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아섭
| ||||
![]() | ||||
기본 정보 | ||||
---|---|---|---|---|
국적 | 대한민국 | |||
생년월일 | 1988년 3월 18일 | (35세)|||
출신지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 |||
신장 | 174 cm | |||
체중 | 84 kg | |||
선수 정보 | ||||
투구·타석 | 우투좌타 | |||
수비 위치 | 좌익수, 우익수 | |||
프로 입단 연도 | 2007년 | |||
드래프트 순위 | 2007년 2차 4라운드 29순위(롯데 자이언츠) | |||
첫 출장 | KBO / 2007년 4월 7일 수원 대 현대전 | |||
획득 타이틀 | ||||
계약금 | 8,000만원 | |||
연봉 | 15억원 (2022년) | |||
경력 | ||||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 ||||
WBC | 2013년, 2017년 | |||
프리미어 12 | 2015년 | |||
아시안게임 | 2014년 인천, 2018년 자카르타-서제방 | |||
손아섭(孫兒葉, 1988년 3월 18일 ~ )은 KBO 리그 NC 다이노스의 외야수이다. 개명 전 이름은 '손광민(孫光敏)'이다. 2008년 시즌 후 법원에 개명 신청을 했고[1], 2009년 1월 16일 법원의 승인을 받아 현재 이름으로 개명했다.[2]
롯데 자이언츠 시절[편집]
부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07년에 2차 4라운드로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2007년 개막전 엔트리에 포함됐으나 출전하지 못했고, 다음 날 출전해 결승타를 치는 등 주로 대타로 활약했다. 데뷔 첫 해에는 1군 4경기 출전에 그쳤다. 2008년부터는 좌익수나 지명타자로 출전했다. 특히 타격에 능해 제 2의 박정태라고 불렸다. 2008년 시즌 후 은퇴한 염종석의 등번호였던 68번으로 바꿨다. 염종석이 재활코치로 복귀한 후 다시 번호를 바꿨다. 2010년에는 우타자인 전준우와 번갈아 기용되며 2010년 8월 21일에는 데뷔 첫 두 자릿수 홈런을 기록했고, 8월 27일에는 끝내기 역전 2점 홈런을 쳐 냈다. 2011년에는 당시 외야수비코치였던 조원우의 지도를 받은 후 외야 수비가 크게 향상됐다는 평가를 받으며 데뷔 첫 골든 글러브를 수상했다. 2012년에는 공격뿐만 아니라 수비에서도 많은 발전을 보이며 시즌 내내 꾸준히 활약해 3년 연속 3할 타율과 타율 3위, 158안타로 첫 타이틀 홀더가 됐다. 또 2년 연속 외야수 부문 골든 글러브를 수상했다. 또한 최다 득표로 데뷔 2번째 골든 글러브를 수상했다. 2013년에는 172안타, 3할대 타율로 4년 연속 3할 타율, 두 자릿수 홈런과 도루를 달성하며 팀 내 타격 전 부문 1위에 올라 역대 3번째 대기록을 달성했다. 그 해 빈타에 허덕이며 포스트 시즌 진출에 실패한 팀을 혼자 이끌며 그 특유의 근성과 열정으로 빈약한 팀 타선에도 불구하고 매우 좋은 성적을 냈다. "아섭 자이언츠", "그의 롯데" 등 팬들과 야구 관계자들로부터 많은 호평을 들었다. 이병규에게 밀려 타격왕 수상에는 실패했지만, 2년 연속 안타왕을 차지했고 3년 연속으로 골든 글러브를 수상했다. 2년 연속 최다 안타 기록은 역대 5번째였다. 2014년 1월 2일, 연봉 4억원에 재계약하며 8년차 프로 연봉 역대 공동 2위를 기록했다. 이는 팀 내 역대 최고 대우였다. 2014년에는 어깨 근육이 끊어진 상태에서도 5년 연속 3할 타율을 달성했고 18홈런, 10도루로 두 자릿수 홈런 및 도루를 달성했다. 외야수 중 장효조만 달성했던 외야수 4년 연속 골든글러브 수상에 성공했다. 2015년 11월 16일 MLB 포스팅을 신청했으나 응찰 구단이 없어 포스팅에 실패했다. 2017년 시즌 후 FA 자격을 취득해 4년 총액 98억 원에 FA 계약을 하며 잔류했고, 개인 통산 5번째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3][4] 2019년 이대호의 뒤를 이어 팀의 새 주장으로 선정됐다.[5]
NC 다이노스 시절[편집]
2021년 시즌 후 2번째 FA 자격을 얻었고, 2021년 12월 24일 4년 총액 64억원(계약금 26억, 연봉 30억, 인센티브 8억)에 FA 계약을 맺어 NC 다이노스로 이적했다.[6] 그의 보상선수로는 우완 투수 문경찬이 지명되었다.
