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토론:대문: 두 판 사이의 차이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잔글 126.158.40.220(토론)의 편집을 Twotwo2019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수도권 전철 7호선
태그: 되돌려진 기여 타인의 발언 변형 · 서명 위조 가능성 (편집 필터) 동음이의 링크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안내문}}
{{다른 뜻|서울 지하철 5호선||[[서울특별시]]의 [[도시 철도]] 노선}}
{{사용자:Chobota/archive
{{수도권 전철 7호선 표}}<!--운행 계통에 대한 설명만 작성해 주시고 노선 시설에 대한 설명은 각 노선의 문서에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archive = 위키백과토론:대문/보존문서%(counter)d
|algo = old(180d)
|counter = 10
|maxarchivesize = 70K
|archiveheader = {{보존}}
}}


== '''수도권 전철 7호선'''은 [[경기도]] [[의정부시]]의 [[장암역]]에서 [[인천광역시]] [[서구 (인천광역시)|서구]]의 [[석남역]]을 잇는 61.3km [[서울교통공사]]와 [[인천교통공사]]의 [[도시 철도]] 노선이다. [[수도권 전철]]과 [[서울 지하철]]의 일부를 구성하며, 서울특별시의 [[2기 지하철]] 계획의 일환으로 건설되었다. 노선의 색은 <span style="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M|7}};">●</span>[[카키색]]이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우측통행이다. ==
<!-- 이 토론은 대문에 한정된 내용(새 부분 추가, 디자인 변경 등)만을 다룹니다. 다른 내용은 다음에 남겨 주세요:
각 글에 대한 토론은 해당 글의 토론 문서에서.
각종 질문은 위키백과:질문방에서.
기타 내용은 위키백과:사랑방에서.
English : If you can't speak Korean, please visit Embassy.
français : Si vous ne pouvez pas parler le coréen, consultez l'ambassade.-->


== 운영 ==
일부 지상 구간([[장암역|장암]] - [[도봉산역|도봉산]] - [[수락산역|수락산]](지하), [[건대입구역|건대입구]](지하) - [[뚝섬유원지역|뚝섬유원지]] - [[청담역|청담]](지하))이 존재하고 나머지 대부분의 구간은 지하다.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서울교통공사]]의 보유차량, 승무원, 노선별 제약 요인 등을 고려하여, [[서울교통공사]]와 [[인천교통공사]] 등 두 양사간의 협의를 통하여 수립된다.


서울 지하철 7호선과 함께 [[수도권 전철 7호선]]을 이루며, 여객 안내 등에서는 두 노선이 구분이 이루어지지 않고 단지 "(서울 지하철) 7호선"으로만 통상적으로 분류된다. 열차 승무나 역무, 열차 통제, 역사 시설물 관리 등은 [[서울교통공사]]의 보유차량, 승무원, 노선별 제약 요인 등을 고려하여, [[서울교통공사]]와 [[인천교통공사]] 등 두 양사간의 협의를 통하여 수립된다.


더욱이, 7호선 일부 구간 중 인천 구간은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2호의 나목을 충족하지 않아 [[인천 도시철도]]로 엄연히 분류되기 때문에, 7호선 인천 구간의 열차 승무는 [[인천교통공사]]에서 수탁하고, 치안 서비스는 [[인천광역시경찰청]] 소속 지하철 경찰대를 비롯한 국토교통부 산하의 [[서울지방철도특별사법경찰대]]에서 두 양사가 전담한다. 부천 구간은 서울교통공사와 법적 분쟁이 걸려있어 소송이 끝나고 운영사가 변경되기 전까지는 운영.승무를 인천교통공사가 한시적으로 맡는다.
== 대문의 좋은글 노출 관련 ==


=== 열차 운행 ===
{{토론 가져옴|위키백과:사랑방/2022년 제15주#대문의 좋은글 노출 관련}}
* [[장암역]] - [[석남역|석남(거북시장)]]
전부터 느낀 건데 [[백:대문]]의 알찬 글이 노출되는 분량에 비해 좋은 글 단락은 아무런 설명 없이 글 표제어만 달린 채로 소개되어 어색한 것 같습니다. 옛날 대문처럼 알찬글과 좋은글의 내용 발췌 비중을 똑같이 적당히 맞추거나, 아니면 한 줄짜리라도 발췌해서 소개하는 게 어떨까 싶습니다. 덤으로 [[백:알찬 목록]]을 소개하는 방안도 생각해봤으면 좋겠구요. [[사용자:밥풀떼기|밥풀떼기]] ([[사용자토론:밥풀떼기|토론]]) 2022년 4월 12일 (화) 19:08 (KST)
:좋은 글의 비중은 높일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오히려 알찬 글보다 좋은 글이 더 많으므로, 더 많은 문서들을 노출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알찬 목록의 경우에는 16개에 불과하기 때문에, 조금 더 고민해봐야 할 사안이라고 봅니다. --[[사:Whitetiger|<span style="color:gray;font-family:Courier new, serif;font-variant:small-caps;">White.t.</span>]] 2022년 4월 12일 (화) 19:53 (KST)
:마침 대문에 오른쪽 하단에 빈공간이 있어서 거슬렸는데, 좋은 글 비중을 늘려도 될것 같습니다. [[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4월 12일 (화) 20:38 (KST)
::[[사용자:Takipoint123/대문]] 위키텍스트를 잘 몰라서 좀 어색하긴 하지만, 대충 이정도면 될것 같습니다. [[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4월 12일 (화) 20:39 (KST)
:조금(많이) 다른 얘기이지만, 대문에 있는 코로나19 정보가 있을 필요가 있을까요?? 검색수도 그렇게 많지 않고 최근 들어서 많이 줄어들었으며[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BD%94%EB%A1%9C%EB%82%98%EB%B0%94%EC%9D%B4%EB%9F%AC%EC%8A%A4%EA%B0%90%EC%97%BC%EC%A6%9D-19&action=info], 언론사도 아닌 위키백과에서 관련 내용을 대문에까지 실을 필요는 없어 보이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사용자:기나ㅏㄴ|<span style="font-weight:bold;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blue;color:brown;">ginaan</span>]][[사용자토론:기나ㅏㄴ|<span style="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green;color:brown;">(˵⚈ε⚈˵)</span>]][[특:기여/기나ㅏㄴ|<sup>★</sup>]] 2022년 4월 12일 (화) 20:45 (KST)
::사용자:기나ㅏㄴ/Sandbox/대문(링크 제거) 빼는게 더 괜찮지 않나요?? --[[사용자:기나ㅏㄴ|<span style="font-weight:bold;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blue;color:brown;">ginaan</span>]][[사용자토론:기나ㅏㄴ|<span style="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green;color:brown;">(˵⚈ε⚈˵)</span>]][[특:기여/기나ㅏㄴ|<sup>★</sup>]] 2022년 4월 12일 (화) 21:15 (KST)
:::제가 보기엔 훨씬 나은 것 같은데요? 빼는게 나을 것 같습니다. 이젠 코로나 확진자가 생겨도 넘어가는(?) 그럴 때고 굳이 너을 필요도 없기 때문이죠. --[[사:Tetriscys|<span style="font-family:'cursive';font-weight:100;color:#FF69B4;text-shadow: 2px 3px 4px #00BFFF">Tetriscys</span>]][[사토:Tetriscys|<span style="font-family:'cursive';font-weight:100;color:#00FF00"><sup>poyo</sup></span>]] 2022년 4월 12일 (화) 21:18 (KST)
:::그럼 요약해보면 코로나 관련 내용을 빼고 좋은글 * 알찬글을 넣는다 뭐 이렇게 되네요. --[[사:롤리팝|<span style="color:plum;text-shadow: 1px 1px 1px #ADD8E6"><templatestyles src="Ruby/styles.css" /><ruby><rb>'''•L.P•'''</rb><rp> (</rp><rt><span style="font-size:85%">Lollipop</span></rt><rp>)</rp></ruby></span>]]<sup>[[사토:롤리팝|🍭]][[특:기여/롤리팝|🍬]]</sup> 2022년 4월 12일 (화) 21:54 (KST)
::::깔끔한 요약 감사합니다! [[특수:기여/58.229.38.77|58.229.38.77]] ([[사토:58.229.38.77|토론]]) 2022년 5월 6일 (금) 02:36 (KST)
:::{{핑|기나ㅏㄴ}} 왼쪽 반의 길이가 너무 지나치게 짧은 것 같은데 왼쪽 반에 맨 밑에 코로나 관련 소식을 넣는건 어떤가요? '''[[사:Trusovafan|<span style="color:Black;">Trusova</span>]][[사:Trusovafan|<span style="color:Red;">fan</span>]]'''([[사토:Trusovafan|<span style="color:Black;">토론</span>]], [[특:기여/Trusovafan|<span style="color:OrangeRed;">기여</span>]], [[특:기록/trusovafan|<span style="color:Black;">기록</span>]])<sup>[[트루소바|🖤]]<sup>[[크루엘라 (영화)|❤]]핑</sup></sup> 2022년 4월 12일 (화) 22:10 (KST)
:::[[사:Trusovafan/연습장]]에 한번 넣어보겠습니다. '''[[사:Trusovafan|<span style="color:Black;">Trusova</span>]][[사:Trusovafan|<span style="color:Red;">fan</span>]]'''([[사토:Trusovafan|<span style="color:Black;">토론</span>]], [[특:기여/Trusovafan|<span style="color:OrangeRed;">기여</span>]], [[특:기록/trusovafan|<span style="color:Black;">기록</span>]])<sup>[[트루소바|🖤]]<sup>[[크루엘라 (영화)|❤]]핑</sup></sup> 2022년 4월 12일 (화) 22:12 (KST)
::::@[[사용자:Trusovafan|Trusovafan]]:데스크톱 기준입니다. 모바일에서는 튀어나올 수 있는데, 그냥 "빼자"는 생각만 제시한 겁니다. -- [[사용자:기나ㅏㄴ|<span style="font-weight:bold;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blue;color:brown;">ginaan</span>]][[사용자토론:기나ㅏㄴ|<span style="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green;color:brown;">(˵⚈ε⚈˵)</span>]][[특:기여/기나ㅏㄴ|<sup>★</sup>]] 2022년 4월 12일 (화) 22:15 (KST)
:::::빼는개 제일 나아보이네요. '''[[사:Trusovafan|<span style="color:Black;">Trusova</span>]][[사:Trusovafan|<span style="color:Red;">fan</span>]]'''([[사토:Trusovafan|<span style="color:Black;">토론</span>]], [[특:기여/Trusovafan|<span style="color:OrangeRed;">기여</span>]], [[특:기록/trusovafan|<span style="color:Black;">기록</span>]])<sup>[[트루소바|🖤]]<sup>[[크루엘라 (영화)|❤]]핑</sup></sup> 2022년 4월 12일 (화) 22:16 (KST)
::코로나 정보는 둘째치고, 일단 이 토론의 주제인 좋은 글 분량과 알찬 목록에 대해서 먼저 토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코로나 관해서는 이전에도 [[백토:대문]]에서도 얘기가 나왔으니, 그 토론에 이어서 토론할 수 있는 내용이니까요. --[[사:Whitetiger|<span style="color:gray;font-family:Courier new, serif;font-variant:small-caps;">White.t.</span>]] 2022년 4월 12일 (화) 22:21 (KST)
:본론으로 돌아와서, 좋은 글과 알찬 글의 비중을 같게 하는 것에 대해 찬성합니다. 굳이 다르게, 비대칭으로 할 이유가 있나 싶네요. 알찬 목록의 경우, 어떻게 대문에 실을 지 모르겠으며, 목록의 수도 적고, (이유가 될 수 있는지는 모르겠으나)타 위키에서도 못 본 사례라 좀 더 논의가 필요해보입니다. --[[사용자:기나ㅏㄴ|<span style="font-weight:bold;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blue;color:brown;">ginaan</span>]][[사용자토론:기나ㅏㄴ|<span style="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green;color:brown;">(˵⚈ε⚈˵)</span>]][[특:기여/기나ㅏㄴ|<sup>★</sup>]] 2022년 4월 12일 (화) 23:34 (KST)
{{정보}} [[사용자:Takipoint123/대문]]에서 최종적으로 완성된 대문의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32;&mdash;&nbsp;[[사용자:Wikiwater2020|<span style="color:#6789CA;">Wikiwater2020</span>]]〔 [[사용자토론:Wikiwater2020|<span style="color:green;">'''&#10003;'''</span>]] ¦ [[특수:기여/Wikiwater2020|<span style="color:lightgreen;">✎</span>]] 〕 2022년 4월 12일 (화) 23:56 (KST)


=== 연결선 ===
:마음에 드네요. 별다른 반대가 없는 이상 옮겨도 되겠네요. --[[사용자:기나ㅏㄴ|<span style="font-weight:bold;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blue;color:brown;">ginaan</span>]][[사용자토론:기나ㅏㄴ|<span style="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green;color:brown;">(˵⚈ε⚈˵)</span>]][[특:기여/기나ㅏㄴ|<sup>★</sup>]] 2022년 4월 12일 (화) 23:58 (KST)
[[도봉산역]] 인근에 [[경원선]]과, [[태릉입구역]] 인근에 [[서울 지하철 6호선]]과 이어지는 연결선이 존재한다. 도봉산역 인근의 연결선은 [[1996년]] [[10월 11일]] [[장암역]] - [[건대입구역]] 구간 개통 당시 7호선 차량 반입에, 태릉입구역의 연결선은 6호선 차량 반입에 사용되었으며, 현재도 태릉입구역 인근의 연결선은 6호선 차량이 중검수를 위하여 [[도봉차량사업소]]까지 오가는 데에 사용된다.
:대문 인터페이스의 변경은 쉽게 할 일이 아닙니다. [[위키백과토론:대문]]에서 의견 요청 틀을 달고 충분한 시간동안 의견을 수렴해야합니다. ――'''[[사:Sadopaul|사도바울]] ([[사토:Sadopaul|💬]][[특:기여/Sadopaul|✍]]<span class="plainlinks">[https://xtools.wmflabs.org/ec/ko.wikipedia.org/Sadopaul 🧾]</span>)''' 2022년 4월 13일 (수) 01:08 (KST)


[[2000년]] [[2월 29일]] 7호선 [[신풍역]] - [[온수역]] 구간 개통 당시는 중간의 [[건대입구역]] ~ [[신풍역]] 구간이 개통되지 않아 도봉산역의 연결선을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경인선]] [[오류동역]]에서 [[천왕차량사업소]]까지 임시 선로를 부설하여 이를 통하여 차량을 반입하였다. 이 선로는 같은 해 [[8월 1일]] [[신풍역]] - [[건대입구역]] 구간 개통 이후에 철거되었다.
:{{핑|Wikiwater2020}} 좋은글 단락 비중이 너무 크네요. 알찬글과 동시에 비중을 줄이거나, 앞서 제가 제안했던 대로 한줄~ 한문단 수준만 발췌하는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사용자:밥풀떼기|밥풀떼기]] ([[사용자토론:밥풀떼기|토론]]) 2022년 4월 13일 (수) 12:59 (KST)
::그렇게 하려면 아예 [[백:좋은 글/목록]]에 있는 문서들의 대대적인 수정이 필요해 보입니다. [[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4월 13일 (수) 13:40 (KST)
::: 좋은글 본문을 수정하자는 말씀이신지요? 대문에 노출되는 틀 내에서도 해결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사용자:밥풀떼기|밥풀떼기]] ([[사용자토론:밥풀떼기|토론]]) 2022년 4월 14일 (목) 12:24 (KST)
::::일단 그게 가능하다면 좋겠지만 제 실력으로는 못할것 같군요... 혹시 그렇게 하실수 있으신 분들은 제 사용자 문서 대문을 수정하셔도 좋습니다. [[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4월 14일 (목) 16:03 (KST)
:::::가능하기보다는 이미 [[백:오늘의 좋은 글]]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지난 대문에서 쓰던 데이터입니다. [[사용자:밥풀떼기|밥풀떼기]] ([[사용자토론:밥풀떼기|토론]]) 2022년 4월 15일 (금) 16:48 (KST)
::::::{{ㄷ|밥풀떼기}} 정확히 무엇을 하고 싶으신 건지는 잘 모르겠군요. 지금 대문 제안은 이미 [[백:오늘의 좋은 글]]에 나온 요약을 사용하고 있는데 말이죠. [[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4월 16일 (토) 15:04 (KST)
:::::::네 그러니까 말씀하신 대로 [[백:오늘의 좋은 글]]에 기재된 요약문들을 수정하면 끝날 문제죠. 오히려 [[백:좋은 글/목록]]의 본문의 대대적인 수정을 이야기하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사용자:밥풀떼기|밥풀떼기]] ([[사용자토론:밥풀떼기|토론]]) 2022년 4월 18일 (월) 13:13 (KST)
::::::::{{ㄷ|밥풀떼기}} 햇갈리셨다면 죄송합니다만, 저는 [[백:좋은 글/목록]]에 '''있는 문서들'''이라 했습니다. 즉, [[백:좋은 글/목록]]에 있는 <nowiki>[[위키백과:오늘의 좋은 글/XX]]</nowiki>를 뜻하는거였습니다.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4월 18일 (월) 14:42 (KST)
:::::::::[[백:좋은 글/목록]]에는 언급하신 요약문 틀이 링크되어 있지 않고 문서들만 링크되어 있어서 본문을 수정하시려는 뜻인지 여쭸던 겁니다 ("좋은글 본문을 수정하자는 말씀이신지요?"). 저와 Taki님 모두 같은 이야기를 하고 있었는데 조금 돌아가게 되었네요. 각설하고 대대적인 수정이 필요함은 제 개인적으로도 확인했고요, 이것을 아예 한 개의 틀로 병합하는 안은 어떨지 아래에 제안하였으니 추가적인 의견이 있으시면 말씀해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사용자:밥풀떼기|밥풀떼기]] ([[사용자토론:밥풀떼기|토론]]) 2022년 4월 18일 (월) 15:03 (KST)
::{{ㄷ|밥풀떼기}} 대문에 나타나는 알찬 글/좋은 글 단락을 수정하려면 요약판이 수정되어야 합니다. 만약 수정한다면 총 300개가 넘는 요약본을 모두 내용을 살린채로 수정해야 되기 때문에, 자동화도 불가능하고 엄청난 노가다를 요구하는-상당히 어려운 작업이라고 보입니다. --[[사:Whitetiger|<span style="color:gray;font-family:Courier new, serif;font-variant:small-caps;">White.t.</span>]] 2022년 4월 14일 (목) 16:42 (KST)
:::[[위키백과:오늘의 좋은 글]]을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현행 대문이 도입된 시점부터 좋은 글이 아니게 된 것들을 정리하고, 새로 등재된 것만 추가하면 되지 않을까 싶어요. 노가다라고 한다면 저 요약판을 한줄 정도로 축약하는 것 정도가 될 텐데 한줄로 정리하자고 총의가 모이지 않는다면 당연히 필요치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진행하더라도 기존의 긴 문단을 한줄짜리로 삭제하는 식으로 정리만 하면 될 테구요. [[사용자:밥풀떼기|밥풀떼기]] ([[사용자토론:밥풀떼기|토론]]) 2022년 4월 15일 (금) 16:26 (KST)


== 차량 ==
:{{의견}} 좋은글과 알찬글을 위아래가 아닌 양옆으로 둘 수는 없나요?? 세로로 너무 길어보이네요;; --[[사용자:기나ㅏㄴ|<span style="font-weight:bold;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blue;color:brown;">ginaan</span>]][[사용자토론:기나ㅏㄴ|<span style="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green;color:brown;">(˵⚈ε⚈˵)</span>]][[특:기여/기나ㅏㄴ|<sup>★</sup>]] 2022년 4월 13일 (수) 13:07 (KST)
*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
:: 가능은 하겠지만 지금과 같은 참여 유도형 모양새가 갖추어지기까지 꽤 장기간의 심오한 논의가 있었기 때문에 [[위키백과토론:대문]]의 보존문서를 먼저 읽어주실 것을 권고드립니다. --[[사용자:Ykhwong|ted]] ([[사용자토론:Ykhwong|토론]]) 2022년 4월 16일 (토) 10:19 (KST)
* [[서울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
*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 - 본래 [[서울 지하철 6호선]]용으로 도입된 차량이나, 2개 편성이 차출되어 운행되고 있다.


