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범

| |||||||||||||||||||||||||||
![]() | |||||||||||||||||||||||||||
기본 정보 | |||||||||||||||||||||||||||
---|---|---|---|---|---|---|---|---|---|---|---|---|---|---|---|---|---|---|---|---|---|---|---|---|---|---|---|
국적 | 대한민국 | ||||||||||||||||||||||||||
생년월일 | 1970년 8월 15일 | (52세)||||||||||||||||||||||||||
출신지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 ||||||||||||||||||||||||||
신장 | 178 cm | ||||||||||||||||||||||||||
체중 | 73 kg | ||||||||||||||||||||||||||
선수 정보 |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
수비 위치 | 유틸리티 내야수, 좌익수, 중견수, 우익수, 포수, 지명타자 | ||||||||||||||||||||||||||
프로 입단 연도 | 1993년 | ||||||||||||||||||||||||||
드래프트 순위 | 1993년 1차 지명(해태 타이거즈) | ||||||||||||||||||||||||||
첫 출장 | KBO / 1993년 4월 10일 광주 대 LG전 NPB / 1998년 | ||||||||||||||||||||||||||
마지막 경기 | KBO / 2011년 10월 12일 광주 대 SK전 NPB / 2001년 | ||||||||||||||||||||||||||
획득 타이틀 | |||||||||||||||||||||||||||
경력 | |||||||||||||||||||||||||||
선수 경력 코치 경력
감독 경력
해설자 경력
| |||||||||||||||||||||||||||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 |||||||||||||||||||||||||||
WBC | 2006년 | ||||||||||||||||||||||||||
아시안게임 | 1990년 베이징, 2002년 부산 | ||||||||||||||||||||||||||
아시아선수권 | 2003년 삿포로 | ||||||||||||||||||||||||||
메달 기록
|
이종범(1970년 8월 15일 ~ )은 전 KBO 리그 KIA 타이거즈의 내야수, 외야수이자, 현 KBO 리그 LG 트윈스의 외야/주루코치이다. 그의 아들은 KBO 리그 키움 히어로즈의 외야수인 이정후이고, 그의 외조카는 KBO 리그 NC 다이노스의 내야수인 윤형준이고, 그의 사위는 KBO 리그 LG 트윈스의 투수인 고우석이다. 현역 시절에는 팀의 정신적 지주이자 구심점으로 통하며 최고의 선수로 군림했다. '야구 천재', '종범신, '바람의 아들'로 불린다.[1][2] 1997년 시즌 후 일본 주니치 드래건스로 이적한 그는‘한국의 이치로’라는 평가를 받으며 기대를 받았으나, 기량 부족, 적응 실패, 팔꿈치 부상으로 부진을 거듭했고 2001년 시즌 중 국내에 복귀했다.[3] 국내 복귀 후에도 그는 국내 야구를 대표하는 간판 선수로 성가를 떨쳤다. 2012년 시즌 준비 중 당시 감독이었던 선동열, 수석코치였던 이순철 및 구단에게 은퇴 권고를 받고 2012년 3월 31일에 은퇴를 선언했다.[4] 2012년 5월 26일 광주무등경기장 야구장에서 모든 선수들이 7번 유니폼을 입고 경기에 임했고, 경기 후 은퇴식을 치렀다. 그의 등번호 7번은 영구 결번으로 남았다. 2013년부터 2014년까지 한화 이글스의 주루코치를 담당했고, 2014년 11월 6일 MBC 스포츠플러스와 계약을 맺고 2015년 시즌에 야구 해설자로 변신했다. 2016년에 장남 이정후가 넥센 히어로즈에 1차 지명되자 KBO 리그 역대 최초로 1차 지명으로 프로에 입성한 부자(父子)로 화제를 모았다.[5][6]
한국 프로야구 시절[편집]
해태 타이거즈 시절[편집]
광주서림초, 광주충장중, 광주제일고, 건국대 경영학과 89학번를 졸업하고 1993년에 1차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건국대에 앞서 한때 동국대 진학을 염두에 뒀으나 건국대로 방향을 틀었다.[7] 1993년 에 공수주에서 화려한 플레이를 펼쳐 단숨에 스타덤에 올랐다. 같은 해 한국시리즈에서 맹활약해 신인으로는 김정수 이후 두 번째로 시리즈 MVP에 올랐다. 아쉽게도 신인왕은 양준혁에게 밀려 수상에는 실패했다. 이후 1994년에 84도루로 역대 시즌 최다 기록을 세우고, 3할대 후반 타율, 196안타를 기록했다.
