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시외버스터미널
동해시외버스터미널 | |
---|---|
![]() | |
공식명칭 | 동해공영버스터미널 |
종류 | 터미널 |
국가 | ![]() |
주소 | 강원도 동해시 동해대로 5443 (평릉동) |
개장 | 1986년 |
이전 | 2013년 7월 1일 (재개장) |
폐지 | 2008년 11월 8일 (구터미널) |
운영기관 | 동해시시설관리공단 |
행선지표기 | 동해 |
고속버스 운행 | 운행 |
시외버스 운행 | 운행 |
시내버스 운행 | 미운행 |
동해시외버스터미널은 강원도 동해시 평릉동에 있는 대한민국의 시외버스 터미널로, 동해시 시설관리공단에서 위탁 운영하고 있다. 동해공영버스터미널이라고 하기도 한다.
역사[편집]
1986년에 시외버스 터미널이 최초로 건립되었다. 당시 터미널 규모는 지상 3층 연면적 2,606m2 규모였다. 그러다가 2008년 11월 8일에 운영업체가 경영 악화를 이유로 갑자기 폐쇄를 단행해 천곡동 동해시종합운동장으로 임시 이전했다가[1] 동부고속에서 부곡동 동해고속버스터미널과 통합하여 동해종합버스터미널이라는 이름으로 운영되었다.
시외버스터미널 기능이 고속버스터미널로 통합되면서 터미널 건물은 시가지의 흉물로 방치되다가 2012년 1월에 동해시청에서 시외버스터미널 부지를 매입하였으며, 시영 터미널로 전환하기로 했다. 약 15억 원을 들여 2013년 7월 1일 대합실, 매표소, 매점, 커피점, 공중전화기, 공동망 ATM 등 편의시설과 함께 138면의 공영 주차장, 택시 승강장 정비, 주민편의 쉼터 시설 등을 갖춘 공영 버스 터미널로 재탄생했다.[2][3]
하지만 시외터미널과 고속터미널이 서로 다른 위치에 있어서, 동서울 노선 이용객들의 민원이 잇따랐다. 이에 동해시청이 동부고속과 합의하여 2018년 12월 26일부터 동해고속버스터미널을 폐쇄한 후, 고속버스도 평릉동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2020년 1월 21일부터 수원 - 삼척 노선이 동해 중간 승하차 인가를 받아 동해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운행 노선[편집]
고속버스[편집]
운행 노선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시간표 | ||
---|---|---|---|---|---|---|---|
동해 ↔ 서울경부 | 동부고속 | 동해 | ↔ | 서울경부 | 횡성휴게소 | 30~40 | 첫차:06:30(동해 기준) 막차:24:00(동해 기준) |
동해 ↔ 동서울 | 동부고속 | 동해 | ↔ | 동서울 | 횡성휴게소 | 8회 | 06:25, 09:15, 10:25, 11:50, 14:25, 15:25, 16:55, 20:05 |
동해 ↔ 수원[4] | 동부고속 동양고속 |
동해 | ↔ | 수원 | 횡성휴게소, 신갈, 영통입구 | 5회 | 07:25, 10:25, 13:35, 16:25, 19:35 |
시외버스[편집]
방면 | 행선지 |
---|---|
수도권 방면 | 고양(백석), 김포공항[5], 동서울, 상봉[6], 양평[6], 인천국제공항[5] |
강원권 방면 | 간성, 강릉, 근덕, 낙산, 도계, 미로, 삼척, 속초, 신기, 양양, 원주, 임원, 장호, 춘천, 태백, 통리, 호산 |
충청권 방면 | 대전 |
영남권 방면 | 강구, 경주, 구산, 기성, 나루끝, 도곡, 동대구, 마산[7], 매화, 방어진, 병곡, 부구, 부산, 사동, 송라, 영덕, 영해, 울산, 울진, 월송, 장사, 죽변, 청하, 평해, 포항, 후포(삼율) |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 동해시외/고속버스터미널 시간표
- 코버스 홈페이지 (동해발 고속버스 노선 예매)
각주[편집]
- ↑ 동해시청 공지사항 - 동해시 시외버스 터미널 이전 안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08년 11월 8일 작성.
- ↑ [동해]시외·고속버스터미널 5년 만에 정상화, 강원일보, 2013년 6월 25일 작성.
- ↑ 동해시청 보도/해명자료 - 동해시 공영버스터미널 새롭게 단장 운영개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3년 6월 24일 작성.
- ↑ 2018년 7월 20일 삼척행 노선으로 신설. 2020년 1월 21일부터 시외버스로 전환과 동시에 동해를 경유한다.
- ↑ 가 나 하루 1회 운행한다.(07:10)
- ↑ 가 나 하루 1회 운행한다.(14:53)
- ↑ 2015년 5월 8일 신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