== 주요 사건 사고와 논쟁 ==
:{{의견}} 좋은 글 노출에 대해, 알찬 글 및 좋은 글 요약본을 1줄로 줄이는 건에 대해 여러 의견들이 나오고 있는데, 위키백과 대문은 편집자 뿐 아니라 독자들도 보는 화면인 만큼 sitenotice를 통한 설문이 이루어지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ㄷ|Whitetiger}} 토론을 [[위키백과토론:대문]]으로 옮기고 의견 요청 틀을 부착하는 것이 어떻습니까?――'''[[사:Sadopaul|사도바울]] ([[사토:Sadopaul|💬]][[특:기여/Sadopaul|✍]]<span class="plainlinks">[https://xtools.wmflabs.org/ec/ko.wikipedia.org/Sadopaul 🧾]</span>)''' 2022년 4월 17일 (일) 23:14 (KST)
=== [[건대입구역]] 강북 구간 침수 ===
::{{완료}} 곧 sitenotice도 추가하겠습니다. --[[사:Whitetiger|<span style="color:gray;font-family:Courier new, serif;font-variant:small-caps;">White.t.</span>]] 2022년 4월 17일 (일) 23:28 (KST)
==== [[태릉입구역]]과 주변 11개 역 ====
[[1998년]] [[5월 2일]] 오전 7시 40분쯤, 전날인 [[5월 1일]]부터 수도권 지역에 내린 [[집중호우]]로 [[중랑천]]이 범람하였다. 당시 612공구에서 [[중랑천]]에서 개착공사가 진행되고 있었고, 이 공사로 140 m 너비의 [[중랑천]]을 양쪽에서 각각 50m와 20m짜리 둑으로 막으면서 강의 너비가 절반으로 줄어든 상태였다. 이 상황에서 [[집중호우]]로 불어난 물이 둑을 덮치면서 [[서울 지하철 6호선]] 공사장으로 밀려들었고, 이 물은 높이 4m의 물막이벽을 넘고 환승 통로를 통하여 [[태릉입구역]]을 침수시켰다.


[[태릉입구역]]이 물에 잠기자 주변의 [[마들역]], [[노원역]], [[중계역]], [[하계역]], [[공릉역]], [[먹골역]], [[중화역 (서울)|중화역]], [[상봉역]], [[면목역]], [[사가정역]] 등을 비롯한 11개 역이 침수되었다. 이에 따라 [[건대입구역]] ~ [[도봉산역]]간의 열차 운행이 중지되었다. [[태릉입구역]]은 승강장이 있는 지하 4층부터 대합실이 있는 지하 1층까지 물이 차 올랐다. 7호선의 변전소 1곳, 역사 전기실 7곳, 신호기계실 5곳, 통신기계실 7곳 등 지하철을 운행하는 데 핵심적인 설비들이 모두 물에 잠겼다.
::{{완료|sitenotice 공지 완료}} Sitenotice 문장에 수정이 필요해보이면 핑해주세요. --[[사:Whitetiger|<span style="color:gray;font-family:Courier new, serif;font-variant:small-caps;">White.t.</span>]] 2022년 4월 17일 (일) 23:36 (KST)
:::{{ㄷ|Whitetiger}} 빠른 반영 감사드립니다. 다만 [[위키백과:위키백과 20주년 기념식/공동체 설문 조사]]에서처럼 구글 폼을 통해 설문조사하는 편이 비로그인 사용자들의 의견도 부담없이 빠르게 수집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사:Sadopaul|사도바울]] ([[사토:Sadopaul|💬]][[특:기여/Sadopaul|✍]]<span class="plainlinks">[https://xtools.wmflabs.org/ec/ko.wikipedia.org/Sadopaul 🧾]</span>)''' 2022년 4월 18일 (월) 02:24 (KST)


침수는 북쪽 [[수락산역]]과 남쪽 [[용마산역]]에서 멈추었다. [[도봉산역]] ~ [[건대입구역]] 구간에서 [[태릉입구역]]이 표고가 가장 낮았고, 북쪽 [[수락산역]]은 [[태릉입구역]]보다 21 m가, 남쪽의 [[용마산역]]은 11 m가 높기 때문이었다. 남쪽으로 물이 더 유입되었을 경우 연결된 환승 통로를 통하여 대형 참사가 발생할 수도 있었다.<ref>[http://news.kbs.co.kr/news/view.do?ncd=3786280 서울지하철 7호선, 범람한 중랑천 물에 침수돼 전면중단, KBS 뉴스 9, 1998년 5월 2일]</ref><ref>[http://news.kbs.co.kr/news/view.do?ncd=3786319 서울지하철 복구작업 난항, KBS 뉴스 9, 1998년 5월 2일]</ref><ref>[http://news.kbs.co.kr/news/view.do?ncd=3786282 기습폭우로 인한 지하철 피해 천억원, KBS 뉴스 9, 1998년 5월 2일]</ref><ref>[http://news.kbs.co.kr/news/view.do?ncd=3786283 지하철 침수사고, 뻥뚫린 제방관리가 원인, KBS 뉴스 9, 1998년 5월 2일]</ref>
: {{의견}} 현재 대문에 노출되고 있는 [[위키백과:오늘의 알찬 글]]의 경우 맨 밑에 '자세히 읽기...'가 없지만, [[위키백과:오늘의 좋은 글]]에는 '자세히 읽기...'가 존재합니다. 요약판 표제어 부분(볼드체)에서 이미 좋은 글 본문으로 링크를 해주고 있으므로 '자세히 읽기...'를 없애는 것이 좋겠습니다. &#32;&mdash;&nbsp;[[사용자:Wikiwater2020|<span style="color:#6789CA;">Wikiwater2020</span>]]〔 [[사용자토론:Wikiwater2020|<span style="color:green;">'''&#10003;'''</span>]] ¦ [[특수:기여/Wikiwater2020|<span style="color:lightgreen;">✎</span>]] 〕 2022년 4월 18일 (월) 00:10 (KST)
::{{ㄷ|Wikiwater2020}} 해당 문제는 [[백:오늘의 좋은 글]] 문서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그 문서를 수정해야 비로소 해결이 될것 같습니다. 일단 총의가 확실하지는 않으니 [[사용자:Takipoint123/오늘의 좋은 글]]를 따로 만들어 대문용 실험을 하도록 수정하였습니다. [[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4월 18일 (월) 05:09 (KST)
:::[[위키백과:오늘의 좋은 글]]은 관리자 이외에는 편집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제가 직접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총의를 형성한 다음 관리자가 편집하여야 합니다. &#32;&mdash;&nbsp;[[사용자:Wikiwater2020|<span style="color:#6789CA;">Wikiwater2020</span>]]〔 [[사용자토론:Wikiwater2020|<span style="color:green;">'''&#10003;'''</span>]] ¦ [[특수:기여/Wikiwater2020|<span style="color:lightgreen;">✎</span>]] 〕 2022년 4월 19일 (화) 17:34 (KST)
::::{{ㄷ|Wikiwater2020}} 아직 총의가 없으니 수정할 생각 없습니다. [[사용자:Takipoint123/오늘의 좋은 글]] 참고하세요. [[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4월 20일 (수) 16:33 (KST)


다음날인 [[5월 3일]]부터 11개역에서 동시에 물빼기 작업을 시행하였으나, 양수기가 부족한 탓에 80여만 톤에 이르는 많은 물을 빼는 데 1주일 이상이 소요되었다. 또한 AFC(역무자동화설비) 등 각종 전자기기도 침수되어 완전히 복구하려면 시간이 1개월 이상 필요하였다. 하지만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5월 11일]] 오후 5시부터 15분 간격으로 운행을 재개하였다. 임시로 운행하는 동안 [[자동 열차 제어 장치|ATC]]의 도움을 받지 않고 수동으로 운행하였고, 역내 설비도 침수되어 전광판 등도 사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그 동안 침수된 구간은 오후 10시까지만 운행하고 나머지 시간에 복구작업을 시행하였다. [[6월 17일]]부터는 ATC 등의 복구가 완료되면서 배차간격을 10분으로 줄였고, [[8월 3일]]부터는 임시 운행 시간을 자정까지 2시간 연장하였다. [[9월 16일]]부터 출퇴근 시간 운행간격이 7분으로 줄어들었다.<ref>[http://news.kbs.co.kr/news/view.do?ncd=3786318 '지하철 7호선 침수사고' 전쟁터 방불, KBS 뉴스 9, 1998년 5월 3일]</ref><ref>[http://news.kbs.co.kr/news/view.do?ncd=3786319 '지하철 7호선 침수사고' 양수기 동원 철야 작업, KBS 뉴스 9, 1998년 5월 3일]</ref><ref>[http://news.kbs.co.kr/news/view.do?ncd=3786320 '지하철 7호선 침수사고' 정상운행 한달 이상 걸릴 듯, KBS 뉴스 9, 1998년 5월 3일]</ref><ref>[http://news.kbs.co.kr/news/view.do?ncd=3786579 임시운행 안전한가?, KBS 뉴스 9, 1998년 5월 9일]</ref><ref>[http://news.kbs.co.kr/news/view.do?ncd=3786617 지하철 7호선 내일부터 임시운행, KBS 뉴스 9, 1998년 5월 10일]</ref><ref>[http://news.kbs.co.kr/news/view.do?ncd=3786648 지하철 7호선 임시운행, 불편.불안, KBS 뉴스 9, 1998년 5월 11일]</ref><ref>[https://imnews.imbc.com/replay/1998/nwdesk/article/1975542_30723.html 폭우로 중랑천이 넘쳐 지하철 7호선 8개 역 침수, MBC 뉴스데스크, 1998년 5월 2일]</ref><ref>[https://imnews.imbc.com/replay/1998/nwdesk/article/1975544_30723.html 침수된 지하철 7호선 태릉입구역 복구 오래 갈듯, MBC 뉴스데스크, 1998년 5월 2일]</ref><ref>[https://imnews.imbc.com/replay/1998/nwdesk/article/1975546_30723.html 비 70mm에 서울 주택가 공사현장 지하철 등 침수, MBC 뉴스데스크, 1998년 5월 2일]</ref><ref>[https://imnews.imbc.com/replay/1998/nwdesk/article/1975490_30723.html 침수된 지하철 7호선 복구작업 지연, MBC 뉴스데스크, 1998년 5월 3일]</ref><ref>[https://imnews.imbc.com/replay/1998/nwdesk/article/1975492_30723.html 침수된 지하철 7호선 완전 복구에 한달 이상 소요, MBC 뉴스데스크, 1998년 5월 3일]</ref><ref>[https://imnews.imbc.com/replay/1998/nwdesk/article/1975150_30723.html 아직 침수된 지하철 7호선, 서울시는 운행 강행, MBC 뉴스데스크, 1998년 5월 7일]</ref><ref>[https://imnews.imbc.com/replay/1998/nwdesk/article/1974891_30723.html 지하철 7호선 시운전 결과 문제점이 발견돼 임시운행 연기, MBC 뉴스데스크, 1998년 5월 10일]</ref><ref>[https://imnews.imbc.com/replay/1998/nwdesk/article/1974850_30723.html 개통 된 7호선에 많은 승객들 몰려, 아직은 복구 할 곳 많아, MBC 뉴스데스크, 1998년 5월 11일]</ref>
:저는 위키백과 소개를 우측 상단(예전의 코로나19 안내가 있던 곳)으로 옮기고 알찬 글과 좋은 글의 분량을 조금 줄여서 최대 2단락으로 하면 좋겠습니다. 위키백과 소개가 너무 아랫부분에 있는 게 이상하기도 하고 해서 이왕에 개편하는 김에 같이 조정할 필요가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nbsp;[[사용자:Kwj2772|<span style="color:black;">Kwj2772</span>]] <sup>([[사용자토론:Kwj2772|msg]])</sup> 2022년 4월 18일 (월) 00:50 (KST)
::위키백과 소개는 [[:en:WP:Main page|영어 위키백과]] 대문과 [[:ja:WP:メインページ|일본어 위키백과]] 대문에도 존재하지 않으며 [[:fr:Wikipédia:Accueil_principal|프랑스어 위키백과]] 대문에도 "참여할 수 있는 방법"에 상당히 제한적으로 실려 있습니다. 물론 대문에 위키백과 소개가 있는곳도 많고 중요하긴 하지만 다른 언어판에서도 별로 중요하게 보지도 않으니 굳이 옮길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4월 18일 (월) 05:01 (KST)


==== [[1998년]] [[8월 6일]]: [[도봉산역]] ====
::::{{답변||Sadopaul}} 의견 감사드립니다. 일단 전체적인 토론의 흐름이 잡힌 뒤에 구글 폼을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사:Whitetiger|<span style="color:gray;font-family:Courier new, serif;font-variant:small-caps;">White.t.</span>]] 2022년 4월 18일 (월) 08:46 (KST)
[[1998년]] [[5월 2일]]에 첫 번째 침수가 일어난 이후 복구 작업을 벌이는 도중, 그 해 [[8월 6일]] 새벽에 또 다시 경기 북부 지역에 집중호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지상 구간인 [[도봉산역]]의 선로에 물이 차올라 이 날은 오전 5시 첫차부터 운행이 전면적으로 중단되었다. 이는 앞서 그 해 [[5월]]에 [[태릉입구역]]에서 발생한 침수를 복구하는 공사가 완료되지 않아, 1개 역이라도 침수되면 모든 역에서의 운행을 중단시켜야 하였기 때문이었다.


[[도봉산역]]은 철로 (고가)보다 역사가 낮기 때문에 침수 피해가 빈번하게 일어날 수밖에 없다. 이 날에 일어난 사고 역시 [[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 [[도봉산역]]을 침수시킨 물이 7호선 환승 통로로 흘러들면서 발생한 것이었다. 이 사고로 [[도봉산역]] - [[건대입구역]]간 열차 운행이 전면적으로 중단되었다. 같은 해 [[5월]]에 침수 사고를 겪었던 7호선 [[태릉입구역]]은 다시 지하 2 - 4층이 모두 물에 잠겼다. 사고가 발생한 지 나흘이 지난 [[8월 9일]]에 임시로 복구되었다.<ref>[http://news.kbs.co.kr/news/view.do?ncd=3790011 '수도권 수해 피해' 7호선 또 잠겨, KBS 뉴스 9, 1998년 8월 6일]</ref>
: {{의견}} 좋은 글과 알찬 글 모두 표시하고 공간도 아낄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PC 모드 [https://ca.wikipedia.org/wiki/Portada 카탈루냐어 위키백과 본문]의 왼쪽처럼 하면 어떤가요? 예시에서처럼 사진을 꼭 이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알찬 글과 좋은 글이 각각 짤막하게 표시되어 있다가, 알찬 글 위에 마우스를 올리면 좋은 글 위치를 좀 잡아먹고, 좋은 글 위에 올리면 반대로 되는 셈입니다. [[ca:Plantilla:Portada600k/carruselcontingut]], [[ca:Plantilla:Portada600k/carruselmésllegits]] 같은 틀을 css 문법으로 끌어안은 것 같은데, 솔직히 틀이 어려워서 잘 아시는 분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사:Uconhe|<span style="color:#888888">'''Uconhe'''</span>]] [[사토:Uconhe|<sup>토</sup>]] [[특수:기여/Uconhe|<sub>끼</sub>]] 2022년 4월 18일 (월) 15:11 (KST)
::그러려면 싹 다 갈아엎어야하는데, 현재 상황에서는 쉽지 않아 보이네요. -- [[사용자:기나ㅏㄴ/사|<span style="font-weight:bold;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blue;color:brown;">ginaan</span>]][[사용자토론:기나ㅏㄴ|<span style="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green;color:brown;">(˵⚈ε⚈˵)</span>]][[특:기여/기나ㅏㄴ|<sup>★</sup>]] 2022년 4월 18일 (월) 15:13 (KST)
::너무 손이 많이 갈것 같군요. Ykhwong님 의견 처럼 현재 대문으로 오기까지 많은 토론이 있었기 때문에 갑자기 바꾸기도 힘들고, 일부 좋은 글 소개 페이지들은 이미지가 없기 때문에 그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4월 18일 (월) 15:18 (KST)
::와 이거 대박이네요 ――'''[[사:Sadopaul|사도바울]] ([[사토:Sadopaul|💬]][[특:기여/Sadopaul|✍]]<span class="plainlinks">[https://xtools.wmflabs.org/ec/ko.wikipedia.org/Sadopaul 🧾]</span>)''' 2022년 4월 18일 (월) 16:29 (KST)
:::[[사용자:Twotwo2019/작업실5]] - 대문 개편 당시 논의되었던 초안 중에 하나가 저 카탈루냐어 위키백과였는데, 당시 모바일에서의 버그와 시인성 때문에 사용되지는 않은 대문입니다. 관련 초안은 제 작업실 저 링크에 있습니다. [[사용자:twotwo2019|L. Lycaon]] ([[사용자토론:twotwo2019|토론]] / [[특수:기여/twotwo2019|기여]]) 2022년 4월 18일 (월) 16:38 (KST)


