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훈 (1970년)
| ||||||
---|---|---|---|---|---|---|
개인 정보 | ||||||
로마자 표기 | Kim Do-Hoon | |||||
출생일 | 1970년 7월 21일 | (49세)|||||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시 | |||||
키 | 183cm | |||||
포지션 | 감독 (과거 스트라이커) | |||||
클럽 정보 | ||||||
현 소속팀 | 울산 현대 | |||||
청소년 클럽 기록 | ||||||
1989-1992 | 연세대학교 | |||||
클럽 기록* | ||||||
연도 | 클럽 | 출전 (골) | ||||
1993-1994 1995-1997 1998-1999 2000-2002 2003-2005 |
상무 (군 복무) 전북 현대 다이노스 → 비셀 고베 (임대) 전북 현대 모터스 성남 일화 |
111 (43) → 58 (27) 83 (42) | ||||
국가대표팀 기록‡ | ||||||
1991-1992 2000 1994-2003 |
대한민국 U-23 대한민국 U-23 (와일드카드) 대한민국 |
4 (1) 72 (30) | 3 (2)||||
지도자 기록 | ||||||
2006-2012 2013 2014 2015-2016 2017- |
성남 일화 (코치) 강원 FC (코치) 대한민국 U-20 (수석 코치) 인천 유나이티드 울산 현대 | |||||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06년 1월 1일 기준이다. ‡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06년 1월 1일 기준이다. |
김도훈 (金度勳, 1970년 7월 21일 ~ )은 전 축구 선수 및 현 지도자이며, 현재 울산 현대의 감독이다.
목차
개요[편집]
경상남도 통영시 출생으로 유영초등학교, 통영중학교, 학성고등학교, 연세대학교, 서울스포츠대학원대학교를 졸업하였다. 상대 골문에 골 폭격을 가한다고 하여 '폭격기'라는 별명이 붙었다.
클럽 경력[편집]
1993년 상무 축구단에 입대해 군복무를 마쳤다. 1995년 전북 현대 다이노스에 입단해 프로 생활을 시작하였고, 1998년 J리그의 비셀 고베로 2년 임대 계약으로 이적하였다.[1] 2000년 2월 친정팀 전북 현대 모터스로 복귀하여[2] 그 해 K-리그 득점왕에 올랐고, 2000년 팀의 FA컵 우승과[3] 2002년 팀의 아시안 컵 위너스컵 준우승에 큰 공헌을 하였다. 2003년 1월 성남 일화 천마로 이적하여[4] 그 해 K-리그 우승과[5] 2004년 AFC 챔피언스리그 준우승에 큰 공헌을 하였고, 2004년 AFC 챔피언스리그 득점왕에 올랐다. 특히, 2003년에는 28골을 기록하여 K-리그 한 시즌 최다골 신기록을 세우며[6] 역대 선수들 중 유일하게 K-리그 득점왕과 MVP를 동시에 차지하였고[7], 역대 선수들 중 유일하게 K-리그 득점왕을 2번 차지하였다. 2003년 5월 11일 안양 LG 치타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K-리그 통산 36번째로 20-20클럽에 가입하였고, 2003년 11월 5일 광주 상무 불사조와의 원정 경기에서 K-리그 통산 16번째로 30-30클럽에 가입하였으며, 2005년 8월 31일 인천 유나이티드와의 홈 경기에서 K-리그 통산 7번째로 40-40클럽에 가입하였다.
2005년 8월 28일 전북 현대 모터스와의 K-리그 원정 경기에서 2골을 기록하며 K-리그와 K-리그 컵대회 합산 통산 110골로 개인 통산 최다 득점 타이를 기록하였고,[8] 8월 31일 인천 유나이티드와의 K-리그 홈 경기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K-리그와 K-리그 컵대회 합산 통산 113골로 개인 통산 최다 득점 신기록을 세웠으며,[9] 10월 19일 대전 시티즌과의 K-리그 홈 경기에서 골을 기록하며 K-리그와 K-리그 컵대회 합산 개인 통산 최다 득점 기록을 114골로 늘렸지만,[10] 10월 24일 전남 드래곤즈와의 K-리그 원정 경기에서 부상을 입어 시즌을 마쳤고,[11] 시즌이 끝난 뒤 공식 은퇴를 선언하였다.[12] (김도훈의 개인 통산 최다 득점 기록은 2008년 9월 24일 우성용에 의해 경신된다.)
김도훈은 K-리그와 K-리그 컵대회 합산 통산 6번의 해트트릭을 기록하여 샤샤와 함께 역대 선수들 중 가장 많은 해트트릭을 기록하였다.[13]
국가대표팀 경력[편집]
1994년 9월 13일 우크라이나와의 친선경기에서 대한민국 국가 대표로 첫 출전하여 데뷔전에서 득점을 올렸다. 1998년 FIFA 월드컵 등에 참가하였고, 2003년까지 근 10년 동안 대표팀의 공격수로 활약하며 A매치 72경기에 출장해 30골을 넣었다. 1990년대 황선홍, 최용수 등과 함께 대한민국의 간판 스트라이커로 활약했다.
