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군의 농어촌버스
![]() 정선군에서 운영하는 공영버스 | |
관리 주체 | 정선군청 경제과 |
---|---|
차적지 | 강원도 정선군 |
운행 지역 | 강원도 강릉시, 삼척시, 태백시, 평창군 |
정선군의 농어촌버스는 강원도 정선군의 대중교통 수단 중심으로 운행하는 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수단으로 강원여객, 영암고속(화성고속)에서 운영한다.
운임[편집]
2018년 10월 26일 기준이다.[1]
정선군 지역을 운행하는 농어촌버스 중 강원여객에서 운행하는 노선은 일반버스, 영암고속 및 화성고속에서 운행하는 노선은 좌석버스로 분류된다.
종류 | 나이 | 카드 (원) | 현금 (원) | 종류 | 나이 | 카드 (원) | 현금 (원) |
---|---|---|---|---|---|---|---|
좌석[2] | 어른 (만 19세 이상) | 1,800 | 1,700 | 일반[3] | 어른 (만 19세 이상) | 1,400 | 1,300 |
청소년 (만 13세 ~ 18세) | 1,500 | 1,420 | 청소년 (만 13세 ~ 18세) | 1,100 | 1,020 | ||
어린이 (만 7세 ~ 12세) | 1,150 | 1,100 | 어린이 (만 7세 ~ 12세) | 700 | 650 |
- 8km까지 기본요금이며 이후 1km당 116.14원씩 추가된다.
- 2012년 11월 1일부터 교통카드를 이용해 버스를 승차할 수 있다.[4] 캐시비 계열 교통카드만 사용 가능하며, 그 밖에 KB국민카드, BC카드, 신한카드 등의 후불 교통카드도 사용할 수 있다. 티머니는 2016년 1월 30일 부터 사용 가능하다.[5]
- 상세 운임은 정선군 관광안내를 참고하면 된다.
- 하차 후 30분 이내에 1회에 한하여 무료환승이 가능하다. 단, 정선 ~ 고한 ~ 태백 구간을 운행하는 노선의 경우 태백시의 시내버스와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다.
운행 노선[편집]
농어촌버스[편집]
![]() | 이 문단은 아직 미완성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강원여객 운행 노선
노선번호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횟수 | 비고 | ||
---|---|---|---|---|---|---|
1 | 정선 | ↔ | 화암면사무소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보건소, (신월리), 덕우리, 석곡리, 화암동굴 | 왕복 1회 | 화암 방면 신도로 경유 정선 방면 구도로(신월리) 경유 |
2 | 정선 | ↔ | 풍촌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보건소, 덕우리, 석곡리, 화암동굴, 화암면사무소, 몰운대, 정선미술관 | 왕복 4회 | 신도로 경유 |
4 | 정선 | ↔ | 남면사거리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보건소, 덕우리, 낙동삼거리, 별어곡역 | 왕복 2회 | 신도로 경유 |
5 | 정선 | ↔ | 역둔 (삼척시)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보건소, 신월리, 덕우리, 석곡리, 화암동굴, 화암면사무소, 몰운대, 풍촌, 호명, 합수거리 | 왕복 2회 | 구도로 경유 |
6 | 정선 | ↔ | 한소 (삼척시)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보건소, 신월리, 덕우리, 석곡리, 화암동굴, 화암면사무소, 몰운대, 풍촌, 호명, 합수거리, 백전리 | 왕복 3회 | 구도로 경유 |
7 | 정선 | ↔ | 백전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보건소, 덕우리, 석곡리, 화암동굴, 화암면사무소, 몰운대, 풍촌, 호명, 합수거리 | 왕복 1회 | 신도로 경유 |