일본 프로야구 시절[편집]
주니치 드래건스 시절[편집]
원래 유격수였지만 일본 진출 후 외야수로 전향했으며, 대한민국으로 복귀한 후에도 외야수로 출장했다. 6월 23일에 한신 타이거스와의 경기에서 투수 가와지리 데쓰로가 던진 120km/h대 커브에 팔꿈치를 맞아 골절상을 당한 뒤 9월에 복귀했다. 하지만 67경기 출전에 그치며 성적 부진을 겪고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으며 원형 탈모증까지 생겼다. 결국 그는 퇴단을 결심하고 계약을 해지했다. 그 후 미국행을 추진했지만 당시 해태 타이거즈의 사장이었던 정기주가 일본을 방문해 대한민국 복귀를 설득했고, 때마침 2001년 7월 현대자동차그룹이 친정 팀 해태 타이거즈를 인수해 KIA 타이거즈로 재창단한 시기에 그는 4년만에 국내로 복귀했다.[8][9] 투수 가도쿠라 겐과 동료였다.
한국 프로야구 복귀[편집]
KIA 타이거즈 시절[편집]

2001년에 복귀했다. 2003년에는 20-20 클럽에 가입했다. 그 해 20홈런, 50도루를 기록했고, 50도루는 2003년 시즌 도루 부문 최고 기록이었다. 이 기록은 당시 최고령 20-20 클럽 가입이었다. 2006년 WBC 국가대표로 뽑혀 주장을 맡았으며, 대회 후 베스트 9에 뽑히는 등 발군의 활약을 보였다. 그러나 정작 2006년 시즌 중에는 부진했으며, 2군으로 강등됐다. 그 해 시즌 2할대 타율, 1홈런, 21타점, 10도루 등 입단 이래 최악의 성적을 거뒀다. 이러한 부진은 2007년에도 계속돼, 타율이 2할을 넘지 못하는 최악의 성적을 거두며 2군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2008년에 60% 삭감된 2억원의 연봉에 재계약했다. 그 해 5월 한 달 동안 타율 0.389, 28안타, 15타점으로 월간 MVP에 선정됐고, 1루수로 출장해 투수 외 전 포지션을 소화했다. 2008년 6월 3일에 역대 8번째 1500안타 기념패를 수상했다. 2008년까지 좋은 성적을 내지 못해 은퇴 위기에 몰렸으나 2009년 시즌에 부활했다. 2009년 6월 5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경기에서 도루를 성공하며 최소 경기(1,439경기) 통산 500도루, 네 자릿수 득점 기록을 달성했다.[10][11] 그 전에 그가 통산 499도루를 기록한 이후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서거하자,“노무현 전 대통령의 영결식이 끝난 이후에 광주에서 기록을 세우겠다.”라고 밝히며 기록 달성을 미뤘다.[12] 복귀 후 2009년에 팀의 10번째 우승이자 그의 4번째 우승을 이끌었으며, 이용규를 끌어안고 눈물을 흘렸다. 2010년 7월 9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 2루타를 쳐 한일 통산 2000안타를 달성했다.
야구선수 은퇴 후[편집]
코치 시절[편집]
2012년 당시 한화 이글스 감독이었던 김응용의 부름을 받아 2013년부터 한화 이글스의 주루코치로 활동했다. 2014년 한화 이글스가 김응용에게 재계약 불가 통보를 내려 사임했다. 2019년에 LG 트윈스의 2군 총괄 및 타격코치로 활동했다.
해설위원 시절[편집]
2014년 아시안 게임에서 KBS의 객원 해설을 맡았고, 2014년 11월 6일 MBC 스포츠플러스와 계약을 맺으며 정식 해설위원으로 발탁됐다.
트리비아[편집]
- 우투우타지만, 원래는 왼손잡이이다. 오른손용 글러브 밖에 없어 오른손으로 연습해 야구를 오른손으로 하게 됐다.[13]
- 1994년 같은 팀 선수였던 선동열, 가수 양수경과 함께 프로젝트 그룹 'Two & One'을 결성해 앨범을 냈다. 그는 MBC의 예능 프로그램인 《황금어장-무릎팍도사》에 출연해 당시 해태 구단 사정이 넉넉하지 못해 보너스를 주기 위해 이벤트성으로 감독님 몰래 제작했지만 의도와 달리 욕을 먹었다고 했다.[14]
여담[편집]
- 건국대학교 경영학과 시절과 일본에서의 생활만 제외하면 전부 광주광역시에서 일생을 보냈으나, 2012년 은퇴 후 딸의 교육 문제로 서울로 이주했다. 은퇴 선언 후 몇몇 학교들을 찾아 야구를 지도했다.
