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 8000호대 전동차
![]()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7년 1월) |
![]() 7호선 2차분 736편성 (2015년) (서울교통공사 로고 변경 전) | |
제작 및 운영 | |
---|---|
주 용도 |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제작사 | |
제작 연도 | 1995년: 1차분 701 1996년: 1차분 702 ~ 717 1999년: 2차분 718 ~ 742, 752(1~3번 칸), 763 2000년: 2차분 743 ~ 762 2020년: 4차분 771 ~ 772 2021년: 5차분 신 701 ~ 717 |
생산량 | 68개 편성 544량 |
사용량 | 63개 편성 504량 |
제원 | |
전장 | 19,500 mm |
전폭 | 3,120 mm |
전고 | 3,600 mm |
궤간 (mm) | 1,435 |
성능 | |
전기 방식 | 직류 1500 V, 가공전차선 |
제어 방식 | 1차분: VVVF-GTO(GEC-Alstom) 1C4M제어 2차분: VVVF-IGBT(도시바) 2레벨 1C4M제어 4차분: VVVF-IGBT(다원시스) 1C4M제어 5차분: VVVF-IGBT PMSM(도시바) |
기동가속도 | 3.0 km/h/s |
영업 최고 속도 | 80 km/h |
설계 최고 속도 | 100 km/h |
감속도 | 3.5(상용), 4.5(비상) km/h/s |
전동기 출력 | 210 kW |
편성 출력 | 4200 kW |
구동 장치 | 유도전동기 |
제동 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보안 장치 | ATC/ATO [자동/수동겸용] |
![]() 2차분 전동차 (現 763 편성 舊 821 편성) (서울교통공사 로고 변경 전) | |
제작 및 운영 | |
---|---|
주 용도 |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제작사 | |
제작 연도 | 1995년: 1차분 801 1996년: 1차분 802 ~ 815 1999년: 2차분 816 ~ 820 |
생산량 | 20개 편성 120량 |
사용량 | 19개 편성 114량 |
제원 | |
전장 | 19,500 mm |
전폭 | 3,120 mm |
전고 | 3,600 mm |
궤간 (mm) | 1,435 |
성능 | |
전기 방식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제어 방식 | 1차분: VVVF-GTO(GEC-Alstom) 1C4M제어 2차분: VVVF-IGBT(도시바) 2레벨 1C4M제어 |
기동가속도 | 3.0 km/h/s |
영업 최고 속도 | 80 km/h |
설계 최고 속도 | 100 km/h |
감속도 | 3.5(상용), 4.5(비상) km/h/s |
전동기 출력 | 210 kW |
구동 장치 | 유도전동기 |
제동 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보안 장치 | ATC/ATO [자동/수동겸용] |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 8000호대 전동차는 서울 지하철 7호선 · 서울 지하철 8호선 개통과 함께 도입된 서울교통공사의 통근형 전동차다. 7호선 차량이 7000호대와 8호선 차량은 8000호대로 구분된다. 현재 7호선 총 8량 63개 편성과 8호선 총 6량 19개 편성이 운행하고 있다.
기술적 사양[편집]
구체 및 외형은 당시 도입된 다른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차량과 유사하다.
TGI 채용[편집]
열차정보제어에는 TCMS를 사용하고 있으며, ATO를 사용한 1인 승무 구조로 되어 있다. 8호선 차량에는 전 차량에 공중파 방식의 승강장 감시용 모니터를 추가로 장비하고 있다.
객실[편집]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강화된 철도차량의 내연기준에 따라 2004년 ~ 2005년까지 전 차량의 내장재 리뉴얼이 완료되었다. 좌석은 무광택 스테인리스 재질로 교체되었으며, 단열재는 기존의 폼 소재에서 유리솜으로 객차간 통로의 차단막은 폴리염화비닐 수지에서 불연 고무 재질로 교체되었다. 객실 내장판은 기존의 FRP 수지에서 세라믹 도료를 덧씌운 금속 재질로 변경되었다. 그 외에도 화재 경보기와 객실 비상용 인터컴 등이 보강되었으며, 1차 도입분의 객실 유리창은 차량 노약자석을 제외하고 도입 당시의 상부 개폐식에서 통유리로 교체되었다.
