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동열
| ||||||||||||||||||||||||||||||
![]() KIA 타이거즈 감독 시절 | ||||||||||||||||||||||||||||||
기본 정보 | ||||||||||||||||||||||||||||||
---|---|---|---|---|---|---|---|---|---|---|---|---|---|---|---|---|---|---|---|---|---|---|---|---|---|---|---|---|---|---|
국적 | 대한민국 | |||||||||||||||||||||||||||||
생년월일 | 1963년 1월 10일 | (59세)|||||||||||||||||||||||||||||
출신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 광산군 송정읍 도산리 원도산마을 7 | |||||||||||||||||||||||||||||
신장 | 184 cm | |||||||||||||||||||||||||||||
체중 | 97 kg | |||||||||||||||||||||||||||||
선수 정보 |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
수비 위치 | 투수 | |||||||||||||||||||||||||||||
프로 입단 연도 | 1985년 | |||||||||||||||||||||||||||||
드래프트 순위 | 1985년 1차 3순위(해태 타이거즈) | |||||||||||||||||||||||||||||
첫 출장 | KBO / 1985년 7월 2일 대구 대 삼성전 선발 NPB / 1996년 4월 5일 히로시마 대 도요카프전 구원 | |||||||||||||||||||||||||||||
마지막 경기 | KBO / 1995년 9월 26일 광주 대 롯데전 구원 NPB / 1999년 10월 27일 나고야 돔 대 다이에전 구원 | |||||||||||||||||||||||||||||
획득 타이틀 | ||||||||||||||||||||||||||||||
경력 | ||||||||||||||||||||||||||||||
선수 경력 코치 경력
감독 경력
| ||||||||||||||||||||||||||||||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 ||||||||||||||||||||||||||||||
올림픽 | 1984년 | |||||||||||||||||||||||||||||
월드컵 | 1982년, 1984년 | |||||||||||||||||||||||||||||
대륙간컵 | 1983년 | |||||||||||||||||||||||||||||
아시아선수권 | 1983년, 1985년 | |||||||||||||||||||||||||||||
메달 기록
|
선동열(宣銅烈[1], 1963년 1월 10일~)은 대한민국의 야구인이다. 한국 프로야구 해태 타이거즈, 일본 프로 야구 주니치 드래건스에서 투수로 활동하였다. 이후 주니치 드래건스(2003)와 삼성 라이온즈(2004, 수석 코치)에서 코치 생활을 하였다. 이후 삼성 라이온즈의 감독(2005~2010), KIA 타이거즈 감독(2012~2014)을 맡았다. 그리고 2017년부터 2018년까지는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을 지냈다.
1996년 선동열의 등번호 18번은 해태 타이거즈(KIA 타이거즈)에서 영구 결번되었다. 별명으로는 국보, 무등산 폭격기, 나고야의 태양 등이 있다.
선수 시절[편집]
한국 프로야구 시절[편집]
해태 타이거즈 시절[편집]
규정 이닝을 선발 투수로서 두 번, 마무리 투수로서 한 번 채웠고, 0점대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으며 한국에서의 마지막 해인 1995년 당시 한국 프로 야구 사상 최고 구속인 155km/h의 패스트볼과 더불어 종슬라이더를 던지던 투피치 투수였다. 1985년 후기 리그부터 데뷔해 평균자책점상을 7번 수상했다. 그의 통산 sWAR은 101.29에 달한다. 6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었고, 3회의 정규시즌 MVP와 6회의 투수 부문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커리어 하이 시즌은 1986년에 262.2이닝 24승, 평균자책점 0.99, sWAR 14.89였다. 1993년과 1995년에는 팀이 이기고 있을 때 7회부터 9회까지 투구하는 경우가 빈번했음에도 0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1993년에 49경기에 등판해 126.1이닝, 1995년에 48경기에 등판해 109.1이닝을 소화했으나 1994년에는 의욕상실에 빠져 6승(5선발) 4패 12세이브로 부진했고 이에 김응룡 감독이 같은 해 9월 초 모두 패배한 경기에 본인(선동열)을 투입시켰으며 그 날 밤 김응룡 감독에게 전화를 걸어 항의했고[2] 그 이후 시즌 종료 때까지 마운드에 오르지 못했다.
