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 |
---|---|
東アジアサッカー選手権2010 | |
개최국 | 일본 |
개최기간 | 2월 6일 ~ 2월 14일 |
참가팀 | (1개 대륙) |
경기장 | 본선 조후・도쿄 예선 가오슝・조냐 |
결과 | |
우승 | ![]() |
준우승 | ![]() |
3위 | ![]() |
4위 | ![]() |
최다 득점 | ![]() ![]() ![]() ![]() |
최우수 선수 | ![]() |
통계 | |
총 경기 | 6경기 |
총 득점 | 17골 (경기당 2.83골) |
총 관중 | 108,079명 (경기당 18,013명) |
« 2008 2013 » |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는 동아시아 축구 연맹의 가맹국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동아시안컵의 제4회 대회이다. 당해 대회와 동일한 성격의 여자부 대회로는 2010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가 있다.
대회는 예선 대회, 준결승 대회 및 결승 대회로 구성된다. 예선 대회는 괌에서 2009년 3월 11일부터 2009년 3월 15일까지 개최되었다. 예선 대회에서는 총 4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준결승 대회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한다. 준결승 대회는 중화 타이베이에서 2009년 8월 23일부터 2009년 8월 27일까지 개최되었다. 준결승 대회에는 총 4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결승 대회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한다.
결승 대회는 일본에서 2010년 2월 6일부터 2010년 2월 14일까지 개최되었다. 동아시아 축구 연맹 가맹국 중에서 FIFA 랭킹 기준 상위 3개국 자격으로 대한민국, 일본, 중국은 결승 대회에 자동으로 진출한다. 결승 대회 자동 진출 3개국 및 예선 대회를 통과한 1개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당해 대회의 승자를 결정한다. 대회 공인구는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사용되었던 자블라니다.
예선 대회[편집]
예선 대회는 괌에서 2009년 3월 11일부터 2009년 3월 15일까지 개최되었다. 예선 대회에서는 총 4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준결승 대회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한다.
경기장[편집]
제4회 동아시안컵 예선 대회는 괌의 레오 팔라스 리조트에서 열렸다.
레오 팔라스 리조트 |
---|
![]() |
수용인원: N/A명 |
![]() |
대회 순위[편집]
순위 | 국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1 | ![]() |
7 | 3 | 2 | 1 | 0 | 5 | 3 | +2 |
2 | ![]() |
6 | 3 | 2 | 0 | 1 | 6 | 3 | +3 |
3 | ![]() |
4 | 3 | 1 | 1 | 1 | 9 | 5 | +4 |
4 | ![]() |
0 | 3 | 0 | 0 | 3 | 3 | 12 | -9 |
일정 및 결과[편집]
-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각(UTC+10)을 따른다.
2009년 3월 11일 13:30 | ||||||
마카오 ![]() |
6 – 1 | ![]() |
레오 팔라스 리조트, 조냐 심판: ![]() | |||
리포트 |
| |||||
2009년 3월 11일 14:00 | ||||||
괌 ![]() |
1 – 0 | ![]() |
레오 팔라스 리조트, 조냐 심판: ![]() | |||
|
리포트 | |||||
2009년 3월 13일 13:30 | ||||||
마카오 ![]() |
1 – 2 | ![]() |
레오 팔라스 리조트, 조냐 심판: ![]() | |||
|
리포트 | |||||
2009년 3월 13일 16:00 | ||||||
괌 ![]() |
2 – 1 | ![]() |
레오 팔라스 리조트, 조냐 관중: 765명 심판: ![]() | |||
리포트 |
| |||||
2009년 3월 15일 13:30 | ||||||
북마리아나 제도 ![]() |
1 – 4 | ![]() |
레오 팔라스 리조트, 조냐 관중: 700명 심판: ![]() | |||
|
리포트 | |||||
2009년 3월 15일 16:00 | ||||||
괌 ![]() |
2 – 2 | ![]() |
레오 팔라스 리조트, 조냐 관중: 1,400명 심판: ![]() | |||
리포트 |
| |||||
수상 내역[편집]
페어플레이상 | 최우수 골키퍼상 | 최우수 수비수상 | 득점상 | MVP |
---|---|---|---|---|
![]() |
![]() |
![]() |
![]() |
![]() |
준결승 대회[편집]
준결승 대회는 중화 타이베이에서 2009년 8월 23일부터 2009년 8월 27일까지 개최되었다. 준결승 대회에는 총 4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결승 대회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한다.
경기장[편집]
제4회 동아시안컵 준결승 대회는 중화 타이베이의 국립경기장(중화 타이베이 축구 국가대표팀 홈구장)에서 열렸다.