1999년 3월 28일, 브라질과의 친선 경기에서 결승골을 터뜨려 대한민국의 1-0 승리를 이끈 주인공이기도 하다.
2003년 12월 10일, 일본과의 72번째 A매치 경기가 자신의 마지막 국가대표 경기가 되었다. 2006년 3월 1일, 앙골라와의 경기 하프타임에 은퇴식을 가져 공식적으로 은퇴하였다.[14]
지도자 경력[편집]
2005년 은퇴 후, 성남 일화 천마의 코치로 부임하였다.[15] 2013년엔 강원 FC의 코치직을 맡았고.[16] 2013년 8월 강원 FC의 유스팀 총괄 코치로 부임하였다.[17]
2014년 김상호 감독이 이끄는 U-19 국가대표팀의 수석코치를 맡아 AFC U-19 챔피언십에 참가하였다.
2015년 1월 13일 김봉길의 후임으로 인천 유나이티드 FC의 감독으로 선임되었고, FA컵 준우승을 이끌었다.
2016년 8월 팀이 리그 최하위에 머물자 성적부진을 이유로 사임하였다.[18]
2016년 11월 21일에는 윤정환의 후임으로 울산 현대의 감독으로 선임되었다.,[19]
2017년 10월 11일에 9월 스포츠투아이 K리그 이달의 감독에 선정되었으며.[20][21]울산 감독 부임 첫 해인 2017년, 1998년 이후 19년 만에 팀을 FA컵 결승에 진출시키고.[22]구단 역사상 최초 FA컵 우승을 이끌어냄으로써 지난 2015시즌 중 인천에서 이루지 못한 FA컵 우승을 울산에서 이루어냈다.[23][24]
그 후, 김도훈은 2018년 7월 18일에 있었던 강원과의 경기 종료 직후 심판진에 신체접촉을 포함한 과도한 항의를 하여 출장정지 3경기, 제재금 500만원의 징계를 받았다.[25]
플레이 스타일[편집]
2경기당 1번 꼴로 득점을 올릴 정도로 골 냄새를 잘 맡았다. 매 시즌 평균 13골 이상을 기록했을 정도로 꾸준한 실력을 유지하였다.
기타[편집]
2005년 4월,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와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쓰나미 피해자 돕기 자선 축구 경기'에 한국 대표로 참가하였다.[26]
2015년 인천 감독 시절에 6월 6일 현충일을 맞아 인천의 리그 첫 승(2015년 6월 3일에 대전 원정 경기에서 2-1 승) 공약 이벤트로 맥아더로 변신하고 사인회를 열어 화제를 모았다.[27]
2017년 5월 25일에는 김용대, 김인성, 이종호, 김승준, 최규백, 박용우, 정승현 등 울산 현대 선수들과 함께 피파온라인3의 신규모드 3vs3 롤플레이 모드 시연과 직접 게임하는 광고 영상을 촬영하였다.[28]
2017년 6월 25일 울산현대 축구단과 자매결연한 해군 잠수함 ‘홍범도함’ 명예함장에 위촉되었다.[29]
2017년 11월 1일에 울산현대 스포츠 클럽에서 저소득 가정 소아환우를 위해 기부금 500만원을 대한적십자사 울산광역시지사에 기부하였다.[30]
경력 목록[편집]
클럽 경력[편집]
- 1993년 ~ 1994년
상무 (군복무)
- 1995년 ~ 1997년
전북 현대 다이노스
- 1998년 ~ 1999년
비셀 고베 (임대)
- 2000년 ~ 2002년
전북 현대 모터스
- 2003년 ~ 2005년
성남 일화 천마
국가대표팀 경력[편집]
- 1996년 AFC 아시안컵 대표
- 1998년 FIFA 월드컵 대표
- 2000년 하계 올림픽 대표
지도자 경력[편집]
- 2006년 ~ 2012년 성남 일화 천마 코치
- 2013년 강원 FC 유스팀 총괄 코치
- 2014년 대한민국 U-19 국가대표팀 수석코치
- 2015년 ~ 2016년 인천 유나이티드 FC 감독
- 2017년 ~ 현재 울산 현대 감독
수상 내역[편집]
개인[편집]
- 2000년 K-리그 득점왕 수상
- 2000년 K-리그 베스트 11 선정
- 2001년 올해의 키카골 선정
- 2003년 K-리그 득점왕 수상
- 2003년 K리그 MVP 수상
- 2003년 K-리그 베스트 11 선정
- 2004년 AFC 챔피언스리그 득점왕 수상
- 2004년 제18회 올해의 프로축구 대상 올해의 인기선수 선정
- 2005년 프로축구 골든볼 골든슈 시상식 - 월간(7, 8월) 골든볼 선정
- 2005년 K-리그 대상 공로상 수상
- 2005년 K-리그 앙드레 김 특별상 수상
클럽[편집]
전북 현대 모터스[편집]
- FA컵 우승 1회 (2000년)
- 아시안 컵 위너스컵 준우승 1회 (2002년)
성남 일화 천마[편집]
- K리그 우승 1회 (2003년)
- 리그컵 우승 1회 (2004년)
- AFC 챔피언스리그 준우승 1회 (2004년)
감독[편집]
울산 현대[편집]
각주[편집]
- ↑ [1]
- ↑ 김도훈, 2억7천만원 한국프로축구 최고연봉받고 현대에 복귀
- ↑ 전북 창단 첫 우승 이끈 김도훈
- ↑ 김도훈, 최고연봉에 성남 이적
- ↑ 성남 우승 1등공신은 김도훈
