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의지
| ||||
![]() 2015 KBO 골든 글러브 시상식 | ||||
기본 정보 | ||||
---|---|---|---|---|
국적 | 대한민국 | |||
생년월일 | 1987년 6월 5일 | (33세)|||
출신지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 |||
신장 | 179 cm | |||
체중 | 85 kg | |||
선수 정보 |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
수비 위치 | 포수 | |||
프로 입단 연도 | 2006년 | |||
드래프트 순위 | 2006년 2차 8라운드(두산 베어스) | |||
첫 출장 | KBO / 2007년 7월 21일 잠실 대 LG전 | |||
획득 타이틀 | ||||
계약금 | 3,000만원 | |||
연봉 | 20억원 (2020년) | |||
경력 | ||||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 ||||
WBC | 2017년 | |||
프리미어 12 | 2015년, 2019년 | |||
아시안게임 | 2018년 | |||
월드컵 | 2009년 EU | |||
양의지(梁義智, 1987년 6월 5일 ~ )는 KBO 리그 NC 다이노스의 포수이다.
두산 베어스 시절[편집]
2007년에 1군에 처음 올라와 3경기에만 출전했다.
경찰 야구단 시절[편집]
2007년 시즌 후 곧바로 입대했고 2009년에 전역했다.
두산 베어스 복귀[편집]
전역 후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주전으로 활동했다.[1] 게다가 2010년 9월 25일에는 20홈런[2]을 쳐 냈다. 총 92표 중 79표를 얻으며 이재곤, 고원준, 오지환 등을 제치고 신인왕을 차지했다.
2015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편집]
2015년 10월 10일부터 플레이오프 3차전을 제외한 전 경기에 출전했다. 플레이오프 2차전에서 나성범의 타구에 맞아 발가락 미세 골절상을 당해 최재훈으로 교체됐다. 그러나 발가락 부상에도 불구하고 출전을 강행해 4차전에서 멀티 히트, 5차전에서 홈런을 쳐 내며 투혼을 보였고, 한국시리즈 5차전에서 2타점 적시타를 기록해 팀의 14년 만에 우승에 크게 공헌했다. 시즌 후 2015년 12월 8일 열린 골든글러브 시상식에서 2년 연속 포수 부문 골든 글러브를 수상했다.[3]
2016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편집]
2016년 10월 29일부터 NC 다이노스와의 한국시리즈 4경기에서 15타수 7안타, 1홈런, 4타점을 기록했다. 특히 11월 2일에 열린 한국시리즈 4차전 경기에서 결승 홈런 포함 4타수 3안타, 2타점을 기록하며 팀의 2016년 통합 우승을 이끌었다. 그는 77표 중 70표를 획득해 한국시리즈 MVP로 선정됐다.[4] KBO 역사상 포수가 한국시리즈 MVP를 차지한 것은 1991년 장채근 이후 25년만이었다.
NC 다이노스 시절[편집]
2018년 12월 11일에 계약금 60억원, 연봉 65억원 등 옵션 포함 4년 총액 125억원에 FA 계약을 체결하며 이적하였다.[5] 이는 포수 역대 최고 FA 계약 금액이며, 역대 FA 선수로서는 2번째로 많은 금액이었다.
