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형배
문형배
| |
---|---|
![]() | |
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 재판관 | |
임기 | 2019년 4월 19일~2025년 4월 18일 |
임명 | 문재인 대통령 |
이름 | |
로마자 표기 | Moon Hyungbae |
신상정보 | |
출생일 | 1965년 2월 2일 | (60세)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남도 하동군 |
학력 | 서울대학교 법학사 |
경력 | |
본관 | 강성 |
문형배(文炯培, 1965년 2월 2일~)는 대한민국의 전 헌법재판관(2019. 4.~2025. 4.)이자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2024.10.18~2025.4.18)이다.
생애
1965년 경상남도 하동군에서 태어났다. 대아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법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이던 1986년 제28회 사법시험에 합격해 사법연수원 18기를 수료했다.
1992년 부산지방법원 판사에 임용되어 1995년 3월 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 1998년 2월 부산고등법원, 2001년 2월 부산지방법원에서 판사를 거쳐 2004년 2월 부장판사로 승진하여 창원지방법원, 2007년 2월 부산지방법원, 2012년 2월 부산고등법원, 2014년 4월 부산고등법원 창원재판부에서 재판장을 역임하였다. 법원 노동법 커뮤니티에 가입해 활동했으며 2008년 11월에 진보성향의 법관 모임인 우리법연구회 회장에 선출되었다.
2011년 2월에 지역사회에서 강연하거나 자원봉사단체를 결성해 봉사활동을 했던 창원지방법원 진주지원장을 하면서 법원행정 경험이 있는 문형배는 "부산고등법원에서 재판장으로 재직하며 산업재해의 인정 범위를 넓히고 부당해고 확정판결로 인한 복직을 회피하기 위해 회사를 해산하고 사업을 관계회사에 이전한 사안에서 법인격 남용을 인정했으며 정리해고 요건인 경영상의 필요를 엄격히 해석해 근로자의 권익을 보호하면서도 사용자와 근로자의 균형잡힌 판결을 하고 있다"고 평가한 대법원에 의해 2016년 2월에 법원장으로 승진되어 부산가정법원에서 법원장을 하였으며 2년동안 재직한 이후인 2018년 2월부터 부산고등법원에서 부장판사를 하였다.[1]
2005년 8월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기소된 김정부의원이 재판에 출석하지 않고 버티자 문형배는 선고에 앞서 "고대 그리스 시절 철학자 소크라테스가 반민주주의자 등 이유로 감옥에 잡혀 있을 때 친구 크리톤의 권유에도 탈옥하지 않았다"며 "소크라테스 자신이 죄가 없으니 죽어 지옥에 가서라도 무죄를 입증하겠다는 결의한 의지도 내포하고 있다"고 하면서 "피고인이 자신이 죄가 없다고 생각한다면 당연히 재판에 출석해 결백함을 입증해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2]
2006년 7월 12일에는 자신의 처지를 비관해 집에 불을 지르려 한 혐의로 기소된 황모(33)씨에게 현주건조물 방화미수죄를 적용해 징역 10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하면서 중국 작가 탄줘잉의 에세이집인 '살아있는 동안 꼭 해야 할 49가지'이라는 책을 줬다.[3]
2007년 2월 7일에는 자살하기 위해 여관방에 불을 질렀다가 체포된 피고인에게 "자살, 자살, 자살을 열 번만 연이어 붙여서 외쳐보라"고 시키고선 곧 이어 "피고가 외친 자살이 우리에겐 살자로 들린다"며 "30대 초반의 젊은 나이에 죽으려고 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하면서 "자살이 살자가 되는 것처럼, 때로는 죽으려고 하는 이유가 살아가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고 했다.[4]
2010년에는 주요 시국 사건에 대한 무죄 판결로 진보성향 판사 모임인 우리법연구회에 대해 보수 진영의 공격을 받으면서 한 판사가 "잘못하면 법관들이 사사로이 모여 세력화할 염려가 있다는 우려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며 "대법원이 우리법연구회의 목적과 활동을 조사해 염려의 소지가 있다면 해체를 권해야 한다"고 하자 우리법연구회 회장을 지낸 문형배는 "우리법연구회는 법원 내부통신망인 코트넷에 학술단체로 등록돼 있다. 올해 회원 명단이 첨부된 논문집 6집이 발간되면 학술연구단체의 성격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라며 반박했다.[5]
2019년 3월 20일 문재인 대통령에 의해 조용호 재판관의 후임으로 임기 6년의 헌법재판소 재판관 후보자가 되었고, 4월 19일 문재인 대통령이 임명을 재가했다.
학력
판결
|
|
|
2024헌나8 - 대통령(윤석열) 탄핵 - 인용 (인용8:기각0:각하0)
|
각주
- ↑ “대법원, 부산가정법원장에 문형배…재야 변호사 호평 받아”. 2016년 2월 3일. 2025년 4월 4일에 확인함.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1066102?sid=102. 2025년 4월 4일에 확인함.
|제목=
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1356931?sid=104. 2025년 4월 4일에 확인함.
|제목=
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 “재판장의 아주 특별한 주문 "자살 열번 외치시오!"”. 2007년 2월 8일. 2025년 4월 4일에 확인함.
- ↑ “법원 “뒷짐 지고 있을순 없다”… 검찰 “전국 검사 하나 되자””. 2010년 1월 22일. 2025년 4월 4일에 확인함.
- ↑ [1]
- ↑ [2]
- ↑ 소크라테스와 궐석재판
- ↑ “황철곤 마산시장 수뢰혐의 무죄선고”. 2025년 4월 4일에 확인함.
- ↑ “김종규 창녕군수 법정구속”. 2025년 4월 4일에 확인함.
- ↑ “수뢰혐의 마산시의원 징역 5년·추징금 7천만원”. 2025년 4월 4일에 확인함.
- ↑ “쟁의 찬반투표 공무원노조 위원장 집유”. 2025년 4월 4일에 확인함.
- ↑ “[뉴스클릭] 75억 횡령 피고인 징역 4년”. 2025년 4월 4일에 확인함.
- ↑ “음주사고 운전자에 "후유장애인 위해 봉사"”. 2025년 4월 4일에 확인함.
- ↑ [3]
- ↑ 수정: 2010-12-10 15:42:32, 입력: 2010-12-10 11:03:00. “'낙동강살리기' 취소 소송 '위법성 없다' 패소 판결”. 2025년 4월 4일에 확인함.
- ↑ [4][깨진 링크([5] 과거 내용 찾기])]
전임 조용호 |
헌법재판소 재판관 2019년 4월 19일~2025년 4월 18일 |
전임 이종석 |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2024년 10월 18일~2025년 4월 18일 |
후임 김형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