8 | 정선 | ↔ | 회동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정선읍사무소, 북실주공, 용탄리, 월평 | 왕복 7회 | 가리왕산자연휴양림까지 운행 |
9 | 정선 | ↔ | 가수리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정선읍사무소, 북실주공, 귤암리, 수미, 가탄 | 왕복 4회 | 신동읍 수동마을까지 운행 |
10 | 정선 | ↔ | 여량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봉양리, 나전, 북평, 장열리 | 왕복 2회 | |
11 | 정선 | ↔ | 여량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봉양리, (남평리 → 나전중학교), 나전, 북평, (안장열) | 왕복 1회 | 여량 방면 남평리 경유 정선 방면 안장열 경유 |
14 | 정선 | ↔ | 봉정리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봉양리, 남평리, 나전중학교, 나전, 북평, 장열리, 여량, 고양리, 여량, 새치 | 왕복 2회 | |
15 | 정선 | ↔ | 봉정리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봉양리, 남평리, 나전중학교, 나전, 북평, 향골계곡, 장열리, 여량, 고양리, 여량, 새치 | 왕복 1회 | |
16 | 정선 | ↔ | 망하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정선읍사무소, 북실주공, 군언 → 망하 → 송단 → 여곡 → 송단 → 상평 → 군언 (이하 역순) | 왕복 5회 | |
17 | 정선 | ↔ | 오반리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정선역, 오반동 | 왕복 2회 | 동절기 정선역에서 회차 |
18 | 정선 | ↔ | 생탄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세대뜰, 동곡 | 왕복 3회 | |
20 | 정선 | ↔ | 정선역 | (북실주공),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여성회관) | 왕복 2회 | 정선역 방면 북실주공 경유 정선 방면 여성회관 경유 |
(북실주공),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 왕복 1회 | 정선역 방면 북실주공 경유 | ||||
22 | 정선 | ↔ | 진부역 (평창군) |
(북실주공),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봉양리, 남평리, 나전중학교, 나전, 북평, 숙암리, 막동, 증평, 수항리, (마평, 청심대, 신기), 진부터미널 | 왕복 1회 | 진부 방면 북실주공 경유 정선 방면 신기리, 마평 미경유 2018년 1월 진부까지 연장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봉양리, 나전, 북평, 숙암리, 막동, 증평, 수항리, (마평, 청심대, 신기), 진부터미널 | 왕복 1회 | 진부 방면 남평리 미경유 정선 방면 신기리, 마평 미경유 2018년 1월 진부까지 연장 |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봉양리, 남평리, 나전, 북평, 숙암리, 막동, 증평, 수항리, 마평, 청심대, 신기, 진부터미널 | 왕복 1회 | 2018년 1월 진부까지 연장 |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봉양리, 남평리, 나전중학교, 나전, 북평, 숙암리, 막동, 증평, 수항리, (마평, 청심대, 신기), 진부터미널 | 왕복 1회 | 정선 방면 신기리, 마평 미경유 2018년 1월 진부까지 연장 | ||||
23 | 정선 | ↔ | 숙암리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봉양리, (남평리, 나전중학교), (향골계곡), 나전, 북평 | 왕복 1회 | 정선 방면 향골계곡, 남평리 경유 |
