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LR0725
LR0725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위키백과는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입니다.
각종 사용법과 규칙이 어려울 수 있지만, 차근차근 익히며 과감하게 기여하세요. 아래에 나열된 문서들이 위키백과 사용 및 편집에 도움을 줄 것입니다.
![]() |
새 문서 만들기 새 문서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안내합니다. |
![]() |
사랑방 위키백과의 다른 사용자와 의견을 교환하는 장소! |
![]() |
문서 편집하기 문서를 편집하는 방법에 대해 안내합니다. |
![]() |
사용자 모임 위키백과의 다양한 분야를 다루는 게시판 및 프로젝트가 모여 있습니다. |
![]() |
그림 올리기 그림을 올리는 방법에 대해 안내합니다. |
![]() |
질문방 위키백과를 사용하는 방법이나 내용에 대해 질문합니다. |
![]() |
정책과 지침 위키백과의 정책은? 편집하시기 전에 한번 읽어주세요! |
![]() |
지원 단체 위키백과 커뮤니티를 지원하는 단체는? |
![]() ![]() |
![]() |
![]() ![]() ![]() |
![]() |
--~~~~
)를 입력하거나 편집 창에서 그림의 강조된 서명 버튼(
Welcome! If you are not good at Korean or do not speak it, click here.
— best regards, Shane Dreyer 2022년 2월 5일 (토) 12:18 (KST)
| |||
파란색[편집]
한국어는 다 파란색이에요. 하지만 синий, အပြာရောင်색, голубо́й, ကြည်ပြာရောင်색 달라요. Aungnain (토론) 2022년 5월 12일 (목) 12:51 (KST)
- 중요한 건 그 서로 다른 단어들을 한국어로 어떻게 번역할까죠. 우리나라 말에 제대로 대응시키기 힘든데 억지로 없는 말을 지어내어 번역하면 독자연구가 됩니다. 신뢰성 있는 출처에서 해당 표현을 번역한 게 있다면 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LR 토론 / 기여 2022년 5월 12일 (목) 12:54 (KST)
- сине가 짙은 파랑이라 남색이라고 하는 게 더 맞다는 건가요? --LR 토론 / 기여 2022년 5월 12일 (목) 13:16 (KST)
- си́ний이에요. 사전에서 짙은 푸른색은 남색이에요.[1] Aungnain (토론) 2022년 5월 12일 (목) 13:30 (KST)
- 파일:Anti-war flag of Russia and the state flag of Ukraine.jpg나 파일:Russians against war protest in Prague 05.jpg 같은 경우를 보면 이걸 남색이라고 보는 건 상식적으로 말도 안되는 것 같습니다. 실제로 영어 위키백과도 blue라는 표현을 쓰고요. 저 하늘색도 포괄하려면 '청'이라고 쓰는 게 이치에 맞습니다. --LR 토론 / 기여 2022년 5월 12일 (목) 13:34 (KST)
- 러시아 국기도 синий색이 있어요. голубой도 Лазурь도 아니에요. 다른 나라 사람의 상식은 한국 사람의 상식과 다를 수 있어요. Aungnain (토론) 2022년 5월 12일 (목) 13:43 (KST)
- 그렇게 말씀하셔도 영어도 blue, 일본어도 青입니다. 중국어는 람이긴 하네요. 게다가 실제로 하늘색(연한 파란색)을 쓴 깃발도 보이는데 저걸 남색이라고 하는 건 상식과 배치되죠. --LR 토론 / 기여 2022년 5월 12일 (목) 13:46 (KST)
- ru:Флаг России를 보세요. File:Flag of Russia.svg도 File:Flag of Russia (1991–1993).svg도 Синий색이에요. 한국 사람의 상식은 국제의 상식과 다를 수 있어요. Aungnain (토론) 2022년 5월 12일 (목) 13:57 (KST)