이후 2010년에 전 차량에 대하여 안장 부분에 난연재 소재의 모켓 시트가 추가 설치되었으며, SMRT-MALL 사업의 일환으로 객실 내 LED 전광판이 LCD 모니터로 교체되었다. 또한 방송장치가 통합 설정기로 교체되어 방송 음질이 다소 향상되었으며, 측면 LED 행선 표시기는 스크린도어의 설치로 보기 어렵게 된 사유로 한동안 작동시키지 않은 채 운행하다가 뒤이어 측면 행선 표시기를 제거한 후 그 자리에 2대 사업자의 와이파이 AP(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를 설치, 운용하고 있다. 이 사업이 추진되면서 5~7회에 달하여 송출되는 발차 경고음 '딩동' 소리의 타이밍 등이 대폭 수정되었다. 2011년에는 7호선에 한해서 객실 내의 질서 유지와 보안 유지를 위하여 시범적으로 객실 내 CCTV가 설치되어 운영 중이다.
편성[편집]
7호선 8량 편성[편집]
◇◇ | ◇◇ | |||||||
70XX | 77XX | 76XX | 75XX | 74XX | 73XX | 72XX | 71XX | |
Tc | M2 | M1' | T | T | M2 | M1' | Tc | |
←석남 | ※XX는 편성 번호 | 장암→ |
차량번호 | 설치된 전장품 |
---|---|
70XX | Tc(SIV, 축전지) |
77XX | M2(공기압축기,주변환장치) |
76XX | M1(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75XX | T(무동력객차) |
74XX | T(무동력객차) |
73XX | M2(공기압축기,주변환장치) |
72XX | M1(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71XX | Tc(SIV, 축전지) |
8호선 6량 편성[편집]
◇◇ | ◇◇ | |||||
81XX | 82XX | 84XX | 86XX | 87XX | 80XX | |
Tc | M2 | M1' | T | M1' | Tc | |
←암사 | ※XX는 편성 번호 | 모란→ |
객차번호 | 설치된 전장품 |
---|---|
81XX | Tc(SIV, 축전지) |
82XX | M2(공기압축기,주변환장치) |
84XX | M1(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86XX | T(무동력객차) |
87XX | M1(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80XX | Tc(SIV, 축전지) |
도입 역사[편집]
2021년 8월 11일(수) 기준으로 서울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를 비롯해서, 92편성 / 696량이 재적되어 있다.
1차 도입분 (7호선 701~717편성, 8호선 801~815편성)[편집]
1996년 10월 11일 서울 지하철 7호선(장암~건대입구)과, 같은 해 11월 23일 서울 지하철 8호선(잠실~모란)의 1차구간 개통과 함께 도입되었다. 도입 당시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와 동일한 형태의 도색이 사용되었으나, 2000년 8월 1일 서울 지하철 7호선 전 구간 개통과 함께 2차 도입분과 동일한 형태로 변경되었다. 추진제어 장치는 GEC-Alstom사의 VVVF-GTO 방식이 장착되었다.[1]
2차 도입분 (7호선 718~763 편성, 8호선 816~822편성)[편집]
1999년 7월 2일 서울 지하철 8호선 2차 구간(잠실~암사)과 2000년 서울 지하철 7호선 2~3차 구간(온수~건대입구) 개통과 함께 도입되었다. 1999년 2월부터 5월까지 8호선 6량 7개 편성, 1999년 6월부터 2000년 9월까지 7호선 8량 45개 편성이 도입되었다. 8호선 6량 7개 편성은 시운전을 거쳐[2] 1999년 7월 2일 서울 지하철 8호선 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운행에 투입되었다.[3] 반면, 7호선 8량 45개 편성은 1999년 10월부터 영업운행에 투입되었다.[4] 비드를 제거한 2시트 스테인리스 차체를 적용하였다. 객실 창문은 차량 노약자석을 제외하면 일체형 복층 통유리를 적용하였다. 추진제어 장치는 도시바 사의 VVVF-IGBT 2레벨 3상 전압형 PWM 인버터(SVF35-A0)와, 도시바에서 제작한 210 KW급 전동기(3H3V2195형)가 채용되었다. 서울도시철도공사(현 서울교통공사) 최초로 CI도색을 적용하였고, 도입 당시부터 휠체어·유모차 공간이 마련되었다. 실내의 경우는 1차 도입분과 큰 차이가 없다.