- ↑ 그러나 이 기록은 2016년 fc서울 소속 아드리아노가 29골로 기록을 갈아치웠다2김도훈, 28골로 프로축구 득점왕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김도훈· 정조국, K리그 MVP 및 신인왕 등극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김도훈 2골…통산 110호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김도훈, 113골로 K리그 통산 최다득점 신기록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김도훈 114호골 폭발 '캬∼ 바로 이맛이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김도훈 발가락 부상 시즌 끝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통산 최다골 김도훈 은퇴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K리그 최다 해트트릭 주인공 김도훈, 샤샤…6개로 공동 1위
- ↑ 김도훈, 앙골라전 통해 은퇴식 치러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김도훈 현역 은퇴, 소속팀 코치로 변신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강원FC, K리그 대표 공격수 김도훈 코치 영입
- ↑ 김학범 이어 코치까지 내친 강원
- ↑ 리그 인천UTD, 성적 부진 김도훈 감독과 결별
- ↑ 김도훈, 울산 현대 ‘지휘봉’ 잡는다.
- ↑ 김도훈 울산 감독, K리그 9월의 감독 선정
- ↑ 울산현대 김도훈 감독, '9월의 감독' 선정
- ↑ 울산, 목포시청 꺾고 19년 만에 FA컵 결승 진출
- ↑ 김도훈 감독과 울산, 드디어 FA컵 '한' 털어냈다
- ↑ '2등 서러움' 아는 김도훈 감독, 울산 19년 한 풀었다
- ↑ K리그 상벌위, 울산 김도훈 감독 출장 정지 3경기 - 제제금 500만원
- ↑ 김도훈 ‘쓰나미’ 올스타 참가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인천 김도훈 감독, 6일 맥아더 장군 복장으로 팬 사인회
- ↑ 울산, 피파온라인3 광고 모델 됐다…'아시아 구단 최초'
- ↑ 울산현대 김도훈 감독, 해군 잠수함 ‘홍범도함’ 명예함장 위촉
- ↑ 울산 김도훈 감독-이종호, 사랑의 키다리 변신
외부 링크[편집]
전임 김봉길 |
제6대 인천 유나이티드 감독 2015년 1월 13일 ~ 2016년 8월 31일 |
후임 이기형 (감독 대행) |
전임 윤정환 |
제10대 울산 현대 감독 2016년 11월 21일 ~ 현재 |
후임 현직 |
이 전![]() |
제2대 AFC 챔피언스리그 득점상 2004년 |
다 음![]() |
이 전![]() |
제21대 K리그 MVP 2003년 |
다 음![]() |
이 전![]() |
제18대 K리그 득점왕 2000년 |
다 음![]() |
이 전![]() |
제21대 K리그 득점왕 2003년 |
다 음![]() |
- 1970년 태어남
- 살아있는 사람
- 축구 공격수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 대한민국의 축구 감독
- 상무 축구단 (실업)의 축구 선수
- 전북 현대 모터스의 축구 선수
- 비셀 고베의 축구 선수
- 성남 FC의 축구 선수
- 199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1998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
-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
-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참가 선수
- 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대한민국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
- K리그1의 축구 선수
- K리그 최우수 선수
- 인천 유나이티드 FC의 축구 감독
- 통영시 출신
- 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동문
-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동문
- 학성고등학교 동문
- 통영중학교 동문
- 유영초등학교 동문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1996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
- 2002년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
- 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
- 일본의 외국인 축구 선수
- J1리그의 축구 선수
- K리그1의 축구 감독
- 강원 FC의 코칭스태프
- 성남 FC의 코칭스태프
- 울산 현대 축구단의 코칭스태프
- 인천 유나이티드 FC의 코칭스태프
- K리그1 베스트 11 수상자
- K리그1 득점상 수상자
- 일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