일본 프로야구 시절[편집]
주니치 드래건스 시절[편집]
한국에서 선수 생활을 마친 뒤 일본에 진출해 구원 투수로 활약했다. 그는 한국 프로 야구 선수 중 일본에 진출한 최초의 선수였다.[3] 1997년에 각종 신기록들을 세웠다. 개인 최다 세이브인 38세이브를 기록해 사사키 가즈히로와 함께 세이브 공동 1위(구원 2위)를 차지했다. 1999년에 팀의 리그 우승을 이끈 후 1999년 11월 22일에 은퇴를 선언했다.[4]
야구선수 은퇴 후[편집]
은퇴 후 주니치 드래건스에서 코치 연수를 받은 그는 2000년에 KBO의 홍보위원으로 위촉됐으며, 시드니 올림픽 국가대표팀 전력분석관으로 활동했다. 2003년 시즌 후 김인식의 후임으로 두산 베어스가 그에게 감독직을 제의했으나 조건에 이견을 보여 협상이 결렬됐다.[5] 협상이 결렬된 두산 베어스는 당시 배터리코치였던 김경문을 후임 감독으로 내정했다.[6] 이후 당시 감독이었던 김응용의 부름을 받아 라이벌 팀 삼성 라이온즈의 코치로 부임해 본격적으로 KBO 리그 지도자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7] 2004년 한국시리즈 이후 선수단 인사에서 김응용이 구단 사장으로 보직이 바뀌자 11월 9일 삼성 라이온즈의 감독으로 승격됐다. 부임하자마자 박진만, 심정수를 FA로 영입해 호화 멤버진을 구축했으며, 이때 삼성 라이온즈는 "레알 삼성"으로 불렸다. 감독으로 부임한 첫 시즌인 2005년 정규 리그 1위(74승 48패 4무)를 차지했고 정규 리그 2위 두산 베어스를 4연승으로 스윕해 2005년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했다. 2006년 한국시리즈에서도 정규 리그 3위였던 한화 이글스를 4승 1무 1패로 꺾고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2009년에는 포스트 시즌 진출에 실패했으나 재계약에 성공했다. 하지만 SK 와이번스와의 2010년 한국시리즈에서 별다른 전술 대처없이 무기력하게 4전 전패로 스윕당하며 준우승을 기록했다. 때마침 삼성그룹의 조직 개편이 겹치면서 구단 사장과 단장이 전부 바뀌자 그 해 말 당시 작전코치였던 류중일에게 감독직을 넘기고 물러나 구단의 운영 위원으로 활동했다.[8] 2011년 10월 18일 조범현의 후임으로 친정 팀 KIA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등번호는 자신의 영구 결번 18번이 아닌 90번을 달았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2012년 시즌 5위, 2013년 시즌 8위, 2014년 시즌 8위로 초라한 성적을 남겼다. 그럼에도 KIA 타이거즈와 2년 재계약에 성공하며 엄청난 정치적 역량을 발휘했으나 팬들의 안 좋은 여론이 일었고, 결정적으로 당시 경찰청 입대를 선언한 내야수 안치홍에게 임의 탈퇴를 공시하겠다는 발언을 한 사실이 드러나 재계약을 발표한 지 6일 만인 2014년 10월 25일 사퇴했다.[9] 그의 후임으로는 김기태가 선임됐다. 이후에는 2015년 WBSC 프리미어 12 국가대표팀 투수코치로 활동했고, 2017년 7월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의 전임 감독으로 선임됐다.