=== 관련 대문 틀의 통합 문제 ===
==== 침수 피해의 복구 ====
7호선은 해를 넘겨서, 이듬해인 [[1999년]] [[1월 4일]] 상봉변전소와 [[도봉산역]] 전기·설비분야의 복구 공사가 마무리되면서 완전히 복구되어 정상적으로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피해액은 시설 복구비 379억원에 영업 손실 100억 여 원 등 모두 48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하지만 같은 해 [[8월 3일]]에 [[도봉산역]]이 다시 침수됨에 따라 결국 [[도봉산역]]의 주요 설비를 2층으로 옮기게 되었다.<ref>{{뉴스 인용 |제목= (서울)7호선 4일부터 정상운행 |url= |출판사= 세계일보 |저자= 서정권 |날짜= 1999-01-04 |확인날짜= 2009-02-22}}</ref>
위에서 Takipoint님과 Whitetiger님께서 작업 분량이 만만치 않다고 하셔서 알아보던 중에 발견한 사실인데요. '''틀이 너무 많습니다.''' [[백:오늘의 좋은 글]] (최상위 틀), [[백:오늘의 좋은 글/목록]] (목록 나열 및 하루마다 바뀌는 시간설정 틀), [[백:오늘의 좋은 글/좋은 글 더 보기]] (본문 링크용 틀)의 세가지 틀이 있고 여기에 각 좋은 글마다 요약문이 별개의 틀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위키백과:오늘의 좋은 글/10일 전쟁]] 하는 식으로 [[:분류:좋은 글 요약판|181개 문서의 요약문]]이 따로 따로 생성되어 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이들을 이렇게 복잡하게 나눌 필요가 있을까요? 좋은 글이 새로 생길때마다 틀을 별도로 분리 생성하기보다 차라리 <code>#switch</code> 구문 쓰는 요약문용 틀 통합공간을 하나 마련해서 거기에 몰아넣고 한번에 관리할 수 있게 만들면 좋을 텐데요. --[[사용자:밥풀떼기|밥풀떼기]] ([[사용자토론:밥풀떼기|토론]]) 2022년 4월 18일 (월) 13:33 (KST)
::이건 그리고 현재 대문에도 이미 노출되고 있는 알찬 글 관련 틀도 마찬가지일 것으로 보입니다. 통합 찬성으로 결론이 모아지면 [[:분류:알찬 글 요약판]] 쪽도 정리해야 할 것 같습니다. --[[사용자:밥풀떼기|밥풀떼기]] ([[사용자토론:밥풀떼기|토론]]) 2022년 4월 19일 (화) 10:41 (KST)


=== [[고속터미널역]]의 침수 ([[2001년]]) ===
:음 일단 하나로 합치는것도 나쁜 생각 같지는 않습니다. 근데 일단 Wikiwater2020님 의견 처럼 [[백:오늘의 좋은 글/좋은 글 더 보기]]을 제거하자는 의견도 있는 만큼 그 문제는 어느정도 해소될것 같네요. 현행 유지하든 한번에 관리할 수 있게 모으든 저는 개인적으로 큰 상관은 없지만, 좋은 글 알찬 글 분량을 얼추 비슷하게 하는게 낮지 않나 싶습니다. (물론 화면비에 따라 다르지만) 현재 대문에 빈공간이 크게 남는 문제가 있었는데 [[사용자:Takipoint123/대문]]을 보니까 얼추 잘 맞는거 같거든요. [[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4월 18일 (월) 15:30 (KST)
[[2001년]] [[7월 15일]]에 발생한 37년 만의 [[집중호우]] 때문에 [[고속터미널역]]이 침수되어 [[고속터미널역]] - [[강남구청역]]간의 열차운행이 중단되었다. 침수는 범람한 반포천의 빗물이 인근 [[센트럴시티]] 빌딩 지하 2층 주차장을 통하여 승강장으로 유입되면서 발생하면서 선로가 2~3 m 침수되었고 승강장이 물에 잠겼으며, [[7월 17일]] 복구가 완료되어 운행이 재개되었다.<ref>[http://news.kbs.co.kr/news/view.do?ncd=216410 물바다 지하철역, KBS 뉴스 9, 2001년 7월 15일]</ref><ref>[https://imnews.imbc.com/replay/2001/nwdesk/article/1879469_30743.html 고속터미널역 등 지하철 7호선 전철역 물바다, MBC 뉴스데스크, 2001년 7월 15일]</ref>
::빈공간이라면 이미 말씀하셨다시피 화면비에 따라 크게 생기기도 하고, 지금 제 화면 기준으로도 많이 남습니다. 분량을 비슷하게 맞춰야 한다는 근거가 조금 더 절대적이었으면 하는 바람이에요. 저는 알찬 글이 그 이름대로 알찬 구성을 지녔고, 좋은글에 비해 많이 채택되지도 않는 만큼 조금 더 중점적으로 소개해야 하며, 그 반면 좋은 글은 요약문 비중을 한 줄 정도로 축소하여 소개하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1:1대로 비슷하게 맞춘다면 이전 대문의 구성과 동일해져 식상해지기도 하고, 그동안 좋은글 요약문을 싣지 않으면서 생긴 이점들 - 새로 들어온 소식의 활성화 등도 있다고 생각했거든요. [[사용자:밥풀떼기|밥풀떼기]] ([[사용자토론:밥풀떼기|토론]]) 2022년 4월 18일 (월) 15:40 (KST)
:::화면 해상도 설정에 따라 가변적으로 위치가 바뀌도록 하는 (사실상의) 반응형 대문인지라, 저같이 1440x900 같은 애매한 해상도 쓰면 대문 오른쪽의 '알고 계십니까' 칸 왼쪽 공간이 텅 남아버립니다. 다만 밥풀떼기 말처럼 무조건 비슷하게 가기보다는 좋은 글은 한 줄 정도 짤막하게 소개만 해도 충분하다고 봅니다. [[사용자:twotwo2019|L. Lycaon]] ([[사용자토론:twotwo2019|토론]] / [[특수:기여/twotwo2019|기여]]) 2022년 4월 18일 (월) 15:49 (KST)
:::일단 가능하면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흔하게 사용하는 화면비를 파악해서 최대한 잘 맞출수 있게 하는 방법이 있었으면 좋겠네요. (좋은 글과 1:1로 하는게) 손도 덜가기도 하고 좋은 글의 수도 알찬 글에 비하면 60개 차이 정도 밖에 안나기도 하고요. 옛날 대문이 채택하던 방식이라도 현재 대문이랑 차이점이 많아서 그렇게 큰 문제도 아닌것 같고요. 근거가 부족하다 하더라도 대문은 위키백과의 "얼굴"인데 시각적인 면이 어색하면 별로 좋아보이진 않기 때문이죠. [[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4월 18일 (월) 16:15 (KST)
:{{질문}} 그러면 알찬 글과 좋은 글을 1:1로 하는 대신, 한 줄 정도로 줄인다는 말씀이신가요? 제가 이해한 게 맞는지 모르겠어서요. --[[사:Uconhe|<span style="color:#888888">'''Uconhe'''</span>]] [[사토:Uconhe|<sup>토</sup>]] [[특수:기여/Uconhe|<sub>끼</sub>]] 2022년 4월 18일 (월) 23:58 (KST)
::일단은 대문에 알찬 글과 좋은 글을 노출시키는 틀을 기존 2개에서 하나로 통일하겠다는 제안입니다. 즉, 틀을 변경하는거죠. 분량에 대해서는 따로 총의 수렴이 필요할것 같습니다. [[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4월 19일 (화) 06:47 (KST)
:::아뇨.. 두 개가 아니라 [[:분류:좋은 글 요약판]]에 있는 181개 틀을 하나로 합치는 문제입니다. 지금의 틀을 그대로 합칠 수도 있겠지만 한 줄짜리로만 요약하기로 총의가 모이면 새로 따와서 만들 수도 있기 때문에, 분량에 관한 총의수렴이 필요해 보입니다. [[사용자:밥풀떼기|밥풀떼기]] ([[사용자토론:밥풀떼기|토론]]) 2022년 4월 19일 (화) 10:37 (KST)
::::한 줄로 요약하면 그림은 없어지는게 맞겠죠? 그림은 있어야된다고 생각해서 한 줄은 너무 짧은 것 같고, (요약한다면) 두세줄이 좋을 것 같습니다. ――'''[[사:Sadopaul|사도바울]] ([[사토:Sadopaul|💬]][[특:기여/Sadopaul|✍]]<span class="plainlinks">[https://xtools.wmflabs.org/ec/ko.wikipedia.org/Sadopaul 🧾]</span>)''' 2022년 4월 19일 (화) 13:50 (KST)
:::::현행 대문의 깔끔한 이점을 살리려면 그림을 생략하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알고 계신가요 단락과 비슷한 구성이 되겠죠. 그림이 들어가려면 두세줄도 애매하고, 한 문단은 확보해야 한다는 생각이 드네요. [[사용자:밥풀떼기|밥풀떼기]] ([[사용자토론:밥풀떼기|토론]]) 2022년 4월 19일 (화) 16:26 (KST)
::::::{{ㄷ|밥풀떼기}} 사진이 들어가지 않는다면 {{반대}}합니다. 사진 한 장으로 한 문단 이상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라.. ――'''[[사:Sadopaul|사도바울]] ([[사토:Sadopaul|💬]][[특:기여/Sadopaul|✍]]<span class="plainlinks">[https://xtools.wmflabs.org/ec/ko.wikipedia.org/Sadopaul 🧾]</span>)''' 2022년 4월 25일 (월) 01:27 (KST)


=== [[철산역]] 방화 사건 ([[2005년]]) ===
{{의견}} 좋은 글 요약판이 하나가 1500바이트 정도이고 181개면 대충 계산해도 21.7메가바이트가 되는데 양궁 문서에 들어갈 때마다 [[틀:역대 올림픽 양궁]]을 호출하는 것과 다르게 위키백과 대문에 들어갈 때마다 21.7메가바이트짜리 틀을 호출한다면 서버에 부담을 주고 웹 환경이 나쁜 사람들이 접속할 때 로딩이 느려질 여지가 있습니다. 영어판은 알찬 글 요약판이 날짜별로 있는데 8000개가 전부 따로 있습니다. --[[사용자:99LJH|99LJH]] 2022년 4월 20일 (수) 20:06 (KST)
{{본문|서울 지하철 7호선 방화 사건}}
[[2005년]] [[1월 3일]] 오전 7시 10분 경 [[철산역]]에서 방화 사건이 발생하였다. 목격자는 [[가산디지털단지역|가리봉역(現 가산디지털단지역)]]에서 탄 50대 중반의 [[남성]]이 [[신문지]]에 불을 붙인 뒤 김치통에서 인화 물질을 꺼내 불을 질렀다고 증언하였다. 전동차 안에서 연기가 나면서 승객 100여 명이 [[철산역]], [[광명사거리역]]에서 긴급 대피하는 소동이 일어났으며, 기관사가 긴급 소화작업을 벌인데다 승객이 많지 않아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다. [[경찰]]은 불을 지른 용의자인 강모 씨가 ‘생활고에 시달리다 자살을 결심하였고, 내 시체가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불을 질렀다’고 자백했다고 밝혔다. 이 사고로 3량이 전소되었고 65세 [[여성]]이 [[손]]에 1도 화상을 입었다.<ref>{{뉴스 인용
|제목 = 7호선 지하철 화재 "제보에 가장 의존할 수 밖에 없다"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79&aid=0000020718
|출판사 = 노컷뉴스
|저자 = 사회부
|쪽 =
|날짜 = 2005년 1월 5일
|확인날짜 =
}}</ref>이 사건으로 부족해진 차량은 [[서울 지하철 8호선]]에 사용되던 차량 중 일부를 차출하여, 기존의 차량과 재조합하여 충당하였다. 이후 [[가산디지털단지역|가리봉역(現 가산디지털단지역)]]은 당시 승강장 내장으로 사용되었던 가연성 소재의 인공암벽을 철거하였다.


=== [[수락산역]] - [[도봉산역]] 탈선 사건 ([[2019년]]) ===
:이 부분은 좀 더 고려해야 하겠네요. 실제로도 로딩 저하 문제가 생길지 관련해서 아시는 분의 의견을 구합니다. 통합한다 하더라도 몇년 단위로 쪼개서 2~3개로 분리하거나 정말 1줄로 추리는 게 나을 수도 있겠는걸요. [[사용자:밥풀떼기|밥풀떼기]] ([[사용자토론:밥풀떼기|토론]]) 2022년 4월 20일 (수) 20:29 (KST)
[[2019년]] [[5월 5일]] 오후 7시 20분께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 8000호대 전동차|7호선 1차분 717편성]]이 [[수락산역]]에서 [[도봉산역]]으로 향하던 중 [[탈선]]되어 승객들이 대피하는 소동을 빚었다.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이날 [[수락산역]]에서 출발한 장암행 열차가 [[도봉산역]] 도착 전 탈선하였다.
::그래서 영어판에 [[:en:Wikipedia:Article size|문서의 양 관련]] 정책이 있습니다. 맞긴 해요. [[사:Reiro|Reiro]] ([[사토:Reiro|토론]]) 2022년 4월 21일 (목) 15:10 (KST)
::긴 문서를 접속하려고 시도하는 경우 사용하는 기기,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성능에 따라 로딩 상태가 달라집니다. 제 기기 중 성능이 좋지 않은 것으로 긴 문서를 접속하려고 시도할 때, 매우 긴 문서는 로딩에 수 분이 걸리거나 아예 문서가 로딩이 되지 않아 문서 내용을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일부 사용자에게는 위키백과 접속에 장애를 줄 수 있는 부분인 만큼, 틀을 병합하였을 때 문서의 크기는 알맞은 기준을 정해 분리시키는 방법이 로딩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라고 봅니다. &#32;&mdash;&nbsp;[[사용자:Wikiwater2020|<span style="color:#6789CA;">Wikiwater2020</span>]]〔 [[사용자토론:Wikiwater2020|<span style="color:green;">'''&#10003;'''</span>]] ¦ [[특수:기여/Wikiwater2020|<span style="color:lightgreen;">✎</span>]] 〕 2022년 4월 22일 (금) 01:29 (KST)
:일단 [[:en:Wikipedia:Don't worry about performance|서버는 괜찮다고 가정해도 좋습니다]]. 그리고 21.7 MB는 너무 수치가 큰 것 같은데(1.5 kB * 180 = 270 kB), 혹시 계산을 어떻게 하셨을까요? [[특수:기여/106.101.2.40|106.101.2.40]] ([[사토:106.101.2.40|토론]]) 2022년 4월 21일 (목) 20:08 (KST)
::바이트하고 킬로바이트하고 헷갈렸고 71하고 17하고 헷갈렸어요. --[[사용자:99LJH|99LJH]] 2022년 4월 25일 (월) 22:33 (KST)


=== 수도권 전철 중앙선과의 연계 ===
:좋은글을 넣는다고 버퍼링이 더 생길것 같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너무 큰바이트의 문서를 넣을 경우엔 느릴것 같네요.. [[사:JaykateChang|JaykateChang]] ([[사토:JaykateChang|토론]]) 2022년 4월 21일 (목) 16:58 (KST)
7호선은 [[상봉역]] 인근에서 [[중앙선]]과 교차하나, [[수도권 전철 중앙선]]과의 환승역은 존재하지 않았다. [[2003년 9월]]에 중앙선 상에 환승역을 설치하는 결정이 내려졌고, [[2010년]] [[12월 21일]] 중앙선 상봉역이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함께 개통되었다.<ref>{{뉴스 인용
|제목 = <nowiki>[서울]</nowiki> 7호선 상봉역에서 중앙선 갈아탄다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00006275
|출판사 = 세계일보
|저자 = 연합뉴스
|쪽 =
|날짜 = [[2003년]] [[9월 18일]]
|확인날짜 =
}}</ref>


=== [[보라매역]] - [[신풍역]] 93분간 운행 중단 ===
=== 찬반 의견 ===
[[2020년]] [[1월 22일]] 보라매역을 출발해 신풍역으로 가는 열차가 도중 원인 불명의 고장으로 멈춰 신풍역에서 승객들을 모두 하차시켰다.<ref>[https://www.yna.co.kr/view/AKR20200122097901004?input=1195m 지하철 7호선 열차 고장…보라매-부평구청 93분간 운행중단] 출처: 연합뉴스</ref>


=== [[온수역]] - [[석남역]] 운행중단 위기 ===
{{찬성}} 알찬 글 개시의 경우 알찬 글을 대문에 노출시켜서 해당 문서에 트래픽을 증가시킴으로 잘못된 내용이나,Ip사용자의 기여 촉진,보충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찬성합니다.--[[사:녹차라떼|<span style="text-shadow: 3px 2px 4px green; color: #00FF00;">green tea latte</span>]]([[사토:녹차라떼|❕]],[[사:녹차라떼/질문방|❔]],[[특:기여/녹차라떼|🍵]]) 2022년 4월 18일 (월) 18:14 (KST)
[[2023년]] 2월 9일 경기도와 부천시, 서울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간 법적분쟁 진행중으로 해당 구간 운행이 중지될 위기에 처했다.<ref>[https://biz.sbs.co.kr/article/20000102498?division=NAVER 7호선 온수∼석남 운행 중단되나?...부천시·서울교통공사 '법적 공방'] 출처:SBS 비즈</ref> 하지만, 서울교통공사와 소송이 종료되고 운영사 변경시까지 인천교통공사에서 한시적으로 운행을 맡기로 하면서 일단락되었다.
:{{핑|녹차라떼}} 알찬 글은 이미 노출되고 있어요. 지금 좋은 글을 노출할지 토론하고 있는데... 동문서답을 하시네요.--[[특수:기여/118.221.199.12|118.221.199.12]] ([[사토:118.221.199.12|토론]]) 2022년 4월 19일 (화) 19:31 (KST)


