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잔글 →‎역 목록: 신설역엔 좌표를 박을 필요가 있다.
24번째 줄: 24번째 줄: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운영자 = 미정
|운영자 = 미정
|영업거리 = 83.1km
|영업거리 = 83.1 km
|실거리 =
|실거리 =
|시설연장 =
|시설연장 =
32번째 줄: 32번째 줄:
|전철화 = [[교류]] 25,000 V
|전철화 = [[교류]] 25,000 V
|신호 =
|신호 =
|영업최고속도 = 161km/h
|영업최고속도 = 161 km/h
|설계최고속도 = 180km/h
|설계최고속도 = 180 km/h
|주석 =
|주석 =
}}
}}
89번째 줄: 89번째 줄:
! 환승
! 환승
! 역간<br />거리
! 역간<br />거리
! 영업<br />거리
!영업<br />거리
! colspan="2" | 소재지
! colspan="2" | 소재지
!
|-
|-
| rowspan="7" style="width: 1.2em;" | 신설
| rowspan="7" style="width: 1.2em;" | 신설
98번째 줄: 99번째 줄:
| Unjeong
| Unjeong
| 雲井
| 雲井
|
|
|
|
|
| rowspan="3" style="width: 1.2em;" | [[경기도]]
| rowspan="3" style="width: 1.2em;" | [[경기도]]
| [[파주시]]
| [[파주시]]
| {{좌표|37.7166|N|126.7285|E}}
|-
|-
!
!
108번째 줄: 111번째 줄:
| KINTEX
| KINTEX
| 韓國國際展示場
| 韓國國際展示場
|
|
|
|
|
| [[고양시]]<br>[[일산서구]]
| [[고양시]]<br>[[일산서구]]
| {{좌표|37.6652|N|126.7483|E}}
|-
|-
!
!
118번째 줄: 123번째 줄:
| 大谷
| 大谷
|{{한국 도시철도|KR1}}<br />{{한국 도시철도|SM3}}<br />{{한국 도시철도|KR7}} (예정)
|{{한국 도시철도|KR1}}<br />{{한국 도시철도|SM3}}<br />{{한국 도시철도|KR7}} (예정)
|
|
|
| [[고양시]]<br>[[덕양구]]
| [[고양시]]<br>[[덕양구]]
128번째 줄: 134번째 줄:
|{{한국 도시철도|SM3}}<br />{{한국 도시철도|SM6}}
|{{한국 도시철도|SM3}}<br />{{한국 도시철도|SM6}}
|
|
|
| rowspan="5" style="width: 1.2em;" |[[서울특별시]]
| rowspan="4" style="width: 1.2em;" |[[서울특별시]]
| [[은평구]]
| [[은평구]]
|
|-
|-
!
!
137번째 줄: 145번째 줄:
| 首爾
| 首爾
|{{한국 도시철도|KR1}}<br />{{한국 도시철도|SM1}}<br />{{한국 도시철도|SM4}}<br />{{한국 도시철도|AR}}<br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 (예정)<br />[[신안산선]] (예정)
|{{한국 도시철도|KR1}}<br />{{한국 도시철도|SM1}}<br />{{한국 도시철도|SM4}}<br />{{한국 도시철도|AR}}<br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 (예정)<br />[[신안산선]] (예정)
|
|
|
| [[중구 (서울특별시)|중구]]
| [[중구 (서울특별시)|중구]]
147번째 줄: 156번째 줄:
|{{한국 도시철도|SM2}}<br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 (예정)
|{{한국 도시철도|SM2}}<br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 (예정)
|
|
|
| rowspan="3" |[[강남구]]
| rowspan="2" |[[강남구]]
|-
|-
!
! rowspan="2" |
|
| rowspan="2" |
| rowspan="2" |[[수서역|수서]]
|[[수서역|수서]]
| rowspan="2" | Suseo
| Suseo
| rowspan="2" | 水西
| 水西
| rowspan="2" |{{한국 도시철도|SM3}}<br />{{한국 도시철도|KR2}}<br />{{color|{{한국 철도 노선색|SR|2}}|■}} [[수서고속철도]]
|{{한국 도시철도|SM3}}<br />{{한국 도시철도|KR2}}<br />{{color|{{한국 철도 노선색|SR|2}}|■}} [[수서고속철도]]
|
| rowspan="2" |
|-
|
| rowspan="4" | [[수서평택고속선]] 공유
|-
|-
| rowspan="3" |[[수서평택고속선]] 공유
!
!
|
|
165번째 줄: 175번째 줄:
| 城南
| 城南
|{{한국 도시철도|KR3}}
|{{한국 도시철도|KR3}}
|
|
|
| rowspan="3" style="width: 1.2em;" |[[경기도]]
| rowspan="3" style="width: 1.2em;" |[[경기도]]
| [[성남시]]<br>[[분당구]]
|[[성남시]]<br>[[분당구]]
|-
|-
!
!
175번째 줄: 186번째 줄:
| 龍仁
| 龍仁
|{{한국 도시철도|KR2}} <small>([[구성역 (용인)|구성역]])</small>
|{{한국 도시철도|KR2}} <small>([[구성역 (용인)|구성역]])</small>
|
|
|
| [[용인시]]<br>[[기흥구]]
| [[용인시]]<br>[[기흥구]]
184번째 줄: 196번째 줄:
| 東灘
| 東灘
|{{color|{{한국 철도 노선색|SR|2}}|■}} [[수서고속철도]]
|{{color|{{한국 철도 노선색|SR|2}}|■}} [[수서고속철도]]
| 83.3
|
|83.3
| [[화성시]]
|[[화성시]]
|}
|}



