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바 오사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감바 오사카
Gamba Osaka 2022 logo.svg
전체 명칭ガンバ大阪
리그J1리그
창단1980년
소유주야마우치 타카시
감독스페인 다니 포야토스
경기장시립 스이타 사커 스타디움
수용 인원40,000
202215위
어웨이
2007년 4월 7일 가와사키 프론탈레

감바 오사카(일본어: ガンバ大阪 간바 오사카[*], Gamba Osaka)는 일본 오사카부 스이타시를 연고로 하는 J리그 축구팀이다. 감바는 '힘내라!'의 뜻을 가진 일본어 간바루(頑張る)와 이탈리아어로 '다리'를 뜻하는 '감바'에서 따왔다. 이는 '축구의 힘은 다리에서 나온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대한민국 대표팀의 공격수 황의조(2017 ~ 2019)와 대한민국 대표팀 수비수 김영권(2019 ~ 2021)이 활약했으며 현재 이 팀에는 대한민국 대표팀 수비수 권경원과 대한민국 대표팀 미드필더 주세종 그리고 U-18 대표팀 출신인 신원호 등 3명의 한국인 선수가 소속되어 있다.

역사[편집]

1980년마쓰시타 전기산업 (현 파나소닉) 축구부로 창단해 나라현을 연고지로 J리그 전신인 JSL에 참가했고, 1992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바꾸고 J리그 원년 멤버로 가입한다.

초창기만 해도 우라와 레즈, 나고야 그램퍼스와 함께 "J리그의 짐", "J리그의 한신 타이거스"라고 불리면서 하위권을 맴돌았으나, 1997년 카메룬 국가대표 공격수인 파트리크 음보마의 영입 이후 팀은 종합 4위로 비약적인 성적 향상을 이룬다.

2002년, 가시와 레이솔의 감독이었던 니시노 아키라가 감독에 취임한 이후 팀은 2004년 리그 종합 3위로 상위권으로 도약하게 되고, 2005년에는 최종전에서 같은 오사카 지역 라이벌 팀인 세레소 오사카에 승점 1점 리드한 극적인 우승을 차지한다.

2007년 3위를 차지하여 2008년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권을 획득하였으며 2008년 천황배아시아 챔피언스리그를 석권하였다. 같은 해 아시아 대표로 FIFA 클럽 월드컵에 참가하여 3위를 차지하였다.

2009년 리그에서 3위를 기록한 후 천황배 결승전에서 나고야 그램퍼스를 4-1로 물리치고 2년 연속 천황배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2012년 12월 1일, 강등 위기에 몰린 감바는 리그 최종전에서 주빌로 이와타를 상대로 승리하여야만 잔류를 바라볼 수 있었으나 끝내 1-2로 패하면서 J리그에서 강등되었다. 리그에서 최다 득점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점 또한 최하위인 콘사돌레 삿포로를 제외하고 가장 많이 기록하였다. 따라서 2013 시즌에는 J리그 디비전 2에 참가하게 되었으며, 이는 팀 역사상 최초의 강등이었다.

2013년 J리그 디비전 2에서 우승하여 1시즌 만에 J리그 디비전 1으로 승격하였다.

2014년 J1으로 복귀한 첫 해 리그 우승과 더불어 천황배J리그컵에서 모두 우승컵을 들어올려 J리그 역사상 두번째 3관왕을 차지하였으며 2016년부터 프로 U-23 팀의 J3 등록이 허락됨에 따라[1] 지역 라이벌 세레소 오사카 U-23과 함께 U-23팀이 J3에 참가 중이다.

선수단[편집]

현재 1군 선수[편집]

참고: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합니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번호 포지션 국적 이름
1 GK Flag of Japan.svg 히가시구치 마사아키
2 DF Flag of Japan.svg 노다 히로키
4 DF Flag of Japan.svg 후지하루 히로키
5 DF Flag of Japan.svg 미우라 겐타
6 DF Flag of Japan.svg 타나카 타츠야
7 MF Flag of Japan.svg 엔도 야스히토 (주장)
8 MF Flag of Japan.svg 오노세 코스케
9 FW 브라질 아데미우손
10 MF Flag of Japan.svg 쿠라타 슈
11 MF 스페인 다비드 콘차
13 DF Flag of Japan.svg 스가누마 슈야
14 DF Flag of Japan.svg 요네쿠라 코키
15 MF Flag of Japan.svg 콘노 야스유키
Flag of None.svg
17 MF Flag of Japan.svg 이치마루 미즈키
18 FW Flag of Japan.svg 타카기 아키토
19 DF Flag of South Korea.svg 김영권
20 FW Flag of Japan.svg 고야 히로토
번호 포지션 국적 이름
21 MF Flag of Japan.svg 야지마 신야
23 GK Flag of Japan.svg 하야시 미즈키
25 MF Flag of Japan.svg 후지모토 준고
26 MF Flag of Japan.svg 오쿠노 코헤이
27 DF Flag of Japan.svg 타카오 류
28 MF Flag of Japan.svg 코 타카히로
29 MF Flag of Japan.svg 타카에 레오
30 DF Flag of Japan.svg 아오야마 나오아키
31 GK Flag of Japan.svg 타지리 켄
32 MF Flag of Japan.svg 시바모토 렌
34 MF Flag of Japan.svg 후쿠다 유야
35 DF Flag of Japan.svg 야마구치 타츠야
36 DF Flag of Japan.svg 마츠다 리쿠
37 FW Flag of Japan.svg 시라이 하루토
38 FW Flag of Japan.svg 나카무라 케이토
39 FW Flag of Japan.svg 와타나베 카즈마
40 FW Flag of Japan.svg 메시노 료타로
41 GK Flag of Japan.svg 타니 코세이
MF Flag of South Korea.svg 주세종

1군에 등록된 U-23 선수[편집]

참고: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합니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번호 포지션 국적 이름
23 MF Flag of Japan.svg 나카하라 쇼고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에서 임대)
26 MF Flag of Japan.svg 세노오 나오야
27 MF Flag of Japan.svg 모리 유토
28 MF Flag of Japan.svg 요메사카 쇼타
29 FW Flag of Japan.svg 고리 히로무 (도쿄 베르디에서 임대)
30 FW Flag of Japan.svg 히라오 소
번호 포지션 국적 이름
23 GK Flag of Japan.svg 하야시 미즈키
32 DF Flag of Japan.svg 노다 히로키
33 FW Flag of Japan.svg 이치미 가즈나리
34 MF Flag of Japan.svg 코 다카히로
37 FW Flag of Japan.svg 다카기 아키토
40 MF Flag of Japan.svg 메시노 료타로
44 MF Flag of Japan.svg 다카에 레오

라이벌[편집]

우승 기록[편집]

마쓰시타 시절[편집]

감바 오사카[편집]

각주[편집]

  1. 김정용 (2016년 6월 10일). “U-18 대표 GK 안준수, '김진현 후배' 된다”. 풋볼리스트. 2020년 11월 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