== 연혁 ==
{{찬성}} --[[사:롤리팝|<span style="color:plum;text-shadow: 1px 1px 1px #ADD8E6"><templatestyles src="Ruby/styles.css" /><ruby><rb>'''•L.P•'''</rb><rp> (</rp><rt><span style="font-size:85%">Lollipop</span></rt><rp>)</rp></ruby></span>]]<sup>[[사토:롤리팝|🍭]][[특:기여/롤리팝|🍬]]</sup> 2022년 4월 18일 (월) 19:37 (KST)
* [[1990년]] [[12월 28일]]: [[장암역]] ~ [[건대입구역]] 구간 착공
* [[1994년]] [[1월 8일]]: [[건대입구역]] ~ [[온수역]] 구간 착공
* [[1996년]] [[10월 11일]]: [[장암역]] ~ [[건대입구역]] 구간 개통
* [[2000년]] [[2월 29일]]: [[건대입구역]] ~ [[신풍역]] 구간 개통
* [[2000년]] [[8월 1일]]: [[신풍역]] ~ [[건대입구역]] 구간 개통
* [[2001년]] [[1월 8일]]: 전 날 중부지방 대폭설(서울 19cm 대관령 90cm 적설) 과 당일 한파 영향으로 [[사가정역]] ~ [[중곡역]] 구간 전차선 차단 사고 발생 오전 전구간 운행중단.
* [[2001년]] [[3월 2일]]: 출근 시간대 [[노원역]] ~ [[건대입구역]] 구간 과혼잡으로 [[도봉산역]] 발 [[보라매역]] 종착 열차 1일 3회 추가 편성
* [[2003년]] [[9월 26일]]: [[온수역|온수~]][[부평구청역]] 연장 구간 착공
* [[2004년]] [[3월 29일]]: 역명을 '''광명역'''에서 '''[[광명사거리역]]'''으로 변경
* [[2005년]] [[1월 3일]]: [[철산역]]에서 [[서울 지하철 7호선 방화 사건]] 발생
* [[2005년]] [[7월 1일]]: 역명을 '''가리봉역'''에서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변경
* [[2008년]] [[9월 18일]]: 역명을 '''상도(중앙대앞)역'''에서 '''[[상도역]]'''으로 변경<ref>[http://event.seoul.go.kr/snews/data/CN_MST/%C1%A62862%C8%A3.pdf#page=20&view=FitV&scrollbar=1&toolbar=1&statusbar=1&messages=1&navpanes=1 서울특별시고시 제2008-317호], [[2008년]] [[9월 18일]].</ref>
* [[2010년]] [[10월 21일]]: 역명을 '''공릉(서울산업대입구)역'''에서 '''공릉(서울과학기술대)역'''으로 변경<ref>[http://event.seoul.go.kr/snews/data/CN_MST/%C1%A63005%C8%A3.pdf#page=11&view=FitV&scrollbar=1&toolbar=1&statusbar=1&messages=1&navpanes=1 서울특별시고시 제2010-360호], [[2010년]] [[10월 21일]].</ref>
* [[2011년]] [[7월 11일]]: [[까치울역]] ~ [[상동역 (부천)|상동역]] 구간 역명 확정
* [[2011년]] [[9월 26일]]: [[삼산체육관역]]과 [[굴포천역]]으로 역명 확정
* [[2012년]] [[10월 27일]]: [[온수역]]~[[부평구청역]] 구간 개통
* [[2014년]] [[7월 20일]]: [[부평구청역]] ~ [[석남역]] 구간 착공
* [[2019년]] [[12월 12일]]: [[장암역]] ~ 옥정역 구간 착공
* [[2019년]] [[12월 26일]]: 역명을 '''[[용마산역]]'''에서 '''용마산(용마폭포공원)역'''으로 변경<ref>[http://event.seoul.go.kr/snews/data/CN_MST/2019-%C1%A63558%C8%A3-pdf.pdf#page=9&view=FitV&scrollbar=1&toolbar=1&statusbar=1&messages=1&navpanes=1 서울특별시고시 제2019-430호], [[2019년]] [[12월 26일]].</ref>
* [[2021년]] [[5월 22일]]: [[부평구청역]] ~ [[석남역]] 구간 개통 및 [[산곡역]] ~ [[석남역]] 구간을 [[인천교통공사]]로 이관
* [[2022년]] [[1월 1일]]: [[까치울역]] ~ [[부평구청역]] 구간을 [[인천교통공사]]로 이관
* [[2022년]] [[3월 23일]]: [[석남역]] ~ [[청라국제도시역]] 구간 착공
* [[2027년]]: [[도봉산역]] ~ 옥정 구간 개통 예정


=== [[온수역]] 이남 연장 ===
{{찬성|강력}} [[사:폭풍의산맥|폭풍이 몰아치는밤...]] ([[사토:폭풍의산맥|토론]]) 2022년 4월 18일 (월) 19:58 (KST)
[[1990년대]] 초반부터 진행된 [[중동신도시]], 상동지구 입주에 따른 교통 혼잡을 빚고 있던 [[경기도]] [[부천시]] 중동, 상동 일대에 교통 편의를 제공하는 한편 과포화된 [[경인선]] 구간의 수요를 분산하기 위하여 7호선을 [[온수역]]부터 [[부평구청역]]까지 연장한 공사가 [[2005년 3월]] 착공되었으며<ref>{{뉴스 인용
|제목 = [수도권]지하철7호선 연장구간 착공
|url = http://news.donga.com/3/all/20050304/8165794/1
|출판사 = 동아일보
|저자 = 황금천
|쪽 =
|날짜 = [[2005년]] [[3월 4일]]
|확인날짜 =
}}</ref>, [[2012년]] [[10월 27일]]에 개통되었다. 연장 구간의 총 연장은 10.2 km이며, 부천시 구간에 6개와 인천광역시 구간에 3개로 총 9개 역이 소재한다. [[부천시]]의 재정난으로 공사가 약간 지연된 적이 있다.


[[2013년 2월]] [[부천시]]는 온수 ~ 부평구청 구간의 [[2012년]] 이용객 수는 하루 평균 8만 5629명이고 [[2013년 2월]] 한달간 총 이용객은 248만 5933명, 하루 평균 이용객이 8만 8784명으로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ref>
{{찬성}} --[[사:Hajoon0102|<span style="text-shadow: 3px 2px 4px blue; color: black;">Hajoon0102</span>]] [[사토:Hajoon0102|💬]] [[특:이메일보내기/Hajoon0102|📧]] 2022년 4월 18일 (월) 22:17 (KST)
{{뉴스 인용

|제목 = 서울지하철7호선 부천연장선 이용객 꾸준히 증가
{{찬성}} --[[사:종각역|종각역]] ([[사토:종각역|토론]]) 2022년 4월 18일 (월) 23:40 (KST)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6152697

|출판사 = 연합뉴스
{{찬성}} --[[사:Uconhe|<span style="color:#888888">'''Uconhe'''</span>]] [[사토:Uconhe|<sup>토</sup>]] [[특수:기여/Uconhe|<sub>끼</sub>]] 2022년 4월 19일 (화) 07:41 (KST)
|저자 = 김창선

|쪽 =
:찬성 의사를 내 주신 분들께서는 좋은글의 대문 노출에 찬성하시는건지, 아니면 현행 틀의 통합에 찬성하시는건지 최소한의 의견 개진을 부탁드리겠습니다. [[사용자:밥풀떼기|밥풀떼기]] ([[사용자토론:밥풀떼기|토론]]) 2022년 4월 19일 (화) 10:39 (KST)
|날짜 = [[2013년]] [[3월 18일]]
::좋은 글의 대문 노출, 틀의 통합 모두 찬성합니다! 요약 분량은 토론을 통해 지금보다는 짧지만 적당히 맞춰야 하겠습니다. -- [[사:Uconhe|<span style="color:#888888">'''Uconhe'''</span>]] [[사토:Uconhe|<sup>토</sup>]] [[특수:기여/Uconhe|<sub>끼</sub>]] 2022년 4월 19일 (화) 19:57 (KST)
|확인날짜 =

}}
좋은 글 표시, 틀 통합 모두 {{찬성}}합니다. 그런데 틀 통합은 좀 노력이 필요해 보이네요.--[[사용자:Bluehill|<span style="color: #008FFF;">na</span>]] ([[사용자토론:Bluehill|토론]]) 2022년 4월 19일 (화) 16:28 (KST)
</ref> [[2014년]] [[10월 30일]]은 부평구청역까지 연장된 7호선을 [[석남역]]까지 3.94km를 연장하는 사업이 착공되었다. 이 사업은 지역 주민들의 청원에 따라, [[2016년]] [[7월 30일]]에 개통되어 현재 운행중인 [[인천 도시철도 2호선]]과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2개 정거장을 추가 신설한 사업이다. [[2021년]] [[5월 22일]]에 7호선 부평구청-석남 구간이 개통되었는데, [[원적산터널]]을 관통하는 것이 특징이다.

틀 통합, 좋은 글의 대문 노출 모두 찬성합니다. 틀 통합으로 총의가 모이면 작업에 뛰어들 의향이 있습니다. &#32;&mdash;&nbsp;[[사용자:Wikiwater2020|<span style="color:#6789CA;">Wikiwater2020</span>]]〔 [[사용자토론:Wikiwater2020|<span style="color:green;">'''&#10003;'''</span>]] ¦ [[특수:기여/Wikiwater2020|<span style="color:lightgreen;">✎</span>]] 〕 2022년 4월 20일 (수) 17:43 (KST)

::모두 찬성합니다. --[[사:롤리팝|<span style="color:plum;text-shadow: 1px 1px 1px #ADD8E6"><templatestyles src="Ruby/styles.css" /><ruby><rb>'''•L.P•'''</rb><rp> (</rp><rt><span style="font-size:85%">Lollipop</span></rt><rp>)</rp></ruby></span>]]<sup>[[사토:롤리팝|🍭]][[특:기여/롤리팝|🍬]]</sup> 2022년 4월 20일 (수) 20:15 (KST)

개인적으로 글들의 요약에는 찬성하지만 굳이 181개나 되는 모든 요약판들을 굳이 틀 하나로 묶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선정/격하/해제 등으로 인해 요약판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경우에는 분리된 경우가 관리하기 쉽습니다. 위에서 99LJH님이 말씀하신 의견에도 동감입니다. --[[사:Whitetiger|<span style="color:gray;font-family:Courier new, serif;font-variant:small-caps;">White.t.</span>]] 2022년 4월 20일 (수) 22:15 (KST)

{{찬성}} 저도 좋은글을 대문에 노출하자는 제안에 대해 찬성합니다. 특히, '''[[사용자:Takipoint123/대문]]''' 페이지가 아주 알차게 잘 구성된 것 같습니다. [[사:Asadal|-- 아사달(Asadal)]] ([[사토:Asadal|토론]]) 2022년 4월 22일 (금) 00:32 (KST)

{{찬성}} --[[사:서이|<span style="rad:'cursive';rad:20;color:brake;text-shadow: 2px 3px 4px #00BFFF">서이</span>]][[사토:서이|<span style="font-family:'cursive';font-weight:100;color:grenade"><sup>토오론</sup></span>]] 2022년 4월 22일 (금) 13:02 (KST)

{{찬성}} [[백:대문|대문]] 페이지가 빈 공간 없이 괜찮을 것 같군요.<span class="unicode" style="color:black;text-shadow:0.1em 0.1em 0.1em #777777">[[사:대마법사 루이|<span style="color:Moccasin;">'''피자도우'''</span>]]</span><sup>[[사토:대마법사 루이|🍕]]</sup> 2022년 4월 22일 (금) 14:33 (KST)

{{찬성}} [[사:鄭叡謙|鄭叡謙]] ([[사토:鄭叡謙|토론]]) 2022년 4월 22일 (금) 17:05 (KST)

{{찬성}} 좋은 글의 대문 노출에 찬성합니다. -- [[사:Sangjinhwa|상진화 Sangjinhwa]] ([[사토:Sangjinhwa|토론]]) 2022년 4월 24일 (일) 18:47 (KST)

{{찬성}} *[[사:JaykateChang|JaykateChang]] ([[사토:JaykateChang|토론]]) 2022년 4월 23일 (토) 9:28 (KST)

좋은 글의 대문 노출에 대해서는 찬성합니다. 틀 통합 문제에 대해서는 따로 의견을 내지 않으려고 합니다. —&nbsp;<span style="font-family:'Linux Libertine','Georgia','Times',serif;"><small>[[user talk:About672599|best]] [[special:contribs/About672599|regards]],</small> [[user:About672599|''Shane Dreyer'']]</span> 2022년 4월 24일 (일) 19:24 (KST)

좋은 글 노출에는 찬성, 항목의 길이를 줄이자는 데에는 사진이 들어가지 않는다면 반대, 틀을 통합하자는 의견은 부하가 270kb정도라면 찬성합니다. 그나저나 여기는 "관련 틀 통합 문제" 문단인데 의견 문단 분리가 필요해보입니다.――'''[[사:Sadopaul|사도바울]] ([[사토:Sadopaul|💬]][[특:기여/Sadopaul|✍]]<span class="plainlinks">[https://xtools.wmflabs.org/ec/ko.wikipedia.org/Sadopaul 🧾]</span>)''' 2022년 4월 25일 (월) 01:29 (KST)
:분리했습니다!--[[특수:기여/175.223.15.137|175.223.15.137]] ([[사토:175.223.15.137|토론]]) 2022년 4월 25일 (월) 02:29 (KST)
::감사합니다. ――'''[[사:Sadopaul|사도바울]] ([[사토:Sadopaul|💬]][[특:기여/Sadopaul|✍]]<span class="plainlinks">[https://xtools.wmflabs.org/ec/ko.wikipedia.org/Sadopaul 🧾]</span>)''' 2022년 4월 25일 (월) 03:37 (KST)
좋은 글의 대문 노출은 {{찬성}}합니다. 틀 통합은 {{반대}}합니다.--'''Kind regards,''' '''[[사용자:Got_Your_Back_Everyday|<span style="color: orange; font-family:Gungsuh;">G_Y_B_E</span>]]''' '''([[사토:Got_Your_Back_Everyday|Tal_k]])''' 2022년 4월 25일 (월) 17:26 (KST)

좋은 글의 대문 노출에 {{찬성}}합니다만, <s>틀 통합에 대해서는 입장 없습니다.</s>{{의견 철회}} --[[사용자:기나ㅏㄴ/사|<span style="font-weight:bold;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blue;color:brown;">ginaan</span>]][[사용자토론:기나ㅏㄴ|<span style="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green;color:brown;">(˵⚈ε⚈˵)</span>]][[특:기여/기나ㅏㄴ|<sup>★</sup>]] 2022년 4월 27일 (수) 11:17 (KST)

{{찬성}} 좋은 글의 대문 노출은 찬성이나, 틀 통합은 잘 모르겠습니다. --[[사:Tetriscys|<span style="font-family:'cursive';font-weight:100;color:#FF69B4;text-shadow: 2px 3px 4px #00BFFF">Tetriscys</span>]][[사토:Tetriscys|<span style="font-family:'cursive';font-weight:100;color:#00FF00"><sup>poyo</sup></span>]] 2022년 4월 30일 (토) 06:15 (KST)

{{찬성}} [[사:鄭叡謙|鄭叡謙]] ([[사토:鄭叡謙|토론]]) 2022년 5월 2일 (월) 16:40 (KST)

좋은 글 노출은{{찬성}}이고 틀 통합은 {{반대}}합니다. '''핑 달아주세요'''[[사:캐리지나|''<span style="text-shadow: 0 0 4px violet; color: black;">Carry</span>''']][[사토:캐리지나|''<span style="text-shadow: 0 0 4px violet; color: blue;">jina</span>''']][[특:기여/캐리지나|<sup>❣❣</sup>]] 2022년 5월 6일 (금) 17:45 (KST)

틀 통합과 좋은 글 노출에 {{찬성|조건부}}

=== 분리: 틀 통합 관련 토론 ===
일단 어느정도 좋은 글 노출에 대한 총의는 마련된것 같습니다. 하지만 아직 틀 통합에 대한 의견 개진이 크게 되지 않은것 같아서 이곳에서 틀 통합에 관한 의견 표시를 해주시면 어떨까 합니다.--[[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5월 4일 (수) 16:06 (KST)

:{{찬성}} --[[사:롤리팝|<span style="color:plum;text-shadow: 1px 1px 1px #ADD8E6"><templatestyles src="Ruby/styles.css" /><ruby><rb>'''•L.P•'''</rb><rp> (</rp><rt><span style="font-size:85%">Lollipop</span></rt><rp>)</rp></ruby></span>]]<sup>[[사토:롤리팝|🍭]][[특:기여/롤리팝|🍬]]</sup> 2022년 5월 4일 (수) 16:54 (KST)
:{{반대}} 개인적으로 나쁜 생각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만, 다른 분들의 우려 처럼 반달 대처 및 기술적 우려 등으로 시행하려면 위험 부담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5월 4일 (수) 17:16 (KST)
:{{반대}} 틀을 통합해야 하는 큰 필요성을 못 느끼겠으며, 리스크가 생길까 우려됩니다. [[사용자:기나ㅏㄴ/사|<span style="font-weight:bold;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blue;color:brown;">ginaan</span>]][[사용자토론:기나ㅏㄴ|<span style="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green;color:brown;">(˵⚈ε⚈˵)</span>]][[특:기여/기나ㅏㄴ|<sup>★</sup>]] 2022년 5월 5일 (목) 01:24 (KST)
:딱히 찬반은 없지만 통합할 이유가 "나눠놓을 필요가 없다"뿐이면 다른 현상유지 의견 분들의 의견을 봤을 때 유지하는 게 더 나을 것 같습니다. 좀 더 지켜보겠습니다. [[사용자:LR0725|<span style="font-family=Courier; text-shadow: 0 0 4px lightblue; font weight:bold; color: black;">LR</span>]] [[사용자토론:LR0725|토론]] / [[Special:기여/LR0725|기여]] 2022년 5월 5일 (목) 01:35 (KST)
:{{반대}} 위에서 말한 의견과 같습니다. --[[사:Whitetiger|<span style="color:gray;font-family:Courier new, serif;font-variant:small-caps;">White.t.</span>]] 2022년 5월 5일 (목) 17:00 (KST)
: 좋은 글 수가 많아지면 틀도 방대해질텐데, 최근 이런 일([[위키백과:사랑방 (기술)/2022년 4월#틀 크기]])이 있어서 동일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까 우려됩니다. 글 수 증가에 따라 틀이 방대해질 때 미치는 편집의 어려움 또한 고려해보아야 합니다. --[[사용자:Ykhwong|ted]] ([[사용자토론:Ykhwong|토론]]) 2022년 5월 5일 (목) 17:05 (KST)
: {{반대}} 원래는 찬성했지만 위에서도 언급된 기술적인 문제 때문에 반대로 선회합니다.--[[사용자:Bluehill|<span style="color: #008FFF;">na</span>]] ([[사용자토론:Bluehill|토론]]) 2022년 5월 8일 (일) 09:47 (KST)

만약에 틀 통합을 하지 않는 것으로 유지된다면 대문에 소개될 좋은글의 분량을 어느 정도로 책정할지도 확실히 정해두어야 합니다. 아시다시피 통합한다면 하나만 수정하면 끝나지만 180여개로 유지된다면 기준을 확실히 정하고 작업을 들어가야 하기 때문이구요. 알찬글에 비해 좋은글은 짤막하게만 소개하자는 것이 본 토론의 개설 이유 중 하나였던 만큼 이 부분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길 바랍니다. --[[사용자:밥풀떼기|밥풀떼기]] ([[사용자토론:밥풀떼기|토론]]) 2022년 5월 7일 (토) 11:56 (KST)

:{{유지|현행}}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굳이 좋은 글의 분량을 바꿀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최상단에 노출되는것도 알찬 글이기 때문에 주객전도가 되는 일은 없을것 같습니다. 물론 화면비에 반응적인 대문이지만, 토론에서 다른 분들이 말씀하신것 처럼 시각적인 면에서도 현재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벡터 (2022)년이랑 더 잘 맞을것 같고요. 180개의 요약판을 전부 수정하는것은 노동력이 상당히 많이 요구되는 작업이기도 하고요. [[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5월 8일 (일) 09:49 (KST)
:{{유지}} 타키포인트님과 같은 의견입니다.--[[사용자:Bluehill|<span style="color: #008FFF;">na</span>]] ([[사용자토론:Bluehill|토론]]) 2022년 5월 8일 (일) 16:22 (KST)

:{{유지}} '''[[사:Trusovafan|<span style="color:Black;">Trusova</span>]][[사:Trusovafan|<span style="color:Red;">fan</span>]]'''([[사토:Trusovafan|<span style="color:Black;">토론</span>]], [[특:기여/Trusovafan|<span style="color:OrangeRed;">기여</span>]], [[특:기록/trusovafan|<span style="color:Black;">기록</span>]])<sup>[[트루소바|🖤]]<sup>[[크루엘라 (영화)|❤]]핑</sup></sup> 2022년 5월 8일 (일) 20:41 (KST)