24 | 정선 | ↔ | 숙암리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봉양리, 남평리, 나전중학교, 나전, 북평 | 왕복 1회 | |
25 | 정선 | ↔ | 숙암리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봉양리, (남평리, 나전중학교, 나전, 북평) | 왕복 1회 | 정선 방면 북평, 나전 미경유 |
26 | 정선 | ↔ | 함백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보건소, 신월리, 덕우리, 낙동삼거리, 별어곡역, 남면사거리, 마차재, 가사리, 예미초등학교, 신동읍사무소, 예미역, 함백중고등학교 | 왕복 1회 | 구도로(신월리) 경유 |
27 | 정선 | ↔ | 함백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보건소, (신월리), 덕우리, 낙동삼거리, 별어곡역, 남면사거리, 마차재, 가사리, 예미초등학교, 신동읍사무소, 예미역, 함백중고등학교 | 왕복 1회 | 함백 방면 구도로(신월리) 경유 정선 방면 신도로 경유 |
28 | 정선 | ↔ | 함백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보건소, 덕우리, 낙동삼거리, 별어곡역, 남면사거리, 마차재, 가사리, 예미초등학교, 신동읍사무소, 예미역, 함백중고등학교 | 왕복 1회 | 신도로 경유 |
29 | 정선 | ↔ | 낙동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보건소, 덕우리, 낙동삼거리, 선평, 낙동 → 광탄 → 낙동 → 영곡마을 → 낙동 (이하 역순) | 왕복 1회 | 신도로 경유 |
30 | 정선 | ↔ | 송오리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봉양리, 덕송 | 왕복 3회 | 오전시간대 1회 40번으로 문곡까지 운행 |
31 | 정선 | ↔ | 낙동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보건소, 덕우리, 낙동삼거리, 선평, 낙동 → 영곡마을 → 낙동 → 광탄 → 낙동 (이하 역순) | 왕복 1회 | 신도로 경유 |
32 | 정선 | ↔ | 나전(북평)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봉양리, (남평리, 나전중학교) | 왕복 1회 | 북평 방면 남평리 경유 |
33 | 정선 | ↔ | 문곡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봉양리, 덕송 | 왕복 1회 | |
34 | 정선 | ↔ | 임계 | 정선읍사무소, 정선5일장, 봉양리, 나전, 북평, 장열리, 여량, 하늘공원, 송계리 | 왕복 2회 | 임계 방면 1회 안장열 경유 |
35 | 임계 | ↔ | 덕암 | 임계고등학교, 봉산리, 낙천리, 용산리, 문래리 | 왕복 3회 | |
37 | 임계 | ↔ | 고단 | 고단삼거리 | 왕복 2회 | |
38 | 임계 | ↔ | 도전 | 독토고지, 화성, 직원리 | 왕복 4회 | |
39 | 임계 | ↔ | 가목 | 독토고지, 화성, 직원리, 도전 | 왕복 3회 |
- 정선 ↔ 태백 구간을 운행하는 100번 노선을 제외하고 고한터미널을 기점으로 하여 운행한다.
- 정선군 대중교통정보 상에는 여러가지 노선 번호를 사용하나 실질적으로는 다음 번호만 사용하고 있다.
- 고한터미널 : 일부 지역에서 고한터미널로 회차할 때 사용
- 상갈래 : 고한터미널 ↔ 상갈래
- 50번 : 고한터미널 ↔ 남면
- 60번 : 고한터미널 ↔ 만항
- 80번, 80-1번 : 고한터미널 ↔ 증산
- 90번 : 고한터미널 ↔ 태백
- 100번 : 정선터미널 ↔ 남면 ↔ 증산 ↔ 고한터미널 ↔ 태백
- 고한 ~ 태백 구간을 운행하는 노선은 태백시 구간에서 태백 이마트, 태백운전면허시험장, 태백시외버스터미널에만 정차하며, 이 외 정류장은 무정차 통과한다.
- 굵은 글씨는 회차 지점이다.
