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리그컵 / 코파 수다메리카나 챔피언십
J리그컵 / 코파 수다메리카나 챔피언십 | |
---|---|
대륙 | AFC(JFA) + CONMEBOL |
국가 | ![]() |
선수단 | 2 |
역사 | |
설립 | 2008년 |
최다 우승 | ![]() |
최근 우승 | ![]() |
J리그컵 / 코파 수다메리카나 챔피언십(영어: J.League Cup / Copa Sudamericana Championship, 일본어: Jリーグカップ/コパ・スダメリカーナ王者決定戦)은 전년도의 코파 수다메리카나 우승 팀을 초청하여 전년도 일본 J리그컵 우승 팀의 홈 구장에서 단판 승부 형식으로 치르는 일종의 슈퍼컵 대회이다. 2008년에 처음으로 개최되어 매년 1회씩 개최되고 있다.
2019년 대회부터는 일본의 제과 회사인 야마자키 비스킷이 대회 스폰서를 맡고 있기 때문에 대회의 정식 명칭 또한 J리그컵 / 코파 수다메리카나 챔피언십 파이널(영어: J. League YBC Levain Cup / CONMEBOL Sudamericana Championship Final, 일본어: JリーグYBCルヴァンカップ/CONMEBOLスダメリカーナ王者決定戦)이라고 표기한다. 2018년 대회까지는 일본의 스루가 은행이 대회 스폰서를 맡았기 때문에 스루가 은행 챔피언십(영어: Suruga Bank Championship 스루가 뱅크 챔피언십[*], 일본어: スルガ銀行チャンピオンシップ 스루가 긴코 찬피온싯푸[*], 스페인어: Copa Suruga Bank 코파 스루가 뱅크[*], 포르투갈어: Copa Suruga Bank 코파 스루가 뱅크[*])이라고 불렀다.
경기 규칙[편집]
- 경기는 지난 시즌 J리그컵 우승 팀의 홈 경기장에서 개최되며 단판 승부 형식으로 우승 팀을 가린다.
- 경기 시간은 전·후반 45분씩 총 90분으로 한다. 후반전이 종료된 상황에서 양 팀이 동점을 기록한 경우는 연장전을 생략하고 바로 승부차기를 실시한다.
역대 우승 팀[편집]
전년도 J리그컵의 우승 팀(JFA)이 홈이고, 전년도 코파 수다메리카나의 우승 팀(CONMEBOL)은 어웨이가 된다.
보기 | |
---|---|
우승 | 준우승 |
연도 | JFA (홈) | 결과 | CONMEBOL (어웨이) | 경기장 | 관중 |
---|---|---|---|---|---|
2008년 | 감바 오사카 ![]() |
0 – 1 | ![]() |
나가이 육상 경기장 (오사카) | 19,728명 |
2009년 | 오이타 트리니타 ![]() |
1 – 2 | ![]() |
오이타 종합경기장 (오이타) | 16,505명 |
2010년 | FC 도쿄 ![]() |
2 – 2 (승부차기 4 – 3) |
![]()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도쿄) | 19,423명 |
2011년 | 주빌로 이와타 ![]() |
2 – 2 (승부차기 4 – 2) |
![]() |
시즈오카 에코파 스타디움 (후쿠로이) | 19,034명 |
2012년 | 가시마 앤틀러스 ![]() |
2 – 2 (승부차기 7 – 6) |
![]() |
이바라키 현립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가시마) | 20,021명 |
2013년 | 가시마 앤틀러스 ![]() |
3 – 2 | ![]() |
이바라키 현립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가시마) | 26,202명 |
2014년 | 가시와 레이솔 ![]() |
2 – 1 | ![]() |
히타치 가시와 축구장 (가시와) | 10,140명 |
2015년 | 감바 오사카 ![]() |
0 – 3 | ![]() |
만박 기념 경기장 (스이타) | 12,722명 |
2016년 | 가시마 앤틀러스 ![]() |
0 – 1 | ![]() |
이바라키 현립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가시마) | 19,716명 |
2017년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
1 – 0 | ![]() |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사이타마) | 11,002명 |
2018년 | 세레소 오사카 ![]() |
0 – 1 | ![]() |
나가이 육상 경기장 (오사카) | 10,035명 |
2019년 | 쇼난 벨마레 ![]() |
0 – 4 | ![]() |
쇼난 BMW 스타디움 히라쓰카 (히라쓰카) | 9,129명 |
2020년 | 2020년 도쿄 하계 올림픽 개최가 예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열리지 않았음 (실제로는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인하여 열리지 않았음) | ||||
2021년 | 2020년 도쿄 하계 올림픽 개최로 인하여 열리지 않았음 | ||||
2022년 |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이 일본에서 개최됨에 따라 열리지 않았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