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화

| ||||||
---|---|---|---|---|---|---|
개인 정보 | ||||||
로마자 표기 | Park Sung-Hwa | |||||
출생일 | 1955년 5월 7일 | (68세)|||||
출생지 |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 |||||
키 | 178cm | |||||
포지션 | 센터백 | |||||
청소년 클럽 기록 | ||||||
1971-1973 1974-1978 |
동래고등학교 고려대학교 | |||||
클럽 기록* | ||||||
연도 | 클럽 | 출전 (득점) | ||||
1978-1979 1980-1982 1983-1985 1986-1987 |
포항제철 (실업) 육군 축구단 (군 복무) 할렐루야 독수리 포항제철 아톰즈 |
37 (9) 32 (0) | ||||
국가대표팀 기록‡ | ||||||
1974 1975-1984 |
대한민국 U-20 대한민국 |
103 (26) | ||||
지도자 기록 | ||||||
1988-1989 1989-1991 1992 1992-1994 1996-2000 2001-2005 2003-2004 2007 2007-2008 2010-2011 2011-2013 2015 2018- |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현대 호랑이 (코치) 유공 코끼리 (코치) 유공 코끼리 포항 스틸러스 대한민국 U-20 대한민국 (코치) 부산 아이파크 대한민국 U-23 다롄 스더 미얀마 경남 FC 동래고등학교 | |||||
* 클럽의 출전횟수와 득점기록은 정규 리그 등 공식 경기 기록만 집계함. 또한 출전횟수와 득점기록은 2003년 1월 1일 기준임. ‡ 국가대표팀의 출전횟수와 득점기록은 2003년 1월 1일 기준임. |
박성화(朴成華, 1955년 5월 7일 ~ )는 대한민국의 전 축구선수 및 현 지도자이다.
개요[편집]
울산 출생으로 동래고등학교, 고려대학교를 졸업하였다. 선수시절 별명은 쌀장수였다. 힘이 좋아서 붙여진 별명 같지만 사실은 대표선수 시절 전지훈련지 진해의 숙소 근처 쌀가게 주인과 겉모습이 비슷해 붙여진 별명이다.
축구인 생활[편집]
선수 생활[편집]
1978년 당시 실업 축구단이었던 포항제철에서 자신의 성인 축구 경력을 시작하였다. 1980년 육군에 입대해 군복무를 마쳤다.
K-리그 창설 원년인 1983년 할렐루야 독수리에서 데뷔하여, 그 해 K리그 초대 우승에 크게 공헌하여 초대 MVP를 받게 되었다. 1986년 실업 축구 당시 친정 팀이었던 포항제철로 복귀하여 그 해 K리그 우승에 큰 공현을 하였다. 1987 시즌이 끝난 뒤 은퇴하였다.
국가 대표 생활[편집]
1970-1980년대의 대한민국 축구를 대표하는 선수로, 1980년 AFC 아시안컵과 1984년 AFC 아시안컵 등의 많은 대회에서 뛰었고, A매치 92경기에서 28골을 넣었다.
플레이 스타일[편집]
현역 시절 소속 팀과 국가대표팀의 주 포지션은 중앙 수비수로 당시 스위퍼와 스토퍼 포지션을 소화했지만 공격수로 변칙 출전하여 많은 골을 기록하기도 하였으며 특히 1976년 동대문운동장에서 벌어진 한일 정기전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하기도 하였다.
지도자 생활[편집]
은퇴 후 1988년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감독을 지냈고, 1989년에 울산 현대 호랑이에 코치로 입단하여 활동하다가 1992년 유공 코끼리로 옮겼다.
1992년 시즌 도중 유공의 창단 이후 10여 년 동안 팀을 이끌었던 김정남 감독이 성적 부진으로 사령탑에서 물러나자 그 자리를 승계하였고, 1993년 정식으로 감독에 부임하였지만 1994년 성적 부진으로 리그 후반기에 팀에서 중도 하차한 후 발레리 네폼냐시에게 감독직을 넘겼다. 1996년 포항 스틸러스 감독에 취임하여 그 해 FA컵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1997년과 1998년에 팀의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2연패를 이끄는 대기록을 세워 그 해 2월과 4월에 AFC 이달의 감독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하지만, 2000년 7월 31일 시즌 도중 성적 부진에 따른 책임을 지고 팀에서 물러났다.[1]
2001년 U-19 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어 대표팀 감독 및 코치로서의 인연을 시작하였다.[2] 2002년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제 33회 AFC U-20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였고, 그 해 10월에 자신의 통산 3번째 AFC 이달의 감독상을 수상하였다.[3] 2003년 2월 국가대표팀 수석코치에 선임되어 U-19 대표팀 감독과 겸임하다가,[4] 2004년 4월 움베르투 코엘류 감독이 성적 부진으로 사퇴하자 임시로 감독 대행을 맡았고,[5] 6월에 사임한 후 U-19 대표팀 감독에 전념하였다.[6] 2004년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제 34회 AFC U-20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여, 박종환 감독에 이어 대한민국 축구 사상 두 번째로 AFC U-20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2연패를 차지한 감독이 되었다.[7] 2005년 네덜란드에서 열린 FIFA U-20 월드컵을 끝으로 지휘봉을 놓았다.
2007년 7월, 시즌 도중 앤디 에글리 감독의 후임으로 부산 아이파크의 새 감독으로 선임되었다.[8] 하지만, 불과 2주일 뒤에 부산 아이파크의 감독직에서 사임하고, 핌 페르베이크 감독의 후임으로 올림픽 대표팀 감독에 취임하여[9] 이 과정에서 많은 축구 팬들의 비난을 받았다.[10] 2008년 올림픽 대표팀은 예선에서 통과했지만 본선무대 조별 리그에서 1승 1무 1패로 탈락했다. 이 때문에 네티즌들의 비난을 받았으며 '뻥성화'라는 굴욕적인 별명을 얻었다.
