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봉시외버스터미널
상봉시외버스터미널 | |
---|---|
![]() 상봉터미널 모습 | |
공식명칭 | 상봉터미널 |
종류 | 터미널 |
국가 | ![]() |
주소 | 서울특별시 중랑구 상봉로 117 (상봉2동 83-1) |
개장 | 1985년 9월 2일 |
운영기관 | (주)신아주 |
터미널코드 | 040 |
행선지표기 | 상봉 |
고속버스 운행 | 운행 |
시외버스 운행 | 운행 |
시내버스 운행 | 미운행 |
웹사이트 | http://www.sbtr.co.kr |
상봉시외버스터미널 (上鳳市外-)은 서울특별시 중랑구 상봉로 117(상봉2동 83-1)에 위치한 종합 버스 터미널이다. 이 터미널은 동서울종합터미널과 마찬가지로 시외버스와 고속버스 겸용 버스 터미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울특별시 강북 지역의 중심 터미널 가운데 하나다. 고속버스 전산망상의 터미널 번호는 040이다. 신아주(주)에서 터미널을 운영한다.
역사[편집]
1970년대 서울특별시가 확장되면서 동대문구에 있던 동마장시외버스터미널의 이전 요구가 생기게 되어 1981년 동마장터미널의 기능을 동서울종합터미널과 상봉터미널 2곳으로 분할하는 계획이 확정되어[1] 1985년 9월 2일에 영업을 개시했다.[2] 본래 시외버스만 운행하는 버스터미널로 운영했으나 1993년 12월부터 고속버스도 운행하기 시작했다.[3] 그러나 이용객의 감소로 인해 운영 회사인 신아주(주)는 지속적으로 사업 면허 폐지를 요구해 왔으며, 서울특별시에서 이를 받아들이지 않자 소송을 진행하였다. 2008년 대법원은 서울특별시가 상봉터미널의 사업 면허 폐지 요구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판결하였다.[4] 그러나 상봉터미널은 폐쇄되지 않고 현재도 계속 영업 중이다.
위치[편집]
상봉터미널의 소재지는 상봉2동이다.
운행 노선[편집]
고속버스[편집]
상봉시외버스터미널로 운행하는 고속버스는 1993년 12월에 개설된 노선이며, 당시에는 대전, 청주, 대구, 부산, 광주, 진주 등 중부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는 노선이 운행했다.
운행 노선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시간표 | ||
---|---|---|---|---|---|---|---|
상봉 ↔ 광주 | 금호고속 중앙고속 |
상봉 | ↔ | 광주 | 정안알밤휴게소, 비아[5] | 5회 | 06:40, 09:00, 12:30, 15:30, 18:00 |
상봉 ↔ 대전 | 금호고속 중앙고속 한일고속 |
상봉 | ↔ | 대전 | 무정차 | 7회 | 06:30, 09:00, 10:30, 13:30, 15:20, 16:50, 20:00 |
상봉 ↔ 전주 | 금호고속 중앙고속 |
상봉 | ↔ | 전주 | 정안알밤휴게소, 호남제일문 | 3회 | 08:10, 14:00, 18:50 |
상봉 ↔ 청주 | 중앙고속 | 상봉 | ↔ | 청주 | 롯데마트 서청주점[5] | 2회 | 09:10, 15:10 |
시외버스[편집]
과거에는 속초, 홍천, 원통, 가평 등지로 가는 노선이 많았으며, 적자로 2018년 5월에 모두 폐선되어 원주 노선만 남았다.
운행 노선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시간표 | ||
---|---|---|---|---|---|---|---|
상봉 ↔ 원주 [6][7]
|
금강고속 | 상봉 | ↔ | 원주 | 구리, 문막 | 60분 | 첫차:07:00(상봉 기준) 막차:20:00(상봉 기준) |
외부 링크[편집]
각주[편집]
- ↑ “忘憂洞에 市外버스터미널 新設”. 경향신문. 1981년 8월 8일.
- ↑ “상봉시외버스터미널 문열어”. 동아일보. 1985년 9월 2일.
- ↑ 상봉터미널 高速(고속)버스 들어온다, 경향신문, 1993년 10월 26일 작성.
- ↑ “서울 상봉터미널, 사라지나...”. YTN. 2008년 2월 20일.
- ↑ 가 나 하차만 가능하다.
- ↑ 사단법인 한국여행작가협회 (2009). 《대한민국 걷기 좋은 길 111》. ㈜위즈덤하우스. ISBN 9788992879057.
- ↑ 대학생 할인이 가능한 노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