2022년[편집]
2022년 4월 6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역대 31번째 통산 17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개막 후 21타석 연속 무안타를 기록하다가 4월 8일 LG 트윈스와의 경기에서 첫 안타를 기록했다. 4월 14일 키움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3회초 1사 1루 안우진을 상대로 안타를 치면서 역대 19번째 통산 3000루타를 달성했다.[7] 4월 28일 두산 베어스와의 경기에서 4회 1사에서 이영하를 상대로 안타를 치면서 역대 9번째 2100안타 기록을 달성했다.[8] 6월 18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 8회말 김범수를 상대로 2루타를 기록하면서 역대 14번째 3100루타를 기록했다.
7월 30일 키움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1회말 최원태를 상대로 좌전 안타를 기록하면서, KBO리그 역대 8번째 13년 연속 100안타를 기록했다.[9] 8월 6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3회초 2사 만루에서 이강준을 상대로 볼넷을 얻으면서 타점을 기록했다. KBO리그 역대 31번째 통산 900타점이었다.[10] 8월 27일 kt 위즈와의 경기에서 6회초 주권을 상대로 2루타를 치고 출루한 후, 박건우의 2루타로 득점을 기록했다. 이 득점으로 KBO리그 역대 6번째 통산 1200득점을 기록했다. 8월 28일 kt 위즈와의 경기에서 우익수 2번타자로 출장해 KBO리그 역대 30번째 1800경기 출장을 기록했다. 9월 3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 1회초 남지민을 상대로 안타를 기록하면서 KBO리그 역대 4번째 2200안타를 기록했다. 10월 6일 SSG 랜더스와의 5회말 이태양을 상대로 안타를 치면서 KBO리그 역대 2번째 7시즌 연속 150안타를 기록했다.[11] 10월 8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 윤대경을 상대로 12회말 1사 1루에서 끝내기 3루타를 기록했다. 이 안타로 KBO리그 역대 2번째 10시즌 연속 200루타를 기록했다.
2022년 시즌 타율 0.277 138경기 출장해 152안타 4홈런 48타점 72득점 장타율 0.367 출루율 0.347을 기록했다. 2010년 이후 두번째로 2할대 타율을 기록한 시즌이었다. 시즌 후 인터뷰를 통해“올해는 정신적으로 힘든 부분이 많았다. 새 팀에서 보여줘야된다는 부담감도 있었고 팀 성적도 워낙 안 좋아서 고참으로서 스트레스가 많았다. 체력적으로도 2배나 더 힘들었던 시즌”이라며 “그런 영향 때문에 체력이 떨어졌는지는 아직 알 수는 없지만, 정신적인 부분은 팀 성적이나 개인 성적이 좋으면 간단히 해결되는 부분이다. 내년에는 체력적으로 준비를 잘 해 슬럼프가 길어지는 걸 막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12]
국가대표 경력[편집]
- 2012년 시즌 후 2013년 WBC 국가대표팀으로 선출됐다.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에 지명타자로 선발 출전해 대한민국이 금메달을 획득하는데 큰 공을 세웠고, 병역 문제를 해결했다. 2015년 시즌 후 WBSC 프리미어 12에 대한민국 야구 대표팀으로 차출돼 우승했다.
- 2017년 WBC 국가대표팀으로 선출됐다.
별명[편집]
- 싸이월드에서 유래된 오빠므찌나라고 불린다. 2022년 NC 다이노스 이적 후에 별명을 활용한 'OPPA MUZZINA AN MUZZINA' 에코백과 티셔츠를 발매했다.[13]
- 롯데 자이언츠의 마스코트인 거인을 합친 '작은 거인'이라고 불린다.
수상[편집]
- 최다 안타 3회 (2012년 ~ 2013년, 2017년)
- 골든 글러브 5회 (2011년 ~ 2014년, 2017년)
트리비아[편집]
- 우투좌타지만, 평상시에는 왼손을 사용하는 왼손잡이이다.