:{{핑|Takipoint123}} 제가 좋은글을 짤막하게 소개했으면 하는 바람인 이유는, 현행 대문에서 왼편은 비교적 간단한 글줄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고 오른편은 여러 줄의 복잡한 컨텐츠로 구성되어 가독성이 다소 편중되어 있다고 느끼기 때문입니다. 이미 알찬글, 좋은글 소개란 이하로 '새로 들어온 소식', '오늘의 역사', '알고 계십니까' 등에서 소개되는 정보들로 포화를 이룬 상태에서, 알찬글 소개글과 똑같은 분량의 정보가 바로 아래에 자리잡는다면 사정이 더 어려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 시점에서 [[:ja:メインページ|일본어 위키백과 대문]]을 소개하지 않을 수가 없는데요. 이쪽의 경우 대표 알찬글 하나는 큰 비중으로 소개하고 나머지는 한두줄로 간략히 소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네 대문의 '알고 계십니까'의 구성과도 같은데, 이런 깔끔한 모습을 취하지 않을 이유가 없으리라고 생각합니다. 노동력이 상당히 요구되는 것이 우려되어 틀 통합을 말씀드렸지만 반대로 결론이 났기에, 그런 수고는 마땅히 수반되리라고 생각이 드네요. --[[사용자:밥풀떼기|밥풀떼기]] ([[사용자토론:밥풀떼기|토론]]) 2022년 5월 8일 (일) 21:30 (KST)
::좋은 글을 소개하지 않은 위키가 많기는 하지만, 일단 한국어 위키백과와 일본어 위키백과의 좋은 글과 알찬 글의 희소성을 봐야합니다. 일본어 위키백과는 알찬 글이 94개 밖에 선정이 안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한국어 위키백과 보다 문서수가 약 두 배 많은 위키가, 알찬 글이 더 적죠. 그에 비해, 좋은 글은 1753개가 선정되어 있죠.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는 알찬 글과 좋은 글의 수 차이가 백개도 안됩니다. 물론 좋은 글과 알찬 글의 질적 차이는 무시할 수 없지만, 현재 좋은 글에 관심을 더 부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제 생각에는 이미 알찬 글이 상단에 노출되어 있으니 좋은 글이 아래에 내려가면 큰 문제는 없을것 같네요. 추가적으로, 한국어 위키백과의 "알고 계십니까" 등의 정보는 총의로 이루어 지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총의가 이루어지는 알찬 글과 좋은 글에 비하면 중요도를 좀 낮게 잡아도 되지 않을까 싶네요. [[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5월 9일 (월) 02:44 (KST)
:{{찬성|조건부}} 좋은 글과 알찬 글에 차등을 두어야 하고, 대문을 간결히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밥풀떼기님의 의중에 동의합니다. 하지만 한두 줄 까지의 축소보다는 사진과 함께 한문단 정도의 길이로 (지금의 절반 정도) 줄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생각합니다. ――'''[[사:Sadopaul|사도바울]] ([[사토:Sadopaul|💬]][[특:기여/Sadopaul|✍]]<span class="plainlinks">[https://xtools.wmflabs.org/ec/ko.wikipedia.org/Sadopaul ℹ️]</span>)''' 2022년 5월 9일 (월) 23:52 (KST)

:{{찬성}} -[[사:jyoo1011|jyoo1011]] ([[사용자토론:jyoo1011|토론]]) 2022년 5월 10일 (화) 08:05 (KST)

{{ㄷ|밥풀떼기|사도바울|Whitetiger|Jyoo1011|Bluehill|LR0725|Trusovafan}}
일단 현재 나온 안대로 좋은 글 요약의 분량을 반 정도 단축한채 다시 만들어 보았습니다. 현재 일부 의견을 반영한 대문은 [[사용자:Takipoint123/대문2]]에서 보실수 있으며, 기존 제안된 대문은 [[사용자:Takipoint123/대문]]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축소하나 마냐 별 차이가 없고 그냥 밑에 빈 공간만 더 생긴듯한 느낌이 조금 드네요. --[[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5월 11일 (수) 10:49 (KST)

:일어판처럼 큰 덩어리의 상자로 묶어 아래 공간을 맞추는 건 어떨까요? [[사:Reiro|Reiro]] ([[사토:Reiro|토론]]) 2022년 5월 11일 (수) 19:53 (KST)
::빈공간 보다는 나은 방법이긴 하다만 긴 덩어리에 아무 내용이 없는것도 좀 거슬릴것 같네요. [[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5월 12일 (목) 11:43 (KST)

:좋은 글 글통합 모두 찬성합니다.--[[사:jyoo1011|jyoo1011]] ([[사용자토론:jyoo1011|토론]]) 2022년 5월 12일 (목) 12:26 (KST)
::{{ㄷ|jyoo1011}} 현재 여기 아래에 진행되는 토론은 글 통합이 아닌 좋은 글 노출시 "오늘의 좋은 글" 분량 단축에 대한것입니다. 좋은 글 및 틀 통합 토론은 위에 "분리: 틀 통합 관련 토론"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논점에서 벗어나지 말아주세요. [[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5월 12일 (목) 14:14 (KST)

:::{{ㄷ|Takipoint123}} 나중에라도 뭘 채우면 되니까요. 가변성을 위한 공간이라 해 두죠. [[사:Reiro|Reiro]] ([[사토:Reiro|토론]]) 2022년 5월 13일 (금) 01:15 (KST)
::::{{ㄷ|Reiro}} 일단 그건 미래에 무엇을 채을지 결정이 되고 나서 해도 문제될건 없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180개의 요약판을 전부 축소하는게 현 시점에는 노동력도 많이 요구되고 있기도 하고요. [[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5월 13일 (금) 12:33 (KST)
:::::축소야 크게 어려운 건 아닌데... 어느 쪽이든 빈 공간이 보여서 미관상 좋아보이진 않습니다. [[사:Reiro|Reiro]] ([[사토:Reiro|토론]]) 2022년 5월 13일 (금) 13:05 (KST)
:::::그러니까, 일어판마냥 큰 덩어리 상자로 묶자는 것입니다. 어느 쪽으로 결정되든 말입니다. [[사:Reiro|Reiro]] ([[사토:Reiro|토론]]) 2022년 5월 13일 (금) 13:05 (KST)
::::::아하 그렇군요. 좋은 글 축소를 안한다면 개인적으로 상자를 묶든 말든 큰 상관은 없습니다. [[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5월 13일 (금) 13:12 (KST)
:Reiro님 말씀 듣고 일어판 대문 보고 왔는데, 정말 좋네요. '큰 덩어리의 상자로 묶자'는 주장에 반대할 분이 계실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여기는 틀 통합에 대한 의견을 모으는 공간이니 큰 덩어리의 상자로 묶을지는 다른 문단에서 의견을 수렴한 뒤에 적용하는게 좋겠습니다. ――'''[[사:Sadopaul|사도바울]] ([[사토:Sadopaul|💬]][[특:기여/Sadopaul|✍]]<span class="plainlinks">[https://xtools.wmflabs.org/ec/ko.wikipedia.org/Sadopaul ℹ️]</span>)''' 2022년 5월 18일 (수) 09:16 (KST)

=== 대문 노출 ===
일단 좋은 글 노출에 관한 총의는 모인것 같은데, 분량 조정은 추후에 토론하고 게시하면 안될까 싶습니다. 토론이 방치되는 느낌이 있어서요. 추가적으로 코로나 정보박스는 어떻게 할지도 물어보고 싶습니다.--[[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5월 24일 (화) 20:05 (KST)

:코로나는 그냥 지우는게 제일 좋을듯 합니다. '''[[사:Trusovafan|<span style="color:Black;">Trusova</span><span style="color:Red;">fan</span>]]''' ([[사토:Trusovafan|💬]][[특:기여/Trusovafan|✍]][[특:기록/Trusovafan|🧾]][[특:이메일보내기/Trusovafan|📧]][[xtools:ec/ko.wikipedia.org/Trusovafan|ℹ️]][[특:차단/Trusovafan|❌]]) 2022년 5월 25일 (수) 18:57 (KST)
:지우는 게 나을 것 같습니다. -- [[사:기나ㅏㄴ/사|<span style="font-weight:bold;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blue;color:brown;">ginaan</span>]][[사토:기나ㅏㄴ|<span style="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green;color:brown;">(˵⚈ε⚈˵)</span>]][[특:기여/기나ㅏㄴ|<sup>★</sup>]] 2022년 5월 25일 (수) 18:59 (KST)
:코로나는 삭제해도 괜찮을 것 같다는 의견입니다. --[[사:LUENY|<span style="color:#00008B;text-shadow: 2px 1px 1px #ADD8E6"><templatestyles src="Ruby/styles.css" /><ruby><rb>•𝕃𝕌𝔼ℕ•</rb><rp> (</rp><rt>/루/엔/</rt><rp>)</rp></ruby></span>]]<sup>[[사토:LUENY|💬]][[특:기여/LUENY|✏]]</sup> 2022년 5월 25일 (수) 20:03 (KST)

[[위키백과토론:대문/보존문서9]], [[위키백과토론:대문/보존문서10]]에서 논의되었던 내용입니다. 위키백과 대문은 독자 중심이 아닌 편집자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입장엔 변화가 없으며, 좋은 글의 본문 노출에 반대합니다. <b>「[[사:Hoto Cocoa|<span style="color:#FFC0CB">코</span>]][[특:기여/Hoto Cocoa|<span style="color:#F6CAA7">코</span>]][[사토:Hoto Cocoa|<span style="color:#71400E">아</span>]]」</b> 2022년 6월 3일 (금) 19:01 (KST)

조금 더 적자면, 저는 알찬 글의 비중도 줄이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됩니다. 위키백과 대문에 온 사람들은 위키백과에 관심이 있다고 봐야하고, 이를 편집으로 유도시키는 것이 위키백과의 발전 가능성에 유익합니다. 굳이 알찬 글과 좋은 글을 노출시켜 관심을 분산하는 것이 어떠한 장점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다만 둘 다 한두줄 정도의 분량으로 나오는 정도는 납득 가능 할 것 같습니다. <b>「[[사:Hoto Cocoa|<span style="color:#FFC0CB">코</span>]][[특:기여/Hoto Cocoa|<span style="color:#F6CAA7">코</span>]][[사토:Hoto Cocoa|<span style="color:#71400E">아</span>]]」</b> 2022년 6월 3일 (금) 19:05 (KST)

:@[[사용자:Hoto Cocoa|Hoto Cocoa]] 왜 "편집자 중심의 공간"이 되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대문에 왔다고 반드시 관심이 있다고 봐야 할까요? 그냥 네이버나 구글 같은데다 위키백과 검색해서 들어오는 사람도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편집자로써, 사실 대문은 하루에 한두번 들어가볼까 말까 합니다. 보통은 그냥 [[특수:최근바뀜]]이나 보죠. [[사용자:Bluehill|<span style="color: #3BB0FF;">na</span>]] ([[사용자토론:Bluehill|토론]]) 2022년 6월 3일 (금) 21:31 (KST)
:: 그 부분에 대해서는 링크한 보존문서에서 긴 논의가 있었으니 참고 바랍니다. <b>「[[사:Hoto Cocoa|<span style="color:#FFC0CB">코</span>]][[특:기여/Hoto Cocoa|<span style="color:#F6CAA7">코</span>]][[사토:Hoto Cocoa|<span style="color:#71400E">아</span>]]」</b> 2022년 6월 3일 (금) 21:42 (KST)
:::꼭 편집자 중심이 되어야 한다더라도, 저는 알찬 글만큼 좋은 글도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빼거나 줄일 필요는 없다 생각합니다. 솔직히 말하자면 지금 대문도 (디자인은 세련되지만) 썩 맘에 들지는 않아요. [[사용자:Bluehill|<span style="color: #3BB0FF;">na</span>]] ([[사용자토론:Bluehill|토론]]) 2022년 6월 3일 (금) 22:17 (KST)
:::: 마음에 들지 않으시면 직접 새걸 만들어 오셔서 총의를 구해 바꾸실 수 있습니다. 또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대문 만든 사람한테 마음에 안든다고 하는건 기분이 썩 좋지 않습니다. na님의 의견은 잘 알겠습니다만 저는 알찬 글과 좋은 글이 주의를 환기시켜 커뮤니티를 묻히게 할 수 있다고 봅니다. <b>「[[사:Hoto Cocoa|<span style="color:#FFC0CB">코</span>]][[특:기여/Hoto Cocoa|<span style="color:#F6CAA7">코</span>]][[사토:Hoto Cocoa|<span style="color:#71400E">아</span>]]」</b> 2022년 6월 3일 (금) 22:24 (KST)

:{{핑|Takipoint123}} 핑답니다. '''[[사:Trusovafan|<span style="color:Black;">Trusova</span><span style="color:Red;">fan</span>]]''' ([[사토:Trusovafan|💬]][[특:기여/Trusovafan|✍]][[특:기록/Trusovafan|🧾]][[특:이메일보내기/Trusovafan|📧]][[xtools:ec/ko.wikipedia.org/Trusovafan|ℹ️]][[특:차단/Trusovafan|❌]]) 2022년 6월 3일 (금) 21:37 (KST)

{{ㄷ|Hoto Cocoa}} 개인적으로 단순히 편집자 위주의 때문이라는 이유로 좋은 글 노출을 반대하는것이 의아하군요. 이미 대문은 왼쪽이 커뮤니티 위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렇게 따지면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선정하지도 않는 "오늘의 그림"같은 항목은 아예 예전부터 없었어요 하고요.
만약 단순 편집자 위주의 대문이라는 이유 때문에 편집자들이 원하는 것을 추가하지 못하면, 도데체 무엇이 편집자를 위한 때문일까요?
그리고 확실히 현재 대문은 빈자리가 많고 보기 좋다고 하기는 힘드네요. 레거시 벡터 시절에는 괜찮았을지 몰라도, 기본 스킨까지 바뀐 만큼 어느정도 수정 사항이 필요 없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6월 4일 (토) 00:26 (KST)
:말씀하신대로 오늘의 그림 또한 없었으면 했습니다. 대문에 불만이 있으시면 저한테 뭐라 하지 마시고 직접 고치십시오. 만든 사람한테 대고 보기 싫다고 하면 굉장히 기분 나쁩니다. 지금의 대문은 총의에 따라 만들어졌고, 빈 자리가 생기는 것은 사용하는 기기의 resolution이나 브라우저 사이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b>「[[사:Hoto Cocoa|<span style="color:#FFC0CB">코</span>]][[특:기여/Hoto Cocoa|<span style="color:#F6CAA7">코</span>]][[사토:Hoto Cocoa|<span style="color:#71400E">아</span>]]」</b> 2022년 6월 4일 (토) 11:37 (KST)
::{{ㄷ|Hoto Cocoa}} 예를 든거지 제가 언제 없에고 싶다고 했습니까? 논점을 흐리지 마시고요. 그리고 단순히 "만든 사람"이라는 이유 때문에 비평을 할 수 없다는 법이 있습니까? 추가적으로 총의는 언제나 바뀔수 있기 때문에 현재 수많은 찬성 의견을 내신 분들에게 예전 총의를 들며 반대하는 것은 어느정도 실례라고 생각합니다만. [[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6월 4일 (토) 13:17 (KST)
:Hoto Cocoa님 의견에 논리상 문제가 있는 것도 아닌데 반박까지 할 이유는 없어보입니다. 한 사용자의 반대 의견 중 하나라고 받아들이면 좋겠습니다. 다만, 이미 제대로 된 토론을 통해 의견을 수렴한 결과 좋은 글을 노출하자는 의견이 대다수이기에, Hoto Cocoa님께서도 예전 논의와는 별개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사:기나ㅏㄴ/사|<span style="font-weight:bold;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blue;color:brown;">ginaan</span>]][[사토:기나ㅏㄴ|<span style="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green;color:brown;">(˵⚈ε⚈˵)</span>]][[특:기여/기나ㅏㄴ|<sup>★</sup>]] 2022년 6월 4일 (토) 12:05 (KST)
:: 네, 저도 해당 부분에 대해서는 인지하고 있고 하나의 의견으로만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b>「[[사:Hoto Cocoa|<span style="color:#FFC0CB">코</span>]][[특:기여/Hoto Cocoa|<span style="color:#F6CAA7">코</span>]][[사토:Hoto Cocoa|<span style="color:#71400E">아</span>]]」</b> 2022년 6월 4일 (토) 16:42 (KST)
:오늘의 그림 같은 경우에는 위키미디어 공용걸 그대로 가져다 표출하던거라서 유지하기로 결정된 것이었고요, 현재 방안대로 좋은 글 노출은 반대합니다. 1줄짜리로 바꾸면 모를까 글의 압박이 너무 큽니다. [[사용자:twotwo2019|L. Lycaon]] ([[사용자토론:twotwo2019|토론]] / [[특수:기여/twotwo2019|기여]]) 2022년 6월 4일 (토) 12:09 (KST)
::Lycon님 말씀대로 분량을 어느정도 조정하면 의견이 서로 수렴되지 않을까 싶네요. [[사:구순돌/사|<span style="font-family:system-ui;text-shadow:2px 3px 2px purple;color:gray;">👻Grrr👻</span>]][[사용자토론:구순돌|<span style="font-family:system-ui;text-shadow:2px 3px 2px purple;color:gray;">👻Grrr👻</span>]][[특:기여/구순돌|<sup>☮</sup>]] 2022년 6월 23일 (목) 17:56 (KST)
:{{의견}} 저도 좋은 글은 노출되었으면 합니다. [[사:구순돌/사|<span style="font-family:system-ui;text-shadow:2px 3px 2px purple;color:gray;">👻Grrr👻</span>]][[사용자토론:구순돌|<span style="font-family:system-ui;text-shadow:2px 3px 2px purple;color:gray;">👻Grrr👻</span>]][[특:기여/구순돌|<sup>☮</sup>]] 2022년 6월 23일 (목) 17:55 (KST)

{{알림}} {{노핑|*Youngjin}}님에 의해 코로나 정보는 제거됬습니다. '''[[사:Trusovafan|<span style="color:Black;">Trusova</span><span style="color:Red;">fan</span>]]''' ([[사토:Trusovafan|💬]][[특:기여/Trusovafan|✍]][[특:기록/Trusovafan|🧾]][[특:이메일보내기/Trusovafan|📧]][[xtools:ec/ko.wikipedia.org/Trusovafan|ℹ️]][[특:차단/Trusovafan|❌]]) 2022년 6월 8일 (수) 18:25 (KST)

:정정) {{노핑|Ykhwong}}님이 해당 배너를 지우셨습니다. --[[사:Whitetiger|<span style="color:gray;font-family:Courier new, serif;font-variant:small-caps;">White.t.</span>]] 2022년 6월 9일 (목) 08:11 (KST)
::이름이 비슷해서 햇갈렸군요. 죄송합니다. '''[[사용자:Trusovafan|Trusovafan]]''' ([[사토:Trusovafan|💬]][[특:기여/Trusovafan|✍]][[특:기록/Trusovafan|🧾]][[특:이메일보내기/Trusovafan|📧]][[xtools:ec/ko.wikipedia.org/Trusovafan|ℹ️]][[특:차단/Trusovafan|❌]]) 2022년 6월 9일 (목) 14:35 (KST)