논란[편집]
- 2018년 아시안 게임 야구 결승전에서 오지환, 박해민의 군 면제를 위해 출전시킨 게 아니냐는 논란에 대해 국정감사의 증인 신분으로 출석했다.[10]
가수 데뷔[편집]
그는 1994년 같은 팀 선수였던 이종범과 가수 양수경과 함께 프로젝트 그룹 Two & One을 결성하여 앨범을 내기도 했다.[11]
등번호[편집]
- '18' (1985년~1995년) - 해태 타이거즈 시절
- '20' (1996년~1999년) - 주니치 드래건스 시절
- '82' (2004년) - 삼성 라이온즈 코치 시절
- '90' (2005년~2010년, 2012년~2014년) - 삼성 라이온즈 감독, KIA 타이거즈 감독 시절
출신 학교[편집]
통산 기록[편집]
연 도 |
소 속 |
나 이 |
승 리 |
패 전 |
승 률 |
평 자 책 |
출 장 |
선 발 |
완 투 |
완 봉 |
세 이 브 |
홀 드 |
이 닝 |
피 안 타 |
피 홈 런 |
볼 넷 |
고 4 |
탈 삼 진 |
몸 맞 |
보 크 |
폭 투 |
실 점 |
자 책 |
타 자 수 |
W H I P |
---|---|---|---|---|---|---|---|---|---|---|---|---|---|---|---|---|---|---|---|---|---|---|---|---|---|
1985 | 해태 | 23 | 7 | 4 | .636 | 1.70 | 25 | 3 | 1 | 0 | 8 | 0 | 111.0 | 74 | 2 | 20 | 4 | 103 | 3 | 0 | 3 | 30 | 21 | 424 | 0.85 |
1986 | 24 | 24 | 6 | .800 | 0.99 | 39 | 22 | 19 | 8 | 6 | 0 | 262.2 | 153 | 2 | 52 | 5 | 214 | 7 | 2 | 3 | 38 | 29 | 972 | 0.78 | |
1987 | 25 | 14 | 2 | .875 | 0.89 | 31 | 11 | 7 | 4 | 6 | 0 | 162.0 | 89 | 2 | 47 | 1 | 144 | 3 | 1 | 1 | 21 | 16 | 604 | 0.84 | |
1988 | 26 | 16 | 5 | .762 | 1.21 | 31 | 12 | 9 | 1 | 10 | 0 | 178.1 | 116 | 3 | 35 | 0 | 200 | 7 | 1 | 0 | 29 | 24 | 674 | 0.85 | |
1989 | 27 | 21 | 3 | .875 | 1.17 | 36 | 12 | 8 | 6 | 8 | 0 | 169.0 | 82 | 2 | 48 | 0 | 198 | 7 | 1 | 4 | 27 | 22 | 618 | 0.77 | |
1990 | 28 | 22 | 6 | .786 | 1.13 | 35 | 16 | 8 | 6 | 4 | 0 | 190.1 | 121 | 1 | 50 | 1 | 189 | 8 | 0 | 5 | 35 | 24 | 724 | 0.90 | |
1991 | 29 | 19 | 4 | .826 | 1.55 | 35 | 22 | 12 | 3 | 6 | 0 | 203.0 | 135 | 8 | 25 | 0 | 210 | 8 | 1 | 1 | 42 | 35 | 761 | 0.79 | |
1992 | 30 | 2 | 0 | 1.000 | 0.28 | 11 | 2 | 1 | 1 | 8 | 0 | 32.2 | 20 | 0 | 10 | 0 | 42 | 2 | 0 | 1 | 1 | 1 | 119 | 0.92 | |