출신 학교[편집]
통산 기록[편집]
연도 | 팀명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
2007 | 롯데 | 0.167 | 4 | 6 | 2 | 1 | 1 | 0 | 0 | 2 | 1 | 0 | 0 | 0 | 0 | 1 | 0 | 0 |
2008 | 0.303 | 80 | 218 | 31 | 66 | 11 | 1 | 3 | 88 | 17 | 2 | 3 | 28 | 2 | 35 | 4 | 1 | |
2009 | 0.186 | 34 | 86 | 11 | 16 | 4 | 0 | 3 | 29 | 4 | 1 | 1 | 9 | 0 | 16 | 3 | 1 | |
2010 | 0.306 | 121 | 422 | 85 | 129 | 23 | 0 | 11 | 185 | 47 | 6 | 2 | 50 | 1 | 82 | 2 | 4 | |
2011 | 0.326 | 116 | 442 | 79 | 144 | 25 | 5 | 15 | 224 | 83 | 13 | 4 | 43 | 2 | 80 | 6 | 7 | |
2012 | 0.314 | 132 | 503 | 61 | 158 | 26 | 0 | 5 | 199 | 58 | 10 | 5 | 41 | 6 | 79 | 7 | 3 | |
2013 | 0.345 | 128 | 498 | 83 | 172 | 23 | 4 | 11 | 236 | 69 | 36 | 7 | 64 | 3 | 88 | 9 | 8 | |
2014 | 0.362 | 122 | 483 | 105 | 175 | 25 | 3 | 18 | 260 | 80 | 10 | 3 | 80 | 5 | 78 | 7 | 4 | |
2015 | 0.317 | 116 | 445 | 86 | 141 | 28 | 1 | 13 | 210 | 54 | 11 | 6 | 68 | 1 | 96 | 6 | 8 | |
2016 | 0.323 | 144 | 575 | 118 | 186 | 33 | 1 | 16 | 269 | 81 | 42 | 4 | 92 | 3 | 104 | 4 | 3 | |
2017 | 0.335 | 144 | 576 | 113 | 193 | 35 | 4 | 20 | 296 | 80 | 25 | 8 | 83 | 4 | 96 | 7 | 2 | |
2018 | 0.329 | 141 | 553 | 109 | 182 | 32 | 5 | 26 | 302 | 93 | 20 | 3 | 68 | 2 | 99 | 15 | 4 | |
2019 | 0.295 | 134 | 512 | 78 | 151 | 22 | 1 | 10 | 205 | 63 | 13 | 8 | 52 | 1 | 92 | 6 | 4 | |
2020 | 0.352 | 141 | 540 | 98 | 190 | 43 | 0 | 11 | 266 | 85 | 5 | 0 | 61 | 2 | 56 | 9 | 1 | |
2021 | 0.319 | 139 | 542 | 88 | 173 | 29 | 2 | 3 | 215 | 58 | 11 | 6 | 61 | 3 | 67 | 15 | 5 | |
2022 | NC | 0.277 | 138 | 548 | 72 | 152 | 29 | 4 | 4 | 201 | 48 | 7 | 3 | 59 | 3 | 76 | 9 | 3 |
통산 | 16시즌 | 0.321 | 1834 | 6949 | 1219 | 2229 | 389 | 31 | 169 | 3187 | 921 | 212 | 63 | 859 | 38 | 1145 | 109 | 58 |
주요 기록[편집]
기록 | 날짜 | 소속팀 | 상대팀 | 상대투수 | 구장 | 기타 |
---|---|---|---|---|---|---|
역대 37번째 통산 1700경기 | 2022년 4월 6일 | NC | 롯데 | 창원 | 이전 기록: 2021년 10월 29일 황재균 | |
역대 30번째 통산 1800경기 | 2022년 8월 28일 | NC | kt | 창원 | 이전 기록: 2022년 8월 14일 황재균 |
기록 | 날짜 | 소속팀 | 상대팀 | 상대투수 | 구장 | 기타 |
---|---|---|---|---|---|---|
역대 9번째 통산 2100안타 | 2022년 4월 28일 | NC | 두산 | 이영하 | 잠실 | 이전 기록: 2019년 6월 23일 김태균 |
역대 8번째 13시즌 연속 100안타 | 2022년 7월 30일 | NC | 키움 | 최원태 | 창원 | 이전 기록: 2021년 10월 1일 이대호 |
역대 4번째 통산 2200안타 | 2022년 9월 3일 | NC | 한화 | 남지민 | 대전 | 이전 기록: 2020년 7월 24일 김태균 |
역대 2번째 7시즌 연속 150안타 | 2022년 10월 6일 | NC | SSG | 이태양 | 창원 | 이전 기록: 2018년 9월 13일 박용택 |
기록 | 날짜 | 소속팀 | 상대팀 | 상대투수 | 구장 | 기타 |
---|---|---|---|---|---|---|
역대 19번째 통산 3000루타 | 2022년 4월 14일 | NC | 키움 | 안우진 | 고척 | 이전 기록: 2022년 4월 6일 김현수 |
역대 14번째 통산 3100루타 | 2022년 6월 18일 | NC | 한화 | 김범수 | 창원 | 이전 기록: 2022년 6월 8일 김현수 |
역대 2번째 10시즌 연속 200루타 | 2022년 10월 8일 | NC | 한화 | 윤대경 | 창원 | 이전 기록: 2019년 9월 25일 이대호 |
기록 | 날짜 | 소속팀 | 상대팀 | 상대투수 | 구장 | 기타 |
---|---|---|---|---|---|---|
역대 31번째 통산 900타점 | 2022년 8월 6일 | NC | 롯데 | 이강준 | 사직 | 이전 기록: 2022년 8월 3일 나성범 |
기록 | 날짜 | 소속팀 | 상대팀 | 상대투수 | 구장 | 기타 |
---|---|---|---|---|---|---|
역대 6번째 통산 1200득점 | 2022년 8월 27일 | NC | kt | 창원 | 이전 기록: 2022년 4월 9일 최정 |
각주[편집]
- ↑ 정진구 (2008년 10월 29일). “롯데 손광민, 손아섭으로 개명…'야구 실력 위해'”. 《스포츠서울》. 2013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1월 26일에 확인함.
