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큔-라이샤워 표기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영어: McCune–Reischauer romanization, 영어 발음: /məˈkjuːn ˈraɪʃaʊ.ər/)은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의 하나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과 함께 가장 널리 쓰인다. 특히 대한민국 이외의 국가에서 많이 쓰이며, 이 표기법의 변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식 표기법으로 쓰인다. 대한민국에서 1984년 1월 13일에 고시되어 2000년 5월 7일 폐지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이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을 약간 손을 봐서 만든 것이다.

1937년 미국인 맥 매큔에드윈 라이샤워가 만들었다. 한국어를 전자(轉字)한다기보다는 발음을 서양 언어에 가깝게 나타내도록 한 표기법이다. 한국어에는 유성음과 무성음이 서로 구분되는 음운이 아니지만 이 표기법에서는 구분을 시킨다. 격음 뒤 또는 음절 사이를 구분할 때 아포스트로피를 쓰는데, 이는 서양 문자권에서 직관적인 문장 부호이다.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은 표기에서 아포스트로피와 ㅓ(ŏ)·ㅡ(ŭ) 등의 위에 있는, 표기하기 어려운 반달점(breve)을 빼는 사람이 있어서 다른 말과 혼동되었던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이 표기법을 옹호하는 사람은 그렇게 하더라도 실제 발음과 비슷하게 읽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 또한 표기법은 표기를 규정하지 표기의 입력 방법에 대해서는 규정하지 않기 때문에,[주 1] 표기법이 입력이 불편한 문자를 쓴다고 할지라도 표기법의 책임은 아니다.[주 2]

위와 같은 문제 때문에 대한민국 정부2000년 5월 7일새 표기법을 만들었다. 하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다른 나라의 한국 연구 단체를 비롯하여 남한 내의 일부 영자 신문 등 많은 곳에서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을 쓰고 있다.

표기법[편집]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으로 쓴 주소표 (Hwasŏmun R.)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으로 쓴 추암역의 역명판 (Ch'uam)

아래는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관한 간단한 설명이다.

자음[편집]

한글
로마자 표기 초성 k kk n t tt r m p pp s ss ch tch ch' k' t' p' h
종성 k t l m p p t ng t t k t p
  • 이중 자음(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은 종성에서만 존재하나 표기는 실제 발음을 적는다.
첫소리
1
(k)

(n)

(t)

(r)

(m)

(p)
2
(s)[주 3]

(ch)

(ch')

(k')

(t')

(p')

(h)
끝소리 (k) g kk ngn kt ngn(S)/ngr(N) ngm kp ks kch kch' kk' kt' kp' kh[주 4]
(n) n n'g nn nd ll/nn nm nb ns nj nch' nk' nt' np' nh
(t) d tk nn tt nn(S)/ll(N) nm tp ss tch tch' tk' tt' tp' th
(l) r lg ll/nn ld3 ll lm lb ls lj3 lch' lk' lt' lp' rh
(m) m mg mn md mn(S)/mr(N) mm mb ms mj mch' mk' mt' mp' mh
(p) b pk mn pt mn(S)/mr(N) mm pp ps pch pch' pk' pt' pp' ph
(ng) ng ngg ngn ngd ngn(S)/ngr(N) ngm ngb ngs ngj ngch' ngk' ngt' ngp' ngh
  1. ‘ㅇ’은 모음 앞에 오는 음이 없는 초성 자음이다.
  2. ‘쉬’는 ‘shwi’로 기술한다.
  3. 한자어 단어에서는 각각 ‘lt ’ 및 ‘lch’이다.

유성음 ㄱ, ㄷ, ㅂ, ㅈ에는 g, b, d, j 글자를 사용하며, 그 밖에는 k, p, t, ch를 사용한다. 이 같은 발음은 위의 표에서의 규칙보다 우선한다.

모음[편집]

한글
로마자 표기 a ae ya yae ŏ e* ye o wa wae oe yo u we wi yu ŭ ŭi i
  • 뒤에서의 는 ë라고 적는데, 이는 (ae)를 ㅏ에(aë)와, (oe) 및 ㅗ에(oë)를 구별하기 위함이다. ㅏ에(aë) 및 ㅗ에(oë) 조합은 ‘회사에서’(hoesaësŏ) 및 ‘차고에’(ch'agoë)와 같이 명사가 조사를 따라가는 문장을 제외하고 드물게 발생한다.

[편집]

  • 격려합니다[경녀함니다] Kyŏngnyŏhamnida
  • 종로3가[종노삼가] Chongno 3(sam)-ga
  • 청주 Ch'ŏngju
  • 부산 Pusan
  • 못하다[모타다] Mot'ada
  • 먹다[먹따] Mŏkta
  • 먹었다[머걷따] Mŏgŏtta
  • 폴란드 P'ollandŭ
  • 연락[열락] Yŏllak
  • 한국말[한궁말] Han'gŭngmal
  • 먹는군요[멍는군뇨] Mŏngnŭn'gunnyo
  • 역량[영냥] Yŏngnyang
  • 십리[심니] Simni
  • 같이[가치] Kach'i
  • 않다[안타] Ant'a
  • 漢字 (한자) Hancha (발음: 한짜 Hantcha) (cf. 한 字 (한 자) Han ja, "한 글자")
  • 外科 (외과) Oekwa (발음: 외꽈 Oekkwa) (cf. 外踝 (외과) Oegwa, "밖의 복사뼈")
  • 鐵道 (철도) Ch'ŏlto (발음: 철또 Ch'ŏltto) (cf. 철도 Ch'ŏldo, ex: '철도 안든 사람이다.')
  • 안다 Anta (발음: 안따 An'tt'a), 안고 Anko (발음: 안꼬 Ankko), (의자에) 앉다. Anta (발음: 안따 Antta), 감다 Kamta (발음: 감따 Kamtta) (cf. 한글 표기는 -ㄴ다(nda) 또는 -ㅁ다(mda)이나, 서술어에서 어간 말음이 ㄴ,ㅁ일 경우 뒤의 자음이 경음화(된소리화)되는 것을 반영하여 표기한다.)
  • 올해 서른여덟입니다. Olhae Sŏrŭnyŏdŏrimnida.
  • 좋은 Chn
  • 서울 Sŏul

주해[편집]

  1. 한글 맞춤법이 한국어 단어에 대한 표준 표기를 규정하고 그 표기의 입력 방법에 대해서는 규정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2. 실제로 일본어 로마자 표기법은 장음 표기에 macron(¯) 또는 circumflex(ˆ)를 쓰고, 중국어 병음 로마자 표기법은 성조 표기에 macron(¯), acute(´), caron(ˇ), grave(`)를 사용하고, u, e와는 다른 모음을 표기하기 위해 ü, ê를 쓴다.
  3. 1984년부터 2000년까지 대한민국에서 쓰였던 표기에서는 시·샤·셔·쇼·슈 등의 ‘ㅅ’ 문자를 ‘sh’ 문자로 적었다.(예: 특별시 → T'ŭkpyŏlshi)
  4. 1984년부터 2000년까지 대한민국에서 쓰였던 표기에서는 ㅎ 앞의 받침이 동화되었을 때 동화된 그 닿소리를 그대로 적었다.(예: 직할시 → Chik'alshi)

각주[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