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영어: Revised Romanization of Korean)은 한국어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법대한민국 표준으로, 표준 발음법에 맞추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문화체육관광부가 2014년 12월 5일 고시[1]하였다. 2000년에 인터넷시대에 맞지 않는 반달표와 어깨점을 없애고 한국인과 외국인 모두에게 편리한 방향으로 개정한 문화관광부안이 고시되었는데,[2] 이것을 일부 개정하여 2014년에 문화체육관광부가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고시하여[3]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다.[4]

자음[편집]

자음은 위치에 따라서 로마자가 다른 경우가 있다.

파열음[편집]

한글 자모 로마자
(초성, 모음 앞 종성)
로마자
(모음 앞이 아닐 때 종성)
g k
kk k
k k
d t
tt (없음)
t t
b p
pp (없음)
p p

파찰음[편집]

한글 자모 로마자
(초성, 모음 앞 종성)
로마자
(모음 앞이 아닐 때 종성)
j t
jj (없음)
ch t

마찰음[편집]

한글자모 로마자
(초성, 모음 앞 종성)
로마자
(모음 앞이 아닐 때 종성)
s t
ss t
h t

비음[편집]

한글 자모 로마자
(초성)
로마자
(모음 앞 종성)
로마자
(모음 앞이 아닐 때 종성)
n n n
m m m
없음[5] ng ng

유음[편집]

한글 자모 로마자
(초성)
로마자
(종성)
r l
  • 단, ‘ㄹㄹ’은 ‘ll’로 적는다.
    • 예) 선릉역[설릉역] (Seolleung Station)

모음[편집]

단모음[편집]

한글 자모 로마자
a
eo
o
u
eu
i
ae
e
oe
wi

이중모음[편집]

한글 모음 로마자
ya
yeo
yo
yu
yae
ye
wa
wae
wo
we
ui
  • 'ㅢ'는 'ㅣ'로 소리나더라도 'ui'로 적는다.

예시[편집]

문화재명이나 자연 지물명, 인공 축조물명은 붙임표('-') 없이 적는다. 고유 명사이므로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는다.

주소를 쓸 경우 지명과 행정 구역 단위(, , , , , , , )와 '가'를 붙임표('-')로 분리해야한다. 이때 붙임표 앞뒤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화와 이름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고, '시, 군, 읍'의 행정 구역은 생략이 가능하다. 고유 명사이므로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는다.

행정 구역 단위 로마자
도(道) do
시(市) si
군(郡) gun
구(區) gu
읍(邑) eup
면(面) myeon
동(洞) dong
리(里) ri
가(街) ga
  • 충청북도(忠淸北道): Chungcheongbuk-do
  • 진주시(晉州市): Jinju-si/Jinju
  • 평창군(平昌郡): Pyeongchang-gun/Pyeongchang
  • 종로구(鍾路區): Jongno-gu
  • 기장읍(機張邑): Gijang-eup
  • 용문면(龍門面): Yongmun-myeon
  • 잠실동(蠶室洞): Jamsil-dong
  • 동리(洞里): Dong-ri
  • 종로3가(鐘路3街): Jongno 3(sam)-ga

도로명 주소를 로마자로 표기할 때에도 도로 구분 단위(대로, , )와 지명을 붙임표('-')로 구분하며, 고유 명사이므로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는다.

도로 구분 단위 로마자
대로(大路) daero
로(路) ro
gil
  • 세종대로(世宗大路): Sejong-daero
  • 종로(鐘路): Jong-ro
  • 흥천사길(興天寺길): Heungcheonsa-gil
    • 단, 법정동으로 쓰인 “로”는 “-”로 구분하지 않는다.
      • 종로1가(鐘路1街): Jongno 1(il)-ga

인명을 표기할 땐 이름 순으로 띄어 쓰며, 성은 관습에 따라 사용하는 것도 허용한다. 또한 이름은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넣는 것을 허용하며, 이름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고유 명사이므로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는다.

  • 민용하: Min Yongha/Min Yong-ha
  • 홍빛나: Hong Bitna/Hong Bit-na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이 지켜지지 않는 일[편집]

도로명이나 지명의 경우는 제대로 지켜지고 있으나, 인명의 경우는 지켜지지 않는 사례가 많다. 예를 들어 박지성의 경우는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따르면 'Bak Jiseong' 또는 'Bak Ji-seong'이 되지만, 실제로는 'Park Jisung'이라는 표기가 더 많이 쓰인다. 또 김연아의 경우는 'Gim Yeona' 또는 'Gim Yeon-a'가 맞지만, 실제로는 'Kim Yu-Na'라는 표기가 더 많이 쓰인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4-0042호
  2. [네이버 지식백과] 로마자표기법 [Romanization] (두산백과)
  3. [네이버 지식백과] 로마자표기법 [─字表記法]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4.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4-0042호
  5. 현대 한국어의 초성 "ㅇ"은 소리가 나지 않는다.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