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철 (야구인)
| |||||||||||||||
![]() | |||||||||||||||
기본 정보 | |||||||||||||||
---|---|---|---|---|---|---|---|---|---|---|---|---|---|---|---|
국적 | 대한민국 | ||||||||||||||
생년월일 | 1966년 7월 12일 | (56세)||||||||||||||
출신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 광주시 | ||||||||||||||
신장 | 180 cm | ||||||||||||||
체중 | 78 kg | ||||||||||||||
선수 정보 | |||||||||||||||
투구·타석 | 우(언더)투우타 | ||||||||||||||
수비 위치 | 투수 | ||||||||||||||
프로 입단 연도 | 1989년 | ||||||||||||||
드래프트 순위 | 1989년 1차 2순위(해태 타이거즈) | ||||||||||||||
첫 출장 | KBO / 1989년 4월 13일 광주 대 삼성전 선발 | ||||||||||||||
마지막 경기 | KBO / 2005년 6월 19일 광주 대 현대전 구원 | ||||||||||||||
획득 타이틀 | |||||||||||||||
계약금 | 5억원 | ||||||||||||||
경력 | |||||||||||||||
선수 경력 코치 경력
감독 경력
| |||||||||||||||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 |||||||||||||||
아시아선수권 | 2003년 삿포로 | ||||||||||||||
메달 기록
|
이강철(李强喆, 1966년 7월 12일(음력 5월 24일[1]~)은 전 KBO 리그 KIA 타이거즈의 투수이자, 현 KBO 리그 kt wiz와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이다.
선수 시절[편집]
해태 타이거즈 시절[편집]
팀에서 전무후무한 4년 연속 15승 이상, 10년 연속 두 자릿수 승, 10년 연속 세 자릿수 탈삼진 이상을 기록한 언더핸드 투수였다. 1992년 당시 다승왕 타이틀 경쟁을 했던 송진우가 9월 17일에 구원승으로 19승(11선발승)을 거두자[2] 당시 감독이었던 김응용이 다음 날 선발로 투입시켰지만 장종훈에게 역전 홈런을 허용해 패전 투수가 됐다.[3] 결국 정규 시즌 MVP는 장종훈, 투수 부문 골든글러브는 염종석에게 빼앗겼다.[4] 송진우는 8구원승이 포함돼 있어 최다 선발승 타이틀은 그와 윤학길에게 돌아갔다. 조계현, 이광우와 함께 신인 3인방 투수로 팀의 5번의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은퇴 당시까지 KBO 리그 역대 최다 승, 최다 탈삼진 등 여러 기록을 내고 은퇴했다. 1992년 18승 중 17승이 선발 승이었으며 이 기록은 역대 잠수함 투수 선발 최다 승 기록으로 남아있다. 우완 언더핸드 투수로 슬라이더가 주무기였으며, 현재까지도 최고의 언더핸드 투수로 회자되고 있다.
삼성 라이온즈 시절[편집]
2000년에 FA를 통해 이적했으나 그 전에 있었던 무릎 부상 등으로 인해 2001년 시즌 중 좋은 성적을 내지 못하고 2억에 친정 팀으로 현금 트레이드됐다.
KIA 타이거즈 시절[편집]
2001년에 입단하였다. 2005년에 은퇴를 선언했다.
야구선수 은퇴 후[편집]
2010년에 당시 KIA 타이거즈의 투수코치였던 스기모토 다다시가 팀 방어력과 팀에 부진에 대한 책임을 지고 2군 투수코치로 자리를 옮기자 KIA 타이거즈의 투수코치로 보직을 변경했다. 2012년 시즌 후 당시 새로 감독에 선임된 염경엽의 요청으로 넥센 히어로즈의 수석코치로 선임되며 팀을 옮겼다.[5] 2019년에는 김진욱의 후임으로 kt 위즈의 3대 감독으로 선임됐다. 이후 kt는 꼴찌에서 탈출해 2019년에 6위, 2020년에 3위, 2021년에 통합 우승을 이끌었다.
