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기 (1987년)
| ||||
기본 정보 | ||||
---|---|---|---|---|
국적 | 대한민국 | |||
생년월일 | 1987년 12월 26일 | (33세)|||
출신지 |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
신장 | 183 cm | |||
체중 | 80 kg | |||
선수 정보 | ||||
투구·타석 | 좌투좌타 | |||
수비 위치 | 좌익수, 우익수, 중견수 | |||
프로 입단 연도 | 2006년 | |||
드래프트 순위 | 2006년 2차 8라운드(SK 와이번스) | |||
첫 출장 | KBO / 2008년 9월 27일 목동 대 히어로즈전 | |||
계약금 | 3,000만원 | |||
연봉 | 2억 2,400만원 (2020년) | |||
경력 | ||||
| ||||
이명기(李明起, 1987년 12월 26일 ~ )는 KBO 리그 NC 다이노스의 외야수이다.
아마추어 시절[편집]
인천고등학교 2학년 때 김현수와 더불어 고교 야구 3대 외야수로 꼽힐 정도로 걸출한 인재였으나 타격에 비해 수비가 많이 불안정했다.
SK 와이번스 시절[편집]
2006년 2차 지명을 받아 계약금 3,000만원에 입단했다.
2006년 ~ 2011년[편집]
1군에 진입했으나 타격에 비해 잦은 부상과 부족한 수비 때문에 자리잡는데 실패했다. 2011년에 공익근무요원으로 입소했다.
2013년[편집]
26경기에 출전해 100타수 34안타, 3할대 타율, 출루율 0.391, 장타율 0.440으로 좋은 활약을 펼치고 있었으나 수비 도중 경기장 펜스에 스파이크가 끼어 발목 부상을 당해 다음 날 2군으로 내려갔다.
2014년[편집]
재활과 2군 경기 출전을 반복하다가 6월부터 SK 와이번스의 주전 외야수로 꾸준히 기용됐고 7월 7일 ~ 9월 14일까지 28경기 연속 안타를 쳐 냈다.
2015년[편집]
그의 약점인 수비 보완에 힘썼다. 정의윤, 앤드류 브라운과 함께 팀 타선을 이끌었고 팀에서 유일하게 규정 타석에 등록돼 3할 타율을 넘겼다.
2016년[편집]
개막전에서 4타수 3안타를 기록했으나, 실책으로 비난을 들었다. 그후 1할대 타율에 머무는 등 슬럼프에 빠졌고, 그 뒤 조금 나아진 모습을 보였으나 2013년 ~ 2015년에 비해 아쉬운 성적을 기록했다.
KIA 타이거즈 시절[편집]
2017년 시즌[편집]
4월 7일 당시 SK 와이번스 소속이었던 그와 노관현, 최정민, 김민식, KIA 타이거즈 소속이었던 노수광, 윤정우, 이홍구, 이성우의 4:4 트레이드를 통해 입단하였다.[1]
2018년 시즌[편집]
시즌 120경기에 출전해 3할대 타율, 135안타, 4홈런, 42타점을 기록했다.
NC 다이노스 시절[편집]
2019년 시즌[편집]
2019년 7월 6일 이우성과 1:1 트레이드를 통해 이적했다.[2] 9월 7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경기에서 임현준을 상대로 이적 후 첫 홈런을 기록했다.[3]
시즌 2할대 타율, 142안타, 2홈런, 출루율 0.353, 장타율 0.359를 기록했다.
2020년 시즌[편집]
2020년 주전 좌익수로 출전하면서 팀의 정규시즌 우승에 기여했다.
2020년 시즌 타율 0.306 136경기 출장해 146안타 82득점 45타점 50볼넷을 기록했다.
한국시리즈[편집]
두산 베어스와의 한국시리즈 6차전 결승타를 쳤다. 5회말 2사 1,2루에서 알칸타라의 공을 받아쳐 1타점 적시타를 기록했다. NC 다이노스는 6차전에서 승리하면서 2020년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했다.[4]
한국시리즈 6경기 출장해 타율 0.190 21타수 4안타 2타점 1볼넷을 기록했다.