2019년 12월 28일 (토) 12:07 판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GTX A노선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종류간선철도
체계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상태공사 중
기점운정역
(경기도 파주시)
종점동탄역
(경기도 화성시 청계동 92-2)
역 수10
경유 노선본선 · 수서고속철도
개통일삼성 ~ 동탄 : 2021년 (예정)
운정 ~ 삼성 : 2023년 (예정)
소유자대한민국 정부
운영자미정
노선 제원
영업 거리83.1 km
궤간1,435 mm(표준궤)
선로 수2
전철화교류 25,000 V
영업 최고 속도161 km/h
설계 최고 속도180 km/h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首都圈 廣域急行鐵道 A路線)은 경기도 파주시 운정역과 경기도 화성시동탄역을 잇게 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노선이다.[1] 이 구간 중 삼성 ~ 동탄 구간은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三成-東灘 廣域急行鐵道)로 우선 추진되고 있으며[2], 수서 ~ 동탄 구간은 수서평택고속선과 노선을 공용한다. SRT경의선에 진입하여 문산역까지 운행할 것을 염두해두고, 대곡역경의선 백마역 간에 연결선 설치 계획도 있다.

노선 정보

연혁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

역 목록

2017년 7월 7일의 국토교통부 발표에 따른 것으로[10], 추후에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

노선 역 번호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환승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신설 운정 Unjeong 雲井 경기도 파주시 북위 37° 43′ 00″ 동경 126° 43′ 43″ / 북위 37.7166° 동경 126.7285°  / 37.7166; 126.7285
킨텍스 KINTEX 韓國國際展示場 고양시
일산서구
북위 37° 39′ 55″ 동경 126° 44′ 54″ / 북위 37.6652° 동경 126.7483°  / 37.6652; 126.7483
대곡 Daegok 大谷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3호선
신안산선 (예정)
고양시
덕양구
연신내 Yeonsinnae 延新川 수도권 전철 3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특별시 은평구
서울역 Seoul 首爾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 (예정)
신안산선 (예정)
중구
삼성 Samseong 三成 서울 지하철 2호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 (예정)
강남구
수서 Suseo 水西 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서고속철도
수서평택고속선 공유 성남 Seongnam 城南 수도권 전철 경강선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용인 Yongin 龍仁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구성역) 용인시
기흥구
동탄 Dongtan 東灘 수서고속철도 83.3 화성시
  • 차량기지: 경기도 파주시 연다산동[3]