2010년부터 2011년까지 다롄 스더의 감독으로 있은 뒤, 2011년 12월 15일 미얀마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11] 2014년 12월 26일 경남 FC의 새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그 외[편집]
2007년 AFC 아시안컵 당시 대한민국 경기 해설 위원을 맡기도 하였다.[12]
경력[편집]
선수 경력[편집]
국가 대표 경력[편집]
- 1980년 AFC 아시안컵 대표
- 1984년 AFC 아시안컵 대표
지도자 경력[편집]
- 1988년 ~ 1989년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감독
- 1989년 ~ 1991년
현대 호랑이 코치
- 1992년
유공 코끼리 코치
- 1992년 ~ 1994년
유공 코끼리 감독
- 1996년 ~ 2000년
포항 스틸러스 감독
- 2001년 ~ 2005년
대한민국 축구 U-20 대표팀 감독
- 2003년 ~ 2004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코치
- 2007년
부산 아이파크 감독
- 2007년 ~ 2008년 대한민국 축구 올림픽 대표팀 감독
- 2010년 ~ 2011년
다롄 스더 감독
- 2011년 ~ 2013년
미얀마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2014년 ~ 2015년
경남FC 감독
수상[편집]
개인[편집]
- 1983년 K리그 MVP 수상
- 1983년 K리그 베스트 11 선정
- 1984년 K리그 베스트 11 선정
- 1986년 프로축구 모범상 수상
- 1998년 AFC 선정 2월의 감독
- 1998년 AFC 선정 4월의 감독
- 2001년 AFC 선정 10월의 감독
클럽[편집]
할렐루야 독수리[편집]
포항 제철 아톰즈[편집]
국가 대표팀[편집]
- 1980년 AFC 아시안컵 준우승
감독[편집]
유공 코끼리[편집]
- 아디다스 컵 우승 1회 (1994년)
포항 스틸러스[편집]
- FA컵 우승 1회 (1996년)
- 아디다스 컵 준우승 1회 (1996년)
- 프로스펙스 컵 준우승 1회 (1997년)
-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 우승 2회 (1997년, 1998년)
- 아시아 슈퍼컵 준우승 2회 (1997년, 1998년)
대한민국 축구 U-20 대표팀[편집]
- AFC U-20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2회 (2002년, 2004년)
각주[편집]
- ↑ 포항 박성화 감독 사임
- ↑ 19세 이하 J축구 대표 감독 박성화 씨
- ↑ U-19 대표팀·박성화 감독, AFC 선정 '이달의 팀·감독'에 선정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축구대표팀 수석코치에 박성화 선임
- ↑ 박성화 감독대행…쿠엘류 19일 공식 사퇴
- ↑ 박성화 감독 대행 사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박성화 감독 사상 두 번째 대회 2연패 감독
- ↑ 프로축구 부산, 박성화 감독 선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박성화 감독, 부산 사임하고 올림픽 대표팀 지휘봉[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박성화 감독 내정에 팬들 분통, "명분없는 결정"[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박성화, 미얀마 축구 대표팀 감독 취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박성화 전 청소년 감독, 亞컵 해설 나선다
외부 링크[편집]
- 박성화 K리그 기록 – 한국프로축구연맹
- 박성화 국가대표팀 기록 - 대한축구협회
- 박성화 FIFA 주관 대회 기록 - 국제축구연맹 (영어)
- 김유석의 올드보이 8 : 박성화 - 헤딩 능력 탁월했던 대표팀 스토퍼
- 박성화 - 한국 최고의 멀티 플레이어
이 전 초대 |
제1대 K리그 MVP 1983년 |
다 음![]() |
전임 허정무 |
제5대 포항 스틸러스 감독 1996 - 2000 |
후임 최순호 |
전임 김판곤 (감독 대행) |
제15대 부산 아이파크 감독 2007 |
후임 김판곤 (감독 대행) |
전임 김정남 |
제3대 제주 유나이티드 FC 감독 1992 (감독 대행) 1993 – 1994 |
후임 조윤환 (감독 대행) |
전임 브랑코 바비치 (감독 대행) |
제6대 경남 FC 감독 2015 |
후임 김종부 |
- 1955년 출생
- 울산광역시 출신
- 살아있는 사람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 축구 센터백
- K리그1의 축구 선수
- 포항 스틸러스의 축구 선수
- 할렐루야 축구단의 축구 선수
- 육군 축구단의 축구 선수
-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1978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1980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
- 198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1984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
- 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1978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아시안 게임 축구 메달리스트
- 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
- K리그1 베스트 11 수상자
- 대한민국의 축구 감독
- K리그1의 축구 감독
-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축구부의 축구 감독
- 울산 현대 축구단의 축구 코치
- 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축구 코치
- 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축구 감독
- 포항 스틸러스의 축구 감독
-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코치
- 부산 아이파크의 축구 감독
- 다롄 스더의 축구 감독
- 경남 FC의 축구 감독
- 미얀마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동래고등학교 축구부의 축구 감독
- 중국의 외국인 축구 감독
- 미얀마의 외국인 축구 감독
- 미얀마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감독
- 대한민국 국적의 축구 해설가
- 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청량초등학교 동문
- 남창중학교 동문
- 동래고등학교 동문
- 고려대학교 동문
- 20세기 대한민국 사람
- 21세기 대한민국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