1993 | 31 | 10 | 3 | .769 | 0.78 | 49 | 1 | 0 | 0 | 31 | 0 | 126.1 | 48 | 2 | 20 | 0 | 164 | 6 | 0 | 0 | 11 | 11 | 433 | 0.54 | |
1994 | 32 | 6 | 4 | .600 | 2.73 | 27 | 8 | 3 | 0 | 12 | 0 | 102.1 | 81 | 5 | 21 | 0 | 94 | 8 | 2 | 3 | 31 | 31 | 404 | 1.00 | |
1995 | 33 | 5 | 3 | .625 | 0.49 | 48 | 0 | 0 | 0 | 33 | 0 | 109.1 | 49 | 1 | 14 | 3 | 140 | 3 | 0 | 6 | 9 | 6 | 381 | 0.58 | |
1996 | 주니치 | 34 | 5 | 1 | .833 | 5.50 | 38 | 1 | 0 | 0 | 3 | 0 | 54.0 | 62 | 4 | 22 | 3 | 67 | 3 | 0 | 1 | 35 | 33 | 248 | 1.56 |
1997 | 35 | 1 | 1 | .500 | 1.28 | 43 | 0 | 0 | 0 | 38 | 0 | 63.1 | 36 | 0 | 12 | 0 | 69 | 1 | 1 | 0 | 9 | 9 | 232 | 0.76 | |
1998 | 36 | 3 | 0 | 1.000 | 1.48 | 42 | 0 | 0 | 0 | 29 | 0 | 48.2 | 31 | 4 | 11 | 0 | 58 | 0 | 0 | 1 | 8 | 8 | 187 | 0.86 | |
1999 | 37 | 1 | 2 | .333 | 2.61 | 39 | 0 | 0 | 0 | 28 | 0 | 31.0 | 31 | 1 | 10 | 1 | 34 | 0 | 0 | 4 | 9 | 9 | 131 | 1.32 | |
KBO 통산 : 11년 | 146 | 40 | .785 | 1.20 | 367 | 109 | 68 | 29 | 132 | 0 | 1647.0 | 968 | 28 | 342 | 14 | 1698 | 62 | 8 | 27 | 274 | 220 | 6114 | 0.80 | ||
NPB 통산 : 4년 | 10 | 4 | .714 | 2.70 | 162 | 1 | 0 | 0 | 98 | 0 | 197.0 | 160 | 9 | 55 | 4 | 228 | 4 | 1 | 6 | 61 | 59 | 798 | 1.09 |
- 시즌 기록 중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빨간 글씨는 한국 프로야구 역사상 최고 기록
주요 기록[편집]
KBO 리그 기록[편집]
- 한국시리즈 우승 6회 (1986, 1987, 1988, 1989, 1991, 1993)
주요 수상 기록 (각종 타이틀 외)
- 정규 시즌 MVP 3회 (1986, 1989, 1990)
- 선발 올스타 출전 9회 (투수 부분 최다 및 최다 연속 기록 (9년- 1986~1994))
- 골든 글러브 6회 (투수 부분 최다 및 최다 연속 기록)
- 투수 (1986, 1988, 1989, 1990, 1991, 1993)
|
- 최저 평균자책점(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3)
- 최다 승리(1986, 1989, 1990, 1991)
- 최다 선발승(1986년 17선발승)
- 최다 탈삼진(1986, 1988, 1989, 1990, 1991)[12]
- 최다 세이브포인트(1993, 1995)
- 한 경기 최다 투구수(1987.5.16 사직 232개, 상대팀 롯데 투수 최동원 209개 15회 2:2)
- 최고 승률부분 등 나머지 카테고리는 추후 삽입.
