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한사북공영버스터미널
고한사북공영버스터미널 | |
---|---|
![]() 터미널 건물 모습 | |
공식명칭 | 고한·사북공영버스터미널 |
종류 | 터미널 |
국가 | ![]() |
주소 | 강원도 정선군 고한읍 지장천로 856 (고한리) |
이전 | 2005년 11월 1일 |
행선지표기 | 고한 또는 사북 (신고한) |
고속버스 운행 | 미운행 |
시외버스 운행 | 운행 |
시내버스 운행 | 운행 |
고한사북공영버스터미널은 강원도 정선군 고한읍 지장천로 856 (고한리 273-12)에 위치한 버스터미널이다.
개요[편집]
고한읍과 사북읍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어 지금과 같은 이름이 붙었다. 지금 터미널은 국도 제38호선 확장 공사로 인해 철거된 구 터미널 대신 지어진 것으로, 2004년 9월에 정선군에서 5,800m2의 부지에 총 35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착공[1] 하여 2005년 11월 1일에 개장한 것이다.[2] 터미널 건물이 새로 지어진 위치의 지명이 '고토일'이기 때문에 고토일터미널이라고 하기도 하며, 새로 지어진 터미널이라 하여 신고한터미널이라고 하기도 한다. 주로 강원랜드를 방문하는 이용객이 많다.
승차홈[편집]
모든 승차홈은 농어촌버스와 시외버스가 공유해서 사용하며, 하차장은 5번홈 옆에 위치한다.
출발홈 | 행선지 |
---|---|
1번홈 | 동서울, 고양시, 용인, 원주, 춘천 (영월, 제천 ) |
2번홈 | 수원, 안산, 의정부, 천안, 대구, 진천 (영월, 제천, 원주, 오창, 충주) |
3번홈 | 태백, 부산, 부천, 성남, 안양 (고한, 두문동, 만항, 울진, 포항, 영월) |
4번홈 | 정선, 청주, 대전, 광주 (사북, 도사곡, 고토일, 직전, 백전, 남면, 자미원, 광덕) |
5번홈 | 인천, 인천공항, 김포공항 (영월, 제천) |
운행 노선[편집]
고한사북시외버스터미널에서 운행되는 노선은 아래와 같다.[3]
시외버스[편집]
방면 | 행선지 |
---|---|
강원권 방면 | 남면, 석항, 신동, 영월, 원주, 증산, 춘천[4], 태백 |
수도권 방면 | 고양, 김포공항, 동서울[5], 부천, 성남, 수원, 안산, 안양, 용인, 의정부, 인천, 인천국제공항, 서울남부 |
충청권 방면 | 대전[4], 제천, 천안, 청주 |
영남권 방면 | 부산, 북대구, 울진, 포항 |
호남권 방면 | 광주[4] |
농어촌버스[편집]
크게 고한 방면, 사북 방면으로 구분된다. 각 읍내로 가는 버스는 수시로 운행한다.
방면 | 행선지 |
---|---|
고한 방면 | 고토일, 고한, 만항 |
사북 방면 | 정선, 도사곡, 증산, 광덕, 남면, 자미원, 직전, 백전 |
태백 방면 | 태백 |
외부 링크[편집]
- 정선군 농어촌버스 시간표
- 고한터미널 시간표
- 버스타고 홈페이지 (고한사북발 시외버스 노선 예매)
각주[편집]
- ↑ [정선]고한·사북공영버스 터미널 착공, 강원일보, 2004년 9월 1일 작성.
- ↑ [정선]“폐광지 교통환경 개선 기대”, 강원일보, 2005년 9월 27일 작성.
- ↑ - 시외버스노선안내,2010년 12월 14일 확인
- ↑ 가 나 다 하루 1회 운행한다.
- ↑ 심야버스가 운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