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우 (야구인)
| ||||
기본 정보 | ||||
---|---|---|---|---|
국적 | 대한민국 | |||
생년월일 | 1974년 4월 20일 | (48세)|||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북구 | |||
신장 | 177 cm | |||
체중 | 75 kg | |||
선수 정보 | ||||
투구·타석 | 좌투좌타 | |||
수비 위치 | 중견수, 우익수 | |||
프로 입단 연도 | 1998년 | |||
드래프트 순위 | 1998년 1차 지명(삼성 라이온즈) | |||
첫 출장 | KBO / 1998년 4월 13일 대구 대 롯데전 | |||
마지막 경기 | KBO / 2013년 9월 4일 대전 대 두산전 | |||
계약금 | 원 | |||
경력 | ||||
선수 경력 코치 경력
| ||||
강동우(姜東佑 1974년 4월 20일 ~ )는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 한화 이글스의 외야수이자 현 KBO 리그 두산 베어스 타격코치이다.
선수 생활[편집]
아마추어 시절[편집]
단국대학교 4학년 때였던 1997년에는 김동주, 김선우, 조인성, 박정진, 서재응, 신경현, 유동훈 등과 함께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국가대표팀으로 발탁되어 참가했다.[1]
삼성 라이온즈 시절[편집]
1998년 시즌[편집]
경북고등학교와 단국대학교를 졸업하고 1998년 삼성 라이온즈의 1차 지명을 받아 입단하였다. 1998년 데뷔 첫 해의 강동우는 단연 돋보이는 신인 중 한 명이었다. 1군 123경기에 나와 규정 타석을 채운 3할 타율과 10홈런, 22도루 등 최고의 활약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LG 트윈스와의 플레이오프 2차전에서 이병규의 타구를 잡다가 펜스에 부딪혀 정강이가 골절되는 사고를 당했다. 당시 그는 방콕 아시안 게임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출되어 있었지만 이 사고로 참가할 수 없게 되었고 그를 대신하여 LG 외야수 심재학 선수(1998년 시즌 타율 0.267, 11홈런)가 참가하게 되었다. 정강이 부상을 크게 입은 이후 슬럼프에 급격히 빠졌다. 그 해 신인왕 후보에도 올랐지만, 단 5표만 받고 현대 투수 김수경에게 신인왕을 헌납했다. 1998년 그가 신인으로 데뷔한 타자로 규정타석을 채워서 3할 타율을 기록한 이후 2014년 현재까지도 신인 타자 중 규정 타석을 채운 3할 타자가 나오지 않고 있다.[2] 그러다가 2017년에 넥센 히어로즈의 이정후가 19년만에 신인타자 3할기록을 세웠고, 심지어 1994년 서용빈의 신인최다안타기록도 갱신하며, 신인왕을 차지하게 되었다.(2015년 삼성 라이온즈 구자욱도 0.349의 타율로 신인왕을 받았지만, 루키신인은 아니었으므로 기록에서 제외한다.)
재활 및 재기[편집]
부상 이후 초기의 페이스를 찾지 못했고 1999년에는 재활로 단 1경기에도 나오지 못했다. 김응용 감독 부임 후 부활하여, 2002년 삼성 라이온즈의 한국시리즈 우승 멤버로 활약했을 때 재기상을 수상하였다. 2004년 한국시리즈 9차전 당시 마지막 타자로 1루수 땅볼 아웃되었다.
두산 베어스 시절[편집]
2005년 삼성 라이온즈의 2번째 한국시리즈 우승 멤버로 활동하였으나,[3] 선동열 감독과 마찰을 빚어 2006년 3월 29일에 두산 외야수 김창희, 강봉규를 상대로 트레이드되었다.[4] 두산으로 트레이드된 이후에는 2006년에 118경기에 출장, 활약했으나 2007년에는 김현수와 민병헌 등에게 주전 자리에서 밀려 1군에 25경기에만 나오고 2군을 전전하였다.