- 그렇게 말씀하셔도 영어도 blue, 일본어도 青입니다. 중국어는 람이긴 하네요. 게다가 실제로 하늘색(연한 파란색)을 쓴 깃발도 보이는데 저걸 남색이라고 하는 건 상식과 배치되죠. --LR 토론 / 기여 2022년 5월 12일 (목) 13:46 (KST)
- 러시아 국기도 синий색이 있어요. голубой도 Лазурь도 아니에요. 다른 나라 사람의 상식은 한국 사람의 상식과 다를 수 있어요. Aungnain (토론) 2022년 5월 12일 (목) 13:43 (KST)
- 파일:Anti-war flag of Russia and the state flag of Ukraine.jpg나 파일:Russians against war protest in Prague 05.jpg 같은 경우를 보면 이걸 남색이라고 보는 건 상식적으로 말도 안되는 것 같습니다. 실제로 영어 위키백과도 blue라는 표현을 쓰고요. 저 하늘색도 포괄하려면 '청'이라고 쓰는 게 이치에 맞습니다. --LR 토론 / 기여 2022년 5월 12일 (목) 13:34 (KST)
- си́ний이에요. 사전에서 짙은 푸른색은 남색이에요.[1] Aungnain (토론) 2022년 5월 12일 (목) 13:30 (KST)
- сине가 짙은 파랑이라 남색이라고 하는 게 더 맞다는 건가요? --LR 토론 / 기여 2022년 5월 12일 (목) 13:16 (KST)
- 어차피 똑같은 얘기만 계속 하게 될 것 같은데 의미가 있나 싶네요. --LR 토론 / 기여 2022년 5월 12일 (목) 14:30 (KST)
- 이제 한국어 무지개는 빨간색 - 주황색 - 노란색 - 초록색 - 파란색 - 파란색으로 시작해요? 파란색 - 남색이에요. 그리고 한국어에도 남색 잘 말해요.[2] Aungnain (토론) 2022년 5월 12일 (목) 14:56 (KST)
- @Aungnain: 남색을 많이 안 쓴다는 말이 아닙니다. 남색에 대한 정의가 언어마다 다를 수도 있습니다.아마 귀하의 언어권과 한국어에서의 정의가 약간 다른 것 같아요. 중국어의 경우에는 저 색을 남색이라고 말하며, 영어의 경우에는 파란색이라고 말하죠. 한국어 기준으로 남색이라는 것 자체가 파란색과 보라색 중간이어야 하는데, 저 색은 남색이라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파란색과 남색은 명백히 다릅니다. 한국어 화자의 입장에서 봤을 때 기준이니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부디 수용해주시기 바랍니다. -- ginaan(˵⚈ε⚈˵)★ 2022년 5월 12일 (목) 15:11 (KST)
- 이제 한국어 무지개는 빨간색 - 주황색 - 노란색 - 초록색 - 파란색 - 파란색으로 시작해요? 파란색 - 남색이에요. 그리고 한국어에도 남색 잘 말해요.[2] Aungnain (토론) 2022년 5월 12일 (목) 14:56 (KST)
- 어차피 똑같은 얘기만 계속 하게 될 것 같은데 의미가 있나 싶네요. --LR 토론 / 기여 2022년 5월 12일 (목) 14:30 (KST)
감사합니다![편집]
![]() |
생명과학 반스타 |
Proof (음반) 문서 번역, 여러 생명과학 관련 좋은/알찬 글 등재에 힘써주시는 LR님 정말 멋있습니다^^ -- 𝗨𝗻𝗶🦄𝗖𝗼𝗻 2022년 5월 14일 (토) 01:04 (KST) |
제가 생명과학을 중학교 거에서 좀 더 나아간 심화까지밖에 모르긴 하지만, 저도 나름대로 열심히 위백에서 기여할게요! -- 𝗨𝗻𝗶🦄𝗖𝗼𝗻 2022년 5월 14일 (토) 01:04 (KST)
- 고등학교 수준 문서도 빈약하기 그지없는 경우가 많아 학생 분들도 참고 자료를 찾는 노력을 들인다면 기여가 충분히 가능할 겁니다. 감사합니다. LR 토론 / 기여 2022년 5월 14일 (토) 01:05 (KST)
안녕하세요[편집]
혹시 시간되실 때 en:Hypertrophic cardiomyopathy 번역해주실 수 있나요?? 이쪽 분야 번역은 어렵네요ㅠ -- ginaan(˵⚈ε⚈˵)★ 2022년 5월 16일 (월) 12:19 (KST)
2022년 제20주 알찬 글/좋은 글 뉴스레터[편집]
2022년 제20주의 함께 검토하기, 좋은 글, 알찬 글, 알찬 목록 토론과 결과의 요약본입니다.