- ↑ 손찬익 (2009년 1월 17일). “'법원 개명 허가' 손아섭, "새 이름과 등번호로 열심히 뛰겠다"”. 《OSEN》 (머니투데이). 2017년 11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1월 26일에 확인함.
- ↑ 최인영 (2017년 11월 26일). “손아섭, 롯데와 4년 98억원 계약…"MLB보다 팀 우승"(종합)”. 《연합뉴스》 (서울). 2017년 11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이재상 (2017년 11월 26일). “강민호 놓쳤던 롯데, 손아섭 잔류에 안도의 한숨”. 《뉴스1》 (서울). 2017년 11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1월 26일에 확인함.
- ↑ 손아섭, 2019시즌 롯데 새 주장 선임 - 마이데일리
- ↑ 고영준 (2021년 12월 24일). “FA 손아섭 ‘이젠 NC맨’… 4년 64억 원에 계약”. 《스포츠동아》. 2021년 12월 25일에 확인함.
- ↑ 류한준 (2021년 4월 14일). “NC 손아섭, 14일 키움전서 개인 3000루타 달성”. 《아이뉴스》. 2022년 4월 15일에 확인함.
- ↑ 문대현 (2021년 4월 28일). “손아섭, 두산전서 역대 9번째 통산 2100안타 달성”. 《뉴스1》. 2022년 4월 29일에 확인함.
- ↑ 박정현 (2022년 7월 30일). “꾸준함의 대명사…손아섭 '역대 8번째' 13년 연속 100안타”. 《스포티비뉴스》. 2022년 8월 3일에 확인함.
- ↑ 정현석 (2022년 8월 6일). “손아섭, 친정 롯데 상대 역대 31번째 통산 900타점 달성”. 《스포츠조선》. 2022년 8월 12일에 확인함.
- ↑ 이대호 (2022년 10월 6일). “NC 손아섭, KBO리그 역대 2번째 7년 연속 150안타”. 《연합뉴스》. 2022년 10월 13일에 확인함.
- ↑ 김하진 (2022년 10월 11일). “처음으로 새 팀에서 한 시즌 보냈던 손아섭이 돌이켜본 2022시즌”. 《스포츠경향》. 2022년 11월 4일에 확인함.
- ↑ 손찬익 (2022년 8월 23일). “'오빠 므찌나' 손아섭 MD 상품, 20분 만에 완판”. 《OSEN》. 2022년 11월 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손아섭 - KBO 타자별 기록
- 스탯티즈 - 손아섭
- 1988년 출생
- 살아있는 사람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 부산광역시 출신
- 부산광역시 출신 스포츠인
- KBO 리그 외야수
- KBO 리그 좌익수
- KBO 리그 우익수
- 롯데 자이언츠 선수
- NC 다이노스 선수
- KBO 안타상 수상자
- KBO 골든글러브 수상자
- 2014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2014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아시안 게임 야구 메달리스트
- 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
- 2015년 WBSC 프리미어 12 참가 선수
-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
- 2017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
- 2018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양정초등학교 동문
- 부산개성중학교 동문
- 부산고등학교 동문
- 밀양 손씨
- 대한민국의 불교도
- 20세기 대한민국 사람
- 21세기 대한민국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