7호선 4차 도입분 (771~772 편성)[편집]
2021년 5월 22일 토요일 서울 지하철 7호선 5차 구간(석남~부평구청) 개통과 함께 도입되었다. 7호선용 8량 2개 편성이 도입되었으며 다원시스에서 제작되었다.
7호선 5차 도입분 (신 701~717편성)[편집]
초창기인 1차 도입분 701~717편성 차량 노후화로 인한 전동차 교체를 하기 위해 도입된 전동차이다. 추진제어장치는 일본 도시바가 개발한 PMSM(영구자석 동기전동기) IGBT를 채용하였으므로, 게이힌 급행 전철 1000형 전동차과 동일한 구동음이다.
8호선 3차 도입분 (821~829편성)[편집]
구분[편집]
- 행선 안내 게시기 (전면): 1차 도입분은 행선 안내 표시기의 넓이가 작고 2차 도입분은 행선 안내 표시기의 넓이가 크다.
- 창문 모양: 1차 도입분은 객실 창문이 2개로 나뉘었으나 2차 도입분은 일체형 통유리로 되어 있다.
- 측면 모양: 1차 도입분은 측면의 운전실 창문의 줄 색깔이 은회색과 2차 도입분은 검은색이다.
- 옆면 모양: 1차 도입분은 갈록색 (7호선) - 분홍색 (8호선)의 노선 표현 도색의 가운데에 흰색 띠가 없으나 2차 도입분은 가운데에 흰색 띠가 있다. 다만 726편성은 1차분처럼 흰색 띠 없이 운행하고 있다.
- 불연 내장재 교체: 1차 도입분은 도봉차량사업소와 모란차량사업소로 흥일기업에서 직원을 파견하여 시행하였으며, 2차 도입분은 현대로템 의왕공장으로 차량을 운송하여 작업을 시행하였다.
배속[편집]
현재 운행구간[편집]
- ●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 - 석남, (8량 편성 운행)
- ● 서울 지하철 8호선: 암사 - 모란, (6량 편성 운행)
현황[편집]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굵은 글씨로 표시하였다.
7호선 차량 1~4, 6~8차분[편집]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구 701 편성 | 1995년 | 2022년 | 2022년 3월 24일 이후로 영업 운행 종료 되었고 6월 13일에 고철매각 되었다. |
702 편성 | 1996년 | 운행 중 | |
703 편성 | 운행 중 | ||
704 편성 | 운행 중 | ||
705 편성 | 운행 중 | ||
706 편성 | 운행 중 | ||
707 편성 | 운행 중 | ||
708 편성 | 운행 중 | ||
709 편성 | 운행 중 | ||
710 편성 | 운행 중 | ||
711 편성 | 운행 중 | ||
712 편성 | 운행 중 | ||
713 편성 | 운행 중 | ||
714 편성 | 운행 중 | ||
715 편성 | 운행 중 | ||
716 편성 | 운행 중 | ||
717 편성 | 운행 중 | 7117호에 선로검측장치가 있다. | |
718 편성 | 1999년 | 운행 중 | |
719 편성 | 운행 중 | ||
720 편성 | 운행 중 | ||
721 편성 | 운행 중 | ||
722 편성 | 운행 중 | ||
723 편성 | 운행 중 | ||
724 편성 | 운행 중 |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 |
725 편성 | 운행 중 | 7125호에 선로검측장치가 있다. | |
726 편성 | 운행 중 | ||
727 편성 | 운행 중 |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 |
728 편성 | 운행 중 | ||
729 편성 | 운행 중 | ||
730 편성 | 운행 중 | ||
731 편성 | 운행 중 | ||
732 편성 | 운행 중 |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 |
733 편성 | 운행 중 | ||
734 편성 | 운행 중 | ||
735 편성 | 운행 중 |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 |
736 편성 | 운행 중 | ||
737 편성 | 운행 중 | ||
738 편성 | 운행 중 | ||