방송 출연[편집]
- 고정 출연
- 2016년~2017년 MBC 스포츠플러스 《베이스볼 투나잇》
- 2017년~2018년 MBC 스포츠플러스 《야구 중심》
- 게스트
- 1994년 MBC 《김한길과 사람들》
- 1997년 KBS2 《밤의 이야기쇼》
- 1998년 KBS2 《서세원쇼》 '이종범 편'
- 1999년 KBS2 《행복채널》 '이종범 편'
- 2001년 KBS2 《행복채널》 '이종범 부부 편'
- 2002년 KBS2 《파워 인터뷰》 '이종범 편'
- 2008년 MBC 드라마넷 《식신원정대》 '광주광역시 특집' ※특별출연
- 2009년 MBC 《황금어장 - 무릎팍도사》 138회
- 2009년 KBS2 《출발 드림팀 시즌2》 '드림팀 vs 2009 한국시리즈 우승팀 기아 타이거즈 특집'
- 2011년 MBC 《세바퀴 》 '야구선수 특집'
- 2012년 KBS2 《해피선데이 - 1박 2일》 '6대 광역시 특집' ※특별출연
- 2012년 KBS2 《이야기쇼 두드림》 29회, 30회
- 2012년 MBC 《주얼리 하우스》 '이종범과 친구들 편' 1회
- 2012년 KBS2 《우리동네 예체능》 ‘2016 리우 올림픽 선전 기원 프로젝트 제 탁구 편’ 145회, 146회
- 2013년 KBS N 스포츠 《한국 프로야구 레전드》 '한국 프로야구 레전들 7인 - 이종범 편'
- 2014년 KBS2 《나는 남자다》 '나는 야구남녀다 편' 16회
- 2016년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날아라 병아리 51회
- 2017년 MBC Every 1 《비디오스타》 ‘MBC 스포츠플러스 x 비디오스타 콜라보레이션 특집’ 39회
- 2018년 tvN 《토크몬》 3회
- 2019년 MBC 《라디오스타》 ‘레츠氣(기)릿 특집’ 549회
- 2019년 JTBC 《랜선라이프》
- 2019년 JTBC 《뭉쳐야 찬다》 27회
- 2020년 EBS 《EBS 초대석》 한국 야구의 전설 - 이종범 편
- 2021년 KBS2 《축구야구말구》 12회
- 2021년 JTBC 《아는형님》 310회 with 이정후
광고 출연[편집]
- 1993년 해태HTB 기센비타 (음료)
- 2012년 ~ 2013년 (주)컴투스 프로야구 매니저 (스포츠 시뮬레이션 게임)
- 2016년 ~ 2017년 클라우드게이트 레전드야구존 (스크린 야구) with 양준혁
- 2018년 (주)엔씨소프트 프로야구 H2 (스포츠 시뮬레이션 게임)
- 2019년 유사나헬스사이언스코리아 (건강기능식품) with 이정후
- 2019년 화이텐 (기능성 스포츠용품) with 이정후
- 2020년 컴투스 프로야구 2020 with 이정후
출신 학교[편집]
주요 기록[편집]
- 한국시리즈 우승 4회 (1993, 1996, 1997, 2009)
주요 수상 기록 (각종 타이틀 외)[편집]
- 정규 시즌 MVP (1994, 역대 유일 유격수 MVP)
- 한국시리즈 MVP (1993, 1997)
- 미스터 올스타 (2003)
- 선발 올스타출전 13회
- 골든 글러브 6회
- 유격수 부문 4회- 1993, 1994, 1996, 1997
- 외야수 부문 2회- 2002, 2003
- 진한 바탕은 한국 프로 야구 최초 기록임
기록 | 날짜 | 소속 | 구장 | 상대팀 | 상대 투수 | 경기수 | 달성 당시 나이 | 기타 | 각주 |
---|---|---|---|---|---|---|---|---|---|
24연속 도루 성공 | 1994. 6. 1 | 해태 | 광주 | 롯데 | 종전 : 이호성 (23도루) | [15] | |||
최고령 20-20클럽 33세 28일 |
2003. 9. 12 | KIA | 부산 | 롯데 | 손민한 | 5회 2사 0-0 상황 1점 홈런 종전 : 이순철(해태, 31세 4개월 28일) |
|||
300도루 | 1997. 8. 24 | 해태 | 광주 | 현대 | 27세9일 | 역대 3번째 |
- 1993 (16홈런 73도루 0.280- 득점 1위, 도루 2위, 타격 8위, 안타 2위, 홈런 4위, 타점 12위)
- 단일 경기 최다 도루(6개, 1993)
- 1번 & 유격수
- 1994
- 단일 시즌 최다 안타 (196개, 1994)