간단 현황[편집]
※ 5개 이상의 토론이 진행 중이거나 오래된 토론이 있는 경우 볼드체로 표시됩니다.
※ 괄호 안의 수는 저번 주 대비 토론 개수 변경 폭입니다.
- 위키백과:함께 검토하기: 6개 (-1)
- 위키백과:알찬 글
- 위키백과:좋은 글
- 선정: 1개 (+1, Greatest Hits (비요크의 음반))
- 기각: 0개
- 후보: 11개 (+3, -1)
- 재검토: 0개
- 해제: 0개
- 위키백과:알찬 목록
세부사항[편집]
상태 | 문서 | 토론 문서 | 제안자 | 비고 |
---|---|---|---|---|
빈칸 |
소식지 공지[편집]
- 일부 띄어쓰기가 수정되었습니다(By 기나ㅏㄴ).
- 작성자: White.t.
- 최종 갱신일시: 2022년 5월 18일 (수) 09:04 (KST)
- 구독하기/구독 취소하기 • 의견 남기기 • 작성하기
MediaWiki message delivery (토론) 봇이 2022년 5월 18일 (수) 18:25 (KST)에 전송함
표제어 설정에 대해[편집]
안녕하세요 LR0725님. 잘 지내고 계신가요? 다름이 아니라 토론:십이지장에서 샘창자가 아닌 십이지장을 표제어로 이용하기로 결정이 나 알려드립니다. ――사도바울 (💬✍ℹ️) 2022년 5월 19일 (목) 18:01 (KST)
- @Sadopaul: 이미 그 사실을 알고 샘창자걸이근의 표제어를 정했습니다. 모든 문서에 통일성을 부여할 수는 없는 법입니다. 가령 십이지장은 다른 해부학 문서들이 용어 개정을 근거로 다수 순우리말을 채택하고 있는 것과 통일성이 많이 떨어지죠. 십이지장제근이나 샘창자걸이근은 그 보편성에 별 차이가 없습니다. (예: 십이지장제근의 네이버 학술정보 0건, 샘창자걸이근은 1건, 구글 검색 결과는 서로 100건 정도로 비슷한 수준) 그런 상황에서 십이지장 표기 하나 때문에 보편성에 별 차이도 없는데 이미 개정된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면 분명 부당한 처사입니다. 이 부분에서는 타협할 생각이 없습니다. 그런 논리대로면 당장 위키백과의 수없이 많은 문서들에 모두 태클을 걸어볼 수 있습니다. LR 토론 / 기여 2022년 5월 19일 (목) 18:09 (KST)
- 말이 어째 이상하게 강하게 나간 것 같기도 하고...혹시 어조가 강했다면 죄송합니다. 아무튼 이 경우는 십이지장과 샘창자와는 전혀 다른 경우로 봐야 한다고 봅니다. LR 토론 / 기여 2022년 5월 19일 (목) 18:15 (KST)
- 통용표기, 학회의 규범, 다른 문서와의 통일성 중 어떤 것에 가장 큰 가중치를 둘 것인지에 대한 문제는 항상 어려운 문제인 것 같습니다. 해부학/의학 문서의 표제어 지침에 대해 빠른 시일 내에 논의할 기회가 생기면 좋겠습니다. 저는 다른 문서(십이지장)와의 통일성이 중요한 경우라 생각되고 혹시 이전 토론의 존재를 알려드리고 싶어서 드린 말씀이니 너무 부당하게 받아들이지 않으시면 좋겠습니다. ――사도바울 (💬✍ℹ️) 2022년 5월 19일 (목) 19:48 (KST)
- 일단 한자 단어 자체가 척 봤을 때 한자를 잘 모르면 너무 알아듣기 어렵다고 직관적이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라서요. 슬개골보다는 무릎뼈, 대퇴골보다는 넙다리뼈, 봉공근보다는 넙다리빗근, 십이지장제근보다는 샘창자걸이근이 훨씬 낫다고 개인적으로 늘 생각하고 편집합니다. 물론 병하고 또 표제어가 안 맞고 한 사례(이자와 췌장암이라든지...)도 있지만 적어도 해부학에서는 용어도 어차피 전부 개정되었으니 개정 이후 용어를 따르고 있습니다. LR 토론 / 기여 2022년 5월 19일 (목) 19:52 (KST)
