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석환
| ||||
기본 정보 | ||||
---|---|---|---|---|
국적 | 대한민국 | |||
생년월일 | 1991년 7월 15일 | (29세)|||
출신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
신장 | 185 cm | |||
체중 | 90 kg | |||
선수 정보 |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
수비 위치 | 1루수, 3루수 | |||
프로 입단 연도 | 2014년 | |||
드래프트 순위 | 2014년 2차 3라운드(LG 트윈스) | |||
첫 출장 | KBO / 2015년 3월 28일 광주 대 KIA전 대타 | |||
계약금 | 9,000만원 | |||
연봉 | 2억 1,000만원 (2020년) | |||
경력 | ||||
| ||||
양석환(梁碩桓[1], 1991년 7월 15일 ~ )은 KBO 리그 LG 트윈스의 내야수이다.
아마추어 시절[편집]
동국대학교 시절 주장으로 활동했고, 팀을 우승으로 이끌며 MVP를 차지했다.
LG 트윈스 시절[편집]
2014년에 입단하였다.
2014 시즌[편집]
간간히 백업 선수로 출장했다.
2015 시즌[편집]
125경기에 출전해 93안타, 8홈런을 기록했다.
2016 시즌[편집]
주로 1루수, 3루수 백업으로 출장했다.
2017 시즌[편집]
2017 시즌에는 정성훈이 감기 몸살로 결장한 틈을 타 주전으로 출장하며 타격과 수비가 많이 향상됐다. 게다가 당시 외국인 타자였던 히메네스의 부진 및 부상으로 인해 2군으로 내려가자 4번 타자를 맡았다. 초반에는 활약이 미미했지만, 이후에 타격감을 끌어올리며 데뷔 첫 세 자릿수 안타, 두 자릿수 홈런을 기록했다. 그러나 8월에 극심한 부진으로 인해 1군에서 말소됐다.
2018 시즌[편집]
팀의 주전 3루수를 맡았고, 데뷔 첫 20홈런을 기록했다. 시즌 2할대 타율, 127안타, 22홈런, 82타점, 53득점을 기록했다.
상무 야구단 시절[편집]
2019년에 입단하였다. 팀의 중심 타자로 맹활약하며 홈런과 타점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LG 트윈스 복귀[편집]
2020 시즌[편집]
8월 27일에 제대하였다.
등장곡 & 응원가[편집]
출신 학교[편집]
통산 기록[편집]
연도 | 팀명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
2015 | LG | 0.260 | 125 | 358 | 36 | 93 | 22 | 1 | 8 | 141 | 48 | 6 | 6 | 18 | 0 | 75 | 6 | 10 |
2016 | 0.276 | 80 | 203 | 24 | 56 | 10 | 1 | 6 | 86 | 37 | 3 | 0 | 6 | 1 | 48 | 1 | 5 | |
2017 | 0.263 | 132 | 445 | 62 | 117 | 27 | 3 | 14 | 192 | 83 | 3 | 7 | 38 | 6 | 93 | 13 | 8 | |
2018 | 0.263 | 140 | 483 | 53 | 127 | 27 | 0 | 22 | 220 | 82 | 2 | 2 | 24 | 6 | 81 | 9 | 14 | |
2020 | 0.246 | 40 | 118 | 8 | 29 | 5 | 0 | 3 | 43 | 13 | 0 | 0 | 10 | 2 | 25 | 1 | 4 | |
통산 | 5시즌 | 0.263 | 517 | 1607 | 183 | 422 | 91 | 5 | 53 | 682 | 263 | 14 | 15 | 96 | 15 | 322 | 30 | 41 |
각주[편집]
- ↑ 한국야구위원회, 2015 가이드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