- 100경기이상 시즌 최고 타율 (0.393, 1994)
- 단일 시즌 최다 도루 (84개, 1994, 참조- 홈런 19개 (4위), 득점 1위, 타점 5위)
- 1번 & 유격수
- 1995 (방위복무: 126경기중 절반 63경기출장)(16홈런 (9위) 32도루 (6위) 0.326)
- 1번 & 유격수
- 1996 20-20 클럽 (25홈런 76도루 타율 0.332- 득점 1위, 도루 1위, 타격 2위, 안타 2위, 홈런 3위, 타점 3위)
- 1번 & 유격수
- 1997 30-30 클럽 (30홈런 64도루 타율 0.324- 득점 1위, 도루 1위, 타격 5위, 안타 2위, 홈런 2위, 타점 8위)
- 프로야구 최초 3할-30홈런-30도루
- 1번 & 유격수
- 2003
- 단일 시즌 최다 2루타(43개)
- 2011
- 포스트시즌 최고령 출전 기록 (41세 1개월 27일)
- 역대 유일 유격수 OPS 1.0 돌파 2차례 달성 (1994, 1997)
- 1,000득점 (역대 4번째) (2009)
- 최소경기 200 도루, 300도루, 400도루, 500 도루 (1,439경기, 역대 2번째, 참조- 전준호(1,705경기)) (2009)
- 역대 1회 1번 타자 (선두타자) 홈런 1위 (44개)
- 투수를 제외한 전체 야수 포지션을 정규게임에서 소화[16]
통산 기록[편집]
연 도 |
소 속 |
나 이 |
출 장 |
타 석 |
타 수 |
득 점 |
안 타 |
2 루 타 |
3 루 타 |
홈 런 |
타 점 |
도 루 |
도 실 |
볼 넷 |
삼 진 |
타 율 |
출 루 율 |
장 타 율 |
O P S |
루 타 |
병 살 타 |
몸 맞 |
희 타 |
희 플 |
고 4 |
---|---|---|---|---|---|---|---|---|---|---|---|---|---|---|---|---|---|---|---|---|---|---|---|---|---|
1993 | 해태 | 23 | 126 | 525 | 475 | 85 | 133 | 16 | 4 | 16 | 53 | 73 | 19 | 32 | 35 | .280 | .331 | .432 | .762 | 205 | 11 | 6 | 8 | 4 | 2 |
1994 | 24 | 124 | 561 | 499 | 113 | 196 | 27 | 5 | 19 | 77 | 84 | 15 | 51 | 31 | .393 | .452 | .581 | 1.033 | 290 | 2 | 6 | 1 | 4 | 14 | |
1995 | 25 | 63 | 272 | 239 | 51 | 78 | 10 | 2 | 16 | 35 | 32 | 3 | 28 | 20 | .326 | .397 | .586 | .983 | 140 | 5 | 2 | 0 | 3 | 4 | |
1996 | 26 | 113 | 525 | 449 | 94 | 149 | 28 | 1 | 25 | 76 | 57 | 12 | 67 | 39 | .332 | .425 | .566 | .991 | 254 | 4 | 7 | 0 | 2 | 15 | |
1997 | 27 | 125 | 577 | 484 | 112 | 157 | 28 | 3 | 30 | 74 | 64 | 15 | 87 | 49 | .324 | .428 | .581 | 1.009 | 281 | 9 | 3 | 0 | 3 | 30 | |
1998 | 주니치 | 28 | 67 | 290 | 244 | 38 | 69 | 11 | 3 | 10 | 29 | 18 | 8 | 36 | 33 | .283 | .387 | .475 | .862 | 116 | 4 | 6 | 3 | 1 | 2 |
1999 | 29 | 123 | 484 | 424 | 76 | 101 | 20 | 5 | 9 | 33 | 18 | 7 | 38 | 62 | .238 | .310 | .373 | .683 | 158 | 6 | 7 | 13 | 2 | 1 | |
2000 | 30 | 113 | 465 | 414 | 58 | 114 | 26 | 2 | 8 | 37 | 11 | 8 | 28 | 70 | .275 | .332 | .406 | .738 | 168 | 6 | 8 | 13 | 2 | 0 | |
