편집]
- K리그 우승 2회 : 2010, 2012
- K리그 준우승 1회 : 2008
- FA컵 우승 1회 : 2015
- FA컵 준우승 1회 : 2014
- 리그컵 우승 2회: 2006, 2010
- 리그컵 준우승 1회: 2007
제주 유나이티드[편집]
가족 관계[편집]
- 배우자 : 김성은 (1983년 9월 16일 ~ )
- 장남 : 정태하 (2011년 8월 20일 ~ )
- 딸 : 정윤하 (2017년 5월 30일 ~ )
- 차남 : 정재하 (2020년 1월 27일 ~ )
각주[편집]
참고 자료[편집]
- 정조국이 준비하는 백조의 노래
- 정조국 인터뷰① - 정조국 '광주 FC, 가족, 막내 딸을 소망하다'
- 정조국 인터뷰② - 정조국 "나는 빚을 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더 큰 꿈을 꿉니다"
- 정조국 인터뷰③ - 정조국 "FC 서울을 떠올리면 아직 가슴이 시리다"
- 트리플 크라운’ 정조국, 부활의 키워드를 말하다
외부 링크[편집]
- 정조국 K리그 기록 – 한국프로축구연맹
- 정조국 리그 1 기록 - 프랑스프로축구연맹 (불어, 영어)
- 정조국 국가대표팀 기록 - 대한축구협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정조국 FIFA 주관 대회 기록 - 국제축구연맹 (영어)
이 전 이천수 |
제19대 K리그 신인선수상 2003년 |
다 음 문민귀 |
이 전![]() |
제34대 K리그1 MVP 2016년 |
다 음![]() |
이 전![]() |
제34대 K리그1 득점왕 2016년 |
다 음![]() |
- 1984년 출생
- 살아있는 사람
- 20세기 대한민국 사람
- 21세기 대한민국 사람
- 축구 공격수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 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
- FC 서울의 축구 선수
- AJ 오세르의 축구 선수
- AS 낭시의 축구 선수
- 안산 무궁화 축구단의 축구 선수
- 광주 FC의 축구 선수
- 강원 FC의 축구 선수
- 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축구 선수
- 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코칭스태프
- K리그1의 축구 선수
- 리그 1의 축구 선수
- K리그2의 축구 선수
- 2006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부안군 출신
- 대신고등학교 (서울) 동문
- 대신중학교 (서울) 동문
- 서울갈현초등학교 동문
- 프랑스의 외국인 축구 선수
-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K리그1 영플레이어상 수상자
- K리그1 베스트 11 수상자
- K리그1 득점상 수상자
- 프랑스에 거주한 대한민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