출신 학교[편집]
주요 기록[편집]
- 진한 바탕은 KBO 리그 최초 기록임
기록 | 날짜 | 소속 | 구장 | 상대팀 | 상대 타자 | 경기 결과 | 경기수 | 달성 당시 나이 | 기타 | 각주 |
---|---|---|---|---|---|---|---|---|---|---|
100선발승 | 1997.9.12 | 해태 | 광주 | 롯데 | 2-1 | 역대 3번째 | ||||
500경기 출장 | 2003.9.11 | KIA | 광주 | 두산 | 37세 3개월 17일 | 역대 5번째 | ||||
최다 탈삼진 (1699개) |
2004. 4. 13 | KIA | 광주 | 현대 | 강귀태 9회 1사 4구 삼진 |
종전 : 선동열 (1698개) 송진우가 2009년에 경신함 |
[1] |
통산 기록[편집]
연 도 |
소 속 |
나 이 |
승 리 |
패 전 |
승 률 |
평 자 책 |
출 장 |
선 발 |
완 투 |
완 봉 |
세 이 브 |
홀 드 |
이 닝 |
피 안 타 |
피 홈 런 |
볼 넷 |
고 4 |
탈 삼 진 |
몸 맞 |
보 크 |
폭 투 |
실점|실 점 |
자 책 |
타 자 수 |
W H I P |
---|---|---|---|---|---|---|---|---|---|---|---|---|---|---|---|---|---|---|---|---|---|---|---|---|---|
1989 | 해태 | 23 | 15 | 8 | .652 | 3.23 | 36 | 27 | 8 | 3 | 5 | 0 | 195.1 | 153 | 13 | 76 | 3 | 137 | 9 | 2 | 1 | 74 | 70 | 801 | 1.17 |
1990 | 24 | 16 | 10 | .615 | 3.14 | 44 | 25 | 10 | 1 | 5 | 0 | 220.2 | 163 | 24 | 84 | 3 | 165 | 9 | 1 | 3 | 84 | 77 | 894 | 1.12 | |
1991 | 25 | 15 | 11 | .577 | 3.19 | 36 | 24 | 11 | 2 | 3 | 0 | 214.2 | 158 | 20 | 54 | 4 | 193 | 15 | 1 | 0 | 87 | 76 | 849 | 0.99 | |
1992 | 26 | 18 | 9 | .667 | 3.44 | 33 | 30 | 12 | 2 | 0 | 0 | 217.1 | 179 | 29 | 71 | 4 | 155 | 16 | 1 | 0 | 88 | 83 | 899 | 1.15 | |
1993 | 27 | 10 | 10 | .500 | 3.04 | 31 | 26 | 2 | 1 | 1 | 0 | 154.0 | 113 | 9 | 65 | 2 | 131 | 13 | 0 | 3 | 60 | 52 | 638 | 1.16 | |
1994 | 28 | 12 | 15 | .444 | 3.64 | 33 | 23 | 5 | 1 | 1 | 0 | 185.2 | 150 | 19 | 105 | 8 | 140 | 17 | 2 | 0 | 86 | 75 | 811 | 1.37 | |
1995 | 29 | 10 | 10 | .500 | 3.30 | 29 | 23 | 4 | 2 | 1 | 0 | 150.0 | 127 | 15 | 53 | 4 | 126 | 18 | 0 | 3 | 60 | 55 | 635 | 1.20 | |
1996 | 30 | 10 | 9 | .526 | 2.46 | 28 | 21 | 5 | 2 | 1 | 0 | 153.2 | 114 | 11 | 47 | 3 | 119 | 13 | 0 | 2 | 43 | 42 | 611 | 1.05 | |
1997 | 31 | 11 | 3 | .786 | 2.99 | 30 | 25 | 5 | 2 | 2 | 0 | 162.2 | 130 | 14 | 60 | 12 | 128 | 15 | 1 | 1 | 63 | 54 | 667 | 1.17 | |