2019년[편집]
4월 13일 롯데 자이언츠전에서 구승민을 상대로 역대 89번째 통산 네 자릿수 안타를 달성했다.[6] 시즌 118경기에 출장해 3할대 타율, 138안타, 20홈런, 68타점, 장타율 0.574, 출루율 0.438을 기록했다. 2019 KBO 리그 신한은행 MY CAR 시상식에서 타율상, 장타율상, 출루율상을 수상했다.[7]
2020년[편집]
새 주장으로 선임됐다. "우승에 도전하겠다는 선수들 의지도 있고, 내 생각도 같다. 이제는 다 한마음이니까. 지난해는 꼴등에서 5등으로 올라갔으니 더 위로 올라가는 게 가장 큰 목표인 것 같다"고 소감을 말했다.[8] 5월 27일 키움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역대 98번째 1200경기 출장을 기록했다.[9] 8월 29일 SK 와이번스전에서 역대 70번째 통산 1200안타를 기록했다. 나눔팀 포수 언택트 올스타에 선정됐다. "매년 야구 팬들과 함께 해온 올스타전이 코로나19로 열리지 않아서 매우 아쉽다. 베스트 12에 뽑힐 수 있게 많은 투표를 해준 팬들에게 감사하다. 항상 응원해주는 팬들 위해 매 경기 최선을 다하겠다. 코로나19가 종식돼서 내년에는 꼭 팬들과 함께하는 올스타전이 열렸으면 좋겠다"고 소감을 밝혔다.[10] 9월 한 달간 98타수 36안타(8홈런), 32타점, 17득점, 타율 0.367을 기록하며 월간 MVP에 선정됐다.[11] 10월 10일 LG 트윈스와의 경기에서 역대 86번째 1300경기 출장을 기록했다.[12] 10월 23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 포수 최초 3할-30홈런-세 자릿수 타점을 기록했다.[13] 시즌 130경기에 출전해 3할대 타율, 151안타(33홈런), 124타점을 기록했다. '2020 나누리병원 일구상'에서 최고 타자상을 수상했다.[14]
한국시리즈[편집]
11월 23일 두산 베어스와의 한국시리즈 5차전에서 2점 홈런을 기록했다.[15] 6경기에서 22타수 7안타, 타율 0.318, 1홈런, 3타점을 기록하며 한국시리즈 MVP에 선정됐다.[16]
- 기록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장타율 | 출루율 | 실책 |
---|---|---|---|---|---|---|---|---|---|---|---|---|---|---|---|---|---|---|
0.318 | 6 | 22 | 3 | 7 | 2 | 0 | 1 | 12 | 3 | 0 | 0 | 1 | 2 | 4 | 0 | 0.545 | 0.400 | 1 |
국가대표 경력[편집]
2019년 WBSC 프리미어 12[편집]
국가대표로 선발됐다. 주전 포수로 8경기 출장했으나 2안타 타율 0.087로 부진했다. 대회 후, "정말 반성을 많이 해야 할 것 같다. 저 자신으로서는 진짜 너무 최악이다"라고 소감을 말했다.[17]
- 기록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장타율 | 출루율 | 실책 |
---|---|---|---|---|---|---|---|---|---|---|---|---|---|---|---|---|---|---|
0.087 | 8 | 23 | 1 | 2 | 1 | 0 | 0 | 3 | 1 | 0 | 0 | 3 | 2 | 6 | 2 | 0.130 | 0.371 | 0 |
출신 학교[편집]
경력[편집]
수상[편집]
- 2010년 한국 프로 야구 최우수 신인상
- 2014년 ~ 2016년, 2018년 ~ 2019년 KBO 골든글러브 포수 부문
- 2016년 한국시리즈 MVP
- 2019년 KBO 타율상, KBO 출루율상, KBO 장타율상
- 2020년 9월 KBO 리그 월간 MVP
국가대표 경력[편집]
- 2009년 야구 월드컵 대표
- 2015년, 2019년 WBSC 프리미어 12 대표
- 2017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대표
- 2018년 아시안 게임 야구 대표
통산 기록[편집]
연도 | 팀명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
2007 | 두산 | 0.000 | 3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2010 | 0.267 | 127 | 374 | 48 | 100 | 14 | 1 | 20 | 176 | 68 | 4 | 1 | 40 | 8 | 68 | 12 | 10 | |
2011 | 0.301 | 119 | 376 | 43 | 113 | 14 | 3 | 4 | 145 | 46 | 3 | 3 | 44 | 3 | 58 | 12 | 6 | |
2012 | 0.279 | 122 | 359 | 39 | 100 | 22 | 1 | 5 | 139 | 27 | 1 | 2 | 37 | 10 | 51 | 17 | 5 | |
2013 | 0.248 | 114 | 311 | 37 | 77 | 19 | 0 | 7 | 117 | 57 | 6 | 1 | 36 | 8 | 50 | 11 | 4 | |
2014 | 0.294 | 97 | 266 | 40 | 87 | 23 | 1 | 10 | 142 | 46 | 4 | 3 | 24 | 9 | 34 | 8 | 10 | |
