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호 (1965년)
보이기
| ||||
기본 정보 | ||||
---|---|---|---|---|
국적 | 대한민국 | |||
생년월일 | 1965년 10월 19일 | (59세)|||
출신지 |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
신장 | 180 cm | |||
체중 | 84 kg | |||
선수 정보 |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
수비 위치 | 3루수, 좌익수, 중견수, 우익수 | |||
프로 입단 연도 | 1988년 | |||
드래프트 순위 | 1988년 1차 지명(MBC 청룡) | |||
첫 출장 | KBO / 1988년 | |||
마지막 경기 | KBO / 2000년 | |||
획득 타이틀 |
| |||
경력 | ||||
선수 경력
| ||||
김상호(金湘昊, 1965년 10월 19일 ~ )는 전 KBO 리그 LG 트윈스의 외야수이다.
선수 시절
[편집]1988년에 입단하여 3루수로 활동했다. 두 시즌 동안 197경기에 출전해 2할대 타율, 20홈런을 기록했다. 그러나 1989년 말에 감도긍로 부임한 백인천으로부터 처음부터 끝까지 풀 스윙으로 일관한다는 지적을 받아 1990년 1월 22일 투수 최일언과 맞트레이드됐다.[1]
외야수로 전향했다. 첫 시즌에 2할대 타율, 14홈런으로 커리어 하이를 기록했다.[2] 9년 동안 팀에서 강한 인상을 남겼다. 1995년에 팀의 2번째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했고, 홈런왕, 타점왕, MVP, 골든 글러브를 수상했다. 타석과 펜스의 거리가 KBO 리그 구장 중에서 가장 먼 잠실을 홈으로 둔 서울 팀 선수로는 최초의 홈런왕이 됐다.[2] OB 베어스 선수단 집단 이탈 사건의 주동자로 낙인찍혔던 탓인지 1995년 이후 하향세를 그리다 1998년 우즈, 김동주의 활약으로 주전에서 밀려 시즌 후 투수 류택현과 함께 현금 1억원의 조건으로 LG 트윈스에 현금 트레이드됐다.[3]
함께 트레이드된 류택현이 좋은 모습을 보인 반면 그는 트레이드된 이후에도 별 활약을 보여 주지 못해 2000년에 은퇴하고 야구계를 완전히 떠났다.
야구선수 은퇴 후
[편집]이후 식당을 운영하는 등 사업을 하다가 인천광역시 부평구에서 팀 베이스 야구레슨 연습장을 운영했다.[4]
출신 학교
[편집]주요 기록
[편집]기록 | 날짜 | 소속 | 구장 | 상대팀 | 상대 투수 | 경기수 | 타석수 | 달성 당시 나이 | 기타 | 각주 |
---|---|---|---|---|---|---|---|---|---|---|
1000안타 | 1997. 8. 12 | OB | 잠실 | 롯데 | 주형광 | 1048 | 4248 | 31세 9개월 23일 | 역대 14번째 | |
600타점 | 1999. 5. 16 | LG | 잠실 | 두산 | 역대 9번째 |
통산 기록
[편집]연 도 |
소 속 |
나 이 |
출 장 |
타 석 |
타 수 |
득 점 |
안 타 |
2 루 타 |
3 루 타 |
홈 런 |
타 점 |
도 루 |
도 실 |
볼 넷 |
삼 진 |
타 율 |
출 루 율 |
장 타 율 |
O P S |
루 타 |
병 살 타 |
몸 맞 |
희 타 |
희 플 |
고 4 |
---|---|---|---|---|---|---|---|---|---|---|---|---|---|---|---|---|---|---|---|---|---|---|---|---|---|
1988 | MBC | 23 | 88 | 296 | 267 | 35 | 72 | 17 | 2 | 7 | 43 | 11 | 2 | 17 | 59 | .270 | .323 | .427 | .750 | 114 | 4 | 5 | 4 | 2 | 2 |
1989 | 24 | 109 | 425 | 362 | 51 | 93 | 9 | 4 | 13 | 56 | 21 | 10 | 50 | 87 | .257 | .351 | .412 | .762 | 149 | 3 | 5 | 3 | 5 | 2 | |