- 통용표기, 학회의 규범, 다른 문서와의 통일성 중 어떤 것에 가장 큰 가중치를 둘 것인지에 대한 문제는 항상 어려운 문제인 것 같습니다. 해부학/의학 문서의 표제어 지침에 대해 빠른 시일 내에 논의할 기회가 생기면 좋겠습니다. 저는 다른 문서(십이지장)와의 통일성이 중요한 경우라 생각되고 혹시 이전 토론의 존재를 알려드리고 싶어서 드린 말씀이니 너무 부당하게 받아들이지 않으시면 좋겠습니다. ――사도바울 (💬✍ℹ️) 2022년 5월 19일 (목) 19:48 (KST)
번역을 만약 하신다면, 무슨 번역기를 주로 사용하시나요? 참고하고 문맥 및 문법 향상하려고 합니다.[편집]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Grrr👻👻Grrr👻☮ 2022년 5월 20일 (금) 02:15 (KST)
- @구순돌: 긴 문서들은 요즘은 그냥 번역기 안 쓰고 하고 있습니다. 주로 짧은 문서에서 만약 번역기 쓴다면 대부분 위키에서 contenttranslation으로 지원하는 구글 번역을 쓰긴 하네요. 문장이 아리까리하면 구글 번역과 파파고 둘 다 돌려봅니다. LR 토론 / 기여 2022년 5월 20일 (금) 02:17 (KST)
저...저기[편집]
가챠 게임 문서에 각주를 잘못해서 고칠려고 하는데요.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어요. --핑달아주세요 캐리지나💖 2022년 5월 20일 (금) 20:42 (KST)
- @캐리지나: 3번 각주는 고쳐드렸습니다. 역사의 차이에서 제가 한 방법대로 하시면 됩니다. 같은 이름의 각주가 여러 번 내용이 써 있어서 오류가 나는 겁니다. 4번 각주는 'johannesheinze'라는 이름의 각주가 영어판 위키백과 밑쪽의 내용에 있는 것 같은데 거기까지 번역하시면 자연스레 해결될 겁니다. LR 토론 / 기여 2022년 5월 20일 (금) 20:44 (KST)
수고하십니다.[편집]
늦은밤 문서 이동 부분에 대해서 고생하시는 듯 합니다. 제가 그분께 말씀은 드렸습니다만, 아무래도 소모성 토론이 이어지는 것 같아 추가 대응은 하지 않을 생각입니다. 추후에도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목격되면 바로 사용자 관리 요청 가시면 될 듯 합니다. 이만 물러납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2년 5월 22일 (일) 02:33 (KST)
- 갑자기 열이 확 뻗쳐서 쉬고 왔는데 잘 말씀해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오늘은 그만 들어가 봐야겠습니다. --LR 토론 / 기여 2022년 5월 22일 (일) 02:40 (KST)
에휴[편집]
다들 수고가 많으십니다 106.101.1.141 (토론) 2022년 5월 23일 (월) 23:55 (KST)
과학의 달 에디터톤 우승을 축하드립니다[편집]
![]() |
과학의 달 에디터톤 반스타 |
LR0725님께서는 2022년 과학의 달 에디터톤에서 우승하셨습니다!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과학 분야의 문서를 개선하는데 기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L. Lycaon (토론 / 기여) 2022년 5월 24일 (화) 00:08 (KST)
과학의 달 리워드 안내[편집]
LR0725님은 과학의 달 에디터톤에서 우승하셨기에 부상으로 모바일 문화상품권 5만원 상당이 수여됩니다. 조만간 이메일로 발송해드리겠습니다. --이강철 (토론) 2022년 5월 24일 (화) 17:46 (KST)
대단하십니다..[편집]
어떻게 이렇게 생산적인 편집을 하실수 있나요? 좀 더 능숙해 지시면 관리자 선거 나가시는 것도 추천 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