2001 | 31 | 8 | 13 | 13 | 2 | 2 | 1 | 0 | 0 | 0 | 0 | 0 | 0 | 4 | .154 | .154 | .231 | .385 | 3 | 0 | 0 | 0 | 0 | 0 | |
2001 | KIA | 31 | 45 | 214 | 188 | 45 | 64 | 14 | 1 | 11 | 37 | 7 | 5 | 20 | 16 | .340 | .401 | .601 | 1.002 | 113 | 5 | 1 | 2 | 3 | 0 |
2002 | 32 | 123 | 546 | 485 | 93 | 142 | 25 | 2 | 18 | 59 | 35 | 5 | 43 | 63 | .293 | .365 | .464 | .829 | 225 | 7 | 13 | 4 | 1 | 5 | |
2003 | 33 | 132 | 595 | 524 | 110 | 165 | 43 | 1 | 20 | 61 | 50 | 10 | 59 | 58 | .315 | .389 | .515 | .904 | 270 | 8 | 7 | 1 | 4 | 5 | |
2004 | 34 | 133 | 577 | 493 | 100 | 128 | 29 | 0 | 17 | 52 | 42 | 7 | 53 | 50 | .260 | .350 | .422 | .772 | 208 | 9 | 17 | 12 | 2 | 1 | |
2005 | 35 | 118 | 495 | 430 | 69 | 132 | 25 | 2 | 6 | 36 | 28 | 5 | 47 | 49 | .312 | .393 | .421 | .814 | 181 | 8 | 11 | 7 | 0 | 2 | |
2006 | 36 | 93 | 379 | 339 | 41 | 82 | 18 | 1 | 1 | 21 | 10 | 7 | 24 | 43 | .242 | .302 | .310 | .611 | 105 | 3 | 5 | 11 | 0 | 2 | |
2007 | 37 | 84 | 282 | 253 | 23 | 44 | 6 | 0 | 1 | 18 | 3 | 2 | 13 | 25 | .174 | .217 | .209 | .426 | 53 | 6 | 2 | 10 | 4 | 0 | |
2008 | 38 | 110 | 362 | 317 | 38 | 90 | 19 | 4 | 1 | 38 | 9 | 3 | 32 | 26 | .284 | .348 | .379 | .727 | 120 | 11 | 1 | 9 | 3 | 0 | |
2009 | 39 | 123 | 449 | 385 | 63 | 105 | 21 | 1 | 6 | 40 | 11 | 1 | 41 | 50 | .273 | .346 | .379 | .725 | 146 | 9 | 5 | 12 | 6 | 1 | |
2010 | 40 | 97 | 289 | 265 | 36 | 65 | 16 | 1 | 4 | 29 | 2 | 2 | 15 | 33 | .245 | .293 | .358 | .652 | 95 | 5 | 3 | 6 | 0 | 0 | |
2011 | 41 | 97 | 273 | 235 | 27 | 65 | 15 | 1 | 3 | 24 | 3 | 2 | 22 | 35 | .277 | .337 | .387 | .724 | 91 | 6 | 1 | 12 | 3 | 1 | |
KBO 통산 : 18년 | 1706 | 6921 | 6060 | 1100 | 1797 | 340 | 29 | 194 | 730 | 510 | 113 | 634 | 622 | .297 | .369 | .458 | .828 | 2777 | 108 | 90 | 95 | 42 | 82 | ||
NPB 통산 : 4년 | 311 | 1252 | 1095 | 174 | 286 | 58 | 10 | 27 | 99 | 47 | 23 | 102 | 169 | .261 | .334 | .406 | .731 | 445 | 16 | 21 | 29 | 5 | 3 |
- 시즌 기록 중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빨간 글씨는 한국 프로야구 역사상 최고 기록
각주[편집]
- ↑ 장현구 (2009년 6월 3일). “<프로야구> 이종범, 되살아난 해결사 본능”. 연합뉴스. 2017년 12월 2일에 확인함.