방면 | 노선번호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횟수 | 비고 | ||||
---|---|---|---|---|---|---|---|---|---|
광덕 방면 |
10-1 | 고한터미널 | → | 광덕 | → | 고한터미널 |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멀미, 증산(민둥산역), 남면사거리, 별어곡역, 낙동삼거리, 선평, 낙동, 광덕, 낙동, 선평, 낙동삼거리, 별어곡역, 남면사거리, 증산(민둥산역), 멀미, 사북시장, 정선군립병원, 고한터미널,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역, 중갈래, 상갈래, 중갈래, 고한역, 하이원리조트입구 | 1회 | |
140 | 고토일 | → | 광덕 | → | 태백 | 고한종합운동장, 고한터미널, 정선군립병원, 사북중고등학교, 사북시장, 멀미, 증산(민둥산역), 남면사거리, 별어곡역, 낙동삼거리, 선평, 낙동, 광덕, 낙동, 선평, 낙동삼거리, 별어곡역, 남면사거리, 증산(민둥산역), 멀미, 사북시장, 정선군립병원, 고한터미널,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역, 중갈래, 상갈래, 두문동, 이마트, 태백운전면허시험장 | 1회 | ||
고토일 방면 |
110 (111) |
도사곡 | → | 고토일 | → | 고한터미널 | 사북시장, 정선군립병원, 고한터미널, 고한종합운동장, 고토일, 고한종합운동장 | 1회 | |
사북시장 | → | 고토일 | → | 고한터미널 | 정선군립병원, 고한터미널, 고한종합운동장, 고토일, 고한종합운동장 | 1회 | |||
만항 방면 |
20-1 | 고한터미널 | → | 자미원 | → | 만항 |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역, 중갈래, 상갈래, 중갈래, 고한역,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터미널,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멀미, 증산(민둥산역), 남면사거리, 자미원, 남면사거리, 증산(민둥산역), 멀미, 사북시장, 정선군립병원, 고한터미널,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역, 중갈래, 상갈래, 못골 | 1회 | 고한터미널에서 만항까지 연계 운행 |
60 (60-1) (90-3) |
고한터미널 | → | 만항 | → | 고한터미널 |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역, 중갈래, 상갈래, 못골, 만항, 못골, 상갈래, 중갈래, 고한역, 하이원리조트입구 | 3회 | 두번째 운행차량은 자미원 노선에서 연계 1회 고한터미널 방면 운행시 고한사북보건지소 경유 | |
고한터미널 | → | 만항 | → | 증산 (민둥산역) |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역, 중갈래, 상갈래, 못골, 만항, 못골, 상갈래, 중갈래, 고한역,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사북보건지소, 고한터미널,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멀미 | 1회 | 증산 방면 운행시 고한사북보건지소 경유 | ||
백전 방면 |
120 | 고한터미널 | → | 백전 | → | 상갈래 |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사북역, 사북시장, 사북중고등학교, 산수빌, 영동아파트, 범바위, 백전(합수거리), 범바위, 영동아파트, 사북중고등학교, 사북시장, 도사곡아파트, 사북시장, 정선군립병원, 고한터미널,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역, 중갈래 | 1회 | 상갈래 운행종료 후 71번으로 운행 |
40 (40-1) (40-2) |
고한터미널 | → | 백전 | → | 고한터미널 |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사북역, 사북시장, 사북중고등학교, 산수빌, 영동아파트, 범바위, 백전(합수거리), 범바위, 영동아파트, 사북중고등학교, 정선군립병원 | 1회 | ||
상갈래 | → | 백전 | → | 고한터미널 | 중갈래, 고한역,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터미널,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사북역, 사북시장, 사북중고등학교, 산수빌, 영동아파트, 범바위, 백전(합수거리), 범바위, 영동아파트, 사북중고등학교, 정선군립병원 | 2회 | |||
호명 방면 |
130 | 고한터미널 | → | 호명 | → | 증산 (민둥산역) |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직전리, 피네, 호명, 피네, 직전리, 도사곡아파트, 사북시장, 사북중고등학교, 사북시장, 멀미 | 1회 | 증산에서 회차 후 상갈래까지 운행 |
31-1 | 고한터미널 | → | 호명 | → | 고한터미널 |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직전리, 피네, 호명, 피네, 직전리, 도사곡아파트, 사북시장, 정선군립병원 | 1회 | ||