739 편성 | 운행 중 | ||
740 편성 | 운행 중 | ||
741 편성 | 운행 중 | ||
742 편성 | 운행 중 | ||
743 편성 | 2000년 | 운행 중 | |
744 편성 | 운행 중 | ||
745 편성 | 운행 중 | ||
746 편성 | 운행 중 | ||
747 편성 | 운행 중 | 에어커튼이 시범 운행 중에 있다. | |
748 편성 | 운행 중 | ||
749 편성 | 운행 중 | ||
750 편성 | 운행 중 | ||
751 편성 | 운행 중 | ||
752 편성 | 1999년 | 운행 중 | 752편성은 2000년 4월 한국철도차량에서 순수 제작되었으나, 2005년 1월 3일 철산역 화재에 의하여 7152~7352호가 전소되어 구 822편성의 3량을 떼어와 장착한 후 운행 재개 중이다. |
753 편성 | 2000년 | 운행 중 | |
754 편성 | 운행 중 | ||
755 편성 | 운행 중 | ||
756 편성 | 운행 중 | ||
757 편성 | 운행 중 | ||
758 편성 | 운행 중 | ||
759 편성 | 운행 중 | ||
760 편성 | 운행 중 | 2008년 온수역 탈선사고 이력이 있었다. | |
761 편성 | 운행 중 | ||
762 편성 | 운행 중 | ||
763 편성 | 1999년 | 운행 중 | 821편성 6량과 822편성 2량을 재조합하였다. |
771 편성 | 2020년 | 운행 중 | 출입문 무늬 인천광역시 시절이다. 인천교통공사로 이관되었다. |
772 편성 | 운행 중 | ||
773 편성 | 2024년 | 도입 예정 | 2024년 이후 반환 예정인 6호선 임대 차량 2편성의 공백를 메울 차량으로, 총 2편성이 도입될 예정이다. SR차량(3차분)과 마찬가지로 부천시와 인천교통공사가 일정 비율의 지분을 갖는다. |
774 편성 | 도입 예정 | ||
775 편성 | 2025년 | 도입 예정 | 2025년 개통되는 양주 연장분으로 생산될 차량이며, 총 5편성이 도입된다. 2022년에 경기도가 발주하고 서울교통공사가 위탁 운영할 예정이며, 경기도에서 발주 요청했기 때문에 전량 도봉소속이 된다. |
776 편성 | 도입 예정 | ||
777 편성 | 도입 예정 | ||
778 편성 | 도입 예정 | ||
779 편성 | 도입 예정 | ||
780 편성 | 2027년 | 도입 예정 | 2027년 개통되는 청라 연장분으로 총 7편성을 발주할 예정이다. 이 차량은 4차분과 마찬가지로 인천광역시가 발주하고, 서울교통공사가 위탁 운영할 예정이다. 인천광역시에서 발주 요청했기 때문에 전량 천왕소속이 된다. |
781 편성 | 도입 예정 | ||
782 편성 | 도입 예정 | ||
783 편성 | 도입 예정 | ||
784 편성 | 도입 예정 | ||
785 편성 | 도입 예정 | ||
786 편성 | 도입 예정 |
7호선 차량 5, 9~10차분[편집]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701 편성 | 2021년 | 운행 중 | |
702 편성 | 시운전 중 | ||
703 편성 | 시운전 중 | ||
704 편성 | 시운전 중 | ||
705 편성 | 시운전 중 | ||
706 편성 | 시운전 중 | ||
707 편성 | 시운전 중 | ||
708 편성 | 2022년 | 시운전 중 | |
709 편성 | 시운전 중 | ||
710 편성 | 시운전 중 | ||
711 편성 | 시운전 중 | ||
712 편성 | 시운전 중 | ||
713 편성 | 시운전 예정 | ||
714 편성 | 도입 예정 | ||
715 편성 | 도입 예정 | ||
716 편성 | 도입 예정 | ||
717 편성 | 도입 예정 | ||
718 편성 | 2025년 ~ 2028년 | 도입 예정 | |
719 편성 | 도입 예정 | ||
720 편성 | 도입 예정 | ||
721 편성 | 도입 예정 | ||
722 편성 | 도입 예정 | ||
723 편성 | 도입 예정 | ||
724 편성 | 도입 예정 | ||
725 편성 | 도입 예정 | ||
726 편성 | 도입 예정 | ||
727 편성 | 도입 예정 | ||
728 편성 | 도입 예정 | ||