방치된 느낌이 없잖은데, 반대 의견이 존재해도 찬성하는 분들이 더 많으면 그 방향대로 하는 게 맞지 않을까요? 이대로 끝나는 것도 좀 아닌 것 같아서요 --[[사:기나ㅏㄴ/사|<span style="font-weight:bold;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blue;color:brown;">ginaan</span>]][[사토:기나ㅏㄴ|<span style="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green;color:brown;">(˵⚈ε⚈˵)</span>]][[특:기여/기나ㅏㄴ|<sup>'''★'''</sup>]] 2022년 6월 23일 (목) 17:50 (KST)

:반대의 반박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이후에 유의미한 재반박이 나오지 않는데, 이대로 그냥 통과는 아니지 않을까요? [[위키백과:분쟁 해결]]에도 나오는 정책 내용입니다. [[사용자:twotwo2019|L. Lycaon]] ([[사용자토론:twotwo2019|토론]] / [[특수:기여/twotwo2019|기여]]) 2022년 6월 23일 (목) 22:37 (KST)
::딱히 반박하기도 그럽니다. 반대 의견은 개인 사용자들의 의견이고 논리상 문제가 있는 것도 아니긴 하죠. '''[[사용자:Trusovafan|Trusovafan]]''' ([[사토:Trusovafan|💬]][[특:기여/Trusovafan|✍]][[특:기록/Trusovafan|🧾]][[특:이메일보내기/Trusovafan|📧]][[xtools:ec/ko.wikipedia.org/Trusovafan|ℹ️]][[특:차단/Trusovafan|❌]]) 2022년 6월 23일 (목) 23:52 (KST)
::(추가) 즉, 개인 취향 차이라 생각됩니다. '''[[사용자:Trusovafan|Trusovafan]]''' ([[사토:Trusovafan|💬]][[특:기여/Trusovafan|✍]][[특:기록/Trusovafan|🧾]][[특:이메일보내기/Trusovafan|📧]][[xtools:ec/ko.wikipedia.org/Trusovafan|ℹ️]][[특:차단/Trusovafan|❌]]) 2022년 6월 27일 (월) 00:18 (KST)
::해당 답변을 늦게 읽었습니다. 애초에 개인별 생각 차이인 것을 반박까지 할 이유가 있을지 모르겠네요. 어느 쪽 의견 하나 틀린 게 없는데 재반박을 바라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 [[사:기나ㅏㄴ/사|<span style="font-weight:bold;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blue;color:brown;">ginaan</span>]][[사토:기나ㅏㄴ|<span style="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green;color:brown;">(˵⚈ε⚈˵)</span>]][[특:기여/기나ㅏㄴ|<sup>'''★'''</sup>]] 2022년 6월 27일 (월) 16:32 (KST)

위의 Takipoint님이 제안하신 두 안 중 하나에 동의합니다. 지금은 대문에 노출되지도 않는 좋은 글 요약판을 왜 만드는 건지 알 수 없습니다. 위의 코코아님 말씀에 동의하지 않는 것이, 대문의 조회수가 보통 30일 기준 90만 회에 이릅니다. 활동적인 인원수를 생각하면 이 중 절대다수는 편집에는 관심없는 인원인 게 자명합니다. [[사용자:LR0725|<span style="font-family=Courier; text-shadow: 0 0 4px lightblue; font weight:bold; color: black;">LR</span>]] [[사용자토론:LR0725|토론]] / [[Special:기여/LR0725|기여]] 2022년 6월 27일 (월) 16:37 (KST)

:동의합니다. 솔직히 지금 대문은 그 의의를 상실했다고 봅니다. [[사용자:Bluehill|<span style="color: #3BB0FF;">na</span>]] ([[사용자토론:Bluehill|토론]]) 2022년 6월 27일 (월) 18:02 (KST)

전에 분명히 말씀 드린것 처럼 분량에 관한 토론은 나중에 진행하고 일단은 대문에 추가하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이대로 두기에는 좋은 글 요약판을 만들고 보호하는 이유도 잘 모르겠고요.--[[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6월 29일 (수) 02:44 (KST)

:지금 현 분량인 상태에서 단순 노출은 절대 반대합니다. 오른쪽에 글만 가득 찬 상태에서 대문 디자인의 불균형이 더 심각해져 시각디자인 상으로 독자도 보기가 매우 힘들어집니다. 더군다나 좋은글을 노출할 경우 그 글은 첫 화면 시야 아래로 내려가는데 유용할 것이라 보이지 않습니다. [[사용자:twotwo2019|L. Lycaon]] ([[사용자토론:twotwo2019|토론]] / [[특수:기여/twotwo2019|기여]]) 2022년 6월 29일 (수) 02:49 (KST)
::[[사용자:Takipoint123/대문]]을 확인하시면 "알고 계십니까"를 왼쪽으로 옮겨서 디자인 불균형은 어느정도 해소될것이라 판단됩니다. 물론 옮기는게 꼭 "알고 계십니까"일 필요는 없고, 밸런스만 맞출수 있게 다른 것을 옮겨도 이의는 없습니다. [[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6월 29일 (수) 05:16 (KST)
:::옮긴다고 해도 글 자체의 양이 너무 늘어납니다. 글자가 늘어나면 독자의 시선이 분산되기 때문에 알찬글/좋은글 안내를 1문단 혹은 짧게 요약해서 정리해야 그 효율이 높아진다고 봅니다. [[사용자:twotwo2019|L. Lycaon]] ([[사용자토론:twotwo2019|토론]] / [[특수:기여/twotwo2019|기여]]) 2022년 6월 30일 (목) 01:31 (KST)
::::글의 양은 늘어나겠지만, 다른 위키를 참고하면 글의 양은 그래도 적은 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영어 위키백과만 해도 오늘의 그림에 긴 설명이 있으며, 월요일과 금요일에 경우 알찬 목록까지 소개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일본어 위키백과는 최근에 "강화된" 문서를 추가하고 있고 영어 위키백과도 여러 평가 제도를 통해 고품질 문서를 홍보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인적으로 크게 효율이 떨어진다는 생각이 들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한국어 위키백과는 딱히 그러한 제도가 마련되 있지 않으므로, 좋은 글 추가로 비슷한 홍보 효과를 누리는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추가적으로, (화면 해상도 차이를 감안해도) 현재 대문은 비대칭적이라는 사용자들의 의견이 여럿 확인되었습니다. 좋은 글을 현재 대문안대로 추가하면 그 문제도 어느정도 해소될것이라 생각됩니다. [[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2년 6월 30일 (목) 05:16 (KST)


== 노선 연장 ==
== 새로 들어온 소식의 편집에 접근이 어렵습니다. ==
===도봉산 ~ 옥정 구간===
{{본문|도봉산옥정선}}
[[경기도]] 북부 지역 택지지구 개발로 교통량 증가를 대비해 추진하였다. [[안병용]] 의정부시장, 현삼식 양주시장, [[서장원 (1958년)|서장원]] 포천시장 등은 [[2010년]] [[7월 6일]]에 의정부시청에서 7호선 북부구간 연장과 조기착공에 관한 공동 건의문에 서명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 지하철 7호선 경기북부 연장.조기 착공 '건의'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3367400
|출판사 = 연합뉴스
|저자 =
|쪽 =
|날짜 = [[2010년]] [[7월 6일]]
|확인날짜 =
}}</ref> 하지만 [[2010년 10월]] [[기획재정부]]가 해당 구간의 연장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하는 가운데 경제성이 낮은 노선이라는 중간 분석결과가 나왔다.<ref>{{뉴스 인용
|제목 = 지하철 7호선 연장에 목타는 경기 중북부
|url = https://www.yna.co.kr/view/AKR20100920117200060
|출판사 = 연합뉴스
|저자 = 김도윤
|쪽 =
|날짜 = [[2010년]] [[9월 23일]]
|확인날짜 =
}}</ref> 예비타당성 조사 중간결과 경제성이 낮다는 결과에도 [[의정부시]], [[양주시]], [[포천시]] 등지는 노선 길이 역 개수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수정하여 [[대한민국 국토해양부|국토해양부]]에 수정안을 재건의하였다.


노선을 계속 수정한 끝에, 총 네 개 역으로 이루어진 도봉산~양주 광역철도가 [[2018년]] [[1월 4일]]에 확정되었고<ref>[http://gwanbo.mois.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00000000000000001514936641282000&tocId=00000000000000001515399579289000&isTocOrder=N 대한민국관보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936호], [[2018년]] [[1월 4일]].</ref>, [[2024년]]까지 개통하는 것을 목표로 [[2019년]] [[12월 12일]]에 착공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지하철 7호선 경기북부 연장 18년 만에 '첫 삽' |url=https://www.yna.co.kr/view/AKR20191212096200060 |출판사=연합뉴스 |저자=김도윤 |날짜=2019-12-12 |확인날짜=2020-07-13 }}</ref> 한편, 고읍역(가칭, 양주시 고읍동)에서 포천시까지 이어지는 2차 연장 구간은 [[2019년]] [[1월 29일]]에 예비타당성 조사가 면제되어 추진이 확정되었다.<ref>{{뉴스 인용 |제목=7호선 서울 도봉산역-포천 구간 2026년 개통 |url=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90129500084 |출판사=서울신문 |저자=한상봉 |날짜=2019-01-29 |확인날짜= }}</ref> 의정부시에서는 이 노선이 민락동을 경유하는 방안을 추진하였으나 무산되었다.<ref>[http://www.newstow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3269 지하철 7호선, 의정부시 민락역 신설 및 노선변경 사실상 좌초]</ref>
대문에서 클릭으로 접근할 수 없고 문서명인 [[틀:새로 들어온 소식]]을 아는 사람만이 접근 가능한 것으로 보입니다. 수정되면 좋겠습니다. ――'''[[사:Sadopaul|사도바울]] ([[사토:Sadopaul|💬]][[특:기여/Sadopaul|✍]]<span class="plainlinks">[https://xtools.wmflabs.org/ec/ko.wikipedia.org/Sadopaul ℹ️]</span>)''' 2022년 10월 24일 (월) 22:40 (KST)


이후 옥정중앙역(가칭)에서 포천역(가칭) 구간의 연장도 논의되었으나 서울시가 서울의 시외 구간에 대해서 원칙적으로 직결 대신 평면 환승으로 추진 중이다.
:+[[:commons:오늘의 그림]]에서 그림을 가져왔다고 하는데 해당 링크가 없습니다. ――'''[[사:Sadopaul|사도바울]] ([[사토:Sadopaul|💬]][[특:기여/Sadopaul|✍]]<span class="plainlinks">[https://xtools.wmflabs.org/ec/ko.wikipedia.org/Sadopaul ℹ️]</span>)''' 2022년 11월 9일 (수) 01:44 (KST)
::오늘의 그림은 그림 설명을 제대로 표시하도록 수정했습니다. 새로 들어온 소식 같은 경우에는 [[백:새로 들어온 소식]]에서 틀 편집 안내를 추가하면 되지 않을까요? [[사용자:twotwo2019|L. Lycaon]] ([[사용자토론:twotwo2019|토론]] / [[특수:기여/twotwo2019|기여]]) 2022년 11월 9일 (수) 02:21 (KST)
:::음 한 번 만들어봤는데 이상하네요.. 그래픽쪽은 잘 못해서 ㅠㅠ 혹시 한 번 다듬어주실 수 있나요 ――'''[[사:Sadopaul|사도바울]] ([[사토:Sadopaul|💬]][[특:기여/Sadopaul|✍]]<span class="plainlinks">[https://xtools.wmflabs.org/ec/ko.wikipedia.org/Sadopaul ℹ️]</span>)''' 2022년 11월 11일 (금) 02:35 (KST)


[[2022년 1월]]에 착공할 예정이었다.<ref>[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11119MW142147728832 지하철 7호선 연장 ‘옥정∼포천 광역철도사업’, 내년 초 설계 착수 본격화] 출처:문화일보</ref>
== 코드 ==


=== [[석남역]] ~ [[청라국제도시역]] 구간 ===
[[사용자:Xnou/대문]]으로 만들긴 했는데 위치 조정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사:Xnou|Xnou]] ([[사토:Xnou|💬토론]] · [[사:Xnou/연습장|📝연습장]] · [[특:기여/Xnou|📈기여]]) 2022년 12월 9일 (금) 21:03 (KST)
현재 개통된 [[석남역]] 연장 구간에서 [[인천국제공항철도]] [[청라국제도시역]]까지 연장하는 사업이다. [[기획재정부]]로부터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에 선정되었고, [[석남역]]에서 [[청라국제도시역]] 구간까지 10.7km에 7개의 역사가 신설된다.<ref>{{인용
|제목 = 서울도시철도 7호선 타고 인천 청라국제도시까지 바로 간다.
|url = https://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86595
|웹사이트 =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저자 =
|날짜 = 2022-03-22
|확인날짜 = 2022-03-24
}}</ref> [[2022년]] [[3월 23일]]에 착공했으며, [[2028년]] 상반기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총사업비는 1조 2000억원 규모이므로, 역사 운영은 [[인천교통공사]]에서 관리할 예정이다.<ref>[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3991351 "서울지하철 7호선 청라 연장···내년 2월 착공·2027년 개통"]</ref><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16&aid=0001788943&lfrom=blog “7호선 석남 연장 3월 개통 준비 안전운행·서비스 품질향상 최선”]</ref>