30-2 | 고한터미널 | → | 호명 | → | 상갈래 |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직전리, 피네, 호명, 피네, 직전리, 도사곡아파트, 사북시장, 정선군립병원, 고한터미널,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역, 중갈래 | 1회 | 상갈래에서 회차 후 고한터미널까지 운행[6] |
노선번호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횟수 | 비고 | ||
---|---|---|---|---|---|---|
90 | 태백 | → | 고한터미널 | 태백운전면허시험장, 이마트, 두문동, 상갈래, 중갈래, 고한역, 하이원리조트입구 | 편도 4회 | |
90-1 | 고한터미널 | → | 태백 |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역, 중갈래, 상갈래, 두문동, 이마트, 태백운전면허시험장 | 편도 3회 | |
90-2 | 태백 | → | 고한터미널 | 태백운전면허시험장, 이마트, 두문동, 상갈래, 중갈래, 고한역,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사북보건지소 | 편도 1회 | 고한사북보건지소 경유 |
100 | 태백 | → | 정선 | 태백운전면허시험장, 이마트, 두문동, 상갈래, 중갈래, 고한역,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터미널,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도사곡, 멀미, 증산(민둥산역), 남면(별어곡역), 낙동삼거리, 덕우리, 보건소, 정선5일장 | 편도 1회 | 정선읍내 경유 |
100-1 | 정선 | → | 태백 | 덕우리, 낙동삼거리, 남면(별어곡역), 증산(민둥산역), 멀미, 도사곡, 사북시장, 고한터미널,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역, 중갈래, 상갈래, 두문동, 이마트, 태백운전면허시험장 | 편도 6회 | 정선읍내 미경유 |
100-2 | 정선 | → | 태백 | 덕우리, 낙동삼거리, 남면(별어곡역), 증산(민둥산역), 멀미, 도사곡, 사북시장, 정선군립병원, 고한터미널, 고한사북보건지소,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역, 중갈래, 상갈래, 두문동, 이마트, 태백운전면허시험장 | 편도 1회 | 고한사북보건지소 경유 |
100-3 | 태백 | → | 정선 | 태백운전면허시험장, 이마트, 두문동, 상갈래, 중갈래, 고한역,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사북보건지소, 고한터미널,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도사곡, 멀미, 증산(민둥산역), 남면(별어곡역), 낙동삼거리, 덕우리, 보건소, 정선5일장 | 편도 1회 | 고한사북보건지소 경유 정선읍내 경유 |
100-4 | 태백 | → | 정선 | 태백운전면허시험장, 이마트, 두문동, 상갈래, 중갈래, 고한역,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터미널,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도사곡, 사북주공아파트, 멀미, 증산(민둥산역), 남면(별어곡역), 낙동삼거리, 덕우리, 보건소, 정선5일장 | 편도 1회 | 사북주공아파트(도사곡아파트) 경유 정선읍내 경유 |
100-5 | 태백 | → | 정선 | 태백운전면허시험장, 이마트, 두문동, 상갈래, 중갈래, 고한역,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터미널,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도사곡, 멀미, 증산(민둥산역), 남면(별어곡역), 낙동삼거리, 덕우리, 보건소, 정선5일장 | 편도 2회 | 정선읍내 경유 |
100-6 | 태백 | → | 정선 | 태백운전면허시험장, 이마트, 두문동, 상갈래, 중갈래, 고한역,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사북보건지소, 고한터미널,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도사곡, 멀미, 증산(민둥산역), 남면(별어곡역), 낙동삼거리, 덕우리, 보건소, 정선5일장 | 편도 1회 | 고한사북보건지소 경유 정선읍내 경유 |
100-7 | 고한터미널 | → | 정선 |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도사곡, 멀미, 증산(민둥산역), 남면(별어곡역), 낙동삼거리, 덕우리, 보건소, 정선5일장 | 편도 1회 | 정선읍내 경유 |
기·종점 | 행선지 |
---|---|
고한 기점 | 고토일, 자미원, 남면, 정선, 자뭇골, 호명, 백전1리, 만항, 상갈래, 태백 |
마을버스[편집]
노선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횟수 | 비고 | ||
---|---|---|---|---|---|---|---|
아우라지 ~ 종량동 | 노추산마을버스 | 구절리 | ↔ | 아우라지 | 왕복 2회 | ||
중동 | 구절리 | 왕복 2회 | |||||
종량동 | 구절리 | 왕복 2회 |
- 노추산마을버스 운임
이 마을버스는 학생 요금이 없다. 교통카드를 이용할 수 있으나[7] 운임 할인 유무는 알려지지 않았다.