최소 500이닝이상기준 (선동렬 통산 1,647이닝)
- 역대 통산 최저 방어율 (1.20)
- 역대 통산 최저 WHIP (0.80)
- 역대 통산 최다승 4위 (146승 (1,647이닝- 비고: 역대 최다승 5위내 모두 통산 2100이닝이상))
- 역대 통산 1000이닝 이상 투수 최소패 1위 (40패- 비고: 역대 최다승 5위내 모두 통산 110패이상, 3명은 120패이상)
- 역대 통산 최다 탈삼진 3위 (1,698개 (11년)- 비고: 역대 통산 탈삼진 5위내 모두 15년 이상)
- 역대 통산 최다 세이브 8위 (132개 (전업 마무리 시즌- 1993-1995 (3년))
- 역대 통산 최소 피홈런 1위 (통산 28개- 비고: 역대 최다승 5위내 모두 통산 210개이상 허용)
- 역대 통산 최소 자책점 1위 (통산 220점- 비고: 역대 최다승 10위내 모두 통산 600점이상 허용 (김시진제외- 547점))
- 역대 통산 최소 볼넷 허용 1위 (통산 342개- 비고: 역대 최다승 5위내 모두 통산 650개이상 허용)
- 역대 최다 연속 무실점 이닝(49⅓이닝(1위, 1986년 8월부터 1987년 4월), 46⅓이닝(2위,(1995년))
- 역대 최다 연속 선발 무실점 이닝(역대 2위, 37이닝·1986~1987년) (* 1위는 서재응의 44이닝, 2012년)
- 역대 최다 평균자책점 타이틀 (8회)
- 역대 최다 연속 평균자책점 타이틀 (7회- 1985~1991)
- 역대 최다 다승왕 타이틀 (4회)
- 역대 최다 연속 다승왕 타이틀 (3회- 1989~1991)
- 역대 최다 탈삼진 타이틀 (5회)
- 역대 최다 연속 탈삼진 타이틀 (4회- 1988-1991)
- 역대 최다 20승 이상 시즌 (3회)
- 역대 최다 완봉승 (29회, 비고 2위: 윤학길 & 정민철 각 20회)
- 역대 최다 연속 타석 무피홈런- 1989. 5.9~1990. 9.25 (1,186타석)
- 역대 최다 연속 투구 이닝 무피홈런- 1989. 5.9~1990. 9.25 (319이닝)
- 역대 최다 특정팀 상대 연승- 1988. 8.11~1995. 9.26 (대 롯데전 20연승 만 7년 1개월)
일본 프로 야구 기록[편집]
- 10승 4패, 98세이브
- 1999년 주니치 드래건스 소속 - 팀 우승
- 일본 프로 야구 개인 통산 세이브 부문 24위의 기록, 1997 시즌 외국인 세이브부문 1위
- 1997년 1승, 38세이브(당시 일본 신기록) 기록 구원 2위, 세이브 성공률 1위
평균자책점[편집]
KBO 리그에서 뛰던 1985년부터 1995년까지 11시즌 동안 1994년을 제외한 모든 시즌에서 평균자책점이 2점대로 올라간 적이 없을 만큼 압도적인 구위를 유지했다. 규정 이닝을 채운 0점대 평균자책점 시즌만 3차례(1986·1987·1993)였다.
국제대회 성적[편집]
연도 | 장소 | 대회명 | 팀 | 비고 |
---|---|---|---|---|
1981년 | ![]() |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 ![]() |
3-0, 0.38 ERA (3 G, 24.0 IP, 1 ER, 36 K) 방어율왕,MVP |
1982년 | ![]() |
야구 월드컵 | ![]() |
3-0, 0.31 ERA (4 G, 29.0 IP, 1 ER, 30 K) MVP, 올스타 (P), 다승왕 |
1983년 | ![]() |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 ![]() |
1-0, 1.17 ERA (2 G, 15.1 IP, 2 ER, 3 R) |
1983년 | ![]() |
대륙간컵 | 5 | 방어율왕,올스타 (P) |
1984년 | ![]() |
1984년 하계 올림픽 | 4 | 1-1, 0.56 ERA (3 G, 16.0 IP, 1 ER, 10 K) |
1984년 | ![]() |
야구 월드컵 | 5 | 1-1, 0.00 ERA (4 G, 17.1 IP, 0 ER, 20 K) 방어율왕 |
1985년 | ![]() |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 ![]() |
그를 연기한 배우들[편집]
각주[편집]
- ↑ “宣銅烈, 3경기 연속 구원승”. 연합뉴스. 1996년 7월 18일. 2017년 1월 11일에 확인함.