== Earthbound unity ==
== 목록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85%;text-align:center;"
|-
!rowspan="2"|역<br>번호
!colspan="3"|역명
!rowspan="2"|접속 노선
!rowspan="2"|역간<br>거리
!rowspan="2"|누적<br>거리
!rowspan="2" colspan="2" | 소재지
|-style="border-bottom:solid 0.25em {{한국 철도 노선색|SM|7}};"
! 한글
! 로마자
! 한자
|-
! 709
| [[장암역|장암]]
| Jangam
| 長岩
|
| style="text-align: right;" | -
| style="text-align: right;" | 0.0
| [[경기도]]
| [[의정부시]]
|-
! 710
| [[도봉산역|도봉산]]
| Dobongsan
| 道峰山
| style="text-align: left;"| {{한국 도시철도|SM1}}
| style="text-align: right;" | 1.4
| style="text-align: right;" | 1.4
| rowspan="37"| [[서울특별시]]
| [[도봉구]]
|-
! 711
| [[수락산역|수락산]]
| Suraksan
| 水落山
|
| style="text-align: right;" | 1.6
| style="text-align: right;" | 3.0
| rowspan="7" | [[노원구]]
|-
! 712
| [[마들역|마들]]
| Madeul
|
|
| style="text-align: right;" | 1.4
| style="text-align: right;" | 4.4
|-
! 713
| [[노원역|노원]]
| Nowon
| 蘆原
|style="text-align: left;"| {{한국 도시철도|SM4}}
| style="text-align: right;" | 1.2
| style="text-align: right;" | 5.6
|-
! 714
| [[중계역|중계(한국성서대)]]
| Junggye(Korean Bible Univ.)
| 中溪(韓國聖書大)
|
| style="text-align: right;" | 1.1
| style="text-align: right;" | 6.7
|-
! 715
| [[하계역|하계(을지대 을지병원)]]
| Hagye(Eulji Medical Center)
| 下溪(乙支大乙支病院)
|
| style="text-align: right;" | 1.0
| style="text-align: right;" | 7.7
|-
! 716
| [[공릉역|공릉(서울과학기술대)]]<!-- 괄호까지 다 쓰는 것이 공식역명입니다. 부역명이 아니라 병기역명.-->
| Gongneung<br />(Seoul Nat'l Univ. of Science and Technology)
| 孔陵(서울科學技術大)
|
| style="text-align: right;" | 1.3
| style="text-align: right;" | 9.0
|-
! 717
| [[태릉입구역|태릉입구]]
| Taereung
| 泰陵入口
|style="text-align: left;"| {{한국 도시철도|SM6}}
| style="text-align: right;" | 0.8
| style="text-align: right;" | 9.8
|-
! 718
| [[먹골역|먹골]]
| Meokgol
|
|
| style="text-align: right;" | 0.9
| style="text-align: right;" | 10.7
| rowspan="6" | [[중랑구]]
|-
! 719
| [[중화역 (서울)|중화]]
| Junghwa
| 中和
|
| style="text-align: right;" | 0.9
| style="text-align: right;" | 11.6
|-
! 720
| [[상봉역|상봉(시외버스터미널)]]
| Sangbong(Intercity Bus Terminal)
| 上鳳(市外버스터미널)
|style="text-align: left;"| {{한국 도시철도|KR1}}<br />{{한국 도시철도|KR4}}<br />[[중앙선]]
| style="text-align: right;" | 1.0
| style="text-align: right;" | 12.6
|-
! 721
| [[면목역|면목]]
| Myeonmok
| 面牧
|
| style="text-align: right;" | 0.8
| style="text-align: right;" | 13.4
|-
! 722
| [[사가정역|사가정(녹색병원)]]
| Sagajeong(Green Hospital)
| 四佳亭(綠色病院)
|
| style="text-align: right;" | 0.9
| style="text-align: right;" | 14.3
|-
! 723
| [[용마산역|용마산(용마폭포공원)]]
| Yongmasan(Yongma Falls Park)
| 龍馬山(龍馬瀑布公園)
|
| style="text-align: right;" | 0.8
| style="text-align: right;" | 15.1
|-
! 724
| [[중곡역|중곡]]
| Junggok
| 中谷
|
| style="text-align: right;" | 0.9
| style="text-align: right;" | 16.0
| rowspan="5" | [[광진구]]
|-
! 725
| [[군자역|군자(능동)]]
| Gunja(Neung-dong)
| 君子(陵洞)
|style="text-align: left;"| {{한국 도시철도|SM5}}
| style="text-align: right;" | 1.1
| style="text-align: right;" | 17.1
|-
! 726
| [[어린이대공원역|어린이대공원(세종대)]]
| Children's Grand Park(Sejong Univ.)
| 어린이大公園(世宗大)
|
| style="text-align: right;" | 1.1
| style="text-align: right;" | 18.2
|-
! 727
| [[건대입구역|건대입구]]
| Konkuk University
| 建大入口
|style="text-align: left;"| {{한국 도시철도|SM2}}
| style="text-align: right;" | 0.8
| style="text-align: right;" | 19.0
|-
! 728
| [[뚝섬유원지역|뚝섬유원지]]
| Ttukseom Park
| 뚝섬遊園地
|
| style="text-align: right;" | 1.0
| style="text-align: right;" | 20.0
|-
! 729
| [[청담역|청담(한국금거래소)]]
| Cheongdam(Korea Gold Exchange)
| 淸潭(韓國金去來所)
|
| style="text-align: right;" | 2.0
| style="text-align: right;" | 22.0
| rowspan="4" | [[강남구]]
|-
! 730
| [[강남구청역|강남구청]]
| Gangnam-gu Office
| 江南區廳
|style="text-align: left;"| {{한국 도시철도|KR2}}
| style="text-align: right;" | 1.1
| style="text-align: right;" | 23.1
|-
! 731
| [[학동역|학동]]
| Hak-dong
| 鶴洞
|
| style="text-align: right;" | 0.9
| style="text-align: right;" | 24.0
|-
! 732
| [[논현역|논현]]
| Nonhyeon
| 論峴
|style="text-align: left;"| {{한국 도시철도|SBS}}
| style="text-align: right;" | 1.0
| style="text-align: right;" | 25.0
|-
! 733
| [[반포역|반포]]
| Banpo
| 盤浦
|
| style="text-align: right;" | 0.9
| style="text-align: right;" | 25.9
| rowspan="3" | [[서초구]]
|-
! 734
| [[고속터미널역|고속터미널]]
| Express Bus Terminal
| 高速터미널
|style="text-align: left;"| {{한국 도시철도|SM3}}<br />{{한국 도시철도|SM9}}
| style="text-align: right;" | 0.9
| style="text-align: right;" | 26.8
|-
! 735
| [[내방역|내방]]
| Naebang
| 內方
|
| style="text-align: right;" | 2.2
| style="text-align: right;" | 29.0
|-
! 736
| [[이수역|이수(총신대입구)]]
| Isu(Chongsin University)
| 梨水(總神大入口)
|style="text-align: left;"| {{한국 도시철도|SM4}} <br />
| style="text-align: right;" | 1.0
| style="text-align: right;" | 30.0
| rowspan="6" | [[동작구]]
|-
! 737
| [[남성역|남성]]
| Namseong
| 南城
|
| style="text-align: right;" | 1.0
| style="text-align: right;" | 31.0
|-
! 738
| [[숭실대입구역|숭실대입구(살피재)]]
| Soongsil Univ.(Salpijae)
| 崇實大入口
|
| style="text-align: right;" | 2.0
| style="text-align: right;" | 33.0
|-
! 739
| [[상도역|상도]]
| Sangdo
| 上道
|
| style="text-align: right;" | 0.9
| style="text-align: right;" | 33.9
|-
! 740
| [[장승배기역|장승배기]]
| Jangseungbaegi
|
|
| style="text-align: right;" | 0.9
| style="text-align: right;" | 34.8
|-
! 741
| [[신대방삼거리역|신대방삼거리]]
| Sindaebangsamgeori
| 新大方삼거리
|
| style="text-align: right;" | 1.2
| style="text-align: right;" | 36.0
|-
! 742
| [[보라매역|보라매]]
| Boramae
|
|style="text-align: left;"| {{한국 도시철도|SIM}}
| style="text-align: right;" | 0.8
| style="text-align: right;" | 36.8
| rowspan="3" | [[영등포구]]
|-
! 743
| [[신풍역|신풍]]
| Sinpung
| 新豊
|style="text-align: left;"|
| style="text-align: right;" | 0.9
| style="text-align: right;" | 37.7
|-
! 744
| [[대림역|대림(구로구청)]]
| Daerim(Guro-gu Office)
| 大林(九老區廳)
|style="text-align: left;"| {{한국 도시철도|SM2}}
| style="text-align: right;" | 1.4
| style="text-align: right;" | 39.1
|-
! 745
| [[남구로역|남구로]]
| Namguro
| 南九老
|
| style="text-align: right;" | 1.1
| style="text-align: right;" | 40.2
| [[구로구]]
|-
! 746
| [[가산디지털단지역|가산디지털단지(마리오아울렛)]]
| Gasan Digital Complex(Mario Outlet)
| 加山디지털團地
|style="text-align: left;"| {{한국 도시철도|SM1}}
| style="text-align: right;" | 0.8
| style="text-align: right;" | 41.0
| [[금천구]]
|-
! 747
| [[철산역|철산]]
| Cheolsan
| 鐵山
|
| style="text-align: right;" | 1.4
| style="text-align: right;" | 42.4
| rowspan="2" | [[경기도]]
| rowspan="2" | [[광명시]]
|-
! 748
| [[광명사거리역|광명사거리]]
| Gwangmyeongsageori
| 光明사거리
|
| style="text-align: right;" | 1.3
| style="text-align: right;" | 43.7
|-
! 749
| [[천왕역|천왕]]
| Cheonwang
| 天旺
|
| style="text-align: right;" | 1.7
| style="text-align: right;" | 45.4
| rowspan="2" | [[서울특별시]]
| rowspan="2" | [[구로구]]
|-
! 750
| [[온수역|온수(성공회대입구)]]
| Onsu(Sungkonghoe Univ.)
| 溫水(聖公會大入口)
|style="text-align: left;"| {{한국 도시철도|SM1}}
| style="text-align: right;" | 1.5
| style="text-align: right;" | 46.9
|-
! 751
| [[까치울역|까치울]]
| Kkachiul
|
|
| style="text-align: right;" | 2.2
| style="text-align: right;" | 49.1
| rowspan="6" |[[경기도]]
| rowspan="6" |[[부천시]]
|-
! 752
| [[부천종합운동장역|부천종합운동장]]
| Bucheon Stadium
| 富川綜合運動場
|style="text-align: left;"| {{한국 도시철도|SW}}
| style="text-align: right;" | 1.2
| style="text-align: right;" | 50.3
|-
! 753
| [[춘의역|춘의]]
| Chunui
| 春衣
|
| style="text-align: right;" | 0.9
| style="text-align: right;" | 51.2
|-
! 754
| [[신중동역|신중동]]
| Sinjung-dong
| 新中洞
|
| style="text-align: right;" | 1.0
| style="text-align: right;" | 52.2
|-
! 755
| [[부천시청역|부천시청]]
| Bucheon City Hall
| 富川市廳
|
| style="text-align: right;" | 1.1
| style="text-align: right;" | 53.3
|-
! 756
| [[상동역 (부천)|상동]]
| Sang-dong
| 上洞
|
| style="text-align: right;" | 0.9
| style="text-align: right;" | 54.2
|-
! 757
| [[삼산체육관역|삼산체육관]]
| Samsan Gymnasium
| 三山體育館
|
| style="text-align: right;" | 1.1
| style="text-align: right;" | 55.3
| rowspan="7" | [[인천광역시]]
| rowspan="4" | [[부평구]]
|-
! 758
| [[굴포천역|굴포천]]
| Gulpocheon
| 掘浦川
|
| style="text-align: right;"| 0.9
| style="text-align: right;"| 56.2
|-
! 759
| [[부평구청역|부평구청 (세림병원)]]
| Bupyeong-gu Office
| 富平區廳(世林病院)
| style="text-align: left;"| {{한국 도시철도|IC1}}
| style="text-align: right;" | 0.9
| style="text-align: right;" | 57.1
|-
! 760
| [[산곡역|산곡]]
| Sangok
| 山谷
|
| style="text-align: right;" | 1.6
| style="text-align: right;" | 58.7
|-
|-
! 761
| [[석남역|석남(거북시장)]]
| Seongnam(Geobuk Market)
| 石南(거북市場)
|style="text-align: left;"| {{한국 도시철도|IC2}}
| style="text-align: right;" | 2.3
| style="text-align: right;" | 61.0
| rowspan="1" |[[서구]]
|}


== 이용객 변동 ==
Earthbound unity is an English idiom that symbolizes the Earth in unity. Earthbound means belonging to the Earth, and Unity means united as one. Therefore, Earthbound unity refers to a state in which people on Earth unite and cooperate as one. [[사:Pie-nea|Pie-nea]] ([[사토:Pie-nea|토론]]) 2023년 5월 30일 (화) 10:49 (KS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right; font-size: 85%;"
! rowspan="2" | 구분
! colspan="10"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rowspan="2" style="width: 1.2em; white-space: normal;" | 각주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승차
| 379,779
| 494,695
| 538,815
| 561,716
| 569,203
| 580,129
| 584,310
| 586,622
| 594,605
| 597,680
|rowspan=11|<ref>[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ref>
|-
| 하차
| 367,202
| 474,128
| 517,082
| 540,988
| 543,353
| 562,401
| 565,224
| 568,511
| 578,046
| 582,540
|-
| 승하차
| 746,980
| 968,823
| 1,055,897
| 1,102,704
| 1,112,557
| 1,142,529
| 1,149,535
| 1,155,133
| 1,172,651
| 1,180,220
|-
! 구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승차
| 621,672
| 643,539
| 658,789
| 726,596
| 740,387
| 732,528
| 722,768
| 709,145
| 710,023
| 717,784
|-
| 하차
| 607,916
| 629,371
| 645,634
| 709,726
| 723,878
| 716,732
| 707,896
| 696,626
| 698,646
| 706,260
|-
| 승하차
| 1,229,588
| 1,272,911
| 1,304,423
| 1,436,322
| 1,464,265
| 1,449,260
| 1,430,664
| 1,405,771
| 1,408,669
| 1,424,044
|-
! 구분
! 2020년
|-
| 승차
| 550,274
|-
| 하차
| 541,950
|-
| 승하차
| 1.092,224
|}


<gallery class="center">
== 대문에 KIWI 추가 ==
파일:Seoul Metro 7000-Series.jpg|서울 지하철 7000 시리즈 EMU
파일:SMRT_EMU_SR002.jpg|서울 지하철 SR000 시리즈 EMU (SR002)
파일:SMRT_EMU_SR005.jpg|서울 지하철 SR000 시리즈 EMU (SR005)
</gallery>


== 각주 ==
* [[사용자:*Youngjin/대문/1안]]
<references/>
한국어 위키백과와 위키미디어 커뮤니티의 다양한 소식을 전하고 있는 만큼, KIWI 소식지를 대문에 링크라도 노출시키는 것이 좋은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링크 박스를 추가했는데, 관련해서 총의를 얻고자 합니다.--[[사용자:*Youngjin|*Youngjin]] ([[사용자토론:*Youngjin|토론]]) 2023년 7월 12일 (수) 13:56 (KST)


{{위키공용분류}}
:{{좋아요}} [[사:기나ㅏㄴ/사|<span style="font-weight:bold;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blue;color:brown;"><ruby><rb>ginaan</rb><rt>기나ㅏㄴ</rt></ruby></span>]][[사토:기나ㅏㄴ|<span style="font-family:Gungsuh;text-shadow:3px 2px 3px green;color:brown;">(˵⚈ε⚈˵)</span>]][[특:기여/기나ㅏㄴ|<span style="color:#2B00FF;text-shadow:3px 2px 3px skyblue;"><sup>'''★'''</sup></span>]] 2023년 7월 28일 (금) 14:15 (KST)
:{{찬성}}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면 좋겠습니다. ⸺[[사:RdkheR|🧂<span style="font-weight: 600">RdxxeR</span>]] [[사토:RdkheR|<span style="font-size:smaller; color:mediumblue">(토론)</span>]] 2023년 7월 28일 (금) 14:17 (KST)
:{{찬성}} [[사:Altostratus|Leedors]] ([[사토:Altostratus|토론]]) 2023년 7월 29일 (토) 16:43 (KST)
:{{반대}} 제가 이해하기로는 1년에 4번 정도 업데이트 되는 것 같은데, 그러면 차라리 발간 후 1개월 동안 site notice 등에 삽입하는 편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 '''[[사:Sadopaul|사도바울]] ([[사토:Sadopaul|💬]][[특:기여/Sadopaul|✍]]<span class="plainlinks">[https://xtools.wmflabs.org/ec/ko.wikipedia.org/Sadopaul ℹ️]</span>)''' 2023년 8월 5일 (토) 23:45 (KST)
:{{반대}} 사도바울님 의견과 갈음합니다. 조금 더 자주 나오면 충분히 대문에 기재할만 할 것 같네요 :) [[사용자:Takipoint123|<span style="text-shadow: 3px 2px 3px lightgreen; color:#0B6623;">Takipoint123</span>]] ([[사용자토론:Takipoint123|<span style="color:#5A4CF;">💬</span>]]) 2023년 8월 10일 (목) 11:45 (KST)


{{대한민국 도시 철도}}
== 3.0 → 4.0으로 수정 요청 ==
{{서울특별시의 교통}}
{{경기도의 교통}}
{{의정부시의 교통}}
{{양주시의 교통}}
{{포천시의 교통}}
{{광명시의 교통}}
{{부천시의 교통}}
{{인천광역시의 교통}}
{{수도권 전철 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분류:서울 지하철 7호선| ]]
{{보호 편집 요청}}
[[분류:1996년 개통한 철도 노선]]
대문에는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복사, 수정과 배포가 자유롭고 상업적 목적의 사용도 가능합니다."라고 적혀 있지만 최근에 라이선스가 4.0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해당 부분의 수정을 요청합니다.--🐱[[사:괭이는냥이|<span style="background-color:maroon; color:white;">괭이는냥이</span>]]🐱 ([[사토:괭이는냥이|🗨️🐱]]) 2023년 8월 15일 (화) 19:22 (KST)
[[분류:의정부시의 교통]]
[[분류:양주시의 교통]]
[[분류:포천시의 교통]]
[[분류:광명시의 교통]]
[[분류:부천시의 교통]]
[[분류:서울특별시의 철도 교통]]
[[분류:인천광역시의 철도 교통]]
[[분류:경기도의 철도 교통]]
[[분류:2000년 개통한 철도 노선]]

2023년 11월 25일 (토) 09:48 판

틀:수도권 전철 7호선 표

수도권 전철 7호선경기도 의정부시장암역에서 인천광역시 서구석남역을 잇는 61.3km 서울교통공사인천교통공사도시 철도 노선이다. 수도권 전철서울 지하철의 일부를 구성하며, 서울특별시의 2기 지하철 계획의 일환으로 건설되었다. 노선의 색은 카키색이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우측통행이다.

운영

일부 지상 구간(장암 - 도봉산 - 수락산(지하), 건대입구(지하) - 뚝섬유원지 - 청담(지하))이 존재하고 나머지 대부분의 구간은 지하다.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서울교통공사의 보유차량, 승무원, 노선별 제약 요인 등을 고려하여, 서울교통공사인천교통공사 등 두 양사간의 협의를 통하여 수립된다.

서울 지하철 7호선과 함께 수도권 전철 7호선을 이루며, 여객 안내 등에서는 두 노선이 구분이 이루어지지 않고 단지 "(서울 지하철) 7호선"으로만 통상적으로 분류된다. 열차 승무나 역무, 열차 통제, 역사 시설물 관리 등은 서울교통공사의 보유차량, 승무원, 노선별 제약 요인 등을 고려하여, 서울교통공사인천교통공사 등 두 양사간의 협의를 통하여 수립된다.

더욱이, 7호선 일부 구간 중 인천 구간은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2호의 나목을 충족하지 않아 인천 도시철도로 엄연히 분류되기 때문에, 7호선 인천 구간의 열차 승무는 인천교통공사에서 수탁하고, 치안 서비스는 인천광역시경찰청 소속 지하철 경찰대를 비롯한 국토교통부 산하의 서울지방철도특별사법경찰대에서 두 양사가 전담한다. 부천 구간은 서울교통공사와 법적 분쟁이 걸려있어 소송이 끝나고 운영사가 변경되기 전까지는 운영.승무를 인천교통공사가 한시적으로 맡는다.

열차 운행

연결선

도봉산역 인근에 경원선과, 태릉입구역 인근에 서울 지하철 6호선과 이어지는 연결선이 존재한다. 도봉산역 인근의 연결선은 1996년 10월 11일 장암역 - 건대입구역 구간 개통 당시 7호선 차량 반입에, 태릉입구역의 연결선은 6호선 차량 반입에 사용되었으며, 현재도 태릉입구역 인근의 연결선은 6호선 차량이 중검수를 위하여 도봉차량사업소까지 오가는 데에 사용된다.

2000년 2월 29일 7호선 신풍역 - 온수역 구간 개통 당시는 중간의 건대입구역 ~ 신풍역 구간이 개통되지 않아 도봉산역의 연결선을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경인선 오류동역에서 천왕차량사업소까지 임시 선로를 부설하여 이를 통하여 차량을 반입하였다. 이 선로는 같은 해 8월 1일 신풍역 - 건대입구역 구간 개통 이후에 철거되었다.

차량

주요 사건 사고와 논쟁

건대입구역 강북 구간 침수

태릉입구역과 주변 11개 역

1998년 5월 2일 오전 7시 40분쯤, 전날인 5월 1일부터 수도권 지역에 내린 집중호우중랑천이 범람하였다. 당시 612공구에서 중랑천에서 개착공사가 진행되고 있었고, 이 공사로 140 m 너비의 중랑천을 양쪽에서 각각 50m와 20m짜리 둑으로 막으면서 강의 너비가 절반으로 줄어든 상태였다. 이 상황에서 집중호우로 불어난 물이 둑을 덮치면서 서울 지하철 6호선 공사장으로 밀려들었고, 이 물은 높이 4m의 물막이벽을 넘고 환승 통로를 통하여 태릉입구역을 침수시켰다.

태릉입구역이 물에 잠기자 주변의 마들역, 노원역, 중계역, 하계역, 공릉역, 먹골역, 중화역, 상봉역, 면목역, 사가정역 등을 비롯한 11개 역이 침수되었다. 이에 따라 건대입구역 ~ 도봉산역간의 열차 운행이 중지되었다. 태릉입구역은 승강장이 있는 지하 4층부터 대합실이 있는 지하 1층까지 물이 차 올랐다. 7호선의 변전소 1곳, 역사 전기실 7곳, 신호기계실 5곳, 통신기계실 7곳 등 지하철을 운행하는 데 핵심적인 설비들이 모두 물에 잠겼다.

침수는 북쪽 수락산역과 남쪽 용마산역에서 멈추었다. 도봉산역 ~ 건대입구역 구간에서 태릉입구역이 표고가 가장 낮았고, 북쪽 수락산역태릉입구역보다 21 m가, 남쪽의 용마산역은 11 m가 높기 때문이었다. 남쪽으로 물이 더 유입되었을 경우 연결된 환승 통로를 통하여 대형 참사가 발생할 수도 있었다.[1][2][3][4]

다음날인 5월 3일부터 11개역에서 동시에 물빼기 작업을 시행하였으나, 양수기가 부족한 탓에 80여만 톤에 이르는 많은 물을 빼는 데 1주일 이상이 소요되었다. 또한 AFC(역무자동화설비) 등 각종 전자기기도 침수되어 완전히 복구하려면 시간이 1개월 이상 필요하였다. 하지만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5월 11일 오후 5시부터 15분 간격으로 운행을 재개하였다. 임시로 운행하는 동안 ATC의 도움을 받지 않고 수동으로 운행하였고, 역내 설비도 침수되어 전광판 등도 사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그 동안 침수된 구간은 오후 10시까지만 운행하고 나머지 시간에 복구작업을 시행하였다. 6월 17일부터는 ATC 등의 복구가 완료되면서 배차간격을 10분으로 줄였고, 8월 3일부터는 임시 운행 시간을 자정까지 2시간 연장하였다. 9월 16일부터 출퇴근 시간 운행간격이 7분으로 줄어들었다.[5][6][7][8][9][10][11][12][13][14][15][16][17][18]

1998년 8월 6일: 도봉산역

1998년 5월 2일에 첫 번째 침수가 일어난 이후 복구 작업을 벌이는 도중, 그 해 8월 6일 새벽에 또 다시 경기 북부 지역에 집중호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지상 구간인 도봉산역의 선로에 물이 차올라 이 날은 오전 5시 첫차부터 운행이 전면적으로 중단되었다. 이는 앞서 그 해 5월태릉입구역에서 발생한 침수를 복구하는 공사가 완료되지 않아, 1개 역이라도 침수되면 모든 역에서의 운행을 중단시켜야 하였기 때문이었다.