구분 | 구간 | 현금 (원) |
---|---|---|
마을 | 종량동 ↔ 구절리 중동 ↔ 구절리 |
800 |
구절리 ↔ 여량 | 1000 | |
중동 ↔ 여량 | 1300 | |
종량동 ↔ 여량 | 1500 |
노선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횟수 | 비고 | ||
---|---|---|---|---|---|---|---|
임계 ~ 골지리, 반천리 | 고양산마을버스 | 임계터미널 | ↔ | 고양리입구(노나무) | 왕복 3회 | ||
고양리종점 | 고양리입구(노나무) | 왕복 1회 | |||||
봉정리, 성북, 고양리입구(노나무) | 왕복 1회 | 임계 방면 성북 미경유 |
- 고양산마을버스 운임
교통카드를 이용할 수 있으나[7] 운임 할인 유무는 알려지지 않았다.
구분 | 구간 | 요금 (원) | ||
---|---|---|---|---|
성인 | 청소년 | 어린이 | ||
마을 | 고양리종점 ↔ 임계터미널 | 2,000 | 1,800 | 1,000 |
골지삼거리 ↔ 임계터미널 | 1,300 | 1,100 | 650 | |
고양리입구 ↔ 임계터미널 | 1,800 | 1,600 | 900 | |
반천리 ↔ 임계터미널 | 1,700 | 1,500 | 850 | |
반천리 ↔ 고양리종점 | 1,000 | 800 | 500 |
노선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횟수 | 비고 | ||
---|---|---|---|---|---|---|---|
예미 ~ 운치 | 운치마을버스 | 예미 | ↔ | 덕천리 | 왕복 1회 | ||
운치2리 | 왕복 4회 |
노선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횟수 | 비고 | ||
---|---|---|---|---|---|---|---|
건천리 ~ 북동리 | 그림바우마을버스 | 건천리 | ↔ | 건천리 | 제동골(몰운2리), 화암면사무소, 북동리(함바위), 화암면사무소, 화암4리, 화암면사무소, 제동골(몰운2리) | 2회 |
- 그림바우마을버스 운임
교통카드를 이용할 수 있으나[7] 운임 할인 유무는 알려지지 않았다. 기본 요금은 1,000원이며 학생에 속하는 초등학생 및 중·고등학생(청소년)은 50% 할인된다.
구분 | 구간 | 요금 (원) | |
---|---|---|---|
성인 | 학생 | ||
마을 | 건천리 ↔ 몰운2리(본동) | 1,000 | 500 |
건천리 ↔ 몰운2리(제동) | 1,500 | 750 | |
건천리 ↔ 화암면사무소 | 2,500 | 1,250 | |
건천리 ↔ 화암3리(오산) | 3,500 | 1,750 | |
건천리 ↔ 북동리(마을회관) | 4,500 | 2,250 | |
건천리 ↔ 북동리(함바위) | 4,500 | 2,250 | |
건천리 ↔ 화암4리 | 3,500 | 1,750 |
사진[편집]
각주[편집]
- ↑ 정선군, 농어촌버스 이용요금 26일 인상, 프레시안, 2018년 10월 23일 작성.
- ↑ 영암고속 및 화성고속에서 운행
- ↑ 강원여객에서 운행
- ↑ 정선군 전국호환 교통카드제 본격 시행, 연합뉴스, 2012년 11월 2일 작성.
- ↑ ‘티머니 전국호환교통카드’ 내년부터 광주·강원에서도 사용, 이데일리, 2015년 10월 28일 작성
- ↑ 본래 상갈래에서 회차 후 증산까지 운행했으나 2019년 1월 28일부로 노선 단축
- ↑ 가 나 다 정선 ‘호환 교통카드’ 시행, 강원도민일보, 2011년 11월 2일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