- ↑ 김호성 (1997년 11월 11일). “조계현 이적…김응룡감독「미운털」뽑았나”. 동아일보. 2022년 3월 5일에 확인함.
- ↑ 연합 (1997년 12월 3일). “<프로야구> 프로야구 해외진출사에 큰 획”. 연합뉴스. 2021년 8월 19일에 확인함.
- ↑ 선동열, 은퇴 공식 선언 - 연합뉴스
- ↑ 프로야구 두산, 선동열 영입 포기 - 연합뉴스
- ↑ 두산, 김경문 신임 감독과 계약 - 연합뉴스
- ↑ 선동열, 삼성 투수코치 계약 - 연합뉴스
- ↑ '좋은 성적 내고도 경질된 프로야구 감독' 역대 베스트 5 - 스포츠조선
- ↑ 선동열 안치홍 사태 후폭풍, 감독 재계약 6일만에 사퇴..임의탈퇴 협박? - 서울신문
- ↑ “선동열 감독, 오지환 때문에 국정감사 불려가나?”. 《매일경제》. 2018년 9월 28일에 확인함.
- ↑ 김진 (2009년 11월 26일). “'특급 쌕쌕이' 이종범, 과자-앨범 제작 에피소드 공개!”. 아츠뉴스. 2009년 11월 28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단, 1992년까지는 공식 시상 대상이 아니었다.
외부 링크[편집]
- 선동열 1995년 당시 KBO사상 최고구속달성
- 선동열 - KBO 투수별 기록
- 선동열 - 스탯티즈
- (일본어) 선동열 - NPB 기록
- 팬페이지
- 네이버 캐스트 : 오늘의 인물 - 선동열
- 최동원vs선동열, 전설이 된 대결 역덕이슈 오늘
스포츠 직위 | ||
---|---|---|
이전 김응용 |
제12대 삼성 라이온즈 감독 2004년 11월 9일 ~ 2010년 12월 30일 |
이후 류중일 |
이전 조범현 |
제7대 KIA 타이거즈 감독 2011년 10월 18일 ~ 2014년 10월 25일 |
이후 김기태 |
이전 김인식 |
대한민국 국가 대표 야구단 감독 2017년 ~ 2018년 |
이후 김경문 |
수상 | ||
이전 김시진 |
한국 프로 야구 골든글러브 투수 1986년 |
이후 김시진 |
이전 김시진 |
한국 프로 야구 골든글러브 투수 1988년 ~ 1991년 |
이후 염종석 |
이전 염종석 |
한국 프로 야구 골든글러브 투수 1993년 |
이후 정명원 |
- 1963년 출생
- 살아있는 사람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 광주광역시 출신
- KBO 리그 투수
- 해태 타이거즈 선수
- 일본 프로 야구 투수
- 일본 프로 야구 외국인 선수
- 주니치 드래건스 선수
- 대한민국 출신 일본 프로 야구 선수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선수
- 대한민국의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
- 1984년 하계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
- 한국 프로 야구 1500탈삼진 클럽
- 한국 프로 야구 100승 클럽
- KBO 골든글러브 수상자
- KBO 평균자책점상 수상자
- KBO MVP 수상자
- KBO 승리상 수상자
- KBO 탈삼진상 수상자
- KBO 세이브상 수상자
- KBO 승률상 수상자
- KBO 리그 영구 결번
- KBO 리그 감독
- 삼성 라이온즈 감독
- KIA 타이거즈 감독
- 체육훈장 맹호장 수훈자
- 송정동초등학교 동문
- 무등중학교 동문
- 광주제일고등학교 동문
- 고려대학교 동문
- 보성 선씨
- 일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
- 20세기 대한민국 사람
- 21세기 대한민국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