- ↑ 손찬익 (2009년 10월 17일). “[KS]'베테랑' 이종범의 활약이 값진 이유”. OSEN. 2017년 12월 2일에 확인함.
- ↑ 박승현 (2006년 3월 16일). “이종범, 일본 야구에 한풀이”. OSEN. 2017년 12월 2일에 확인함.
- ↑ <프로야구> 이종범 '아들이 좌타자 한 풀어줘'《연합뉴스》 2009년 10월 17일 15:05
- ↑ “피는 못속여. 이종범-이정후 KBO리그 최초 부자 1차지명”. 2017년 3월 30일에 확인함.
- ↑ 고유라 (2016년 6월 27일). “'넥센 지명' 이정후, "아버지보다 뛰어난 선수 되겠다"”. OSEN. 2017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김종건 전문기자 (2012년 8월 23일). “김종건의 아날로그 베이스볼] 차동철, SF볼의 마술사 “야구인생도 SF””. 스포츠동아. 2022년 5월 8일에 확인함.
- ↑ 김상수 (2001년 7월 26일). “[인물 포커스] 3년여만에 국내 복귀 이종범 선수”. 동아일보. 2009년 11월 26일에 확인함.
- ↑ 김성원 (2001년 6월 13일). “마침내 온다, 바람의 아들”. 한겨레21. 2007년 7월 25일에 확인함.
- ↑ 정철우 (2009년 6월 5일). “'아버지의 이름으로'이뤄낸 이종범의 500도루”. 이데일리. 2009년 6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6월 6일에 확인함.
- ↑ 허상욱 (2009년 6월 5일). “개인통산 500도루-1천득점 기록한 KIA 이종범”. 뉴시스. 2009년 6월 6일에 확인함.
- ↑ 김은진 (2009년 6월 5일). “이종범‘역사를 훔치고 달렸다’”. 스포츠칸. 2009년 6월 6일에 확인함.
- ↑ 강명석 (2012년 4월 13일). “[(이종범) 10아시아] <3> (이종범) 10아시아”. 10아시아. 2014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6월 2일에 확인함.
- ↑ 김진 (2009년 11월 26일). “'특급 쌕쌕이' 이종범, 과자-앨범 제작 에피소드 공개!”. 아츠뉴스. 2009년 11월 28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홈런 경쟁 - 이종범은 24연속 도루 신기록 겹경사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동아일보》 1994. 6. 2
- ↑ 당시 포수로 출전해 발이 빠른 김재걸을 잡아내기도 했다.
외부 링크[편집]
- 1970년 출생
- 살아있는 사람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 광주광역시 출신
- KBO 리그 내야수
- KBO 리그 유격수
- KBO 리그 3루수
- KBO 리그 1루수
- KBO 리그 2루수
- KBO 리그 외야수
- KBO 리그 좌익수
- KBO 리그 우익수
- KBO 리그 중견수
- KBO 리그 유틸리티 플레이어
- 해태 타이거즈 선수
- KIA 타이거즈 선수
- 일본 프로 야구 외국인 선수
- 일본 프로 야구 내야수
- 일본 프로 야구 유격수
- 주니치 드래건스 선수
- 한국 프로 야구 20-20 클럽
- 한국 프로 야구 30-30 클럽
- KBO 타율상 수상자
- KBO 도루상 수상자
- KBO 출루율상 수상자
- KBO MVP 수상자
- KBO 골든글러브 수상자
- 한국시리즈 MVP 수상자
- KBO 안타상 수상자
- KBO 득점상 수상자
- KBO 리그 영구 결번
- 한국 프로 야구 500도루 클럽
- 한국 프로 야구 1500안타 클럽
- 한국 프로 야구 1000득점 클럽
- 한국 프로 야구 2000루타 클럽
- 한국 프로 야구 150홈런 클럽
- 대한민국 출신 일본 프로 야구 선수
- 1990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2002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2002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아시안 게임 야구 메달리스트
- 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
- 2003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참가 선수
-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
- 대한민국의 야구 해설가
- 광주서림초등학교 동문
- 광주충장중학교 동문
- 광주제일고등학교 동문
- 건국대학교 동문
- 함평 이씨
- 대한민국의 불교도
- 20세기 대한민국 사람
- 21세기 대한민국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