국립경기장 |
---|
![]() |
수용인원: 55,000명 |
![]() |
대회 순위[편집]
순위 | 국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1 | ![]() |
7 | 3 | 2 | 1 | 0 | 16 | 0 | +16 |
2 | ![]() |
7 | 3 | 2 | 1 | 0 | 11 | 3 | +8 |
3 | ![]() |
3 | 3 | 1 | 0 | 2 | 5 | 8 | -3 |
4 | ![]() |
0 | 3 | 0 | 0 | 3 | 4 | 25 | -21 |
일정 및 결과[편집]
-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각(UTC+8)을 따른다.
2009년 8월 23일 16:30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9 – 2 | ![]() |
국립경기장, 가오슝 관중: 2,000명 심판: ![]() | |||
리포트 | ||||||
2009년 8월 23일 19:00 | ||||||
중화 타이베이 ![]() |
0 – 4 | ![]() |
국립경기장, 가오슝 관중: 12,000명 심판: ![]() | |||
리포트 | ||||||
2009년 8월 25일 16:30 | ||||||
홍콩 ![]() |
0 – 0 | ![]() |
국립경기장, 가오슝 관중: 100명 심판: ![]() | |||
리포트 | ||||||
2009년 8월 25일 19:00 | ||||||
중화 타이베이 ![]() |
4 – 2 | ![]() |
국립경기장, 가오슝 관중: 7,500명 심판: ![]() | |||
리포트 |
| |||||
2009년 8월 27일 16:30 | ||||||
홍콩 ![]() |
12 – 0 | ![]() |
국립경기장, 가오슝 관중: 1,500명 심판: ![]() | |||
리포트 | ||||||
2009년 8월 27일 19:00 | ||||||
중화 타이베이 ![]() |
1 – 2 | ![]() |
국립경기장, 가오슝 관중: 10,000명 심판: ![]() | |||
|
리포트 | |||||
수상 내역[편집]
페어플레이상 | 최우수 골키퍼상 | 최우수 수비수상 | 득점상 | MVP |
---|---|---|---|---|
![]() |
![]() |
![]() |
![]() |
![]() |
결승 대회[편집]
결승 대회는 일본에서 2010년 2월 6일부터 2010년 2월 14일까지 개최되었다. 동아시아 축구 연맹 가맹국 중에서 FIFA 랭킹 기준 상위 3개국 자격으로 대한민국, 일본, 중국은 결승 대회에 자동으로 진출한다. 결승 대회 자동 진출 3개국 및 예선 대회를 통과한 1개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당해 대회의 승자를 결정한다.
경기장[편집]
제4회 동아시안컵 결승 대회는 일본의 아지노모도 스타디움(FC 도쿄・도쿄 베르디 홈구장)과 국립경기장(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홈구장)에서 열렸다.
아지노모도 스타디움 | 국립경기장 |
---|---|
![]() |
![]() |
수용인원: 49,970명 | 수용인원: 50,339명 |
선수 명단[편집]
대회 순위[편집]
순위 | 국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1 | ![]() |
7 | 3 | 2 | 1 | 0 | 5 | 0 | +5 |
2 | ![]() |
6 | 3 | 2 | 0 | 1 | 8 | 4 | +4 |
3 | ![]() |
4 | 3 | 1 | 1 | 1 | 4 | 3 | +1 |
4 | ![]() |
0 | 3 | 0 | 0 | 3 | 0 | 10 | -10 |
일정 및 결과[편집]
-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각(UTC+9)을 따른다.
2010년 2월 6일 19:15 | ||||||
일본 ![]() |
0 – 0 | ![]() |
아지노모도 스타디움, 조후 관중: 25,964명 심판: ![]() | |||
리포트 | ||||||
2010년 2월 7일 19:15 | ||||||
대한민국 ![]() |
5 – 0 | ![]() |
국립경기장, 도쿄 관중: 2,728명 심판: ![]() | |||
리포트 | ||||||
2010년 2월 10일도쿄 참사 19:15 | ||||||
중국 ![]() |
3 – 0 | ![]() |
아지노모도 스타디움, 조후 관중: 3,629명 심판: ![]() | |||
리포트 | ||||||
2010년 2월 11일 19:15 | ||||||
일본 ![]() |
3 – 0 | ![]() |
국립경기장, 도쿄 관중: 16,368명 심판: ![]() | |||
리포트 | ||||||
2010년 2월 14일 16:30 | ||||||
홍콩 ![]() |
0 – 2 | ![]() |
국립경기장, 도쿄 관중: 16,439명 심판: ![]() | |||
리포트 | ||||||
2010년 2월 14일한일전 19:15 | ||||||
일본 ![]() |
1 – 3 | ![]() |
국립경기장, 도쿄 관중: 42,951명 심판: ![]() | |||
리포트 | ||||||
수상 내역[편집]
페어플레이상 | 최우수 골키퍼상 | 최우수 수비수상 | 득점상 | MVP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