1990 | OB | 25 | 114 | 466 | 400 | 61 | 110 | 18 | 1 | 14 | 52 | 12 | 6 | 54 | 68 | .275 | .370 | .430 | .800 | 172 | 9 | 7 | 4 | 1 | 2 |
1991 | 26 | 93 | 358 | 318 | 33 | 66 | 10 | 1 | 5 | 42 | 12 | 9 | 35 | 56 | .208 | .287 | .292 | .579 | 93 | 5 | 1 | 2 | 2 | 0 | |
1992 | 27 | 102 | 416 | 370 | 61 | 111 | 26 | 4 | 12 | 49 | 16 | 7 | 42 | 52 | .300 | .377 | .489 | .867 | 181 | 4 | 4 | 0 | 0 | 2 | |
1993 | 28 | 122 | 495 | 440 | 53 | 116 | 17 | 1 | 11 | 56 | 19 | 8 | 38 | 63 | .264 | .333 | .382 | .715 | 168 | 11 | 9 | 5 | 2 | 2 | |
1994 | 29 | 113 | 471 | 410 | 55 | 102 | 11 | 5 | 9 | 49 | 6 | 7 | 47 | 73 | .249 | .334 | .366 | .700 | 150 | 3 | 7 | 4 | 3 | 3 | |
1995 | 30 | 126 | 565 | 504 | 79 | 137 | 23 | 2 | 25 | 101 | 10 | 7 | 45 | 113 | .272 | .335 | .474 | .809 | 239 | 6 | 6 | 4 | 6 | 5 | |
1996 | 31 | 117 | 487 | 439 | 53 | 118 | 27 | 0 | 20 | 75 | 5 | 5 | 31 | 101 | .269 | .324 | .467 | .791 | 205 | 5 | 8 | 2 | 7 | 3 | |
1997 | 32 | 96 | 393 | 343 | 45 | 108 | 24 | 3 | 11 | 52 | 4 | 2 | 42 | 71 | .315 | .393 | .499 | .891 | 171 | 7 | 4 | 1 | 3 | 5 | |
1998 | 33 | 34 | 105 | 87 | 12 | 21 | 3 | 0 | 1 | 7 | 0 | 0 | 13 | 17 | .241 | .365 | .310 | .676 | 27 | 2 | 4 | 1 | 0 | 1 | |
1999 | LG | 34 | 94 | 257 | 221 | 39 | 56 | 10 | 1 | 8 | 40 | 1 | 1 | 29 | 58 | .253 | .350 | .416 | .767 | 92 | 2 | 5 | 0 | 2 | 0 |
2000 | 35 | 21 | 41 | 31 | 4 | 2 | 1 | 0 | 0 | 2 | 0 | 0 | 9 | 14 | .065 | .275 | .097 | .372 | 3 | 0 | 0 | 1 | 0 | 0 | |
KBO 통산 : 13년 | 1229 | 4775 | 4192 | 581 | 1112 | 196 | 24 | 136 | 624 | 117 | 64 | 452 | 832 | .265 | .344 | .421 | .764 | 1764 | 61 | 65 | 31 | 33 | 27 |
- 시즌 기록 중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수상 경력
[편집]각주
[편집]- ↑ 이재국 (2021년 5월 31일). “[이재국의 베팬알백] <37편> 최일언 주고 터미네이터 김상호를 얻다...잠실 최초 트레이드”. 두런두런. 2023년 7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7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단장들의 악몽, 프로야구 최악의 트레이드 30선',《SPORTS 2.0》,2006,8,14
- ↑ 김상호, “1994년 사건, 자발적 항명 아냐” 中 - MK스포츠
- ↑ 김상호, “1995년 OB는 기적의 팀이었다” 上 - MK스포츠
외부 링크
[편집]- 김상호 - KBO 타자별 기록
- 김상호 - 스탯티즈
- 야구의 추억, 54번째 굵고 짧고 화끈했던 잠실 홈런왕, 김상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