- 기록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장타율 | 출루율 | 실책 |
---|---|---|---|---|---|---|---|---|---|---|---|---|---|---|---|---|---|---|
0.190 | 6 | 21 | 0 | 4 | 0 | 0 | 0 | 4 | 2 | 0 | 0 | 1 | 0 | 0 | 0 | 0.190 | 0.227 | 0 |
기록[편집]
별명[편집]
- 이름 때문에 활약을 할 때 '진기명기'라고 불린다.
- '명'과 '띵'이 비슷하게 생겨 '이띵기'라고 불린다.
- 땅볼 타구를 많이 쳐서 '이땅기'라고 불린다.
응원가[편집]
치고 달려라! NC 이명기! 워어어어 NC 이명기 치고 달려라! NC 이명기! 워어어어 승리를 위해 (이명기!) (2회 반복)
출신 학교[편집]
통산 기록[편집]
연도 | 팀명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
2008 | SK | 0.250 | 6 | 12 | 2 | 3 | 0 | 0 | 0 | 3 | 2 | 0 | 1 | 1 | 0 | 2 | 0 | 0 |
2009 | 0.200 | 4 | 5 | 0 | 1 | 0 | 0 | 0 | 1 | 0 | 0 | 1 | 0 | 0 | 2 | 0 | 0 | |
2010 | 0.250 | 4 | 4 | 1 | 1 | 0 | 0 | 0 | 1 | 0 | 0 | 0 | 0 | 1 | 0 | 0 | 0 | |
2013 | 0.340 | 26 | 100 | 21 | 34 | 3 | 2 | 1 | 44 | 11 | 6 | 4 | 9 | 0 | 22 | 1 | 1 | |
2014 | 0.368 | 83 | 285 | 54 | 105 | 13 | 2 | 4 | 134 | 28 | 8 | 6 | 21 | 1 | 47 | 7 | 3 | |
2015 | 0.315 | 137 | 521 | 88 | 164 | 30 | 2 | 3 | 207 | 35 | 22 | 10 | 35 | 11 | 86 | 7 | 2 | |
2016 | 0.272 | 99 | 287 | 29 | 78 | 7 | 4 | 1 | 96 | 22 | 14 | 8 | 23 | 4 | 37 | 3 | 4 | |
2017 | KIA | 0.332 | 115 | 464 | 79 | 154 | 24 | 4 | 9 | 213 | 63 | 8 | 7 | 28 | 3 | 57 | 2 | 5 |
2018 | 0.302 | 120 | 447 | 88 | 135 | 28 | 6 | 4 | 187 | 42 | 12 | 5 | 40 | 3 | 64 | 5 | 2 | |
2019 | NC | 0.293 | 139 | 484 | 62 | 142 | 17 | 3 | 2 | 171 | 36 | 14 | 4 | 48 | 4 | 66 | 12 | 2 |
2020 | 0.306 | 136 | 477 | 82 | 146 | 18 | 3 | 2 | 176 | 45 | 12 | 7 | 50 | 4 | 78 | 6 | 1 | |
통산 | 11시즌 | 0.312 | 869 | 3086 | 506 | 963 | 14057 | 26 | 26 | 1233 | 284 | 96 | 535 | 255 | 31 | 461 | 43 | 20 |
각주[편집]
- ↑ KIA 이홍구·노수광↔SK 이명기·최정민 등 4대4 트레이드 - 연합뉴스
- ↑ 프로야구 NC 이우성↔KIA 이명기 외야수 맞트레이드 - 연합뉴스
- ↑ 손찬익 (2019년 9월 7일). “이명기, NC 이적 후 첫 홈런 신고...시즌 2호째”. 《OSEN》. 2019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 양형석 (2020년 11월 24일). “'이명기 결승타' NC, 감격의 창단 첫 통합 우승”. 《오마이뉴스》. 2021년 1월 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