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강민 (야구 선수)
| ||||
기본 정보 | ||||
---|---|---|---|---|
국적 | 대한민국 | |||
생년월일 | 1982년 9월 13일 | (40세)|||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
신장 | 183 cm | |||
체중 | 87 kg | |||
선수 정보 |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
수비 위치 | 중견수, 우익수, 투수 | |||
프로 입단 연도 | 2001년 | |||
드래프트 순위 | 2001년 2차 2라운드(SK 와이번스) | |||
첫 출장 | KBO / 2002년 7월 21일 문학 대 LG전 | |||
획득 타이틀 | ||||
계약금 | 1억 1,000만원 | |||
연봉 | 1억 6,000만원 (2022년) | |||
경력 | ||||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 ||||
아시안게임 | 2010년 광저우 | |||
김강민(金江珉, 1982년 9월 13일 ~ )은 KBO 리그 SSG 랜더스의 외야수, 투수이다.
SK 와이번스 & SSG 랜더스 시절[편집]
2001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2차 2라운드 지명을 받아 입단하였다.[1] 2002년에 1군에 처음 올라왔고 총 49경기를 소화했지만 별다른 활약을 보이지 못하다가 2006년부터 두각을 나타나기 시작했다. 원래 투수였으나 외야수로 전향했으며, 병역비리 사건으로 부진을 한 채종범을 밀어내고 주전 외야수로 활동했다. 2009년에는 2할대 타율, 12홈런, 42타점을 기록했고, 2010년에는 3할대 타율, 127안타, 72타점을 기록했다. 이 때의 성적으로 소속 팀에서의 주전 자리와 동시에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외야수로 대표팀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2014년 시즌에는 3할대 타율, 130안타, 82타점으로 데뷔 후 최다 타점을 기록했다. 이 해에 FA 자격을 얻었고 4년 총액 56억원에에 잔류했다.[2] 그러나 FA 후 첫 시즌이었던 2015년에 부상과 부진이 겹쳐 2할대 타율을 기록하는 등 전체적으로 부진했고, 이 때문에 먹튀라고 불렸다. 2016년에 조동화에 이어 팀의 새로운 주장으로 선임됐다.[3] 2019년 시즌 후 FA 자격을 취득해 1+1년 총액 10억원에 잔류했다.[4]
2022년 SSG는 11월 8일 인천 SSG랜더스필드에서 열린 키움 히어로즈와 한국시리즈(KS·7전 4승제) 6차전을 4-3으로 승리, 시리즈 전적 4승 2패로 전신 SK 와이번스 시절 포함 역대 다섯 번째 KS우승 축배를 들었다. SK를 인수해2021년 SSG로 재창단한 이후 첫 KS 우승이다.
시리즈 MVP는 김강민의 차지였다. 김강민은 기자단 투표 77표 중 42표(54.5%)를 받아 팀 동료 3루수 최정(21표) 오른손 투수 윌머 폰트(14표)를 제쳤다.
김강민은 KS 1차전 5-6으로 끌려가던 9회 대타로 나와 극적인 동점 솔로 홈런을 때려냈다. 역대 포스트시즌 최고령 홈런(40세 1개월 19일) 기록을 세우며 조커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이어 3차전에서도 대타로 나서 9회 대량 득점의 물꼬를 트는 적시타를 터뜨린 김강민은, 5차전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팀이 2-4로 뒤진 9회말 무사 1,3루에서 대타로 나선 김강민은 상대 투수 최원태를 상대로 좌측 담장을 넘기는 역전 끝내기 3점홈런을 터뜨렸다.
한국시리즈 역대 최초의 대타 끝내기 홈런이자 KBO리그 41년 역사상 포스트시즌 최고령(만 40세 1개월 26일) 홈런 신기록이었다.
국가대표 경력[편집]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편집]
최종 엔트리에 이름을 올리며 데뷔 첫 국가 대표로 선발됐다.[5][6] 하지만 정작 아시안 게임 중에는 큰 활약을 보이지 못했다. 3차전 파키스탄전에 출전해 5회초 적시타 외에는 출전 기회도 적어 활약이 다소 없었다. 대표팀에 승선한 다른 외야수(이용규, 이종욱, 추신수, 김현수) 중 유일하게 우투우타인 점과 다른 팀에 좌완이 별로 없었기 때문에 출전 기회는 적었지만 백업으로 자리를 지켰다. 한국이 우승하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에피소드[편집]
- 2016년 6월 21일 LG전에서 류제국에게 빈볼을 맞고 1루로 진루하는 과정에서 류제국과 눈이 마주치며 들고 있던 배트를 내팽겨치고 류제국에게 주먹을 휘두르며 벤치 클리어링이 일어났고, 결국 류제국과 동반 퇴장당했다.[7]
별명[편집]
- 전직 투수였기 때문에 강한 어깨로 폭넓은 수비력을 보여 '짐승'[8]이라고 불린다.
