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3리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J3리그 | |
---|---|
대륙 | AFC |
국가 | ![]() |
선수단 | 14+3(J1리그 23세 이하 팀) |
상위 리그 | J2리그 |
하위 리그 | 일본 풋볼 리그 |
국내 대회 | 일왕배 |
웹사이트 | jleague.jp |
역사 | |
설립 | 2013년 |
최다 우승 | 츠바이겐 가나자와 레노파 야마구치 오이타 트리니타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1회 우승) |
최근 우승 |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2017) |
![]() |
J3리그(J3リーグ)는 일본 축구 리그 시스템에서 상위 세 번째 리그이다.
기존에는 일본 풋볼 리그가 사실상의 3부 리그 역할을 하고 있었으나, 일본 프로 축구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2014년부터 프로 3부 리그를 출범, 운영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프로 리그로서의 3부 리그는 2014년 첫 시즌을 시작하게 된다. 다만, 기존의 일본 풋볼 리그는 규모를 축소하여 4부 리그 격으로 존치시킬 예정이다.
방식[편집]
첫 시즌인 2014년 시즌의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총 3라운드로 진행하며, 한 라운드에서 한 팀이 같은 팀을 한 번씩 상대한다.
- 각 팀들은 서로의 경기장에서 홈과 원정을 바꿔가면서 경기를 진행한다. 단, J리그 U-22 상비군 팀은 특수 팀이므로 연고지 없이 모든 경기를 원정으로 치른다.
- 시즌이 끝난 후 우승팀은 J리그 디비전 2로 자동 승격하며, 준우승팀은 J리그 디비전 2의 팀과 플레이오프를 치러서 승격 여부를 결정한다. 다만, 이는 해당하는 팀이 J2 라이선스를 갖추고 있는 경우에 한한다. J2 라이선스를 갖추지 못한 팀이 우승하거나 준우승하더라도 승격권이 차순위 팀에게 승계되지 않는다.
구분 | J2 강등 처리 | |||
---|---|---|---|---|
우승팀 (자동 승격) |
준우승팀 (플레이오프) |
21위 | 22위 | |
J2 라이선스 | J2 라이선스 | 강등PO | 강등 | |
J2 라이선스 | - | 잔류 | 강등 | |
- | J2 라이선스 | 잔류 | 강등PO | |
- | - | 잔류 | 잔류 |
2014년 예정안[편집]
기존의 일본 풋볼 리그에서 다음 9팀의 참가가 예정되어 있다. 카마타마레 사누키는 2013 J2-JFL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J리그 디비전 2 2014로 승격되었다.
나머지 3자리는 다음 팀으로 채워질 예정이다.
만일 그루자 모리오카가 J3 최종 심사를 통과하지 못할 경우 레노파 야마구치가 대신 참가할 예정이다. 그루자 모리오카와 레노파 야먀구치가 모두 J3 최종 심사를 통과하지 못하면 아술 클라로 누마즈가 대신 참가하게 된다.
그 밖에 참가 의향을 드러냈으나 참가가 무산된 클럽들은 다음과 같다.
- J리그 준가맹 심사를 통과했으나 경기장이 기준에 미달됨
- J리그 준가맹 심사를 아직 통과하지 않음
- 도치기 우바 (JFL)
- MIO 비와코 시가 (JFL)
- FC 스즈카 람폴레 (도카이)
소속 클럽[편집]
2017년 기준, 굵은 글씨는 J2 승격 기준에 맞는 팀.
구단 | 연고지 | 홈구장 | 수용인원 | 감독 | 비고 |
---|---|---|---|---|---|
기라반츠 기타큐슈 |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 혼조 스타디움 | 10,202 | ![]() |
J2리그 2016 22위 |
도치기 SC | 도치기현, 우쓰노미야시 | 도치기 그린 스타디움 | 18,025 | ![]() |
J3리그 2016 2위 |
나가노 파르세이루 | 나가노현, 나가노시 | 미나미 나가노 스포츠 파크 | 15,000 | ![]() |
J3리그 2016 3위 |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 아키타현, 아키타시 | 소유 스타디움 | 20,125 | ![]() |
J3리그 2016 4위 |
가고시마 유나이티드 |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 | 가고시마 가모이케 스타디움 | 19,934 | ![]() |
J3리그 2016 5위 |
카탈레 도야마 | 도야마현, 도야마시 | 도야마 종합 운동 공원 육상 경기장 | 28,494 | ![]() |
J3리그 2016 6위 |
후지에다 MYFC | 시즈오카현, 후지에다시 | 후지에다 종합운동장 | 13,000 | ![]() |
J3리그 2016 7위 |
FC 류큐 | 오키나와현 | 오키나와 종합 운동 공원 육상 경기장 | 25,000 | ![]() |
J3리그 2016 8위 |
SC 사가미하라 | 가나가와현, 사가미하라시 | 사가미하라 아사미조 공원 경기장 | 15,000 | ![]() |
J3리그 2016 11위 |
그루자 모리오카 | 이와테현, 모리오카시 | 사우스 파크 축구 경기장 | 5,000 | ![]() |
J3리그 2016 13위 |
후쿠시마 유나이티드 | 후쿠시마현, 후쿠시마시 | 후쿠시마 아즈마 경기장 | 21,000 | ![]() |
J3리그 2016 14위 |
가이나레 돗토리 | 돗토리현 | 돗토리 시영 축구장 | 16,033 | ![]() |
J3리그 2016 15위 |
YSCC 요코하마 |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 닛파쓰 미쓰자와 스타디움 | 15,454 | ![]() |
J3리그 2016 16위 |
아술 클라로 누마즈 | 시즈오카현, 누마즈시 | 시즈오카 아시타카 육상 경기장 | 10,000 | ![]() |
JFL 2016 3위 |
- J2 라이선스 현황
- 카탈레 도야마는 J1 라이선스를 유지하였다.
- 나가노 파르세이루, 마치다 젤비아는 J2 라이선스를 유지하였다.
- 레노파 야마구치가 J2 라이선스를 신규취득하였다.
- 가이나레 돗토리는 재정적인 문제로 J2 라이선스 갱신을 포기하였다.
우승 및 승격[편집]
승격팀은 굵은글씨로 표기된다.
시즌 | 우승 | 준우승 | 3위 |
---|---|---|---|
2014 | 츠바이겐 가나자와 | 나가노 파르세이루 | 마치다 젤비아 |
2015 | 레노파 야마구치 | 마치다 젤비아 | 나가노 파르세이루 |
2016 | 오이타 트리니타 | 도치기 SC | 나가노 파르세이루 |
2017 |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 도치기 SC | 아술 클라로 누마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