729 편성 | 도입 예정 | ||
730 편성 | 도입 예정 | ||
731 편성 | 도입 예정 | ||
732 편성 | 도입 예정 | ||
733 편성 | 도입 예정 | ||
734 편성 | 도입 예정 | ||
735 편성 | 도입 예정 | ||
736 편성 | 도입 예정 | ||
737 편성 | 도입 예정 | ||
738 편성 | 도입 예정 | ||
739 편성 | 도입 예정 | ||
740 편성 | 도입 예정 | ||
741 편성 | 2026년 ~ 2029년 | 도입 예정 | |
742 편성 | 도입 예정 | ||
743 편성 | 도입 예정 | ||
744 편성 | 도입 예정 | ||
745 편성 | 도입 예정 | ||
746 편성 | 도입 예정 | ||
747 편성 | 도입 예정 | ||
748 편성 | 도입 예정 | ||
749 편성 | 도입 예정 | ||
750 편성 | 도입 예정 | ||
751 편성 | 도입 예정 | ||
752 편성 | 도입 예정 | ||
753 편성 | 도입 예정 | ||
754 편성 | 도입 예정 | ||
755 편성 | 도입 예정 | ||
756 편성 | 도입 예정 | ||
757 편성 | 도입 예정 | ||
758 편성 | 도입 예정 | ||
759 편성 | 도입 예정 | ||
760 편성 | 도입 예정 | ||
761 편성 | 도입 예정 | ||
762 편성 | 도입 예정 | ||
763 편성 | 도입 예정 |
8호선 차량 1~3차분[편집]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801 편성 | 1995년 | 운행 중 | 전조등이 백열등에서 LED로 개조되었다. |
802 편성 | 1996년 | 운행 중 | 자전거 거치대가 설치되었다. |
803 편성 | 운행 중 | ||
804 편성 | 운행 중 | 자전거 거치대가 설치되었다. | |
805 편성 | 운행 중 | ||
806 편성 | 운행 중 | ||
807 편성 | 운행 중 | ||
808 편성 | 운행 중 | ||
809 편성 | 운행 중 | ||
810 편성 | 운행 중 | ||
811 편성 | 운행 중 | ||
812 편성 | 운행 중 | 8112호에 선로검측장치가 있다. | |
813 편성 | 운행 중 | 8113호에 선로검측장치가 있다. | |
814 편성 | 운행 중 | ||
815 편성 | 휴차 중 | 자전거 거치대가 설치되었다. 815편성은 2020년 5월 차체 균열로 휴차되었다. 나중에 7호선 1차분 차량이 폐차할 때 폐차하는 1차분 전동차 중 상태가 양호한 객차로 조성을 변경하여 운행할 예정이다. | |
816 편성 | 1999년 | 운행 중 | |
817 편성 | 운행 중 | ||
818 편성 | 운행 중 | ||
819 편성 | 운행 중 | ||
820 편성 | 운행 중 | ||
821 편성 | 2023년 | 도입 예정 | 2023년 서울 지하철 8호선 별내선 개통과 함께 도입될 예정이다. 이 차량들이 도입된 이후에는 821~822편성이 다시 부활된다. 우진산전에서 제작한다. |
822 편성 | 도입 예정 | ||
823 편성 | 도입 예정 | ||
824 편성 | 도입 예정 | ||
825 편성 | 도입 예정 | ||
826 편성 | 도입 예정 | ||
827 편성 | 도입 예정 | ||
828 편성 | 도입 예정 | ||
829 편성 | 도입 예정 |
8호선 차량 4~5차분[편집]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801 편성 | 2024년 ~ 2025년 | 도입 예정 | 1차분 전체를 대체할 목적으로 생산될 차량으로,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4차분과 동시에 구입하도록 계획이 수립되었다. 2021년 12월에 입찰을 진행했고, 입찰 결과 다원시스가 낙찰되었다. |
802 편성 | 도입 예정 | ||
803 편성 | 도입 예정 | ||
804 편성 | 도입 예정 | ||
805 편성 | 도입 예정 | ||
806 편성 | 도입 예정 | ||
807 편성 | 도입 예정 | ||
808 편성 | 도입 예정 | ||
809 편성 | 도입 예정 | ||