도봉산역은 철로 (고가)보다 역사가 낮기 때문에 침수 피해가 빈번하게 일어날 수밖에 없다. 이 날에 일어난 사고 역시 경원선 도봉산역을 침수시킨 물이 7호선 환승 통로로 흘러들면서 발생한 것이었다. 이 사고로 도봉산역 - 건대입구역간 열차 운행이 전면적으로 중단되었다. 같은 해 5월에 침수 사고를 겪었던 7호선 태릉입구역은 다시 지하 2 - 4층이 모두 물에 잠겼다. 사고가 발생한 지 나흘이 지난 8월 9일에 임시로 복구되었다.[19]

침수 피해의 복구

7호선은 해를 넘겨서, 이듬해인 1999년 1월 4일 상봉변전소와 도봉산역 전기·설비분야의 복구 공사가 마무리되면서 완전히 복구되어 정상적으로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피해액은 시설 복구비 379억원에 영업 손실 100억 여 원 등 모두 48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하지만 같은 해 8월 3일도봉산역이 다시 침수됨에 따라 결국 도봉산역의 주요 설비를 2층으로 옮기게 되었다.[20]

고속터미널역의 침수 (2001년)

2001년 7월 15일에 발생한 37년 만의 집중호우 때문에 고속터미널역이 침수되어 고속터미널역 - 강남구청역간의 열차운행이 중단되었다. 침수는 범람한 반포천의 빗물이 인근 센트럴시티 빌딩 지하 2층 주차장을 통하여 승강장으로 유입되면서 발생하면서 선로가 2~3 m 침수되었고 승강장이 물에 잠겼으며, 7월 17일 복구가 완료되어 운행이 재개되었다.[21][22]

철산역 방화 사건 (2005년)

2005년 1월 3일 오전 7시 10분 경 철산역에서 방화 사건이 발생하였다. 목격자는 가리봉역(現 가산디지털단지역)에서 탄 50대 중반의 남성신문지에 불을 붙인 뒤 김치통에서 인화 물질을 꺼내 불을 질렀다고 증언하였다. 전동차 안에서 연기가 나면서 승객 100여 명이 철산역, 광명사거리역에서 긴급 대피하는 소동이 일어났으며, 기관사가 긴급 소화작업을 벌인데다 승객이 많지 않아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다. 경찰은 불을 지른 용의자인 강모 씨가 ‘생활고에 시달리다 자살을 결심하였고, 내 시체가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불을 질렀다’고 자백했다고 밝혔다. 이 사고로 3량이 전소되었고 65세 여성에 1도 화상을 입었다.[23]이 사건으로 부족해진 차량은 서울 지하철 8호선에 사용되던 차량 중 일부를 차출하여, 기존의 차량과 재조합하여 충당하였다. 이후 가리봉역(現 가산디지털단지역)은 당시 승강장 내장으로 사용되었던 가연성 소재의 인공암벽을 철거하였다.

수락산역 - 도봉산역 탈선 사건 (2019년)

2019년 5월 5일 오후 7시 20분께 7호선 1차분 717편성수락산역에서 도봉산역으로 향하던 중 탈선되어 승객들이 대피하는 소동을 빚었다.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이날 수락산역에서 출발한 장암행 열차가 도봉산역 도착 전 탈선하였다.

수도권 전철 중앙선과의 연계

7호선은 상봉역 인근에서 중앙선과 교차하나, 수도권 전철 중앙선과의 환승역은 존재하지 않았다. 2003년 9월에 중앙선 상에 환승역을 설치하는 결정이 내려졌고, 2010년 12월 21일 중앙선 상봉역이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함께 개통되었다.[24]

보라매역 - 신풍역 93분간 운행 중단

2020년 1월 22일 보라매역을 출발해 신풍역으로 가는 열차가 도중 원인 불명의 고장으로 멈춰 신풍역에서 승객들을 모두 하차시켰다.[25]

온수역 - 석남역 운행중단 위기

2023년 2월 9일 경기도와 부천시, 서울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간 법적분쟁 진행중으로 해당 구간 운행이 중지될 위기에 처했다.[26] 하지만, 서울교통공사와 소송이 종료되고 운영사 변경시까지 인천교통공사에서 한시적으로 운행을 맡기로 하면서 일단락되었다.

연혁

온수역 이남 연장

1990년대 초반부터 진행된 중동신도시, 상동지구 입주에 따른 교통 혼잡을 빚고 있던 경기도 부천시 중동, 상동 일대에 교통 편의를 제공하는 한편 과포화된 경인선 구간의 수요를 분산하기 위하여 7호선을 온수역부터 부평구청역까지 연장한 공사가 2005년 3월 착공되었으며[30], 2012년 10월 27일에 개통되었다. 연장 구간의 총 연장은 10.2 km이며, 부천시 구간에 6개와 인천광역시 구간에 3개로 총 9개 역이 소재한다. 부천시의 재정난으로 공사가 약간 지연된 적이 있다.

2013년 2월 부천시는 온수 ~ 부평구청 구간의 2012년 이용객 수는 하루 평균 8만 5629명이고 2013년 2월 한달간 총 이용객은 248만 5933명, 하루 평균 이용객이 8만 8784명으로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31] 2014년 10월 30일은 부평구청역까지 연장된 7호선을 석남역까지 3.94km를 연장하는 사업이 착공되었다. 이 사업은 지역 주민들의 청원에 따라, 2016년 7월 30일에 개통되어 현재 운행중인 인천 도시철도 2호선과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2개 정거장을 추가 신설한 사업이다. 2021년 5월 22일에 7호선 부평구청-석남 구간이 개통되었는데, 원적산터널을 관통하는 것이 특징이다.

노선 연장

도봉산 ~ 옥정 구간

경기도 북부 지역 택지지구 개발로 교통량 증가를 대비해 추진하였다. 안병용 의정부시장, 현삼식 양주시장, 서장원 포천시장 등은 2010년 7월 6일에 의정부시청에서 7호선 북부구간 연장과 조기착공에 관한 공동 건의문에 서명하였다.[32] 하지만 2010년 10월 기획재정부가 해당 구간의 연장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하는 가운데 경제성이 낮은 노선이라는 중간 분석결과가 나왔다.[33] 예비타당성 조사 중간결과 경제성이 낮다는 결과에도 의정부시, 양주시, 포천시 등지는 노선 길이 역 개수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수정하여 국토해양부에 수정안을 재건의하였다.

노선을 계속 수정한 끝에, 총 네 개 역으로 이루어진 도봉산~양주 광역철도가 2018년 1월 4일에 확정되었고[34], 2024년까지 개통하는 것을 목표로 2019년 12월 12일에 착공하였다.[35] 한편, 고읍역(가칭, 양주시 고읍동)에서 포천시까지 이어지는 2차 연장 구간은 2019년 1월 29일에 예비타당성 조사가 면제되어 추진이 확정되었다.[36] 의정부시에서는 이 노선이 민락동을 경유하는 방안을 추진하였으나 무산되었다.[37]

이후 옥정중앙역(가칭)에서 포천역(가칭) 구간의 연장도 논의되었으나 서울시가 서울의 시외 구간에 대해서 원칙적으로 직결 대신 평면 환승으로 추진 중이다.

2022년 1월에 착공할 예정이었다.[38]

석남역 ~ 청라국제도시역 구간

현재 개통된 석남역 연장 구간에서 인천국제공항철도 청라국제도시역까지 연장하는 사업이다. 기획재정부로부터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에 선정되었고, 석남역에서 청라국제도시역 구간까지 10.7km에 7개의 역사가 신설된다.[39] 2022년 3월 23일에 착공했으며, 2028년 상반기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총사업비는 1조 2000억원 규모이므로, 역사 운영은 인천교통공사에서 관리할 예정이다.[40][41]

역 목록


번호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
한글 로마자 한자
709 장암 Jangam 長岩 - 0.0 경기도 의정부시
710 도봉산 Dobongsan 道峰山 수도권 전철 1호선 1.4 1.4 서울특별시 도봉구
711 수락산 Suraksan 水落山 1.6 3.0 노원구
712 마들 Madeul 1.4 4.4
713 노원 Nowon 蘆原 수도권 전철 4호선 1.2 5.6
714 중계(한국성서대) Junggye(Korean Bible Univ.) 中溪(韓國聖書大) 1.1 6.7
715 하계(을지대 을지병원) Hagye(Eulji Medical Center) 下溪(乙支大乙支病院) 1.0 7.7
716 공릉(서울과학기술대) Gongneung
(Seoul Nat'l Univ. of Science and Technology)
孔陵(서울科學技術大) 1.3 9.0
717 태릉입구 Taereung 泰陵入口 서울 지하철 6호선 0.8 9.8
718 먹골 Meokgol 0.9 10.7 중랑구
719 중화 Junghwa 中和 0.9 11.6
720 상봉(시외버스터미널) Sangbong(Intercity Bus Terminal) 上鳳(市外버스터미널)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
중앙선
1.0 12.6
721 면목 Myeonmok 面牧 0.8 13.4
722 사가정(녹색병원) Sagajeong(Green Hospital) 四佳亭(綠色病院) 0.9 14.3
723 용마산(용마폭포공원) Yongmasan(Yongma Falls Park) 龍馬山(龍馬瀑布公園) 0.8 15.1
724 중곡 Junggok 中谷 0.9 16.0 광진구
725 군자(능동) Gunja(Neung-dong) 君子(陵洞) 수도권 전철 5호선 1.1 17.1
726 어린이대공원(세종대) Children's Grand Park(Sejong Univ.) 어린이大公園(世宗大) 1.1 18.2
727 건대입구 Konkuk University 建大入口 서울 지하철 2호선 0.8 19.0
728 뚝섬유원지 Ttukseom Park 뚝섬遊園地 1.0 20.0
729 청담(한국금거래소) Cheongdam(Korea Gold Exchange) 淸潭(韓國金去來所) 2.0 22.0 강남구
730 강남구청 Gangnam-gu Office 江南區廳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1.1 23.1
731 학동 Hak-dong 鶴洞 0.9 24.0
732 논현 Nonhyeon 論峴 신분당선 1.0 25.0
733 반포 Banpo 盤浦 0.9 25.9 서초구
734 고속터미널 Express Bus Terminal 高速터미널 수도권 전철 3호선
서울 지하철 9호선
0.9 26.8
735 내방 Naebang 內方 2.2 29.0
736 이수(총신대입구) Isu(Chongsin University) 梨水(總神大入口) 수도권 전철 4호선
1.0 30.0 동작구
737 남성 Namseong 南城 1.0 31.0
738 숭실대입구(살피재) Soongsil Univ.(Salpijae) 崇實大入口 2.0 33.0
739 상도 Sangdo 上道 0.9 33.9
740 장승배기 Jangseungbaegi 0.9 34.8
741 신대방삼거리 Sindaebangsamgeori 新大方삼거리 1.2 36.0
742 보라매 Boramae 서울 경전철 신림선 0.8 36.8 영등포구
743 신풍 Sinpung 新豊 0.9 37.7
744 대림(구로구청) Daerim(Guro-gu Office) 大林(九老區廳) 서울 지하철 2호선 1.4 39.1
745 남구로 Namguro 南九老 1.1 40.2 구로구
746 가산디지털단지(마리오아울렛) Gasan Digital Complex(Mario Outlet) 加山디지털團地 수도권 전철 1호선 0.8 41.0 금천구
747 철산 Cheolsan 鐵山 1.4 42.4 경기도 광명시
748 광명사거리 Gwangmyeongsageori 光明사거리 1.3 43.7
749 천왕 Cheonwang 天旺 1.7 45.4 서울특별시 구로구
750 온수(성공회대입구) Onsu(Sungkonghoe Univ.) 溫水(聖公會大入口) 수도권 전철 1호선 1.5 46.9
751 까치울 Kkachiul 2.2 49.1 경기도 부천시
752 부천종합운동장 Bucheon Stadium 富川綜合運動場 수도권 전철 서해선 1.2 50.3
753 춘의 Chunui 春衣 0.9 51.2
754 신중동 Sinjung-dong 新中洞 1.0 52.2
755 부천시청 Bucheon City Hall 富川市廳 1.1 53.3
756 상동 Sang-dong 上洞 0.9 54.2
757 삼산체육관 Samsan Gymnasium 三山體育館 1.1 55.3 인천광역시 부평구
758 굴포천 Gulpocheon 掘浦川 0.9 56.2
759 부평구청 (세림병원) Bupyeong-gu Office 富平區廳(世林病院) 인천 도시철도 1호선 0.9 57.1
760 산곡 Sangok 山谷 1.6 58.7
761 석남(거북시장) Seongnam(Geobuk Market) 石南(거북市場) 인천 도시철도 2호선 2.3 61.0 서구

이용객 변동

구분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승차 379,779 494,695 538,815 561,716 569,203 580,129 584,310 586,622 594,605 597,680 [42]
하차 367,202 474,128 517,082 540,988 543,353 562,401 565,224 568,511 578,046 582,540
승하차 746,980 968,823 1,055,897 1,102,704 1,112,557 1,142,529 1,149,535 1,155,133 1,172,651 1,180,220
구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승차 621,672 643,539 658,789 726,596 740,387 732,528 722,768 709,145 710,023 717,784
하차 607,916 629,371 645,634 709,726 723,878 716,732 707,896 696,626 698,646 706,260
승하차 1,229,588 1,272,911 1,304,423 1,436,322 1,464,265 1,449,260 1,430,664 1,405,771 1,408,669 1,424,044
구분 2020년
승차 550,274
하차 541,950
승하차 1.092,224

각주

  1. 서울지하철 7호선, 범람한 중랑천 물에 침수돼 전면중단, KBS 뉴스 9, 1998년 5월 2일
  2. 서울지하철 복구작업 난항, KBS 뉴스 9, 1998년 5월 2일
  3. 기습폭우로 인한 지하철 피해 천억원, KBS 뉴스 9, 1998년 5월 2일
  4. 지하철 침수사고, 뻥뚫린 제방관리가 원인, KBS 뉴스 9, 1998년 5월 2일
  5. '지하철 7호선 침수사고' 전쟁터 방불, KBS 뉴스 9, 1998년 5월 3일
  6. '지하철 7호선 침수사고' 양수기 동원 철야 작업, KBS 뉴스 9, 1998년 5월 3일
  7. '지하철 7호선 침수사고' 정상운행 한달 이상 걸릴 듯, KBS 뉴스 9, 1998년 5월 3일
  8. 임시운행 안전한가?, KBS 뉴스 9, 1998년 5월 9일
  9. 지하철 7호선 내일부터 임시운행, KBS 뉴스 9, 1998년 5월 10일
  10. 지하철 7호선 임시운행, 불편.불안, KBS 뉴스 9, 1998년 5월 11일
  11. 폭우로 중랑천이 넘쳐 지하철 7호선 8개 역 침수, MBC 뉴스데스크, 1998년 5월 2일
  12. 침수된 지하철 7호선 태릉입구역 복구 오래 갈듯, MBC 뉴스데스크, 1998년 5월 2일
  13. 비 70mm에 서울 주택가 공사현장 지하철 등 침수, MBC 뉴스데스크, 1998년 5월 2일
  14. 침수된 지하철 7호선 복구작업 지연, MBC 뉴스데스크, 1998년 5월 3일
  15. 침수된 지하철 7호선 완전 복구에 한달 이상 소요, MBC 뉴스데스크, 1998년 5월 3일
  16. 아직 침수된 지하철 7호선, 서울시는 운행 강행, MBC 뉴스데스크, 1998년 5월 7일
  17. 지하철 7호선 시운전 결과 문제점이 발견돼 임시운행 연기, MBC 뉴스데스크, 1998년 5월 10일
  18. 개통 된 7호선에 많은 승객들 몰려, 아직은 복구 할 곳 많아, MBC 뉴스데스크, 1998년 5월 11일
  19. '수도권 수해 피해' 7호선 또 잠겨, KBS 뉴스 9, 1998년 8월 6일
  20. 서정권 (1999년 1월 4일). “(서울)7호선 4일부터 정상운행”. 세계일보. 
  21. 물바다 지하철역, KBS 뉴스 9, 2001년 7월 15일
  22. 고속터미널역 등 지하철 7호선 전철역 물바다, MBC 뉴스데스크, 2001년 7월 15일
  23. 사회부 (2005년 1월 5일). “7호선 지하철 화재 "제보에 가장 의존할 수 밖에 없다". 노컷뉴스. 
  24. 연합뉴스 (2003년 9월 18일). “[서울] 7호선 상봉역에서 중앙선 갈아탄다”. 세계일보.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25. 지하철 7호선 열차 고장…보라매-부평구청 93분간 운행중단 출처: 연합뉴스
  26. 7호선 온수∼석남 운행 중단되나?...부천시·서울교통공사 '법적 공방' 출처:SBS 비즈
  27. 서울특별시고시 제2008-317호, 2008년 9월 18일.
  28. 서울특별시고시 제2010-360호, 2010년 10월 21일.
  29. 서울특별시고시 제2019-430호, 2019년 12월 26일.
  30. 황금천 (2005년 3월 4일). “[수도권]지하철7호선 연장구간 착공”. 동아일보. 
  31. 김창선 (2013년 3월 18일). “서울지하철7호선 부천연장선 이용객 꾸준히 증가”. 연합뉴스. 
  32. “지하철 7호선 경기북부 연장.조기 착공 '건의'. 연합뉴스. 2010년 7월 6일. 
  33. 김도윤 (2010년 9월 23일). “지하철 7호선 연장에 목타는 경기 중북부”. 연합뉴스. 
  34. 대한민국관보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936호, 2018년 1월 4일.
  35. 김도윤 (2019년 12월 12일). “지하철 7호선 경기북부 연장 18년 만에 '첫 삽'. 연합뉴스. 2020년 7월 13일에 확인함. 
  36. 한상봉 (2019년 1월 29일). “7호선 서울 도봉산역-포천 구간 2026년 개통”. 서울신문. 
  37. 지하철 7호선, 의정부시 민락역 신설 및 노선변경 사실상 좌초
  38. 지하철 7호선 연장 ‘옥정∼포천 광역철도사업’, 내년 초 설계 착수 본격화 출처:문화일보
  39. “서울도시철도 7호선 타고 인천 청라국제도시까지 바로 간다.”,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2022년 3월 22일, 2022년 3월 24일에 확인함 
  40. "서울지하철 7호선 청라 연장···내년 2월 착공·2027년 개통"
  41. “7호선 석남 연장 3월 개통 준비 안전운행·서비스 품질향상 최선”
  42.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