출신 학교[편집]
등장곡[편집]
통산 기록[편집]
연도 | 팀명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
2002 | SK | 0.000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 | 0 | 0 | 0 | 0 | 0 |
2003 | 0.500 | 2 | 4 | 0 | 2 | 0 | 0 | 0 | 2 | 1 | 0 | 0 | 0 | 0 | 1 | 0 | 1 | |
2004 | 0.120 | 23 | 25 | 4 | 3 | 1 | 0 | 1 | 7 | 2 | 2 | 1 | 3 | 0 | 7 | 1 | 0 | |
2005 | 0.225 | 23 | 40 | 6 | 9 | 1 | 0 | 0 | 10 | 3 | 2 | 3 | 4 | 0 | 9 | 0 | 0 | |
2006 | 0.276 | 96 | 145 | 20 | 40 | 9 | 1 | 1 | 54 | 14 | 8 | 5 | 14 | 1 | 30 | 3 | 2 | |
2007 | 0.243 | 124 | 334 | 51 | 81 | 10 | 3 | 4 | 109 | 18 | 19 | 10 | 28 | 6 | 57 | 6 | 1 | |
2008 | 0.271 | 106 | 258 | 38 | 70 | 16 | 3 | 3 | 101 | 32 | 16 | 8 | 26 | 6 | 46 | 2 | 8 | |
2009 | 0.267 | 104 | 341 | 48 | 91 | 18 | 3 | 12 | 151 | 42 | 10 | 7 | 24 | 5 | 67 | 7 | 5 | |
2010 | 0.317 | 115 | 401 | 74 | 127 | 19 | 2 | 10 | 180 | 72 | 23 | 9 | 33 | 2 | 51 | 5 | 1 | |
2011 | 0.281 | 80 | 281 | 37 | 79 | 14 | 1 | 8 | 119 | 33 | 9 | 4 | 20 | 2 | 56 | 3 | 2 | |
2012 | 0.272 | 123 | 427 | 49 | 116 | 20 | 0 | 5 | 151 | 31 | 11 | 10 | 29 | 4 | 72 | 7 | 2 | |
2013 | 0.301 | 105 | 352 | 39 | 106 | 22 | 3 | 10 | 164 | 55 | 10 | 6 | 36 | 4 | 54 | 10 | 3 | |
2014 | 0.302 | 113 | 430 | 86 | 130 | 29 | 3 | 16 | 213 | 82 | 32 | 5 | 43 | 4 | 91 | 12 | 3 | |
2015 | 0.246 | 96 | 293 | 43 | 72 | 17 | 0 | 4 | 101 | 31 | 7 | 4 | 23 | 7 | 83 | 6 | 1 | |
2016 | 0.298 | 115 | 366 | 59 | 109 | 21 | 0 | 10 | 160 | 47 | 12 | 5 | 32 | 12 | 89 | 5 | 2 | |
2017 | 0.219 | 88 | 183 | 31 | 40 | 5 | 1 | 5 | 62 | 18 | 10 | 4 | 15 | 5 | 50 | 3 | 2 | |
2018 | 0.298 | 80 | 235 | 40 | 70 | 14 | 0 | 14 | 126 | 46 | 10 | 6 | 22 | 5 | 57 | 1 | 2 | |
2019 | 0.270 | 127 | 422 | 54 | 114 | 14 | 2 | 8 | 156 | 50 | 15 | 8 | 31 | 4 | 103 | 2 | 3 | |
2020 | 0.253 | 122 | 289 | 39 | 73 | 11 | 1 | 12 | 122 | 45 | 7 | 5 | 27 | 4 | 62 | 10 | 2 | |
통산 | 19시즌 | 0.276 | 1643 | 4826 | 718 | 1332 | 241 | 23 | 123 | 1988 | 622 | 203 | 101 | 410 | 71 | 985 | 83 | 40 |
각주[편집]
- ↑ 강한 어깨 김강민 “7년간 비싸게 배웠죠”《동아일보》, 2009년 7월 9일 작성
- ↑ SK, 김강민도 잡았다…4년 56억원 FA 계약 - 연합뉴스
- ↑ SK 새 주장 김강민 "나 먼저 야구를 잘해야 한다!" - 스포츠서울
- ↑ FA 김강민, 원소속팀 SK와 1+1년 총액 10억원 계약 - 아시아투데이
- ↑ ‘실력위주!’ 광저우 AG 최종명단 24명 확정, 《조이뉴스 24》 2010년 9월 6일
- ↑ ‘4년 연속 선두권’ SK, AG 대표팀에서도 위력, 《OSEN》 2010년 9월 6일
- ↑ LG 류제국-SK 김강민, 사구 이후 주먹질…퇴장 조치 -아시아투데이
- ↑ 야신이 밝힌 페넌트레이스 수훈 선수와 아쉬운 점 - 《스포츠조선》, 2010년 9월 23일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