2015 | 0.326 | 132 | 442 | 70 | 144 | 27 | 0 | 20 | 231 | 93 | 5 | 4 | 39 | 24 | 64 | 7 | 6 | |
2016 | 0.319 | 108 | 332 | 66 | 106 | 17 | 0 | 22 | 189 | 66 | 2 | 0 | 40 | 12 | 29 | 20 | 7 | |
2017 | 0.277 | 111 | 347 | 47 | 96 | 15 | 0 | 14 | 153 | 67 | 1 | 1 | 43 | 12 | 53 | 17 | 5 | |
2018 | 0.358 | 133 | 439 | 84 | 157 | 29 | 1 | 23 | 257 | 77 | 6 | 0 | 45 | 13 | 40 | 13 | 3 | |
2019 | NC | 0.354 | 118 | 390 | 61 | 138 | 26 | 0 | 20 | 224 | 68 | 4 | 3 | 48 | 15 | 43 | 13 | 2 |
2020 | 0.328 | 130 | 461 | 86 | 151 | 26 | 1 | 33 | 278 | 124 | 5 | 2 | 46 | 14 | 47 | 11 | 2 | |
통산 | 12시즌 | 0.307 | 1314 | 4128 | 621 | 1269 | 232 | 8 | 178 | 2051 | 739 | 41 | 20 | 442 | 128 | 537 | 141 | 60 |
주요 기록[편집]
기록 | 날짜 | 소속팀 | 상대팀 | 상대투수 | 구장 | 기타 |
---|---|---|---|---|---|---|
역대 89번째 통산 1000안타 | 2019년 4월 13일 | NC | 롯데 | 구승민 | 창원 | 이전기록 : 2018년 10월 12일 전준우 |
역대 70번째 통산 1200안타 | 2020년 8월 29일 | NC | SK | 박종훈 | 창원 | 이전기록 : 2020년 8월 23일 나지완 |
기록 | 날짜 | 소속팀 | 상대팀 | 상대투수 | 구장 | 기타 |
---|---|---|---|---|---|---|
역대 98번째 통산 1200경기 | 2020년 5월 27일 | NC | 키움 | 창원 | ||
역대 86번째 통산 1300경기 | 2020년 10월 10일 | NC | LG | 잠실 |
각주[편집]
- ↑ 두산 '화수분 야구'의 새 스타 양의지 - 연합뉴스
- ↑ 양의지, 신인 포수 최초 '한 시즌 20홈런' 달성 Archived 2010년 9월 26일 - 웨이백 머신 - 스포츠서울
- ↑ 두산 양의지, 골든글러브 포수 부문 수상 -스포츠월드
- ↑ '공수맹활약' 두산 양의지, 2016 한국시리즈 MVP -스포츠경향
- ↑ FA 최대어 양의지, 총액 125억원에 NC행 - 일간스포츠
- ↑ 윤승재 (2019년 4월 13일). “'양의지 데이' 양의지가 빛났다…NC, 롯데에 7-5 역전승”. 《STN스포츠》. 2019년 9월 30일에 확인함.
- ↑ 윤소윤 (2020년 2월 9일). “'타격 3관왕' 양의지 "올시즌 많이 받아서 잘하고 싶었다"”. 《스포츠서울》. 2019년 11월 25일에 확인함.
- ↑ 김민경 (2020년 2월 9일). “동료가 원한 'NC 새 주장' 양의지…"하나로 뭉쳐 우승하자"”. 《스포티비》. 2020년 1월 9일에 확인함.
- ↑ 김하진 (2020년 5월 28일). “1200경기 출장 달성 양의지 “팬들에게 기억되는 야구선수 되고파””. 《스포츠경향》. 2020년 9월 12일에 확인함.
- ↑ 선수민 (2020년 9월 11일). “올스타 된 공룡 군단의 한 목소리 "팬들에게 보답하겠다"”. 《스포츠경향》 (스포츠조선). 2020년 9월 12일에 확인함.
- ↑ 류민기 (2020년 10월 12일). “'9월 타점 1위' NC 양의지 월간 MVP 선정”. 《경남도민일보》 (스포츠조선). 2020년 10월 17일에 확인함.
- ↑ 최창환 (2020년 10월 10일). “NC 양의지, 통산 1300경기 출장…역대 86호”. 《마이데일리》. 2020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김희준 (2020년 10월 23일). “NC 양의지, 연타석 홈런…포수 최초 30홈런·100타점”. 《뉴시스》. 2020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김하진 (2020년 11월 27일). “'2500안타' 박용택, 일구회 대상 선정…양의지·유희관은 최고 타자·투수상”. 스포츠경향. 2020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양의지 투런으로 ‘우승 8부 능선’ 넘었다”. 《경향신문》. 2020년 11월 23일. 2020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 고범준 (2020년 11월 24일). “한국시리즈 MVP 양의지”. 《뉴시스》. 2020년 11월 24일에 확인함.
- ↑ 최인영 (2020년 2월 9일). “'프리미어12 타율 0.087' 양의지 "나는 최악이었다…반성해야"”. 《연합뉴스》. 2019년 11월 1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양의지 - KBO 타자별 기록
- 양의지 - 스탯티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