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
![]()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2년 12월) |
![]() 765(SR002) 편성 | |
![]() 768(SR005) 편성 | |
제작 및 운영 | |
---|---|
주 용도 | 여객 운송용 |
제작사 |
|
제작 연도 | |
제원 | |
양 수 | 8량 |
편성구조 | 4M 4T |
차량 정원 | 선두차 148명, 중간차 160명 |
편성 정원 | 1,256명 |
편성 길이 | 156.140 mm |
전장 | 선두차 19,570 mm 중간차 19,500 mm |
전폭 | 3,120 mm |
전고 | 4,000 (공조장치 포함) mm |
차량 중량 | Tc: 32 t, M': 35 t, M: 33 t, T: 26 t |
궤간 (mm) | 1,435 |
성능 | |
전기 방식 | 직류 1,500V 가공가선방식 |
제어 방식 | VVVF-IGBT(다원시스) 2레벨 1C4M제어 |
기어비 | 14:99 |
기동가속도 | 3.0 km/h/s |
영업 최고 속도 | 80 km/h |
설계 최고 속도 | 100 km/h |
감속도 | 상용: 최대 3.5 km/h/s 비상: 4.5 km/h/s |
전동기 출력 | 210 kW |
편성 출력 | 3,360 kW |
구동 장치 | 3상 농형 유도전동기 |
제동 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MT비 | 4M 4T |
보안 장치 | ATC/ATO [자동운전] |
서울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는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현 서울교통공사)와 로윈(현 다원시스)에서 새로 개발한 서울 지하철 7호선 3차분 전동차다. 각 칸의 번호는 764편성부터 부여받았으며, 편성 번호 체계는 기존의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와 같은 번호 체계를 따르고 있다. 현재 총 8량 7개 편성(56량)이 운행하고 있으며, 시범 차량은 8호선 전동차 1량[1]을 가지고 제작하였다. 2012년 10월 27일 온수역 ~ 부평구청역 연장 개통에 따라 운행에 들어갔다. 차량 가격은 1편성 8량 기준 73억 원이다.
배속[편집]
- 764~770편성: 천왕차량기지, 8량
현재 운행구간[편집]
- ●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 - 석남, (8량 편성 운행)
현황[편집]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764 편성 (SR001) |
2010년 | 운행 중 | 출입문 무늬가 5678 서울도시철도 로고가 들어가 있다. 인천교통공사에 수탁 취급되기 때문에,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764~765편성의 3호차, 6호차는 중앙 좌석이 설치된 구조다. |
765 편성 (SR002) |
2011년 | 운행 중 | |
766 편성 (SR003) |
운행 중 | ||
767 편성 (SR004) |
2012년 | 운행 중 | |
768 편성 (SR005) |
운행 중 | ||
769 편성 (SR006) |
운행 중 | ||
770 편성 (SR007) |
운행 중 |
사양[편집]
세대[편집]
2012년 서울 지하철 7호선 온수~부평구청 구간 개통과 함께 총 8량 7개 편성이 도입되었다. 764편성은 2010년 5월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에서 제작되었고, 같은 해 12월 28일 공개되었다. 765~770편성은 2011년 11월부터 2012년 4월까지 로윈에서 제작되어 2012년 5월 11일부터 12월 3일까지 도입되었다.
제어기기[편집]
다원시스가 개발한 자사의 인버터(IGBT 제어)를 채용하였다.[2][3]
편성[편집]
◇◇ | ◇◇ | |||||||
70XX | 77XX | 76XX | 75XX | 74XX | 73XX | 72XX | 71XX | |
Tc | M | M' | T | T | M | M' | Tc | |
←석남 | ※XX는 편성 번호 | 장암→ |
객차번호 | 설치된 전장품 |
---|---|
70XX | Tc(SIV, 축전지) |
77XX | M(공기압축기, 주변환장치) |
76XX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75XX | T(무동력객차) |
74XX | T(무동력객차) |
73XX | M(공기압축기, 주변환장치) |
72XX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71XX | Tc(SIV, 축전지) |
객실[편집]
SR 001호~002호는 3호차와 6호차를 중앙 좌석이 있는 구조로 제작하고, SR 003호~007호는 전 차량 중앙 좌석이 없는 구조로 제작하였다.
실내 조명은 백색 LED를 사용하여 기존 차량에 비해 더 밝다. 객실통로 정중앙에 봉 장착 및 높낮이 손잡이를 채용하였고, 객실 간 통로문과 문턱이 없다. 차내에 키오스크를 설치하여 인터넷과 DMB(텔레비전) 서비스를 제공한 적이 있으나, 키오스크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결국 인터넷과 DMB 서비스는 중단된 상태이고 현재는 서울교통공사의 홍보 컨텐츠만 키오스크 모니터를 통해 송출되고 있다.
기타[편집]
서울교통공사 직접 제작 논란[편집]
SR 001은 철도 차량 전문 제조 업체가 아닌 철도 차량 운영 업체인 (당시) 서울도시철도공사가 직접 제작하여 문제가 되었다.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부천시에서도 서울도시철도공사의 전동차 자체 제작에 반대하였으며 [4], 2010년 12월 경 서울특별시의회에서 서울교통공사가 전동차 조립 · 제작과 철도차량의 성능시험, 제작검사를 하는 것을 금지하는 조례안을 처리해 SR 002호 ~ SR 007호 전동차부터는 다원시스에서 직접 제작하여 도입하였다.[5]
인수검사 및 본선 투입의 지연[편집]
SR007호 은 철도 차량 업체인 다원시스의 사정으로 인수검사가 지연되고 있어 정식 영업에 투입되지 않다가[6], 반입된 시기인 2012년 12월 3일으로부터 19개월 후인 2014년 7월이 되어서야 정식 영업에 투입되었다.
자전거 전용칸 설치[편집]
자전거 이용자들의 이동 편의를 위해 전동차 운전실이 있는 Tc칸 맨 앞에 자전거 전용칸이 있다.[7]
라바열차 운행[편집]
SR007호 770편성은 2015년 1월 12일부터 2016년 7월 10일까지 라바열차로 운행을 하였다.
사진[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각주[편집]
- ↑ 이에 해당하는 차량은 현재는 말소된 822편성의 8022호 칸이다.
- ↑ 5호선 502편성에도 장착된다.
- ↑ 다원시스 (2011). “서울도시철도공사 전동차 인버터장치 계약”. 다원시스.
- ↑ 김용욱 (2010년 12월 30일). “도시철도 자체 제작 전동차 안전성 논란 심화”. 참세상.
- ↑ 정회훈 (2010년 12월 28일). “서울교통공사 첫 자체 제작 전동차 ‘SR001’ 공개”. 건설경제신문.
- ↑ 대신 6호선 605편성이 대체 운용한다.
- ↑ 다만, 자전거의 경우 주인이 직접 들고 다녀야 한다.
같이 보기[편집]
- 서울교통공사
- 서울 지하철 7호선
-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
-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 같은 번호 체계를 따르지만, 차량 제원에서 큰 차이가 있다.
-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서울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