810 편성 | 도입 예정 | ||
811 편성 | 도입 예정 | ||
812 편성 | 도입 예정 | ||
813 편성 | 도입 예정 | ||
814 편성 | 도입 예정 | ||
815 편성 | 도입 예정 | ||
816 편성 | 2027년 | 도입 예정 | 2차분 전체를 교체하기 위해 도입되며, 구매 계획만 수립되어 있는 상태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4년에 발주 예정이다. |
817 편성 | 도입 예정 | ||
818 편성 | 도입 예정 | ||
819 편성 | 도입 예정 | ||
820 편성 | 도입 예정 |
특이사항[편집]
8호선 1차 도입분의 반입 루트[편집]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1차 도입분 중 가장 처음으로 반입된 3개 편성(801~803편성)은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1차 도입분 27개 편성의 도입 과정과 마찬가지로 수서역 종단부에 설치된 수직 반출구(현재 철거)를 통하여 대형크레인으로 전동차를 수직 인양한 뒤 중대로상에 임시 설치되어 지하로 이어진 선로를 통해 반입되었다. 나머지 12개 편성(804~815편성)은 서울역, 신설동역, 까치산역 인근의 연결선 및 방이역과 가락시장역을 잇는 연결선을 통하여 도입되었다.
7호선 방화 사건에 따른 차량 이적[편집]
2005년 1월 3일에 일어난 방화 사건으로 인하여 752편성의 8량 중 3량이 전소되었다. 전소된 3량 중 Tc 차량은 천왕차량사업소 열차 운행 체험·교육실로 활용되고, 2량은 도봉차량사업소에 보존되었다. 752편성의 나머지 5량은 822편성에서 차출된 3량과 재편성되어 운행을 재개하였다. 822편성에서 남은 3량 중 부수차량 2량과 821편성 6량은 2010년 763편성으로 재편성되어 763편성으로서 7호선에 차출·투입되었으며, 822편성에 남은 8022호는 서울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 모형 차량으로 활용되었다.
측면 안내 표시기 작동 중단[편집]
스크린도어 설치 이후 모든 측면 행선안내 표시기를 철거하고, 서울교통공사 로고를 부착 되었다. 7호선 3차 도입분부터는 도입당시부터 측면 행선안내 표시기가 없는 상태로 도입되었다.
자전거 전용칸 개조[편집]
2009년부터 7호선 2차분 724, 727, 732~733, 735편성 8호선 1~2차분 802, 804~805, 815~816편성은 열차 양 끝 칸맨 앞에 자전거 거치대 설치가 이루어졌다. 7호선 3차분 764~770편성은 도입 당시부터 자전거 거치대가 설치된 채로 도입되었다.
영화 속 등장[편집]
7호선 1차 도입분 703편성은 2003년 영화 튜브에서 테러리스트(박상민)의 테러 타겟이 되는 전동차로 등장하였으며,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246편성)를 흡사하게 도색을 하여 촬영을 하기도 했었다.
각주[편집]
- ↑ “ALSTOM Transport - Alstom Transport@Worldwide”. 2012년 2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29일에 확인함.
- ↑ 전철8호선 미개통구간 시운전
- ↑ 8호선 암사 구간 전동차 소음 줄이고 통유리 사용
- ↑ 휠체어.유모차 전용공간 설치 전동차 확대투입
같이 보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위키미디어 공용에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서울교통공사
- 서울 지하철 7호선
- 서울 지하철 8호선
-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
- 서울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위키미디어 공용에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