KIA 타이거즈 시절[편집]
2007년 11월 KIA의 좌완 투수 이윤학을 상대로 맞트레이드되었으나, 트레이드된 후에도 1군 45경기에만 나오고 2군을 전전했다.
한화 이글스 시절[편집]
2008년 10월 20일 신종길을 상대로 한화 이글스에 트레이드되었다.[5] 한화로 트레이드된 이후 그는 부활하였다. 2009년 시즌 개막 이후 줄곧 선발 중견수 겸 1번 타자로 활약했다.[6] 2009년 4월 11일 대전 롯데전에서 3회말 상대 선발 허준혁 선수의 초구를 밀어쳐 좌월 투런 역전 홈런을 날렸다. 이 홈런은 지난 2007년 7월 12일 잠실 현대전 이후 640일 만에 나온 것이다.[7]
2009년 데뷔 시절과 맞먹는 맹타를 보여 주면서 완벽하게 부활하였고 2009년 한화가 최하위로 추락하는 와중에도 베테랑답게 다이너마이트 타격진을 뒷받침해 주었다. 그 해 3할 2리의 타율, 10홈런을 기록하였고 시즌이 끝난 후 FA 자격을 얻어 한화와 1년 간의 조건으로 재계약하였다.[8] 2002년에 이어 그 해 일구회의 의지노력상을 수상하였다.[9] 2010년에는 잠시 주춤했지만, 2011년에 개인 최다 홈런을 경신하고 전 경기에 출장했다. 그러나 이후 출장 경기 수가 줄어들었고, 그의 재기를 이끌었던 김응용 감독 아래에서 부활을 노렸지만 시범경기 때 부상을 당해 1군 26경기에 그친 채 2013년 시즌 후 방출당했다.[10] 이후에도 현역 의지를 내비쳤지만 결국 다른 팀의 오퍼를 받지 못하고 그 해 12월 23일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11] 또한 그는 한화 이글스 시절 외야 펜스 안전성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12]
코치 생활[편집]
두산 베어스로의 복귀[편집]
2014년 1월 7일 2군 타격코치로서 7년만에 두산 베어스로 복귀한다.[13] 같은 해 그의 생일에 결혼하여 품절남 대열에 합류했다.[14]
출신학교[편집]
- 대구칠성초등학교
- 경상중학교
- 경북고등학교 (대구본교)
- 단국대학교 94학번
통산 기록[편집]
년도 | 팀 | 타율 | 경기수 | 타수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도루 실패 |
도루 성공율 | 4사구 | 삼진 | 병살타 | 희생타 | 출루율 | 장타율 |
---|---|---|---|---|---|---|---|---|---|---|---|---|---|---|---|---|---|---|---|
1998 | 삼성 | 0.300 | 123 | 414 | 124 | 23 | 8 | 10 | 30 | 74 | 22 | 7 | 75.86% | 43 | 68 | 5 | 11 | 0.365 | 0.466 |
2000 | 0.100 | 13 | 20 | 2 | 0 | 0 | 0 | 0 | 3 | 1 | 0 | 100.00 % | 8 | 5 | 0 | 0 | 0.357 | 0.100 | |
2001 | 0.251 | 125 | 347 | 87 | 15 | 2 | 6 | 42 | 54 | 6 | 1 | 85.71% | 52 | 44 | 9 | 3 | 0.348 | 0.357 | |
2002 | 0.288 | 130 | 466 | 134 | 23 | 3 | 9 | 49 | 75 | 11 | 6 | 64.71% | 47 | 76 | 9 | 8 | 0.352 | 0.408 | |
2003 | 0.266 | 130 | 443 | 118 | 19 | 4 | 9 | 57 | 61 | 8 | 4 | 66.67% | 58 | 51 | 17 | 19 | 0.349 | 0.388 | |
2004 | 0.295 | 132 | 438 | 129 | 22 | 1 | 3 | 49 | 59 | 9 | 5 | 64.29% | 51 | 45 | 13 | 8 | 0.367 | 0.370 | |