논란

  • 당초 예정되었던 노선은 킨텍스~동탄 구간이었다. 이에 킨텍스 북쪽에 위치한 운정신도시가 이 노선의 직접적인 수혜를 입지 못하게 되자, 해당 지역의 주민들이 노선 연장을 요구하였다.[11] 결국 경기도에서는 연선 지자체의 의견을 수렴하여 2010년 하반기,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의 노선을 서쪽으로는 김포와 파주로, 남쪽으로는 평택으로 연장하는 계획안의 연구용역을 진행하기도 하였다.[12] 이와 별도로 파주시에서는 시 교통망 구축 차원에서 킨텍스~운정 간의 GTX 연장안의 타당성 조사를 시행하여 타당성이 높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이를 토대로 경기도와 파주시는 2015년 11월 연장안 확정을 요구하였으나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는 노선 연장은 타당성 조사를 다시 실시하여야 하므로 거부하였다.[13] 2017년 12월 29일 고시된 기본계획에 파주 연장은 포함되었으나, 그 이외의 연장안은 포함되지 않았다.
  • 삼성~운정 구간의 실시설계가 2018년 6월경 개시되어[5] 동년 11월 환경영향평가 초안이 제출되었다.[14] 제출된 초안 가운데 서울특별시 종로구와 은평구 경계에서 북한산국립공원 지하를 통과하는 구간이 있는데, 환경부에서는 해당 구간의 노선 대안을 검토하라는 의견을 냈다.[14] 일부 환경단체에서는 환경영향평가의 법정 검토 시한인 2019년 1월 18일까지 북한산을 우회하는 노선안을 계획하여 해당 안을 채택하라고 주장하고 있다.[15] 노선 변경이 이루어질 경우, GTX A노선과 선로를 공유하는 신분당선 북부 연장의 상명대역(가칭)이 설치되지 못한다.[16]
  • 킨텍스~운정 구간에서 GTX A노선이 파주시 다율동의 아파트 단지와 열병합발전소 인근의 지하를 통과하는데, 일부 주민들은 이를 아파트 건물과 발전소의 직하부를 지난다고 오해하여 노선을 변경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17]
  • 신분당선 북부 연장 구간은 2016년 6월, GTX A노선과 노선을 공유하는 것으로 고시되었다.[18] 이와 관련하여 A노선의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과정에서 현대건설 컨소시엄에서는 2018년 4월 시청역 추가 건설을 포함한 노선안을 제시하기도 하였으나[19], 우선협상대상자로 신한은행 컨소시엄이 선정되어 시청역 설치는 무산되었다.[4]

각주

  1.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953호 "수도권광역급행철도 A노선 민간투자대상사업 지정 및 시설사업기본계획"
  2.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59호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 건설사업 기본계획 고시”
  3.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953호 “수도권광역급행철도 A노선 민간투자대상사업 지정 및 시설사업기본계획”, 2017년 12월 29일.
  4. 김동규 (2018년 4월 26일). “GTX A노선 우선협상대상자에 '신한은행 컨소시엄'(종합)”. 연합뉴스. 2018년 12월 30일에 확인함. 
  5. 강갑생 (2018년 10월 11일). “[단독] 국토부, GTX-A 연내착공 맞추려 수백억 물어낼지도 모를 '공문' 보냈다”. 중앙일보. 2018년 12월 30일에 확인함. 
  6. 김희준 (2018년 12월 12일). “GTX A노선·신안산선 사업 본궤도…"사업자지정 민투심 통과". 뉴스1. 2018년 12월 30일에 확인함. 
  7. 정상희 (2018년 12월 19일). “[수도권 광역교통망 개선]GTX·외곽순환로 거미줄 연결… 2기 신도시 교통난 없앤다”. 파이낸셜뉴스. 2018년 12월 30일에 확인함. 
  8. 김동규 (2018년 12월 27일). “GTX-A노선 착공 "파주에서 서울역 20분만에…2023년 개통". 연합뉴스. 2018년 12월 30일에 확인함. 
  9.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135호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 건설사업(2,4공구) 실시계획 승인"
  10. 국토교통부
  11. 이상호 (2009년 11월 1일). ““GTX 노선 연장하라” 서명운동 봇물”. 경향신문. 2018년 12월 30일에 확인함. 
  12. 정영진 (2010년 10월 5일). “경기 GTX, 파주·평택·양주·구리까지 70㎞ 연장 추진”. 중앙일보. 2018년 12월 30일에 확인함. 
  13. 한상봉 (2015년 11월 16일). “[이슈&이슈] 수도권급행철도 파주 연장 문제의 속사정”. 서울신문. 2018년 12월 30일에 확인함. 
  14. 이동희 (2018년 12월 3일). “GTX-A노선 연내 착공 물 건너가나…환경영향평가 최대 변수”. 뉴스1. 2018년 12월 30일에 확인함. 
  15. 배문규 (2018년 12월 24일). “교통대책도 좋다지만 환경과 대기질은? GTX-A, ‘민원철’되나”. 경향신문. 2018년 12월 30일에 확인함. 
  16. 강갑생 (2018년 11월 8일). “[단독] 이번엔 북한산에 가로 막힌 GTX-A, 사업 지연 불가피”. 중앙일보. 2018년 12월 30일에 확인함. 
  17. 노승혁 (2018년 12월 26일). “GTX-A노선 착공 앞두고 고양·파주지역 주민 반발”. 연합뉴스. 2018년 12월 30일에 확인함. 
  18. 김정훈 (2017년 9월 29일). “서울시의회 남재경 의원, 신분당선 서북부연장 종로경유 노선(상명대역) 잠정 확정”. 폴리뉴스. 2017년 10월 16일에 확인함. 
  19. 강갑생 (2018년 4월 10일). “[단독] 현대 "시청역 추가" vs 신한 "SRT 할인"···GTX 2파전”. 중앙일보. 2018년 12월 30일에 확인함.