1998 | 32 | 15 | 11 | .577 | 3.11 | 31 | 28 | 3 | 2 | 0 | 0 | 179.1 | 165 | 18 | 47 | 6 | 160 | 18 | 0 | 3 | 70 | 62 | 754 | 1.18 | |
2000 | 삼성 | 34 | 1 | 4 | .200 | 7.30 | 14 | 7 | 0 | 0 | 0 | 0 | 37.0 | 45 | 8 | 17 | 0 | 20 | 5 | 0 | 1 | 33 | 30 | 173 | 1.68 |
2001 | 35 | 1 | 1 | .500 | 6.07 | 13 | 4 | 0 | 0 | 0 | 0 | 29.2 | 32 | 3 | 10 | 0 | 29 | 4 | 0 | 1 | 20 | 20 | 131 | 1.42 | |
해태/KIA | 35 | 1 | 2 | .333 | 7.86 | 14 | 2 | 0 | 0 | 1 | 1 | 26.1 | 27 | 6 | 10 | 0 | 21 | 7 | 0 | 0 | 23 | 23 | 120 | 1.41 | |
01합 | 35 | 2 | 3 | .400 | 6.91 | 27 | 6 | 0 | 0 | 1 | 1 | 56.0 | 59 | 9 | 20 | 0 | 50 | 11 | 0 | 1 | 43 | 43 | 251 | 1.41 | |
2002 | KIA | 36 | 5 | 2 | .714 | 3.17 | 66 | 0 | 0 | 0 | 17 | 8 | 105.0 | 82 | 12 | 36 | 4 | 97 | 10 | 0 | 0 | 41 | 37 | 441 | 1.12 |
2003 | 37 | 6 | 4 | .600 | 1.98 | 67 | 0 | 0 | 0 | 9 | 14 | 68.1 | 42 | 7 | 23 | 2 | 57 | 8 | 1 | 1 | 21 | 15 | 273 | 0.95 | |
2004 | 38 | 6 | 2 | .750 | 2.95 | 79 | 0 | 0 | 0 | 7 | 7 | 85.1 | 68 | 9 | 31 | 1 | 56 | 8 | 0 | 0 | 29 | 28 | 354 | 1.16 | |
2005 | 39 | 0 | 1 | .000 | 3.20 | 18 | 0 | 0 | 0 | 0 | 3 | 19.2 | 23 | 1 | 8 | 0 | 15 | 4 | 0 | 0 | 7 | 7 | 85 | 1.58 | |
KBO 통산 : 16년 | 152 | 112 | .576 | 3.29 | 602 | 265 | 65 | 18 | 53 | 33 | 2204.2 | 1771 | 218 | 797 | 56 | 1749 | 189 | 9 | 19 | 889 | 806 | 9136 | 1.17 |
- 시즌 기록 중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빨간 글씨는 역대 최고 기록
각주[편집]
- ↑ 최익래 (2019년 6월 27일). ““승리가 선물” 이강철 감독의 하루 늦은 생일파티”. 스포츠동아. 2023년 2월 13일에 확인함.
- ↑ 김은식 (2008년 9월 28일). “천천히 악랄하게 목표물 공격하는 '송골매'”. 오마이뉴스. 2020년 5월 13일에 확인함.
- ↑ “李强喆(이강철) 다승왕 물거품 張(장)종훈은 홈런 피날레”. 동아일보. 1992년 9월 19일. 2020년 5월 13일에 확인함.
- ↑ 김은식 (2008년 9월 28일). “천천히 악랄하게 목표물 공격하는 '송골매'”. 오마이뉴스. 2020년 5월 13일에 확인함.
- ↑ '타이거즈 맨' 대거 이동 이강철 넥센 수석코치, 이대진은 한화행 《스포츠한국》, 2012년 10월 14일
외부 링크[편집]
- 이강철 - KBO 투수별 기록
- 야구의 추억, 일흔 여섯 번째 '2등' 이강철을 기억해야 하는 까닭
전임 김진욱 |
제3대 kt 위즈 감독 2018년 10월 20일~ |
전임 류중일 |
대한민국 국가 대표 야구단 감독 2023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