2005 | 0.240 | 125 | 367 | 88 | 15 | 3 | 6 | 38 | 61 | 9 | 1 | 90.00% | 46 | 68 | 8 | 16 | 0.322 | 0.346 | |
2006 | 두산 | 0.249 | 118 | 393 | 98 | 12 | 2 | 2 | 34 | 36 | 8 | 6 | 57.14% | 49 | 54 | 9 | 13 | 0.330 | 0.305 |
2007 | 0.163 | 25 | 43 | 7 | 1 | 1 | 1 | 6 | 1 | 0 | 1 | 0.00% | 5 | 4 | 1 | 0 | 0.250 | 0.302 | |
2008 | KIA | 0.100 | 45 | 40 | 4 | 1 | 0 | 0 | 5 | 8 | 0 | 1 | 0.00% | 9 | 6 | 0 | 3 | 0.260 | 0.125 |
2009 | 한화 | 0.302 | 128 | 506 | 153 | 30 | 2 | 10 | 48 | 88 | 27 | 3 | 90.00% | 70 | 58 | 6 | 9 | 0.384 | 0.429 |
2010 | 0.252 | 98 | 309 | 78 | 8 | 1 | 4 | 22 | 45 | 14 | 6 | 70.00% | 44 | 33 | 10 | 9 | 0.346 | 0.324 | |
2011 | 0.288 | 133 | 518 | 149 | 13 | 3 | 13 | 51 | 83 | 17 | 15 | 53.13% | 64 | 71 | 9 | ? | 0.363 | 0.400 | |
2012 | 0.252 | 76 | 257 | 65 | 16 | 1 | 2 | 22 | 35 | 1 | 2 | 33.33% | 26 | 21 | 5 | 5 | 0.346 | 0.324 | |
통산 | 14시즌 | 0.271 | 1401 | 4561 | 1236 | 198 | 31 | 75 | 453 | 683 | 133 | 58 | 69.61% | 572 | 604 | 101 | ? | 0.350 | 0.377 |
참조[편집]
- ↑ <체육단신> 野協,국가대표 선발 - 연합뉴스
- ↑ 아기공룡 나성범 3할 발톱 세우다 - 스포츠동아
- ↑ 선동열 ‘퓨전 야구’ vs 로이스터 ‘오픈 야구’ - 스포츠칸
- ↑ 삼성-두산, 강동우 ↔ 김창희+강봉규 트레이드 《스포츠조선》, 2006년 3월 29일 작성
- ↑ KIA 외야수 강동우, 한화 내야수 신종길과 맞트레이드 Archived 2015년 5월 24일 - 웨이백 머신 《Osen》, 2008년 10월 20일
- ↑ 한화 강동우, 땀에 젖은 방망이… “Again 3할” 《동아일보》, 2009년 4월 28일 작성
- ↑ '640일 만에 홈런' 강동우, 감동을 선사하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Osen》, 2009년 4월 11일 작성
- ↑ 한화 강동우 3억 원에 FA 재계약....김태균은 결렬 - 헤럴드경제
- ↑ 11년차 강동우, "재기상, 의지노력상이 제게 딱이죠" - 조이뉴스24
- ↑ 한화서 방출 강동우 "도전 끝나지 않아" - 스포츠조선
- ↑ '마지막 신인 3할 타자' 강동우, 현역 은퇴 선언 - OSEN
- ↑ 역대 최악의 펜스 부상 희생자 강동우 "펜스 수리 시급하다" - 스포츠조선
- ↑ 은퇴 강동우, 두산 코치로 ‘제 2인생’ - 스포츠동아
- ↑ “[내야외야] 두산베어스 강동우 코치 결혼”. 《스포츠월드》. 2014년 4월 16일. 2017년 1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1월 3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